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신권은 지권과 생물권에 이은 지구 발달의 세 번째 단계로, 인간의 인지 능력 출현이 생물권을 변화시키는 현상을 가리킨다. 베르나드스키는 인류가 핵 변환을 통해 자원을 창출하는 시점에서, 드 샤르댕은 인간 정신의 상호 작용을 통해 정신권이 형성된다고 보았다. 1922년 피에르 테이야르 드 샤르댕의 저서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블라디미르 베르나츠키는 생지화학 분야에서 이 개념을 재작업했다. 최근에는 인터넷에서의 지식 집적을 비유하는 표현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일본 소설 로그 호라이즌에서 MMORPG 확장팩의 명칭으로 등장한다.
베르나드스키는 정신권을 지구 발달의 세 번째 단계로 보았다. 첫 번째는 지권(무생물), 두 번째는 생물권(생물체)이다. 베르나드스키는 생명체의 출현이 지권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킨 것처럼, 인간의 인지 능력 출현이 생물권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킨다고 보았다. 가이아 이론 지지자나 사이버 공간 옹호자들의 개념과는 대조적으로, 베르나드스키의 정신권은 인류가 핵 과정을 지배하여 원소의 핵 변환을 통해 자원을 창출하기 시작하는 지점에서 나타난다고 주장했다. 이는 글로벌 의식 프로젝트의 연구 분야이다.[9]
"정신권"이라는 용어는 1922년 피에르 테야르 드 샤르댕의 저서 ''우주 발생론''에서 처음 사용되었다.[10][11] 블라디미르 베르나츠키는 에두아르 르 루아를 통해 이 용어를 접했을 가능성이 높으며,[12][30] 일부에서는 르 루아가 이 용어를 처음 제안했다고 주장한다.[13][31]
2. 개념
드 샤르댕은 정신권을 인간 정신의 상호 작용을 통해 발생하고 구성되는 것으로 보았다. 인류가 더욱 복잡한 사회 연결망을 형성함에 따라 정신권은 더 높은 수준의 의식을 갖게 된다고 주장했다. 드 샤르댕은 정신권이 더욱 큰 통합과 통일을 향해 성장하고 있으며, 이는 사고/의식의 정점인 오메가 포인트에서 절정에 이를 것이라고 보았다.
베르나드스키와 드 샤르댕의 정신권 개념은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보인다.구분 베르나드스키 드 샤르댕 정신권 출현 시점 핵 변환을 통한 자원 창출 시점 인간 정신 상호작용으로 발생, 복잡한 사회 연결망 형성에 따라 의식 수준이 높아짐 정신권 발전 방향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음) 더 큰 통합과 통일을 향해 진화, 오메가 포인트에서 절정
2. 1. 복잡성과 의식의 진화
드 샤르댕은 복잡성과 의식의 증가를 진화의 방향성으로 보았다. 그는 정신권이 복잡성과 의식의 성장을 통해 진화하여 지구를 둘러싼 사고의 구체를 형성한다고 보았다. 테야르는 사회 현상을 생물학적 현상의 쇠퇴가 아닌 극치로 간주했으며,[1] 법률, 교육, 종교, 연구, 산업, 기술 체계 등이 모두 정신권의 일부라고 생각했다. 그는 정신권이 인간 정신의 상호 작용을 통해 나타나고 구성되며, 인류가 지구에 살면서 조직화됨에 따라 성장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정신권이 더욱 큰 개인화, 개별화, 통합을 향해 진화하며, 기독교의 사랑 개념을 마음의 진화인 "누제네시스"(noogenesis)의 주요 원동력으로 간주했다. 진화는 그가 그리스도의 종말론적 재림과 동일시한 오메가 포인트 (사고와 의식의 정점)에서 최고조에 달하게 된다고 보았다.[2]
앙리 베르그송은 『창조적 진화』에서 진화가 "창조적"이며 자연 선택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창조적 진화가 생명을 활성화하고 마음과 몸을 근본적으로 연결하는 끊임없는 생명력에 의해 유지된다고 보았으며, 이는 르네 데카르트의 이원론에 반대하는 사상이다.
C. 로이드 모건은 "창발적 진화"를 통해 복잡성의 증대 (마음의 진화 포함)를 설명했다. 그는 생물에게서 가장 흥미로운 변화의 많은 부분이 과거의 진화와 대체로 연속성이 없다는 것을 발견하고, 진화를 이루는 과정이 복잡성이 급증하는 (내성 세계나 정신권의 출현 등) 일종의 단속 평형설이라고 주장했다.
최근 인간 생태계 및 생물권에 대한 인류의 영향에 대한 이해는 지속 가능성의 개념과 "공진화"와의 관련, 그리고 문화적 진화와 생물학적 진화의 조화를 가져오고 있다.[3]
3. 창시자
베르나스키는 르 루아의 강의와 논문에서 정신권 개념을 얻어 자신의 생지화학 분야에 적용했다.[14][15][32][33] 테야르 드 샤르댕과 베르나스키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정신권 개념을 발전시켰고,[16][34] 베르나스키는 에두아르트 쥐스의 '생물권' 개념을 이들에게 소개해 자연과학적 기반을 제공했다.[17][35]
3. 1. 베르나츠키와 샤르댕의 관점 비교
드 샤르댕과 베르나츠키는 모두 자연과학, 철학, 사회과학, 진화론을 아우르는 포괄적인 이론 구성을 시도했다.[18][36] 두 학자는 진화의 목적론적 성격을 확신했으며, 인간 활동이 지질학적 힘이 되어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했다.[19][37]
"정신권"이라는 용어는 1922년 피에르 테야르 드 샤르댕의 저서 ''우주 발생론''에서 처음 사용되었다.[10][11][28][29] 베르나츠키는 파리 체류 중, 공동의 지인인 에두아르 르 루아를 통해 이 용어를 접했을 가능성이 높다.[12][30] 일부 자료에서는 에두아르 르 루아가 실제로 이 용어를 처음 제안했다고 주장한다.[13][31] 베르나스키는 1927년 콜레주 드 프랑스에서 열린 르 루아의 강의에서 처음 이 개념을 접했으며, 르 루아가 테이야르 드 샤르댕과 함께 이 개념을 상호 탐구했다고 강조했다고 기록했다.[14][32]
역사가 베일스는 테이야르 드 샤르댕이 정신권 개념을 창안하기 전에 베르나스키의 생지화학 강의를 청강하는 등, 베르나스키와 테이야르 드 샤르댕이 서로에게 영향을 미쳤다고 결론 내렸다.[16][34] 어떤 설명에 따르면, 르 루아와 테이야르는 자신들의 정신권 개념에서 생물권의 개념을 인식하지 못했으며, 이 개념을 이들에게 소개하여 그들의 개념화에 자연과학적 기반을 제공한 것은 베르나스키였다고 한다.[17][35]
4. 대중 문화
최근에는 인터넷에서의 "지식 집적"의 비유로 정신권(노오스피어)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오픈 소스 활동가인 에릭 레이몬드는 '노아스피어의 개척'(''Homesteading the Noosphere'')이라는 저서를 공개했다.
소설 로그 호라이즌 작중에서는, 제목과 같은 이름의 MMORPG 확장팩 이름으로 등장한다.
참조
[1]
서적
The Biosphere and Noosphere Reader: Global Environment, Society and Change
https://archive.org/[...]
Routledge
2012
[2]
간행물
Preface
Nongovernmental Ecological V.I.Vernadsky Foundation
1997
[3]
서적
Человек и ноосфера
Молодая гвардия
1990
[4]
서적
Начала нооценологии: наука о восстановлении экосистем и создании нооценозов
М.
1998
[5]
서적
The phenomenon of Teilhard: prophet for a new age
https://books.google[...]
1996
[6]
간행물
Scientific Thought as a Planetary Phenomenon
Nongovernmental Ecological V.I.’Vernadsky Foundation
1997
[7]
서적
Der Mensch im Kosmos
C.H Beck
1959
[8]
문서
Петрашов
1998
[9]
웹사이트
Global Consciousness Project—consciousness, group consciousness, mind
http://noosphere.pri[...]
2012-07-24
[10]
인용구
Hominization
https://archive.org/[...]
1923
[11]
웹사이트
The Prominent Russian Scientist V. I. Vernadsky
http://www.tstu.ru/w[...]
[12]
간행물
The Noosphere Vision of Pierre Teilhard de Chardin and Vladimir I. Vernadsky in the Perspective of Information and of World Wide Communication
1997
[13]
문서
Моисеев
1990
[14]
서적
Несколько слов о ноосфере
https://books.google[...]
Strelbytskyy Multimedia Publishing
2018
[15]
간행물
The Noosphere Vision of Pierre Teilhard de Chardin and Vladimir I. Vernadsky in the Perspective of Information and of World Wide Communication
1997
[16]
서적
Science and Russian Culture in an Age of Revolutions - V.I. Vernadsky and His Scientific School, 1863-1945
Indiana University Press
1990
[17]
서적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Limitation of Growth: Future Prospects for World Civilization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9
[18]
간행물
The Biosphere and the Noosphere Theories of V.I. Vernadsky and P. Teilhard de Chardin: A Methodological Essay
2000
[19]
서적
Spaces and Meanings: Semantics of the Cultural Landscape
Springer
2019-03-25
[20]
서적
The Biosphere and Noosphere Reader: Global Environment, Society and Change
https://archive.org/[...]
Routledge
2012
[21]
간행물
Preface
Nongovernmental Ecological V.I.Vernadsky Foundation
1997
[22]
서적
Человек и ноосфера
Молодая гвардия
1990
[23]
서적
Начала нооценологии: наука о восстановлении экосистем и создании нооценозов
М.
1998
[24]
서적
The phenomenon of Teilhard: prophet for a new age
https://books.google[...]
1996
[25]
간행물
Scientific Thought as a Planetary Phenomenon
Nongovernmental Ecological V.I.’Vernadsky Foundation
1997
[26]
서적
Der Mensch im Kosmos
C.H Beck
1959
[27]
문서
Петрашов
1998
[28]
인용구
Hominization
https://archive.org/[...]
1923
[29]
웹사이트
The Prominent Russian Scientist V. I. Vernadsky
http://www.tstu.ru/w[...]
[30]
간행물
The Noosphere Vision of Pierre Teilhard de Chardin and Vladimir I. Vernadsky in the Perspective of Information and of World Wide Communication
1997
[31]
문서
Моисеев
1990
[32]
서적
Несколько слов о ноосфере
https://books.google[...]
Strelbytskyy Multimedia Publishing
2018
[33]
간행물
The Noosphere Vision of Pierre Teilhard de Chardin and Vladimir I. Vernadsky in the Perspective of Information and of World Wide Communication
1997
[34]
서적
Science and Russian Culture in an Age of Revolutions - V.I. Vernadsky and His Scientific School, 1863-1945
Indiana University Press
1990
[35]
서적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Limitation of Growth: Future Prospects for World Civilization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9
[36]
논문
The Biosphere and the Noosphere Theories of V.I. Vernadsky and P. Teilhard de Chardin: A Methodological Essay
2000
[37]
서적
Spaces and Meanings: Semantics of the Cultural Landscape
Springer
2019-03-25
[38]
웹사이트
Global Consciousness Project?consciousness, group consciousness, mind
http://noosphere.pri[...]
2012-07-24
[39]
서적
The Phenomenon of Man
Collins, St James Palace, London
1959
[40]
서적
Development betrayed : the end of progress and a coevolutionary revisioning of the future
Routledge
199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