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광평대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광평대군은 조선 세종의 다섯째 아들로, 1425년에 태어나 1444년에 사망했다. 8세에 광평대군에 봉해졌으며, 학문을 좋아하여 경서에 통달하고 문선 등에 재능을 보였다. 1437년에는 무안군 이방번의 양자가 되었고, 동북면 여진족의 침입에 대비하여 육진의 국방 강화를 위해 종성군을 맡기도 했다. 사치와 인사 청탁 논란이 있었으며, 창진을 앓다가 사망했다. 묘소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에 있으며, 서울 유형문화재 제48호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44년 사망 - 레오나르도 브루니
    레오나르도 브루니는 피렌체 공화국의 서기국장으로서 시민 인본주의를 발전시키고 《피렌체 인민의 역사》를 저술한 이탈리아의 인문주의자이자 역사가, 정치인이다.
  • 1444년 사망 - 오단토니오 다 몬테펠트로
    오단토니오 다 몬테펠트로는 1443년부터 1444년 암살당할 때까지 우르비노를 통치한 초대 공작이었으며, 방탕한 생활과 과도한 세금 징수로 백성들의 불만을 사 암살당했다.
  • 1425년 출생 - 화의군
    화의군 이영은 세종의 아들로 태어나 화의군에 봉해졌으나, 문란한 사생활과 단종 복위 운동 가담으로 고초를 겪었지만, 단종에 대한 충절을 인정받아 사후에 재평가되었다.
  • 1425년 출생 - 정현옹주
    세종의 서녀인 정현옹주는 1436년 윤사로와 혼인하여 영천군부인이 되었고, 윤반과 윤린을 낳았다.
  • 조선 세종의 자녀 - 임영대군
    세종과 소헌왕후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은 무예에 능했으며, 총통과 화차 제작에 참여했고,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을 도와 세조 즉위에 공을 세운 왕실의 수장격 인물이다.
  • 조선 세종의 자녀 - 안평대군
    안평대군은 조선 전기의 왕자로서 학문과 예술에 능했으며 안견, 박팽년 등과 교류하며 몽유도원도와 같은 서화 작품을 남겼으나, 계유정난으로 유배 후 사사되었고 후에 복권되었다.
광평대군
기본 정보
이름광평대군
원래 이름廣平大君
이여 (李璵)
작위대군(大君)
출생일1425년 5월 28일 (양력)
출생지조선 한성부
사망지조선 한성부 대군 사저
사망일1445년 1월 23일 (양력)
자녀영순군 이부(아들)
배우자영가부부인 평산 신씨
별칭자: 환지(煥之)
호: 명성당(明誠堂)
시호: 장의공(章懿公)
학력1436년 성균관 수학
종교유교(성리학)
아버지세종대왕 이도
어머니소헌왕후 청송 심씨
친인척신자수(장인)
무안대군(종조부)
태종 이방원(친조부)
심온(외조부)
심준(외숙부)
심회(외숙부)
심결(외숙부)
양녕대군(큰아버지)
효령대군(큰아버지)
성녕대군(작은아버지)
문종(형)
세조(형)
안평대군(형)
임영대군(형)
금성대군(동생)
평원대군(동생)
영응대군(동생)
왕족 정보 (李璵 문서 기준)
이여 (李璵)
작위대군
관직알 수 없음
대수알 수 없음
씨족알 수 없음
계통알 수 없음
아명알 수 없음
초명알 수 없음
환지 (煥之)
알 수 없음
시호알 수 없음
작호알 수 없음
출생년홍희 원년 (1425년)
출생지알 수 없음
몰년정통 9년 (1444년)
몰지알 수 없음
친아버지세종
친어머니소헌왕후
양아버지알 수 없음
양어머니알 수 없음
배우자알 수 없음
자녀알 수 없음
묘소알 수 없음
친척알 수 없음
주석알 수 없음

2. 이름

성은 이, 이름은 여(璵), 본관은 전주, 자는 환지(煥之), 호는 명성당(明誠堂), 시호는 장의공(章懿公)이다.

3. 생애

1432년 8세에 광평대군(廣平大君)에 봉해졌다. 1436년에 신자수의 딸과 결혼하고 성균관에 입학하였다. 1437년 제1차 왕자의 난에서 살해된 무안군 이방번의 양자가 되어, 그의 제사를 이어받았다. 같은 해, 그의 동생인 금성대군도 이방석의 양자가 되었다.

1438년, 동북면 여진족의 침입에 대비하여 두만강 하류 남안에 설치된 육진의 국방 강화와 풍속 강화를 위해 경제소(經濟所)를 설치하고 종친(宗親)으로서 주관하게 되면서 종성을 맡게 되었다.

1442년, 당시 왕세자였던 그의 형 문종이 아버지인 세종의 섭정을 맡았다. 1444년에 사망하였다.

3. 1. 유년 시절과 교육

1425년 5월 2일에 태어났다. 1432년 8세에 광평대군에 봉해졌다. 형인 임영대군까지는 정1품 대광보국(大匡輔國)의 산관(散官)을 붙였으나, 왕자에게 굳이 산관을 더할 이유가 없다고 본 세종은 광평대군부터는 대군, 왕자군에게 더는 산관을 붙이지 않았고 무품계의 반열에 올렸다.

1436년 12세에 동지중추부사 신자수(증 좌의정)의 딸 신씨와 결혼하고 같은 해, 동생 금성대군성균관에 입학하여 수학하였다. 부왕 세종의 총애를 받았으며 학문을 좋아하여 경서에 통달하였고, 문선 등에 재능이 있었다.

1437년 제1차 왕자의 난에서 살해된 무안군 이방번의 양자가 되어, 그의 제사를 이어받았다. 같은 해, 그의 동생인 금성대군도 이방석의 양자가 되었다.

1438년, 동북면 여진족의 침입에 대비하여 두만강 하류 남안에 설치된 육진의 국방 강화와 풍속 강화를 위해 경제소(經濟所)를 설치하고 종친(宗親)으로서 주관하게 되면서 종성을 맡게 되었다.

1442년, 당시 왕세자였던 그의 형 문종이 아버지인 세종의 섭정을 맡았다.

3. 2. 학문적 성취와 재능

광평대군은 1425년 5월 2일에 태어났다. 세종 14년(1432년) 8세에 광평대군에 봉해졌다. 형인 임영대군까지는 정1품 대광보국(大匡輔國)의 산관(散官)을 붙였으나, 왕자에게 굳이 산관을 더할 이유가 없다고 본 세종은 광평대군부터는 대군, 왕자군에게 더는 산관을 붙이지 않았고 무품계의 반열에 올렸다.

세종 18년(1436년) 12세에 동지중추부사 신자수(증 좌의정)의 딸 신씨와 결혼하고 같은 해, 동생 금성대군성균관에 입학하여 수학하였다. 부왕 세종의 총애를 받았으며 학문을 좋아하여 경서에 통달하였고, 문선 등에 재능이 있었으나 일찍 요절하였다.

성격이 온화하고 총명했다고 한다. 『사서오경』과 『효경』·『소학』 등에 통하고, 이백/李白, Lǐ Bái중국어·오양수/歐陽脩, Ōuyáng Xiū중국어 등의 문집을 읽었으며, 음률과 산수에도 밝았고, 서예에도 뛰어났다고 한다.

3. 3. 무안대군의 봉사손

1437년 세종의 명으로 후사가 없는 종조부 무안대군 이방번의 제사를 받드는 봉사손(奉祀孫)이 되었다.

李芳蕃중국어은 모두 가까운 친척(懿親)으로서 불행히 후사가 없으니,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유(李璵)를 이방번(李芳蕃)의 뒤를 잇게 하였다.

같은 해, 그의 동생인 금성대군도 이방번의 동생인 이방석의 양자가 되었다.

3. 4. 육진 개척 참여

1432년에 광평대군에 봉해졌다. 1436년에 신자수(申自秀)의 딸과 결혼하고 성균관에 입학하였다. 1438년, 동북면 여진족의 침입에 대비하여 두만강 하류 남안에 설치된 육진의 국방 강화와 풍속 강화를 위해 경제소(經濟所)를 설치하고 종친(宗親)으로서 주관하게 되면서 종성을 맡게 되었다.

3. 5. 사치와 인사 청탁 논란

세종대왕은 광평대군 이여의 집 간가(間架)가 법도를 넘었다 하여 철훼(撤毁)를 명하였다. 승정원에서 이미 영조(營造)하였으니 철훼하지 말 것을 청하였고, 왕은 철훼 명을 정침하였다.

친형인 임영대군과 함께 인사 청탁을 해주어 논란이 되기도 했다. 신효창의 친손녀는 광평대군 이여의 부인이었고 외손녀는 임영대군의 부인이었는데, 1437년 신효창이 두 대군에게 편지를 보내 자신의 비첩(婢妾)이 낳은 서자인 신근지를 벼슬시킬 것을 청탁하였다. 신근지는 광평대군에게는 처서삼촌이 된다. 처조부 신효창의 청탁을 받아 친형 임영대군과 함께 신근지의 벼슬을 청탁하였다.

형제가 부왕 세종대왕을 찾아가 "근지는 사예(射藝)에 능하여 마땅히 쓸 만합니다."고 고하였다. 왕이 병조에 명하여 그 재주를 시험하니, 보사(步射)와 기사(騎射)에 모두 합격하였다. 그러나 뒤에 논란이 되어 신효창과 신근지의 임명장은 빼앗겼다가 도로 되돌려받았다.

4. 죽음

1432년 광평대군(廣平大君)에 봉해졌다. 1436년 신자수(申自秀)의 딸과 결혼하고 성균관(成均館)에 입학하였다. 1437년 제1차 왕자의 난(第一次王子の亂)에서 살해된 무안군 이방번(李芳蕃)의 양자가 되어, 그의 제사를 이어받았다. 같은 해, 그의 동생인 금성대군(錦城大君)도 이방번의 동생인 이방석(李芳碩)의 양자가 되었다.

1438년, 동북면 여진(女真)족의 침입에 대비하여 두만강(豆滿江) 하류 남안에 설치된 육진(六鎭)의 국방 강화와 풍속 강화를 위해 경제소(經濟所)를 설치하고 종친(宗親)으로서 주관하게 되면서 종성(鍾城)을 맡게 되었다.

1442년, 당시 왕세자였던 그의 형 문종(文宗)이 아버지인 세종(世宗)의 섭정(攝政)을 맡았다. 1444년에 사망하였다.

4. 1. 사인

광평대군 이여는 창진(瘡疹)을 앓아 연창군(延昌君) 안맹담(安孟聃)의 집으로 거처를 옮겼다.[3] 1432년 광평대군(廣平大君)에 봉해졌다. 1436년 신자수(申自秀)의 딸과 결혼하고 성균관(成均館)에 입학하였다. 1437년에는 제1차 왕자의 난(第一次王子の亂)에서 살해된 무안군 이방번(李芳蕃)의 양자가 되어 그의 제사를 받들었다. 같은 해, 그의 동생인 금성대군(錦城大君)도 이방번의 동생인 이방석(李芳碩)의 양자가 되었다.

1438년, 동북면 여진(女真)족의 침입에 대비하여 두만강(豆滿江) 하류 남안에 설치된 육진(六鎭)의 국방 강화와 풍속 강화를 위해 경제소(經濟所)를 설치하고 종친(宗親)으로서 주관하게 되면서 종성(鍾城)을 맡게 되었다.

1442년, 당시 왕세자였던 그의 형 문종(文宗)이 아버지인 세종(世宗)의 섭정(攝政)을 맡았다. 1444년에 사망하였다.

4. 2. 사후 평가

광평대군 이여는 세종의 다섯째 아들로, 홍희 원년(1425년)에 태어나 선덕 7년(1432년)에 광평대군으로 봉해졌다. 어릴 때부터 학문에 힘써 《효경》, 《소학(小學)》, 사서삼경을 통달하고, 《문선(文選)》, 이태백, 두자미, 구양수, 소동파의 문집과 《국어(國語)》, 《좌전(左傳)》에도 능통했다. 또한 음률과 산수에도 조예가 깊었으며, 글과 글씨에도 뛰어나고 활쏘기와 격구에도 능했다.

광평대군은 간의대와 종부의 일을 총괄하며 체제를 세웠고, 무안군의 후사가 없어 그의 제사를 받들게 되었다. 성품이 너그럽고 넓으며 용모가 아름답고 총명하여, 노복이나 사환에게도 꾸짖는 일이 없어 사람들의 사랑을 받았다.

광평대군이 창진을 앓다가 죽자 세종은 매우 슬퍼하며 3일 동안 조회를 열지 않았다. 세종은 광평대군의 죽음에 종일토록 수라를 들지 않았고, 신하들의 간청에도 죽만 조금 마실 뿐이었다. 백파령에게 상례를 주관하게 하고, 정척, 변효문, 민완으로 호상하는 일을 맡겼으며, 이사초를 보내 보살피게 했다. 초상에 필요한 물품은 관에서 마련하게 했고, 정부와 육조에서는 조위하는 전문을 올렸다. 시호는 장의(章懿)로, 공경하고 삼가며 높고 밝음을 뜻하는 '장(章)'과 온화하고 부드러우며 현명하고 착함을 뜻하는 '의(懿)'를 합한 것이다.

5. 묘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 산 1번지 대모산(大母山) 기슭에 묘소가 있으며, 서울 유형문화재 제48호이다. 이 일대를 지나는 도로를 그의 군호를 따 광평로라 명명하였다.

6. 가족 관계

조부는 3대 태종(1367 ~ 1422)이고 조모는 원경왕후 민씨(1365 ~ 1420)이다.[4] 아버지는 4대 세종(1397 ~ 1450)이며, 어머니는 소헌왕후 심씨(1395 ~ 1446)이다.[4] 외조부는 청천부원군 심온(1375 ~ 1419)이고, 외조모는 삼한국대부인 순흥 안씨(? ~ 1444)이다.[4]

정소공주(1412 ~ 1424)와 정의공주(1415 ~ 1477)는 누나들이고, 5대 문종(1414 ~ 1452), 조선 7대 세조(1417 ~ 1468), 안평대군(1418 ~ 1453), 임영대군(1420 ~ 1469)은 형이다.[4] 금성대군(1426 ~ 1457), 평원대군(1427 ~ 1445), 영응대군(1434 ~ 1467)은 남동생이다.[4]

정부인은 영가부부인 평산 신씨로, 동지(同知) 증 좌의정(贈 左議政) 신자수(申自守)의 딸이다.[4] 장남은 영순군 이부(1444 ~ 1470)이다.[4]

7. 광평대군이 등장한 작품

7. 1. TV 드라마

참조

[1] 문서 1425년 음력 5월 2일 1425-05-02
[2] 문서 1444년 음력 12월 7일 1444-12-07
[3] 문서 세종 106권, 26년(1444 甲子 / 명 정통(正統) 9년) 12월 6일(辛亥) 1번째기사 1444-12-06
[4] 문서 임영대군의 계부인 제안부부인 최씨과는 4촌간이다.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