정규 식생 지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규 식생 지수(NDVI)는 위성 및 항공 관측 데이터를 활용하여 식생의 상태와 변화를 파악하는 데 사용되는 지표이다. 1970년대 초 랜드샛 위성 발사를 계기로 개발되었으며, 적색광과 근적외선의 반사율 차이를 계산하여 식물의 광합성 활동 정도를 나타낸다. NDVI는 농업, 임업, 환경 모니터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작물 건강 진단, 산림 자원 조사, 기상 및 환경 변화 감시에 기여한다. 하지만, 대기 상태, 토양, 센서 종류 등 외부 요인에 영향을 받으며, 식생의 종류나 구조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한계도 존재한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보정 기술 및 개선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농업, 산림, 환경 분야에서 NDVI를 활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정규 식생 지수 | |
---|---|
개요 | |
유형 | 원격 탐사 지표 |
분야 | 식생 분석, 지구과학 |
정의 | 식물의 녹색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 |
계산 | |
공식 | (NIR - Red) / (NIR + Red) |
NIR | 근적외선 반사율 |
Red | 적색광 반사율 |
범위 | -1에서 +1 사이의 값 |
활용 | |
목적 | 식생의 바이오매스 추정 가뭄 모니터링 토지 피복 분류 |
적용 분야 | 농업 산림 환경 모니터링 |
장단점 | |
장점 | 계산이 간단함 다양한 센서에서 활용 가능함 식생 변화에 민감함 |
단점 | 대기 효과에 영향을 받음 토양의 영향을 받음 높은 바이오매스 지역에서는 포화될 수 있음 |
관련 지표 | |
EVI | Enhanced Vegetation Index (향상된 식생 지수) |
SAVI | Soil Adjusted Vegetation Index (토양 조정 식생 지수) |
2. 역사
정규화 차이 식생 지수(NDVI)는 다중 분광 원격 탐사 데이터에서 살아있는 녹색 식물 캐노피를 감지하는 데 가장 잘 알려지고 사용되는 지수이다. NDVI는 식생 지역과 그 "상태"를 단순하고 신속하게 식별할 수 있으며, 식물 캐노피의 광합성 능력을 정량화하는 데에도 활용된다.
NDVI는 다양한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이이노 나오코와 카네가키 치카라는 "2007년 NDVI 영상을 이용한 미야케지마 화산 가스 해저드 매핑" 연구에서 JERS-1/OPS와 Terra/ASTER 데이터를 사용하여 NDVI 영상을 생성하고, 이들의 차이를 이용하여 18단계 레벨 슬라이스 영상을 만들어 해저드 맵을 작성했다. 히로시마현립 종합기술연구소 농업기술센터는 벼의 안정적인 생산에 필요한 비배 관리의 기초가 되는 생육 진단에 NDVI를 응용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도호쿠 공업대학과 독립행정법인 정보통신연구기구 (NiCT)는 야마가타현 쇼나이 평야에 부는 키요카와다시가 식생 지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했다.
NDVI 등의 분광 반사를 이용한 식생 지수는 입사광의 차이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는다.[19] 따라서, 인공 조명을 이용하여 분광 반사 영상을 획득함으로써 NDVI의 질을 향상시키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20]
2. 1. 개발 배경
1957년 10월 4일 소련의 스푸트니크 1호 발사로 우주 탐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는 지구를 공전하는 최초의 인공 위성이었다. 이후 소련(스푸트니크 및 코스모스 프로그램)과 미국(익스플로러 계획)에서 잇따라 성공적인 발사가 이루어졌고, 이는 곧 기상 위성의 설계 및 운용으로 이어졌다. 1960년부터 TIROS 위성 시리즈는 텔레비전 카메라와 복사계를 탑재했으며, 이는 이후 (1964년 이후) 님부스 위성과 미국 해양대기청(NOAA) 플랫폼에 탑재된 고성능 초고해상도 복사계 제품군으로 이어졌다. 후자는 열 적외선뿐만 아니라 적색 및 근적외선 대역에서 행성의 반사율을 측정했다. 이와 병행하여 NASA는 랜드샛 계획의 전신이 된 지구 자원 기술 위성(ERTS)을 개발했다. 이러한 초기 센서들은 최소한의 분광 해상도를 가지고 있었지만, 식생과 구름을 다른 대상과 구별하는 데 유용한 적색 및 근적외선 대역을 포함하는 경향이 있었다.1972년 7월 23일, 다중 분광 스캐너(MSS)를 탑재한 최초의 ERTS 위성(곧 랜드샛 1호로 개명될 예정)이 발사되면서, NASA는 지구 원격 탐사를 위한 기능을 결정하기 위한 여러 조사를 후원했다. 이러한 초기 연구 중 하나는 미국 중부의 대평원 지역의 남북 전역에 걸쳐 봄철 식생의 녹화 및 그 이후 여름과 가을의 건조(소위 "봄철 진전 및 쇠퇴")를 조사하는 데 집중되었다. 이 지역은 텍사스 남쪽 끝에서 미국-캐나다 국경에 이르는 광범위한 위도를 포함하고 있어 위성 관측 시점에 다양한 태양 천정각이 발생했다.
이 대평원 연구의 연구자들(박사 과정 학생인 도널드 디어링과 그의 지도교수인 로버트 하스 박사)은 이 위도 기울기 차이로 인해 위성 분광 신호로부터 이 지역의 목초지 식생의 생물 물리학적 특성을 상관시키거나 정량화하는 능력이 혼란스러워진다는 것을 발견했다. 거주 수학자(존 셸 박사)의 도움을 받아 그들은 이 딜레마에 대한 해결책을 연구했으며, 이후 태양 천정각의 영향을 조정하거나 "정규화"하기 위해 적색 및 적외선 복사도의 차이를 합으로 나눈 비율을 개발했다. 원래 그들은 이 비율을 "식생 지수"라고 불렀고(또 다른 변형으로, 차이-합 비율의 제곱근 변환인 "변환된 식생 지수"), 다른 여러 원격 탐사 연구자들이 단순한 적색/적외선 비율 및 기타 분광 비율을 "식생 지수"로 식별함에 따라, 결국 차이/합 비율 공식을 정규화 차이 식생 지수(NDVI)로 식별하기 시작했다. 대평원 연구에서 NDVI의 가장 초기에 보고된 사용은 1973년 Rouse 외[1]에 의해 이루어졌다. (존 라우즈 박사는 대평원 연구가 수행된 텍사스 A&M 대학교 원격 탐사 센터의 이사였다). 그러나 그들은 1969년 Kriegler 외에 의해 정규화된 차이 분광 지수 공식을 만드는 데 선행했다.[2] ERTS-1(랜드샛-1) 발사 직후, NASA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의 컴턴 터커는 NDVI의 사용을 설명하는 일련의 초기 과학 저널 기사를 발표했다.
따라서 NDVI는 식생 지역과 그 "상태"를 단순하고 신속하게 식별하려는 많은 시도 중 가장 성공적인 시도 중 하나였으며, 다중 분광 원격 탐사 데이터에서 살아있는 녹색 식물 캐노피를 감지하는 데 가장 잘 알려지고 사용되는 지수로 남아 있다.
2. 2. 초기 연구 및 활용
미국 중부 대평원 지역의 목초지 식생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초기 정규 식생 지수(NDVI)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진은 위도에 따른 태양 천정각 차이가 위성 데이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고, 이를 보정하기 위해 적색 및 적외선 복사도의 차이를 합으로 나눈 비율을 활용한 NDVI 공식을 개발했다.[1] 초기 NDVI는 단순한 식생 유무 판별을 넘어, 식생의 활력과 생산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데 활용되기 시작했다.1973년 Rouse 등[1]은 NDVI를 이용한 대평원 지역 식생 모니터링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들은 1969년 Kriegler 등이 제안한 정규화된 차이 분광 지수 공식을 활용했다.[2] NASA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의 컴턴 터커는 NDVI 관련 연구 결과를 발표하며 NDVI 활용을 확산시켰다.
3. 원리
정규 식생 지수(NDVI)는 식물이 광합성 과정에서 엽록소를 이용하여 가시광선, 특히 적색광을 흡수하고 근적외선을 반사하는 특성을 이용한다. 건강한 식생은 엽록소 함량이 높아 적색광 흡수율이 높고, 세포 구조가 발달하여 근적외선 반사율이 높다.
NDVI 공식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NIR은 근적외선, Red는 적색광을 나타낸다.[4] NDVI 값은 -1에서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건강한 식생은 0.3~0.8 정도의 높은 값을 나타낸다.
NDVI는 1969년 Kriegler 등이 정규화된 차이 분광 지수 공식을 만들었고,[2] 1973년 텍사스 A&M 대학교의 Rouse 등이 처음 사용하였다.[1] 이후 NASA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의 컴턴 터커가 NDVI의 사용을 설명하는 과학 저널 기사를 발표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근적외선 파장에서 가시광선 파장보다 훨씬 더 많은 반사 방사선이 있다면, 해당 픽셀의 식생은 밀도가 높을 가능성이 높으며 숲을 포함할 수 있다. NDVI는 식물 캐노피의 광합성 능력 및 에너지 흡수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6][7]
NDVI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물: 바다, 호수, 강과 같은 자유 수역은 두 스펙트럼 밴드 모두에서 반사율이 낮아 매우 낮은 양수 값 또는 약간의 음수 NDVI 값을 생성한다.
- 토양: 토양은 적색보다 근적외선 스펙트럼 반사율이 다소 커서 0.1~0.2 정도의 양수 NDVI 값을 생성하는 경향이 있다.
- 도시 지역: 밀집된 도시 지역에서도 NDVI는 일반적으로 (작은) 양수 값을 갖는다. 음수 값은 대기 및 일부 특정 물질에서 관찰될 가능성이 더 높다.[8]
- 구름 및 눈: 구름과 눈 지역은 NDVI의 음수 값으로 특징지어진다.
NDVI는 두 스펙트럼 밴드를 단일 값으로 대체하여 데이터 크기를 압축하는 장점이 있다.
NDVI 활용 시 고려해야 할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 정보 손실: NDVI는 원래 스펙트럼 반사율 데이터의 일부 정보만 전달한다.
- 공간적 규모: 위성 센서와 현장 계측기의 측정 영역 크기 차이로 인해 상관관계 분석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 대기 효과: 수증기, 에어로졸, 구름 등 대기 구성 요소는 측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9]
- 토양 효과: 토양 수분 함량 변화는 식생 변화와 혼동될 수 있다.
- 비등방성 효과: 표면은 방향에 따라 빛을 다르게 반사하므로, 측정 시 조명 및 관찰 각도에 따라 NDVI 값이 달라질 수 있다.
- 스펙트럼 효과: 센서마다 스펙트럼 밴드 특성이 다르므로, 동일한 NDVI 공식이라도 다른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 수정 가능한 영역 단위 문제 (MAUP): NDVI는 픽셀 또는 객체 기반 알고리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분석 규모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10][11]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직 식생 지수,[13] 토양 조정 식생 지수,[14] 대기 저항 식생 지수,[15] 글로벌 환경 모니터링 지수[16] 등 다양한 NDVI 파생 지수 및 대안이 제안되었다. 현재는 토양 효과, 캐노피 배경 및 에어로졸 영향을 보정한 향상된 식생 지수(EVI)가 사용되기도 한다.[17]
3. 1. 분광학적 기초
식물 잎의 색소인 엽록소는 광합성에 사용하기 위해 가시광선(400~700 nm)을 강하게 흡수한다.[3] 반면에 잎의 세포 구조는 근적외선(700~1100 nm)을 강하게 반사한다.[3] 잎의 수분 함량, 세포 구조, 엽록소 농도 등에 따라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반사율이 달라진다. 이러한 분광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NDVI는 식생의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미국 항공 우주국(NASA)과 미국 해양대기청(NOAA)의 초기 지구 관측 기기들은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데이터를 수집했기 때문에, 위성 이미지에서 식물의 공간적 분포를 결정하기 위해 식물 반사율의 차이를 활용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4. 활용 분야
NDVI는 농업, 임업, 환경 과학, 기상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정밀 농업에서는 NDVI 데이터를 활용하여 작물의 건강 상태를 측정하고, 농업용 드론을 통해 데이터를 빠르게 획득하여 처리한다.[18] 또한, 일반 디지털 카메라를 활용한 NDVI 이미지 획득 및 작물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랜드샛 8호, 센티넬-2호, PlanetScope는 NDVI 맵 제작 및 작물 건강 모니터링을 위한 위성 이미지 제공 업체이다.
NDVI는 산림 면적 변화 및 토지 피복 분류를 파악하여 사막화, 산림 벌채 등의 환경 문제를 분석하고, 산림 활동 상황 지표로 이산화 탄소 흡수량 평가에도 활용된다.
NDVI 데이터는 기상 서비스, 홍수 및 가뭄 모니터링, 곤충 번식, 수확량 정보, 산불 발생 가능성 파악 등에도 활용된다. 또한, 식물을 통한 대기 오염 물질 흡수량 (대기 정화 작용) 평가에도 NDVI 데이터 활용이 기대된다.
4. 1. 농업
정밀 농업에서 정규 식생 지수(NDVI) 데이터는 작물 건강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오늘날에는 농업용 드론을 이용하여 NDVI 데이터를 비교하고 작물 건강 문제를 인식한다. PrecisionHawk와 Sentera의 농업용 드론은 농업인들이 하루 안에 NDVI 데이터를 캡처하고 처리할 수 있게 해준다.[18] 일반적인 디지털 RGB 카메라를 사용하여 NDVI 이미지를 얻고, 작물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증명하는 연구도 많이 수행되었다.랜드샛 8호, 센티넬-2호, PlanetScope는 NDVI 맵을 만들고 작물 건강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성 이미지를 제공하는 주요 공급 업체이다.
NDVI 데이터를 통해 작물 생육 상태를 주기적으로 관찰하고 이상 징후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NDVI 값과 작물 수확량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수확량을 예측할 수도 있다. 또한, 드론이나 위성 영상을 통해 얻은 NDVI 데이터를 기반으로 비료, 농약 등의 투입량을 조절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환경 오염을 줄이는 정밀 농업에도 활용된다. 가뭄으로 인한 농작물 피해를 평가하고 복구 계획 수립에도 NDVI 데이터가 활용된다.
한국에서는 벼 재배 지역의 생육 상태를 NDVI로 분석하여 수확량을 예측하고 병해충 발생을 조기에 진단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4. 2. 임업

NDVI는 산림 면적의 경년 변화나 토지 피복 분류를 파악하여 사막화, 산림 벌채 등 환경 문제를 고려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이다. 산림 활동 상황 지표로도 사용되며, 이산화 탄소 흡수량 평가에도 활용된다.[1]
4. 3. 환경 모니터링
NDVI 데이터는 기상 서비스, 홍수, 가뭄 모니터링에 활용된다. 또한 어떤 곤충이 어느 지역에서 번식하는지, 수확물 생산 정보, 산불 발생 가능성 파악에도 사용된다.[1] 산림 면적의 경년 변화나 토지 피복 분류 파악에도 사용되므로, 사막화, 산림 벌채 등 환경 문제에도 중요한 데이터이다.[1] 산림 활동 상황 지표로도 사용되어 이산화 탄소 흡수량 평가에도 일부 활용된다.[1] 식물에 의한 대기 오염 물질 흡수량([대기 정화 작용]]) 평가에도 NDVI 데이터 활용이 기대된다.[1]4. 4. 기타
NDVI 데이터는 기상 서비스, 홍수, 가뭄 모니터링에 활용된다. 곤충 번식, 수확물 생산 정보, 산불 발생 가능성 파악에도 사용된다. 산림 면적 변화, 토지 피복 분류를 통해 사막화, 산림 벌채 등 환경 문제를 고려하고, 산림 활동 지표로 이산화 탄소 흡수량 평가에도 기여한다. 식물의 대기 오염 물질 흡수량(대기 정화 작용) 평가에도 NDVI 데이터 활용이 기대된다.5. 한계 및 문제점
NDVI(정규화 식생 지수)는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그 활용에 있어 한계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NDVI는 원래 설계되지 않은 응용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면서, 정성적 조사가 아닌 정량적 평가를 위해 사용될 때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9]
- 수학적 한계: 두 스펙트럼 채널의 합과 차이는 원래 데이터와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지만, 차이만(또는 정규화된 차이)은 초기 정보의 일부만 전달한다.
- 다양한 식생 속성 추정의 어려움: NDVI 사용자는 이 지수의 값에서 잎 면적 지수, 생물량, 잎의 엽록소 농도, 식물 생산성, 부분 식생 피복, 누적 강수량 등 많은 식생 속성을 추정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계는 공간에서 파생된 NDVI 값과 이러한 변수의 지상 측정 값을 상관시켜 얻는 경우가 많지만, 공간적 규모와 관련된 추가 문제를 야기한다.
- 반사율 측정의 어려움: 반사율 측정은 동일한 영역을 기준으로 해야 하며 동시에 획득해야 한다. 이는 서로 다른 카메라 또는 초점면을 통해 서로 다른 스펙트럼 채널을 획득하는 계측기로는 달성하기 어렵다.
NDVI 값은 다음과 같은 교란 요인에 민감하다.
- 대기 효과: 대기의 실제 구성(특히 수증기 및 에어로졸)은 우주에서 수행된 측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9]
- 구름: 얇은 구름(예: 권운)이나 작은 구름은 측정을 상당히 오염시킬 수 있다. 맑게 보이는 지역의 구름 그림자도 NDVI 값에 영향을 미쳐 오해를 일으킬 수 있다.[9]
- 토양 효과: 토양은 젖으면 어두워지는 경향이 있어 반사율은 수분 함량의 직접적인 함수이다.
- 비등방성 효과: 모든 표면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빛을 다르게 반사하며, 이 비등방성 형태는 스펙트럼에 따라 다르다.
- 스펙트럼 효과: 각 센서는 스펙트럼 밴드의 위치, 너비 및 모양과 관련하여 고유한 특성과 성능을 가지므로, 서로 다른 기기로 획득한 측정값에 NDVI 공식을 적용하면 서로 다른 결과를 생성한다.
- 수정 가능한 영역 단위 문제(MAUP): 분석 규모가 MAUP와 관련된 규모 효과의 존재로 인해 NDVI 측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10][11][12]
NDVI는 미야케지마 화산 가스 해저드 매핑, 벼의 생육 진단, 국지풍 '키요카와다시'가 식생 지표에 미치는 영향 조사 등 다양한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5. 1. 보정 및 개선 노력
NDVI(정규 식생 지수)는 식생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는 데 널리 사용되지만,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어 정확한 해석을 위해 보정 및 개선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기 보정: 대기 중의 수증기나 에어로졸 등은 NDVI 값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영향을 제거하여 NDVI 값의 정확도를 높이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9]
- 토양 보정: 토양의 반사율도 NDVI 값에 영향을 미친다. 토양 반사율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SAVI, EVI 등 다양한 보정 지수가 개발되었다.[14]
- 센서 간 상호 보정: 서로 다른 센서에서 얻은 NDVI 데이터를 비교 분석해야 할 때가 있다. 이를 위해 서로 다른 센서 간의 차이를 보정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 다중 시기 데이터 활용: 여러 시기의 NDVI 데이터를 결합하면 구름이나 그림자 등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9]
- 기계 학습 및 인공 지능 활용: NDVI 데이터와 다른 지리 정보를 결합하여 식생 분류, 변화 탐지 등의 정확도를 높이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MAUP와 같이 NDVI 사용에는 여전히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10][11][12] MAUP는 분석 규모에 따라 NDVI 측정값이 달라질 수 있는 문제를 의미한다.
NDVI의 파생 지표 및 대안으로 수직 식생 지수,[13] 토양 조정 식생 지수,[14] 대기 저항 식생 지수,[15] 글로벌 환경 모니터링 지수[16] 등이 제안되었으며, 현재는 토양 효과, 캐노피 배경 및 에어로졸 영향을 보정하는 향상된 식생 지수(EVI)가 USGS에서 사용되고 있다.[17]
입사광의 차이에 의한 영향을 줄이기 위해 인공 조명을 이용하여 분광 반사 영상을 획득함으로써 NDVI의 질을 향상시키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19][20]
6. 한국의 NDVI 연구 및 활용 동향
1990년대부터 한국에서는 위성 영상을 활용한 농업 및 환경 분야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정규 식생 지수(NDVI) 활용이 증가했다. 농촌진흥청, 산림청, 국립환경과학원 등 정부 기관을 중심으로 NDVI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드론을 이용한 정밀 농업 분야에서 NDVI 활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벤처 기업들을 중심으로 관련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지속 가능한 농업 및 환경 정책 추진을 위해 NDVI를 포함한 원격 탐사 기술 활용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6. 1. 주요 연구 사례
이이노 나오코와 카네가키 치카라는 "2007년 NDVI 영상을 이용한 미야케지마 화산 가스 해저드 매핑" 연구에서 JERS-1/OPS와 Terra/ASTER 데이터를 사용하여 NDVI 영상을 생성하고, 이들의 차이를 이용하여 18단계 레벨 슬라이스 영상을 만들어 해저드 맵을 작성하였다.[19] 히로시마현립 종합기술연구소 농업기술센터는 벼의 안정적인 생산에 필요한 비배 관리의 기초가 되는 생육 진단에 NDVI를 응용하는 "어린 이삭 형성기의 NDVI와 기상 요인, 이삭거름 시용량에 따른 벼의 수량 추정" 연구를 수행하였다.[19] 도호쿠 공업대학과 정보통신연구기구(NiCT)는 야마가타현 쇼나이 평야에 부는 키요카와다시가 식생 지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한 "국지풍 '키요카와다시'와 정규화 식생 지표(NDVI)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였다.[19]NDVI 등의 분광 반사를 이용한 식생 지수는 입사광의 차이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19] 인공 조명을 입사광으로 이용하여 분광 반사 영상을 획득함으로써 NDVI의 질을 향상시키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20]
6. 2. 향후 전망
위성 기술 발전과 함께 NDVI 데이터의 공간 해상도, 시간 해상도가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드론, 인공지능 등 새로운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NDVI 활용 분야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후 변화, 환경 문제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NDVI를 활용한 식생 모니터링 및 환경 변화 감시의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이다. 한국에서는 농업 생산성 향상, 산림 자원 관리, 도시 환경 개선 등 다양한 분야에서 NDVI 활용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참조
[1]
논문
'Monitoring Vegetation Systems in the Great Plains with ERTS.'
https://ntrs.nasa.go[...]
1974
[2]
논문
'Preprocessing transformations and their effects on multispectral recognition.'
1969
[3]
서적
Biophysical Ecology
Springer-Verlag, New York
1980
[4]
웹사이트
Measuring Vegetation
http://earthobservat[...]
NASA Earth Observatory
2000-08-30
[5]
논문
'Calculating the vegetation index faster,'
1990
[6]
논문
'Canopy reflectance, photosynthesis, and transpiration'
1985
[7]
논문
'The interpretation of spectral vegetation indexes'
1995
[8]
웹사이트
Urban Climate: surface temperature and NDVI an analysis of influences in Ponta Grossa-PR
https://web.archive.[...]
UEPG (Pro-rector of Research and Post-graduation-PROPESP)
2018-09-10
[9]
논문
'Characteristics of Maximum-Value Composite Images from Temporal AVHRR Data'
1986
[10]
학술지
Scale effects in remotely sensed greenspace metrics and how to mitigate them for environmental health exposure assessment
2020-07
[11]
학술지
NDVI, scale invariance and the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An assessment of vegetation in the Adelaide Parklands
https://ris.utwente.[...]
2017-04
[12]
학술지
NDVI, scale invariance and the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An assessment of vegetation in the Adelaide Parklands
https://ris.utwente.[...]
2017-04-15
[13]
논문
'Distinguishing vegetation from soil background information'
1977
[14]
논문
'A soil-adjusted vegetation index (SAVI)'
1988
[15]
논문
'Atmospherically resistant vegetation index (ARVI) for EOS-MODIS'
IEEE, New York
1992
[16]
학술지
GEMI: a non-linear index to monitor global vegetation from satellites
Springer Nature
[17]
논문
Overview of the radiometric and biophysical performance of the MODIS vegetation indices
http://www.sciencedi[...]
2002
[18]
웹사이트
Sentera links processor with sensor for live NDVI
https://www.producer[...]
2017-02-02
[19]
학술지
Basic Research on a Field Scouting Robot Monitoring Crop Progress and Condition (Part 1) ――High-accuracy Acquisition Method of Spectral Reflection――
[20]
학술지
Development of a high-accuracy autonomous sensing system for a field scouting robot
https://www.scienced[...]
2022-0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