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피에르 테야르 드 샤르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에르 테야르 드 샤르댕은 프랑스의 예수회 사제이자 철학자, 고생물학자로서, 진화론과 기독교 신앙을 통합하려는 독창적인 사상을 제시했다. 그는 1881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지질학, 고생물학에 관심을 가졌으며, 예수회에서 철학을 공부하고 사제 서품을 받았다. 중국에서 고생물학 연구를 수행하며 베이징 원인 발견에 참여했고, 진화론적 관점에서 우주와 인간의 발전을 설명하는 독자적인 사상을 발전시켰다. 그의 주요 저서인 『현상으로서의 인간』은 가톨릭 교회의 비판을 받았지만, 사후에는 재평가를 받았다. 테야르의 사상은 노오스피어, 오메가 포인트, 우주적 그리스도 등의 개념을 포함하며, 과학, 철학, 신학,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좌익 정치 - 자코뱅파
    자코뱅파는 프랑스 혁명 시기 자코뱅 클럽 회원 전체 또는 급진 공화파인 산악파를 의미하며, 프랑스 전역에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내부 분열과 공포 정치로 몰락했고, 급진 공화주의 사상은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정향진화설 - 에드워드 드링커 코프
    에드워드 드링커 코프는 미국의 저명한 고생물학자이자 파충류학자로, 미국의 화석 척추동물에 대한 연구와 1,000종 이상의 신종 보고, 그리고 "뼈 전쟁"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업적은 다양한 분류군 연구와 그를 기리는 학회지 *Copeia*에 남아있다.
  • 정향진화설 - 카를 에른스트 폰 베어
    카를 에른스트 폰 베어는 발생학, 지리학, 인류학 등 여러 분야에서 활동하며 포유류의 난자를 발견하고 발생학의 기초를 다졌으며, 폰 베어의 법칙을 공식화하고 러시아 지리학회 창립 멤버로 활동한 19세기 과학자이다.
  • 프랑스의 고생물학자 - 조르주 퀴비에
    조르주 퀴비에는 비교 해부학과 고생물학의 선구자로서 멸종 개념을 확립하고 화석 연구에 혁신적인 접근 방식을 제시했으며, 동물 분류 체계 발전, 층서학 발전 기여, 격변설 주장 등 현대 고생물학과 비교 해부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의 고생물학자 - 알시드 도르비니
    알시드 도르비니는 남아메리카 탐험 보고서로 다윈에게 극찬을 받고, 프랑스 화석 연구와 층서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국립 자연사 박물관 고생물학 교수로서 후학 양성에 힘쓴 프랑스의 박물학자, 지질학자, 고생물학자이다.
피에르 테야르 드 샤르댕
기본 정보
피에르 테야르 드 샤르댕
존칭신부
이름피에르 테야르 드 샤르댕
로마자 표기Pierre Teilhard de Chardin
출생일1881년 5월 1일
출생지오르신, 퓌드돔주, 프랑스
사망일1955년 4월 10일
사망지뉴욕 주, 뉴욕 시, 미국
국적프랑스
학문
모교파리 대학교
분야서양 철학
시대20세기 철학
사상기독교 철학
프랑스 이상주의
주요 관심사생물 철학
종교 철학
영향바울
요한
오리게네스
테르툴리아누스
이냐시오
요한

기번
볼테르
루소
디드로
제퍼슨
페인
프랭클린
트웨인
베르그송
니체
프로이트
마르크스
다윈
영향받은 인물뤼바크
베리
헉슬리
도브잔스키
베네딕토 16세
프란치스코
티플러
매클루언

스윔
발로
주요 아이디어오메가 포인트
노에스페라
notable_works《인간 현상》 (1955)
《신의 영역》 (1957)
소속
종교예수회

2. 생애

테야르는 1881년, 프랑스오베르뉴 지방에서 11남매 중 넷째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루이 18세 시대에 서작된 귀족 가문이다. 이 지방은 화산성 지질로, 아버지 엠마누엘 테야르가 아마추어 자연학자였던 점도 있어, 테야르의 지질학 및 고생물학에 대한 관심은 소년 시절에 길러졌다. 1899년, 예수회 수련원에 들어가 수련사로 배우지만, 수도회가 프랑스에서 추방된 것으로 저지 섬으로 이동하여 철학을 배운다. 그 후, 물리학·화학 교사로서 이집트 카이로의 예수회 고등학교에 파견되어, 이집트에서 교사로 근무하면서 발굴 조사를 개인적으로 실시했다.

1911년, 영국에서 사제로 서품되었다. 프랑스 국립 자연사 박물관(:en:Muséum national d'histoire naturelle)에서 고생물학자 마르브랭 불레의 제자가 되었다. 1922년, 파리 박물관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파리의 가톨릭 대학 교수가 되었다. 같은 예수회 신부 을 만난 테야르는 중국으로 초청받아, 지질학과 고고학을 배우고, 몽골, 오르도스 등지로 과학 연구 여행을 갔다.

1924년, 파리로 잠시 귀국한 테야르는 상사로부터 그의 사상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을 받아, 중국으로 다시 돌아간다. 1929년 10월, 테야르와 캐나다인 연구자 은 파리 박물관에 전보를 쳐서, 베이징 원인의 발견을 보고했다. 저우커우뎬에서 발견된 구석기 시대석기를 감정하여, 베이징 원인이 이 석기를 사용했다고 판단했다. 이 후, 테야르는 고비 사막, 중앙아시아, 인도, 미얀마, 자바 섬으로 연구 여행을 떠났다.

뉴욕주 하이드파크의 옛 예수회 수련원 묘지에 있는 테야르의 묘(중앙)


1939년, 일본군의 진출로 베이징에 거주하는 외국인은 연금 상태가 되었지만, 테야르는 진화에 대한 사색에 몰두하여 『현상으로서의 인간(Le Phénomène Humain)』을 집필했다.

1945년의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테야르는 고고학자로서의 명성 속에서 유럽으로 돌아왔지만, 가톨릭 교회 및 예수회는 테야르의 사상을 위험한 것으로 간주하여 그를 뉴욕으로 이주시켰다. 뉴욕에서 보내는 날들 틈틈이, 그는 아프리카로 여행을 떠나, 당시 발견된 지 얼마 되지 않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연구에도 관여했다.

1955년, 뉴욕에서 테야르는 사망했다. 뉴욕주 의 예수회 수련원 세인트 앤드류 온 허드슨(현재는 컬리너리 인스티튜트 오브 아메리카 캠퍼스) 묘지에 매장되었다. 『현상으로서의 인간』은 사후 곧 출판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피에르 테야르 드 샤르댕은 1881년 5월 1일 프랑스 오베르뉴 지방의 사르세나 성에서 태어났다.[2][3] 아버지는 자연 과학에 관심이 많은 아마추어 박물학자 엠마누엘 테야르 드 샤르댕이었고,[2][3] 어머니 베르트-아델은 철학자 볼테르의 고종 사촌이었다.[2][3]

테야르는 아버지의 영향으로 어릴 때부터 자연, 지질학, 고생물학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 1899년 엑상프로방스에 있는 예수회 수련원에 들어갔으며,[4] 1902년 캉 대학교에서 문학 학위를 받았다. 1901년 프랑스 정부의 반성직자 운동으로 인해 예수회는 영국 저지 섬으로 이동해야 했고, 테야르는 그곳에서 철학을 공부했다.[5]

1905년부터 1908년까지 테야르는 이집트 카이로의 예수회 학교에서 물리학과 화학을 가르쳤다.[6] 이집트에서 교사 생활을 하면서 개인적으로 발굴 조사를 실시하기도 했다. 그 후 영국 헤이스팅스의 ''오르 플레이스''에서 신학 훈련을 받았고,[4] 1911년 8월 24일, 30세의 나이로 사제 서품을 받았다.[4]

2. 2.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1914년 12월 징집된 테야르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제8 모로코 소총병의 들것 운반병으로 복무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프랑스에서는 사제들이 군목이 아닌 들것 운반병이나 실제 전투 병사로 징집되었다.[19] 그는 용맹함으로 무공 훈장과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포함한 여러 차례의 표창을 받았다.

전쟁 중 그는 일기장과 사촌 마르그리트 테야르-샹봉에게 보낸 편지에서 자신의 생각을 발전시켰다.[20][109] 그는 나중에 "…전쟁은 절대자와의 만남이었다."라고 썼다. 1916년 그는 자신의 첫 번째 에세이인 ''La Vie Cosmique'' (''우주적 삶/La Vie Cosmique프랑스어'')을 썼는데, 거기에서 그의 과학적, 철학적 사고가 그의 신비주의적 삶과 함께 드러났다. 군에서 휴가를 받아 1918년 5월 26일 생트푸아레리옹에서 예수회 서원을 했다. 1919년 8월 저지 섬에서 그는 ''Puissance spirituelle de la Matière''(''물질의 영적 힘/Puissance spirituelle de la Matière프랑스어'')를 썼다.

2. 3. 고생물학 연구와 중국 활동

1912년부터 1914년까지 피에르 테야르 드 샤르댕은 프랑스 국립 자연사 박물관(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France) 연구실에서 고생물학을 공부하며 중기 제3기 포유류를 연구했다.[10] 1913년에는 아서 스미스 우드워드(Arthur Smith Woodward) 및 찰스 도슨(Charles Dawson)과 함께 필트다운(Piltdown) 유적 발굴에 참여했다.[11] 그러나 이후 필트다운 인이 조작된 것으로 밝혀지면서 논란이 있었다. 스티븐 제이 굴드(Stephen Jay Gould)는 피에르 테야르 드 샤르댕(Pierre Teilhard de Chardin)이 도슨과 필트다운 위조에 공모했다고 판단했으나,[11] 대부분의 테야르 전문가와 과학자들은 그가 연루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12][13][14][15]

1923년, 테야르는 예수회 과학자이자 신부인 에밀 리센의 초청으로 중국 탐험에 참여하여 지질학 연구를 수행했다.[10] 리센은 황허 파이호 박물관을 설립하고 운영하는데 큰 공헌을 하였다.[10] 테야르는 리센과 함께 수이동거우(水洞沟) (오르도스 고원, 내몽골) 고고학 유적지를 최초로 발견하고 조사했다.[10]

1926년부터 1935년까지, 그리고 1939년부터 1945년까지 테야르는 중국에서 지질학 및 고생물학 연구를 수행하며 중국 지질도 작성에 기여했다.[10] 1929년에는 저우커우뎬 유적에서 베이징 원인 발견에 참여했으며,[16] 앙리 브뢰이와 함께 베이징 원인이 석기를 사용했다는 증거를 발견했다.[16]

2. 4. 사상 발전과 가톨릭 교회와의 갈등

테야르 드 샤르댕은 중국 체류 기간 동안 진화론과 기독교 신앙을 통합하는 독자적인 사상을 발전시켰다.[17][18] 그는 학술 과학 저널에 수십 편의 과학 논문을 발표했으며, 이는 총 11권의 책으로 출판되었다. 그는 주요 저서인 '인간 현상', '신성한 환경' 등을 집필하며 자신의 사상을 체계화했다.[44]

테야르의 사상은 진화론을 수용하고 원죄 교리를 재해석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 가톨릭 교회로부터 비판을 받았다.[44] 1925년, 예수회 총장 블로지미에시 레도호프스키는 테야르에게 원죄 교리에 대한 그의 발언을 철회하는 성명서에 서명하라는 명령을 내렸고, 테야르는 예수회를 그만두는 대신 중국으로 떠났다. 1939년 8월, 그는 베이징에 있는 예수회 상사로부터 "진화론자이자 공산주의자"라는 이유로 프랑스로 돌아가라는 말을 들었다.

1939년, 일본군의 진출로 베이징에 연금 상태가 되었지만, 이 기간 동안 '인간 현상'을 집필했다. 1947년, 로마 교황청은 그에게 철학적 주제에 대한 저술 및 강의를 금지했다. 1957년, 그의 저서는 종교 기관 도서관에 보관하는 것이 금지되었다.[44]

그러나 성무성은 테야르의 저작물 중 어떤 것도 금서 목록에 올리지 않았다. 그 직후, 앙리 드 루박을 비롯한 저명한 성직자들이 테야르의 저작에 대한 강력한 신학적 방어를 펼쳤다.[45][46][114][116] 교황 베네딕토 16세가 된 요제프 라칭거는 테야르의 그리스도론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47][115]

1981년 7월 20일, 성좌는 테야르의 저작물에 모호함과 심각한 교리적 오류가 포함되어 있다는 1962년의 경고 입장을 변경하지 않았다고 밝혔다.[48][122] 그러나 라칭거 추기경은 그의 저서 ''전례의 정신''에서 테야르의 비전을 가톨릭 미사의 시금석으로 통합했다.[49][117] 에이버리 덜레스 추기경과 크리스토프 쇤본 추기경 또한 테야르의 사상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50][51][118][119] 2009년 7월, 바티칸 대변인 페데리코 롬바르디는 "이제 [테야르]를 연구해서는 안 되는 이단적인 저자로 말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입니다."라고 말했다.[52][123] 교황 프란치스코는 그의 회칙 ''찬미받으소서''에서 테야르의 종말론적 기여를 언급한다.[53][124]

철학자 디트리히 폰 힐데브란트는 테야르의 사상을 비판하며, 테야르가 자연과 초자연의 차이를 무시하고 성결 대신 효율성을 강조하며 인간을 비인간화한다고 주장했다.[54]

2. 5. 말년과 죽음

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테야르는 유럽으로 돌아왔으나, 가톨릭 교회와 예수회는 그의 사상을 위험하게 여겨 그를 뉴욕으로 이주시켰다.[25][26][27] 뉴욕에서 거주하며 연구 활동을 계속했고, 아프리카로 건너가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연구에 참여하기도 했다.

1955년 3월 15일, 외교관 사촌 장 드 라가르드의 집에서 테야르는 친구들에게 부활절에 죽고 싶다고 말했다.[27] 1955년 4월 10일 부활절 저녁, 1949년부터 개인 비서였던 로다 데 테라의 아파트에서 열띤 토론을 하던 중 테야르는 심장마비를 겪고 사망했다.[27] 그는 예수회 수련원 세인트 앤드류 온 허드슨에 있는 뉴욕 예수회 관구의 묘지, 뉴욕주 하이드 파크에 묻혔다.

3. 주요 사상

피에르 테야르 드 샤르댕은 『인간 현상』과 『신성한 환경』이라는 두 권의 포괄적인 저서를 썼다.[28] 『인간 현상』은 코스모스의 전개와 물질의 진화가 인류에 이르고, 궁극적으로는 그리스도와의 재회에 이르는 광범위한 설명을 제시했다. 테야르는 창세기의 문자적 해석을 버리고 비유적이고 신학적인 해석을 선호했다. 물질적 코스모스의 전개는 원시 핵종에서 생명, 인간, 노오스피어의 발달, 그리고 마지막으로 미래의 오메가 포인트에 대한 그의 비전까지 묘사되는데, 이는 모든 창조물을 그쪽으로 "끌어당기는" 것이다. 그는 정향진화의 선도적인 지지자였는데, 이는 진화가 방향성 있고 목표 지향적인 방식으로 일어난다는 생각이다. 테야르는 다윈의 관점에서 생물학에 대해 논했고, 진화의 종합 모델을 지지했지만, 주로 교육이라는 수단을 통해 라마르크주의적 관점에서 문화의 발달을 주장했다.[29]

테야르는 다른 종교 사상가들이 진화론적 사고가 전통적인 기독교 신앙의 구조에 도전한다고 느꼈던 시기에, 1920년대에 그의 영성의 핵심으로서 진화 과정을 완전히 헌신했다. 그는 증거가 보여주는 바라고 생각하는 것에 헌신했다.[30]

테야르는 우주생기론적 진화 과정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함으로써 우주를 이해했다.[31][32] 그는 복잡성을 물질의 진화가 지구권, 생물권, 의식(인간)으로, 그리고 최고 의식(오메가 포인트)으로 가는 축으로 해석했다.[33]

테야르의 고생물학과 가톨릭교 모두에 대한 독특한 관계는 그가 진화 연구를 고려한 매우 진보적인 우주적 신학을 발전시킬 수 있게 했다. 테야르는 교회를 현대 세계로 이끄는 것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진화를 기독교, 특히 창조 신학에 대한 존재론적 의미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접근했다. 테야르에게 진화는 "구원의 역사가 위치하는 자연적 풍경"이었다.[34]

테야르의 우주적 신학은 주로 바울의 성경 특히 골로새서 1:15-17(특히 1:17b절)과 고린도전서 15:28에 대한 그의 해석에 기초한다. 그는 이 두 개의 바울의 구절에서 그리스도 중심성을 끌어내어 그리스도의 절대적 우선성을 인식하는 우주적 신학을 구성했다. 그는 창조를 "그리스도의 화신과 구원을 통해 이루어진 신성과의 연합을 향한 목적론적 과정, '만물이 그 안에서 함께 묶여 있다' (골로새서 1:17)"로 이해했다.[35] 그는 더 나아가 "각각의 "참여하는 존재"가 그리스도를 통해 플레로마 안에서 하나님과 완전히 연합될 때, 하나님께서 "만물 안에서 모든 것"이 되실 것(고린도전서 15:28)"까지 창조가 완료되지 않을 것이라고 가정했다.[35]

테야르의 평생 작업은 인간의 영적 발달이 물질적 발달과 동일한 보편적 법칙에 의해 움직인다는 그의 확신에 기초했다. 그는 "…모든 것은 과거의 총체"이며 "…그 역사를 통해서만 이해할 수 없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자연'은 '됨', 자기 창조와 같다. 이것이 경험이 우리를 저항할 수 없게 이끄는 관점이다. … 우리가 아는 가장 높은 영적 현현인 인간의 영혼조차도 이 보편적 법칙 안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없다."라고 썼다.[36]

『인간 현상』은 테야르가 그의 종교적 신앙과 고생물학자로서의 학문적 관심을 조화시키려는 시도를 나타낸다.[37] 테야르의 책에서 특히 가슴 아픈 관찰 중 하나는 진화가 점점 선택적인 과정이 되고 있다는 개념을 포함한다.[37] 테야르는 고독소외의 사회적 문제를 진화의 거대한 억제자로 지적하는데, 특히 진화가 의식의 통일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그는 "다른 모든 사람과 연관되지 않고서는 어떤 진화적 미래도 누구에게도 기다리고 있지 않다"라고 말한다.[37] 테야르는 인간 조건이 필연적으로 인류의 정신적 통일로 이어진다고 주장했지만, 그는 이러한 통일이 자발적일 수밖에 없음을 강조했다; 그는 이러한 자발적 정신적 통일을 "만장일치화"라고 칭했다. 테야르는 또한 "진화는 의식으로의 상승"이며, 뇌화를 초기 단계의 예로 들면서, 따라서, 오메가 포인트[37]로의 지속적인 상승을 의미한다고 말하는데, 이는 모든 의도와 목적을 위해 하나님이다.

테야르는 또한 영적 측면과 물질적 측면 사이의 상관관계를 사용하여 그리스도를 묘사했는데, 그리스도는 신비주의적 차원뿐만 아니라 우주를 조직하는 원리, 즉 우주를 "함께 유지하는" 자가 되면서 물리적 차원을 취한다고 주장했다. 테야르에게 그리스도는 그의 신비적/교회적 몸이 지향하는 종말론적 종착점뿐만 아니라 "모든 것을 규제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작동한다"[38], "모든 창조물이 그의 안정성을 받는 자"가 된다.[39] 다시 말해, 모든 것을 함께 묶는 자로서 "그리스도는 단순히 법적인 것이 아니라 물리적인 우위에 있다. 그는 우주의 통일 중심이자 목표이다. 모든 것을 함께 묶는 기능은 그리스도가 인간이자 하나님일 뿐만 아니라 우주적인 세 번째 측면, 사실 세 번째 본성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40]

이러한 방식으로, 그리스도의 몸에 대한 바울의 묘사는 테야르에게 단순히 신비적이거나 교회적인 개념이 아니었다; 그것은 우주적이다. 이 우주적 그리스도의 몸은 "우주 전체로 뻗어 나가 그리스도 안에서 그들의 성취를 얻는 모든 것을 포함하며, ... 그리스도의 몸은 창조 안에서 만들어지고 있는 유일한 단일 존재이다."[41] 테야르는 그리스도의 이러한 우주적 축적을 "그리스도발생"이라고 묘사한다. 테야르에 따르면, 우주는 오메가에서 완전히 실현된 그리스도와 일치하는 지점인, 오메가에서 완전한 실현을 향해 진화하면서 그리스도발생에 참여한다.[35] 이 지점에서 하나님은 "만물 안에서 모든 것"이 될 것이다(고린도전서 15:28c).

=== 기독교적 진화론 ===

테야르의 '''기독교적 진화론'''은 『현상으로서의 인간』에 대표적으로 나타나 있으며, 당시 진화론을 인정하지 않았던 로마 교황청에 의해 부정당하고 위험 사상, 이단이라는 이유로 저작이 금서로 지정되었다(테야르 사후에 금서 처분은 해제되었다).

그러나 『현상으로서의 인간』은 초고본의 복사본이 제작되어 회람되었고, 많은 사람들이 읽게 되었다. 테야르는 고생물학적으로 인류의 진화 과정을 연구하여, 인류의 진화에 관한 웅대한 가설을 제시했다.

우주는 생명을 낳고, 생물 세계를 탄생시킴으로써 진화의 첫 번째 단계인 「비오스피어」을 확립했다. 비오스피어는 40억 년의 역사 속에서 더욱 복잡하고 정교한 고등 생물을 진화시켰고, 신경계의 고도화는 결과적으로 「지성」을 가진 존재인 「인간」을 낳았다.

인간은 의지와 지성을 가지게 됨으로써, 비오스피어를 넘어 생물 진화의 새로운 단계로 상승했다. 그것이 「'''누스피어'''」이며, 아직 인간은 지혜 존재로서 미숙한 단계에 있지만, 우주의 진화 흐름은 지혜 세계의 확립으로 향하고 있으며, 인간은 지혜의 궁극점인 「'''오메가점'''」으로 진화의 길을 걷고 있다.

「오메가」는 미래에 달성되고 출현할 그리스도 이며, 인간과 모든 생물, 우주 전체는 오메가의 실현을 통해 완성되고 구원받는다.

=== 노오스피어 (Noosphere) ===

테야르는 고생물학적으로 인류의 진화 과정을 연구하여, 인류 진화에 대한 가설을 제시했다. 그는 우주가 생명을 낳고 생물 세계를 탄생시켜 진화의 첫 단계인 비오스피어를 확립했다고 보았다. 비오스피어는 40억 년의 역사 속에서 고등 생물을 진화시켰고, 신경계의 고도화는 결과적으로 지성을 가진 인간을 낳았다.

인간은 의지와 지성을 가지게 됨으로써, 비오스피어를 넘어 생물 진화의 새로운 단계로 상승했는데, 이것이 '''누스피어'''(지혜권, Noosphère)이다. 테야르는 아직 인간은 지혜 존재로서 미숙한 단계에 있지만, 우주의 진화 흐름은 지혜 세계의 확립으로 향하고 있으며, 인간은 지혜의 궁극점인 '''오메가점'''(Ω점, Point Oméga)으로 진화의 길을 걷고 있다고 주장했다.

=== 오메가 포인트 (Omega Point) ===

테야르는 진화의 최종 목표이자 모든 의식이 수렴되는 지점을 '오메가 포인트'라고 불렀다.[90] 오메가 포인트는 우주의 모든 존재가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가 되는 초월적이고 신적인 지점이다.[90] 그는 기독교인, 마르크스주의자, 다윈주의자 등 모든 이들이 인류에 대한 공통된 믿음을 통해 궁극적으로 그리스도의 오메가 포인트를 중심으로 합류할 것이라고 보았다.[90]

테야르의 기독교적 진화론은 『현상으로서의 인간』에 잘 나타나 있다. 그는 우주가 비오스피어를 확립하고, 생물 진화를 통해 누스피어를 거쳐, 지혜의 궁극점인 오메가점으로 진화한다고 보았다. 이 오메가는 미래에 나타날 그리스도(Christ Cosmique)이며, 이를 통해 인간, 모든 생물, 우주 전체가 완성되고 구원받는다고 주장했다.[90]

=== 우주적 그리스도 (Cosmic Christ) ===

테야르는 그리스도를 단순한 역사적 인물이 아닌, 우주 진화의 중심이자 목표로 보았다.[82] 그리스도는 물질 세계와 신성한 세계를 연결하는 매개자이며, 우주 전체를 통합하고 완성하는 힘이다. 그는 그리스도의 몸이 우주 전체로 확장되며, 모든 창조물이 그리스도 안에서 완성된다고 주장했다. (그리스도발생, Christogenesis) 테야르에게 있어, 신은 인간을 창조했을 뿐 아니라, 신의 형상대로 완전하고 완벽하게 창조했으며, 그 후 인간이 타락했다는 점, 즉 상승하는 진화와는 정반대되는 점을 증언하는 창세기를 부정한다.[80]

테야르의 '''기독교적 진화론'''에 따르면, 우주는 생명을 낳고, 생물 세계를 탄생시킴으로써 진화의 첫 번째 단계인 비오스피어를 확립했다. 비오스피어는 더욱 복잡하고 정교한 고등 생물을 진화시켰고, 신경계의 고도화는 결과적으로 「지성」을 가진 존재인 「인간」을 낳았다. 인간은 의지와 지성을 가지게 됨으로써, 비오스피어를 넘어 생물 진화의 새로운 단계로 상승했는데, 그것이 「'''누스피어'''(지혜권, Noosphère)」이다.

테야르는 우주의 진화 흐름은 지혜 세계의 확립으로 향하고 있으며, 인간은 지혜의 궁극점인 「'''오메가점'''(Ω점, Point Oméga)」으로 진화의 길을 걷고 있다고 보았다. 「오메가」는 미래에 달성되고 출현할 그리스도(Christ Cosmique)이며, 인간과 모든 생물, 우주 전체는 오메가의 실현을 통해 완성되고 구원받는다. 이러한 테야르의 사상은 진화론을 인정하지 않았던 로마 교황청에 의해 이단으로 간주되어 금서로 지정되기도 했다.[85]

3. 1. 기독교적 진화론

테야르 드 샤르댕은 진화를 단순한 생물학적 현상을 넘어선 우주 전체의 발전 과정으로 보았다.[73][74] 그는 우주가 물질에서 정신으로, 그리고 초인류로 나아간다고 보았으며,[75] 최초의 원자 폭탄 폭발을 그 이정표 중 하나로 보았다.[76]

테야르는 인간의 정신(영혼)이 물질에서 기원하며, 물질은 점점 더 복잡해져 생명, 의식, 그리고 자각 의식을 만들어낸다고 주장하며, 무형의 것이 유형의 것에서 나타날 수 있다고 본다.[78] 동시에 그는 우주 생성 초기부터 의식의 싹이 존재한다는 생각을 지지했다.[79]

테야르는 "신은 진화적으로 창조한다"라고 긍정하며, 창세기를 부정한다고 알려져 있다.[80] 그에게 형이상학적, 신학적으로 "위에" 있는 것은, 아직 오지 않은 "앞에" 있는 것이 된다.[82] 심지어 완전하거나 영원하지 않은 신조차도 세계와 공생하며 진화하며,[83] 범신론자로서[84] 신과 동등하게 숭배한다.[85] 그리스도에 관해서는, 그는 진보의 바퀴를 활성화하고 진화적 상승을 완성하기 위해 존재할 뿐만 아니라, 그 자신도 진화한다고 보았다.

테야르의 '''기독교적 진화론'''은 『현상으로서의 인간』에 대표적으로 나타나 있으며, 당시 진화론을 인정하지 않았던 로마 교황청에 의해 부정당하고 위험 사상, 이단이라는 이유로 저작이 금서로 지정되었다(테야르 사후에 금서 처분은 해제되었다).

그러나 『현상으로서의 인간』은 초고본의 복사본이 제작되어 회람되었고, 많은 사람들이 읽게 되었다. 테야르는 고생물학적으로 인류의 진화 과정을 연구하여, 인류의 진화에 관한 웅대한 가설을 제시했다.

우주는 생명을 낳고, 생물 세계를 탄생시킴으로써 진화의 첫 번째 단계인 「비오스피어」을 확립했다. 비오스피어는 40억 년의 역사 속에서 더욱 복잡하고 정교한 고등 생물을 진화시켰고, 신경계의 고도화는 결과적으로 「지성」을 가진 존재인 「인간」을 낳았다.

인간은 의지와 지성을 가지게 됨으로써, 비오스피어를 넘어 생물 진화의 새로운 단계로 상승했다. 그것이 「'''누스피어'''」이며, 아직 인간은 지혜 존재로서 미숙한 단계에 있지만, 우주의 진화 흐름은 지혜 세계의 확립으로 향하고 있으며, 인간은 지혜의 궁극점인 「'''오메가점'''」으로 진화의 길을 걷고 있다.

「오메가」는 미래에 달성되고 출현할 그리스도 이며, 인간과 모든 생물, 우주 전체는 오메가의 실현을 통해 완성되고 구원받는다.

3. 2. 노오스피어 (Noosphere)

테야르는 고생물학적으로 인류의 진화 과정을 연구하여, 인류 진화에 대한 가설을 제시했다. 그는 우주가 생명을 낳고 생물 세계를 탄생시켜 진화의 첫 단계인 비오스피어를 확립했다고 보았다. 비오스피어는 40억 년의 역사 속에서 고등 생물을 진화시켰고, 신경계의 고도화는 결과적으로 지성을 가진 인간을 낳았다.

인간은 의지와 지성을 가지게 됨으로써, 비오스피어를 넘어 생물 진화의 새로운 단계로 상승했는데, 이것이 '''누스피어'''(지혜권, Noosphère)이다. 테야르는 아직 인간은 지혜 존재로서 미숙한 단계에 있지만, 우주의 진화 흐름은 지혜 세계의 확립으로 향하고 있으며, 인간은 지혜의 궁극점인 '''오메가점'''(Ω점, Point Oméga)으로 진화의 길을 걷고 있다고 주장했다.

3. 3. 오메가 포인트 (Omega Point)

테야르는 진화의 최종 목표이자 모든 의식이 수렴되는 지점을 '오메가 포인트'라고 불렀다.[90] 오메가 포인트는 우주의 모든 존재가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가 되는 초월적이고 신적인 지점이다.[90] 그는 기독교인, 마르크스주의자, 다윈주의자 등 모든 이들이 인류에 대한 공통된 믿음을 통해 궁극적으로 그리스도의 오메가 포인트를 중심으로 합류할 것이라고 보았다.[90]

테야르의 기독교적 진화론은 『현상으로서의 인간』에 잘 나타나 있다. 그는 우주가 비오스피어를 확립하고, 생물 진화를 통해 누스피어를 거쳐, 지혜의 궁극점인 오메가점으로 진화한다고 보았다. 이 오메가는 미래에 나타날 그리스도(Christ Cosmique)이며, 이를 통해 인간, 모든 생물, 우주 전체가 완성되고 구원받는다고 주장했다.[90]

3. 4. 우주적 그리스도 (Cosmic Christ)

테야르는 그리스도를 단순한 역사적 인물이 아닌, 우주 진화의 중심이자 목표로 보았다.[82] 그리스도는 물질 세계와 신성한 세계를 연결하는 매개자이며, 우주 전체를 통합하고 완성하는 힘이다. 그는 그리스도의 몸이 우주 전체로 확장되며, 모든 창조물이 그리스도 안에서 완성된다고 주장했다. (그리스도발생, Christogenesis) 테야르에게 있어, 신은 인간을 창조했을 뿐 아니라, 신의 형상대로 완전하고 완벽하게 창조했으며, 그 후 인간이 타락했다는 점, 즉 상승하는 진화와는 정반대되는 점을 증언하는 창세기를 부정한다.[80]

테야르의 '''기독교적 진화론'''에 따르면, 우주는 생명을 낳고, 생물 세계를 탄생시킴으로써 진화의 첫 번째 단계인 비오스피어를 확립했다. 비오스피어는 더욱 복잡하고 정교한 고등 생물을 진화시켰고, 신경계의 고도화는 결과적으로 「지성」을 가진 존재인 「인간」을 낳았다. 인간은 의지와 지성을 가지게 됨으로써, 비오스피어를 넘어 생물 진화의 새로운 단계로 상승했는데, 그것이 「'''누스피어'''(지혜권, Noosphère)」이다.

테야르는 우주의 진화 흐름은 지혜 세계의 확립으로 향하고 있으며, 인간은 지혜의 궁극점인 「'''오메가점'''(Ω점, Point Oméga)」으로 진화의 길을 걷고 있다고 보았다. 「오메가」는 미래에 달성되고 출현할 그리스도(Christ Cosmique)이며, 인간과 모든 생물, 우주 전체는 오메가의 실현을 통해 완성되고 구원받는다. 이러한 테야르의 사상은 진화론을 인정하지 않았던 로마 교황청에 의해 이단으로 간주되어 금서로 지정되기도 했다.[85]

4. 비판과 논란

테야르는 고생물학과 생물 진화에 관한 학식과 통찰력을 바탕으로 웅대한 과학적 진화 가설을 제시했다. 그러나 테야르의 진화론은 실증 과학의 입장에서 비판을 받았다.

테야르의 주장은 진화에 관한 과학적 사실에 기초한 기술을 하면서도, 과학으로는 실증되지 않으며, 확인도 불가능한 상상 영역에서 억측적인 명제를 도입하고, 논리적 오류 위에 그 진화론을 구축하고 있다고 하는 것이다.

실증 과학에서는 테야르의 오류는 명확하다. 그러나 철학적 비전으로서는 오메가, 즉 그리스도, 전지전능한 신이 진화의 목적이며, 진화의 극치에 이르러 신이 태어난다는 사상은 20세기에 독자적인 사상이었다.

== 과학적 비판 ==

대니얼 데닛은 "과학자들 사이에서 테야르가 정통성에 대한 진지한 대안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점에 대해 만장일치에 가까울 정도로 명확해졌습니다. 특히 그의 아이디어는 혼란스러웠고, 나머지는 정통성을 그저 과장되게 재묘사한 것에 불과합니다."라고 주장했다.[58] 스티븐 제이 굴드는 테야르가 필트다운인 사기극에 연루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그가 케네스 오클리와의 서신에서 여러 번의 결정적인 실수들을 저질렀고, 필트다운에 대해 "의심스러운 침묵"을 보였다고 주장했다.[60] 스티븐 로즈는 "테야르는 일부 사람들에게는 천재적인 신비주의자로 존경받지만, 대부분의 생물학자들에게는 그저 사기꾼에 불과하다는 평가를 받는다"라고 썼다고 굴드는 주장한다.[61]

그러나 1981년 9월, 《뉴 사이언티스트》 기사에서 피터 코스텔로는 테야르가 침묵을 지켰다는 주장이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그는 "테야르에 대한 다른 많은 주장도 틀렸다. … 사기극이 드러난 후, 그는 성명을 거부하지 않았고, 1953년 11월 26일에 언론에 성명을 발표했으며, 이 성명은 다음 날 뉴욕과 런던에서 발표되었다."라고 설명했다.[14] 또한, 테야르는 오클리의 요청에 따라 사기극에 관한 여러 통신문을 작성했다. 오클리는 사기극을 밝혀낸 3명의 과학자 중 한 명이다.

S.J. 와이너는 테야르와 필트다운에 대해 광범위하게 대화했으며, "그(테야르)는 내가 그에게 제시한 모든 문제들을 아주 솔직하고 공개적으로 논의했다"고 말했다.[15] 와이너는 찰스 도슨이 유일한 범인이라는 결론을 내렸으며,[62] 오클리는 테야르가 사기극에 연루되지 않았다는 믿음에 대해 이견이 없다고 밝혔다. 오클리는 1981년 11월 뉴 사이언티스트에 게재된 서신에서 "테야르 드 샤르댕 신부가 찰스 도슨에게 북아프리카에서 보낸 시간을 기념하기 위해 화석 코끼리 어금니 조각을 기념품으로 주었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증거는 나에게 알려진 바 없다."라고 말했다.[63]

《아메리카》 잡지에서 굴드를 반박한 메리 루카스는 테야르에 대한 굴드의 주장이 "명백히 터무니없고" 쉽게 반증 가능하며 약한 "황당한 공상"이라고 말했다. 루카스는 굴드가 사적인 이유로 이 주장을 제기했다고 말했다.[64] 2년 후, 루카스는 영국 학술지 안티쿼티에 굴드를 더 자세히 반박하는 기사를 게재했다.[62]

위니프레드 맥컬로흐는 굴드의 주장을 "매우 주관적"이고 "매우 특이하며", 명백한 "약점"으로 가득 차 있으며 "불가능한 것으로 입증되었다"고 말했다. 그녀는 와이너가 1981년 조지타운 대학교 강연에서 굴드의 혐의를 비판했다고 말했다.[65] 오클리가 1981년 루카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아메리카》에 실린 그녀의 기사가 "1953-1954년에 테야르가 나에게 보낸 편지에 대한 굴드의 해석을 완전히 반박한다."라고 썼다고 언급했다.[17]

1961년, 피터 메다워는 저널 ''마인드''에 ''인간 현상''에 대한 비판적인 서평을 썼다. 그는 "그 내용의 대부분은 [...] 터무니없는 내용이며, 다양한 형이상학적 개념으로 치장되어 있으며, 저자는 다른 사람을 속이기 전에 스스로를 속이는 데 큰 노력을 기울였다는 이유로 부정직함에서 용서받을 수 있다."라고 평가했다.[66] 그러나 2014년, 도널드 웨인 바니는 메다워의 서평을 평가하면서 테야르에 대한 주장이 "놀랍도록 빈약하며, 잘못된 진술과 기본적인 철학적 실수가 흠집을 내고 있다"고 결론 내렸다.[67]

존 앨런 그림은 테야르가 "인간 현상을 썼을 때... 그는 과학을 매우 광범위한 의미로 사용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그가 진정으로 찾고 있었던 것은 기존의 과학보다 훨씬 더 급진적으로 경험적인 것이었다."라고 설명했다.[68] 리처드 도킨스는 메더워의 서평을 "파괴적"이라고 칭했으며, ''인간 현상''을 "나쁜 시적 과학의 전형"이라고 불렀다.[69]

조지 게이로드 심슨은 테야르의 주장이 옳다면 "헉슬리, 테오도시우스 도브잔스키, 그리고 수백 명의 다른 사람들의 평생의 업적이 틀렸을 뿐만 아니라 무의미하다"고 생각했고, 그들이 그를 공개적으로 지지하는 것에 대해 의아해했다.[70] 그는 테야르를 친구로 여기고 그의 고생물학 연구가 광범위하고 중요하다고 생각했지만, 과학 이론가이자 철학자로서의 그의 기여에 대해 강하게 부정적인 견해를 표명했다.[71]

테야르는 고생물학과 생물 진화에 관한 학식과 통찰력을 바탕으로 웅대한 과학적 진화 가설을 제시했지만, 그의 진화론은 실증 과학의 입장에서 비판을 받았다. 테야르의 주장은 진화에 관한 과학적 사실에 기초한 기술을 하면서도, 과학으로는 실증되지 않으며, 확인도 불가능한 상상 영역에서 억측적인 명제를 도입하고, 논리적 오류 위에 그 진화론을 구축하고 있다는 것이다.

== 신학적 비판 ==

가톨릭 교회는 테야르의 사상이 전통적인 교리와 충돌한다고 판단하여 그의 저술 활동을 제한했다.[44] 특히, 원죄에 대한 그의 해석과 우주적 그리스도론은 정통 교리에서 벗어난 것으로 간주되었다.[48]

테야르는 1925년 예수회 총장 블로지미르 레도호프스키로부터 원죄 교리에 대한 논란이 있는 발언을 철회하는 성명서에 서명하라는 명령을 받았다.[44] 1962년 신앙교리성은 테야르의 저작물에 대한 경고인 ''모니툼''(경고)을 발표하여, 그의 저작물이 가톨릭 교리에 반하는 모호함과 심각한 오류를 포함하고 있다고 지적했다.[44] 그러나 성무성은 테야르의 저작물 중 어떤 것도 금서 목록에 올리지 않았다.[44]

이후 앙리 드 루박을 비롯한 저명한 성직자들은 테야르의 신학을 옹호했다.[45] 교황 베네딕토 16세가 된 요제프 라칭거는 테야르의 그리스도론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47] 카사롤리 추기경은 테야르가 신앙과 이성을 존중하고 요한 바오로 2세의 호소에 대한 반응을 예견했다고 평가했다.[121]

에이버리 덜레스 추기경은 테야르가 성찬례와 우주의 최종적인 영광 사이의 연결을 정확하게 파악했다고 언급했다.[50] 크리스토프 쇤본 추기경은 테야르의 비전이 과학과 기독교 신앙을 결합할 수 있다는 희망을 나타낸다고 평가했다.[51] 2009년 바티칸 대변인 페데리코 롬바르디는 테야르를 이단적인 저자로 말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52] 교황 프란치스코는 회칙 ''찬미받으소서''에서 테야르의 종말론적 기여를 언급했다.[53]

반면, 철학자 디트리히 폰 힐데브란트는 테야르가 자연과 초자연의 차이를 무시하고, 성결 대신 효율성을 대체하며, 인간을 비인간화한다고 비판했다.[54]

== 우생학과 인종주의 논란 ==

피에르 테야르 드 샤르댕은 무한한 인간 진보에 대한 낙관적인 사고에 과학적 인종차별, 사회 진화론, 우생학의 요소를 통합했다는 비판을 받았다.[42] 그는 1929년에 인종 사회 불평등이 생물학적 차이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주장했다. "황인종—중국인—은 백인과 같은 인간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가? ... 나는 이것이 단지 '목사의 선언'일 뿐이라고 생각한다. 대신, 그 원인은 자연적인 인종적 기반인 것 같다…"[42]

1936년의 편지에서 그는 파시즘의 정치적 특수주의적 패권 추구와 기독교/공산주의평등주의 주장을 모두 거부하며, "모든 민족 집단이 같은 가치를 갖는 것은 아니므로 지배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42] 1937년 에세이 '인간 에너지'에서는 "인류의 진보적 세력이 고정되거나 확실히 비진보적인 민족 집단에 대해 어떤 근본적인 태도를 취해야 하는가? ... 강자의 발달이 약자의 보존보다 우선해야 하는 정도는 어느 정도인가?"라고 질문하며, 일부 집단의 희생을 통해 인류 전체의 진보를 추구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다.[42] 신학자 존 P. 슬래터리는 이 발언을 "우생학을 위한 대량 학살 행위"를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한다.[4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도 테야르는 인간의 진보라는 명분으로 인종 및 개인 우생학을 계속 주장했으며, 유엔의 인종 평등 선언(1950)을 비난했다.[42] 1953년에는 인간 본성을 최적화할 수 있는 과학적 가능성을 수용하지 못한 교회의 실패에 좌절감을 표명했다.[42]

하지만, 신학자 존 F. 호트는 테야르의 철학이 인종적 배척이 아니라 분화를 통한 연합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옹호했다.[43] 스페인 내전 발발 직후인 1936년 10월, 테야르는 "다양한 종류의 파시즘이 석기 시대로 돌아가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볼 수 없는 지적인(?) 사람들에게 미치는 매력에 놀랐다"라고 말하며 파시즘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을 드러냈다.

4. 1. 과학적 비판

대니얼 데닛은 "과학자들 사이에서 테야르가 정통성에 대한 진지한 대안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점에 대해 만장일치에 가까울 정도로 명확해졌습니다. 특히 그의 아이디어는 혼란스러웠고, 나머지는 정통성을 그저 과장되게 재묘사한 것에 불과합니다."라고 주장했다.[58] 스티븐 제이 굴드는 테야르가 필트다운인 사기극에 연루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그가 케네스 오클리와의 서신에서 여러 번의 결정적인 실수들을 저질렀고, 필트다운에 대해 "의심스러운 침묵"을 보였다고 주장했다.[60] 스티븐 로즈는 "테야르는 일부 사람들에게는 천재적인 신비주의자로 존경받지만, 대부분의 생물학자들에게는 그저 사기꾼에 불과하다는 평가를 받는다"라고 썼다고 굴드는 주장한다.[61]

그러나 1981년 9월, 《뉴 사이언티스트》 기사에서 피터 코스텔로는 테야르가 침묵을 지켰다는 주장이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그는 "테야르에 대한 다른 많은 주장도 틀렸다. … 사기극이 드러난 후, 그는 성명을 거부하지 않았고, 1953년 11월 26일에 언론에 성명을 발표했으며, 이 성명은 다음 날 뉴욕과 런던에서 발표되었다."라고 설명했다.[14] 또한, 테야르는 오클리의 요청에 따라 사기극에 관한 여러 통신문을 작성했다. 오클리는 사기극을 밝혀낸 3명의 과학자 중 한 명이다.

S.J. 와이너는 테야르와 필트다운에 대해 광범위하게 대화했으며, "그(테야르)는 내가 그에게 제시한 모든 문제들을 아주 솔직하고 공개적으로 논의했다"고 말했다.[15] 와이너는 찰스 도슨이 유일한 범인이라는 결론을 내렸으며,[62] 오클리는 테야르가 사기극에 연루되지 않았다는 믿음에 대해 이견이 없다고 밝혔다. 오클리는 1981년 11월 뉴 사이언티스트에 게재된 서신에서 "테야르 드 샤르댕 신부가 찰스 도슨에게 북아프리카에서 보낸 시간을 기념하기 위해 화석 코끼리 어금니 조각을 기념품으로 주었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증거는 나에게 알려진 바 없다."라고 말했다.[63]

《아메리카》 잡지에서 굴드를 반박한 메리 루카스는 테야르에 대한 굴드의 주장이 "명백히 터무니없고" 쉽게 반증 가능하며 약한 "황당한 공상"이라고 말했다. 루카스는 굴드가 사적인 이유로 이 주장을 제기했다고 말했다.[64] 2년 후, 루카스는 영국 학술지 안티쿼티에 굴드를 더 자세히 반박하는 기사를 게재했다.[62]

위니프레드 맥컬로흐는 굴드의 주장을 "매우 주관적"이고 "매우 특이하며", 명백한 "약점"으로 가득 차 있으며 "불가능한 것으로 입증되었다"고 말했다. 그녀는 와이너가 1981년 조지타운 대학교 강연에서 굴드의 혐의를 비판했다고 말했다.[65] 오클리가 1981년 루카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아메리카》에 실린 그녀의 기사가 "1953-1954년에 테야르가 나에게 보낸 편지에 대한 굴드의 해석을 완전히 반박한다."라고 썼다고 언급했다.[17]

1961년, 피터 메다워는 저널 ''마인드''에 ''인간 현상''에 대한 비판적인 서평을 썼다. 그는 "그 내용의 대부분은 [...] 터무니없는 내용이며, 다양한 형이상학적 개념으로 치장되어 있으며, 저자는 다른 사람을 속이기 전에 스스로를 속이는 데 큰 노력을 기울였다는 이유로 부정직함에서 용서받을 수 있다."라고 평가했다.[66] 그러나 2014년, 도널드 웨인 바니는 메다워의 서평을 평가하면서 테야르에 대한 주장이 "놀랍도록 빈약하며, 잘못된 진술과 기본적인 철학적 실수가 흠집을 내고 있다"고 결론 내렸다.[67]

존 앨런 그림은 테야르가 "인간 현상을 썼을 때... 그는 과학을 매우 광범위한 의미로 사용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그가 진정으로 찾고 있었던 것은 기존의 과학보다 훨씬 더 급진적으로 경험적인 것이었다."라고 설명했다.[68] 리처드 도킨스는 메더워의 서평을 "파괴적"이라고 칭했으며, ''인간 현상''을 "나쁜 시적 과학의 전형"이라고 불렀다.[69]

조지 게이로드 심슨은 테야르의 주장이 옳다면 "헉슬리, 테오도시우스 도브잔스키, 그리고 수백 명의 다른 사람들의 평생의 업적이 틀렸을 뿐만 아니라 무의미하다"고 생각했고, 그들이 그를 공개적으로 지지하는 것에 대해 의아해했다.[70] 그는 테야르를 친구로 여기고 그의 고생물학 연구가 광범위하고 중요하다고 생각했지만, 과학 이론가이자 철학자로서의 그의 기여에 대해 강하게 부정적인 견해를 표명했다.[71]

테야르는 고생물학과 생물 진화에 관한 학식과 통찰력을 바탕으로 웅대한 과학적 진화 가설을 제시했지만, 그의 진화론은 실증 과학의 입장에서 비판을 받았다. 테야르의 주장은 진화에 관한 과학적 사실에 기초한 기술을 하면서도, 과학으로는 실증되지 않으며, 확인도 불가능한 상상 영역에서 억측적인 명제를 도입하고, 논리적 오류 위에 그 진화론을 구축하고 있다는 것이다.

4. 2. 신학적 비판

가톨릭 교회는 테야르의 사상이 전통적인 교리와 충돌한다고 판단하여 그의 저술 활동을 제한했다.[44] 특히, 원죄에 대한 그의 해석과 우주적 그리스도론은 정통 교리에서 벗어난 것으로 간주되었다.[48]

테야르는 1925년 예수회 총장 블로지미르 레도호프스키로부터 원죄 교리에 대한 논란이 있는 발언을 철회하는 성명서에 서명하라는 명령을 받았다.[44] 1962년 신앙교리성은 테야르의 저작물에 대한 경고인 ''모니툼''(경고)을 발표하여, 그의 저작물이 가톨릭 교리에 반하는 모호함과 심각한 오류를 포함하고 있다고 지적했다.[44] 그러나 성무성은 테야르의 저작물 중 어떤 것도 금서 목록에 올리지 않았다.[44]

이후 앙리 드 루박을 비롯한 저명한 성직자들은 테야르의 신학을 옹호했다.[45] 교황 베네딕토 16세가 된 요제프 라칭거는 테야르의 그리스도론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47] 카사롤리 추기경은 테야르가 신앙과 이성을 존중하고 요한 바오로 2세의 호소에 대한 반응을 예견했다고 평가했다.[121]

에이버리 덜레스 추기경은 테야르가 성찬례와 우주의 최종적인 영광 사이의 연결을 정확하게 파악했다고 언급했다.[50] 크리스토프 쇤본 추기경은 테야르의 비전이 과학과 기독교 신앙을 결합할 수 있다는 희망을 나타낸다고 평가했다.[51] 2009년 바티칸 대변인 페데리코 롬바르디는 테야르를 이단적인 저자로 말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52] 교황 프란치스코는 회칙 ''찬미받으소서''에서 테야르의 종말론적 기여를 언급했다.[53]

반면, 철학자 디트리히 폰 힐데브란트는 테야르가 자연과 초자연의 차이를 무시하고, 성결 대신 효율성을 대체하며, 인간을 비인간화한다고 비판했다.[54]

4. 3. 우생학과 인종주의 논란

피에르 테야르 드 샤르댕은 무한한 인간 진보에 대한 낙관적인 사고에 과학적 인종차별, 사회 진화론, 우생학의 요소를 통합했다는 비판을 받았다.[42] 그는 1929년에 인종 사회 불평등이 생물학적 차이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주장했다. "황인종—중국인—은 백인과 같은 인간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가? ... 나는 이것이 단지 '목사의 선언'일 뿐이라고 생각한다. 대신, 그 원인은 자연적인 인종적 기반인 것 같다…"[42]

1936년의 편지에서 그는 파시즘의 정치적 특수주의적 패권 추구와 기독교/공산주의평등주의 주장을 모두 거부하며, "모든 민족 집단이 같은 가치를 갖는 것은 아니므로 지배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42] 1937년 에세이 '인간 에너지'에서는 "인류의 진보적 세력이 고정되거나 확실히 비진보적인 민족 집단에 대해 어떤 근본적인 태도를 취해야 하는가? ... 강자의 발달이 약자의 보존보다 우선해야 하는 정도는 어느 정도인가?"라고 질문하며, 일부 집단의 희생을 통해 인류 전체의 진보를 추구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다.[42] 신학자 존 P. 슬래터리는 이 발언을 "우생학을 위한 대량 학살 행위"를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한다.[4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도 테야르는 인간의 진보라는 명분으로 인종 및 개인 우생학을 계속 주장했으며, 유엔의 인종 평등 선언(1950)을 비난했다.[42] 1953년에는 인간 본성을 최적화할 수 있는 과학적 가능성을 수용하지 못한 교회의 실패에 좌절감을 표명했다.[42]

하지만, 신학자 존 F. 호트는 테야르의 철학이 인종적 배척이 아니라 분화를 통한 연합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옹호했다.[43] 스페인 내전 발발 직후인 1936년 10월, 테야르는 "다양한 종류의 파시즘이 석기 시대로 돌아가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볼 수 없는 지적인(?) 사람들에게 미치는 매력에 놀랐다"라고 말하며 파시즘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을 드러냈다.

5. 영향과 유산

브라이언 스윔은 "테야르 드 샤르댕은 인간과 우주가 불가분이라는 것을 깨달은 최초의 과학자 중 한 명이었다. 우리가 아는 유일한 우주는 인간을 낳은 우주이다."라고 적었다.[91]

조지 게이로드 심슨은 가장 원시적이고 고대인, 진정한 영장류의 속인 에오세 속 ''테야르디나''를 명명했다.

1947년 6월 25일 테야르 드 샤르댕은 "프랑스의 지적, 과학적 영향에 대한 뛰어난 공헌"으로 프랑스 외무부로부터 표창을 받았으며, ''레지옹 도뇌르 훈장''의 장교로 승진했다. 1950년, 테야르 드 샤르댕은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92]

5. 1. 신학과 철학에 미친 영향

5. 2. 과학과 문화에 미친 영향

피에르 테야르 드 샤르댕과 그의 작품은 예술과 문화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93] 그의 사상은 정보화 시대의 도래와 함께 노오스피어 개념은 사이버 공간, 집단 지성, 지구촌과 같은 개념과 연결되어 논의되고 있다.[108][113]

모리스 웨스트의 소설 ''어부의 신''에는 장 텔레몬(Jean Telemond)이라는 테야르를 모델로 한 등장인물이 등장한다.[93] 댄 시먼스의 ''하이페리온의 칸토스''에서 테야르는 먼 미래에 성인으로 추대되며, 그의 작품은 인류학자 폴 듀레(Paul Duré)에게 영감을 주어 교황이 되었을 때 자신의 재위명을 ''테야르 1세''로 정하게 한다.[94] 필립 K. 딕의 ''어두운 스캐너''에서는 자동차 정비공이 테야르를 인용하며,[95] 줄리안 메이의 은하계 앙상블 시리즈에서는 테야르의 작품이 전체 줄거리의 철학적 기반을 제공한다.[96] 애니 딜라드의 ''For the Time Being''에서 테야르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97] 아서 C. 클라크와 스티븐 백스터의 ''다른 날들의 빛''에서는 오메가 포인트가 간략하게 설명된다.[98] 플래너리 오코너의 단편 소설집 ''모든 것은 수렴해야 한다''의 제목은 테야르의 작품을 인용한 것이며, 돈 드릴로의 소설 ''포인트 오메가''는 제목과 일부 아이디어를 테야르에게서 빌려왔다.[99] 로버트 라이트는 저서 ''논제로: 인간 운명의 논리''에서 자신의 주장을 테야르의 사상과 비교한다.

예술 분야에서 프랑스 화가 알프레드 마네시에는 ''대지의 봉헌 또는 테야르 드 샤르댕에 대한 헌사''를 그렸고, 미국 조각가 프레데릭 하트는 아크릴 조각 ''신성한 환경: 테야르 드 샤르댕에 대한 헌사''를 제작했다.[100] 데이턴 대학교 로에쉬 도서관 입구에는 헨리 세터의 오메가 포인트 조각상이 있다.[101] 스페인 화가 살바도르 달리는 ''에큐메니컬 공의회''에서 오메가 포인트의 상호 연결성을 표현했다.[102] 에드먼드 루브라의 1968년 교향곡 8번은 ''테야르 드 샤르댕에 대한 헌사''라는 제목을 가지고 있으며, 저스틴 그라운즈가 작곡한 오라토리오 ''껴안는 우주''는 테야르의 삶과 사상을 바탕으로 한다.[103]

맨체스터 대학교, 곤자가 대학교, 시애틀 대학교에는 테야르의 이름을 딴 건물과 기숙사가 있다. 테야르의 삶을 기리는 연극 ''드 샤르댕 프로젝트''가 2014년 토론토에서 공연되었고,[104] 다큐멘터리 영화 ''테야르 드 샤르댕의 진화''가 2015년에 개봉될 예정이었다.[104]

미국의 물리학자 프랭크 J. 티플러는 ''불멸의 물리학''과 ''기독교의 물리학''에서 테야르의 오메가 포인트 개념을 발전시켰다.[105] 테야르는 뉴에이지 운동에 깊은 영향을 미쳤으며, "전 세계적이고 우주적인 맥락에서 진화를 영적인 것으로 만든 가장 책임 있는 사람"으로 묘사된다.[113]

5. 3. 가톨릭 교회와의 관계 회복

가톨릭 교회는 테야르 사후 그의 사상에 대한 재평가를 진행하여, 일부 긍정적인 입장 변화를 보였다. 테야르의 저작물은 금서 목록에 오르지 않았지만, 1962년 신앙교리성은 그의 저작물에 대한 경고인 ''모니툼''을 발표하여, 가톨릭 교리에 어긋나는 모호함과 심각한 오류가 있다고 지적했다.[44] 그러나 이후 저명한 성직자들은 테야르의 저작을 신학적으로 옹호했다. 앙리 드 뤼박은 테야르의 정통성을 옹호하며 비판자들에게 반박했고,[116] 교황 베네딕토 16세가 되는 요제프 라칭거는 테야르의 기독론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115]

1981년, 성좌는 1962년의 경고 입장을 변경하지 않았음을 확인했지만,[122] 라칭거 추기경은 테야르의 비전을 가톨릭 미사의 시금석으로 통합했다.[117] 에이버리 덜레스 추기경은 성찬례와 우주의 최종적인 영광 사이의 연결을 언급하며 테야르를 긍정적으로 평가했고,[118] 크리스토프 쇤본 추기경은 테야르의 비전이 과학과 기독교 신앙을 결합할 수 있다는 희망을 나타낸다고 언급했다.[119]

2009년, 바티칸 대변인 페데리코 롬바르디는 테야르를 더 이상 이단적인 작가로 볼 수 없다고 말했다.[123] 교황 프란치스코는 회칙 ''찬미받으소서''에서 테야르의 종말론적 기여를 언급했다.[124]

참조

[1] 웹사이트 The life of Pierre Teilhard de Chardin, S.J., the smiling scientist https://www.americam[...] 2005-03-28
[2] 간행물 Emmanuel Teilhard de Chardin (1844-1932) 1932
[3] 서적 The Jesuit and the Skull https://books.google[...] Penguin Publishing Group
[4] 서적 L'expérience de Dieu avec Pierre Teilhard de Chardin https://books.google[...] Les Editions Fides 2001
[5] 웹사이트 The Formative Years 1899 - 1914 http://tcreek1.jimdo[...] 2023-12-24
[6] 문서 Letters from Egypt Éditions Aubier 1905–1908
[7] 서적 The Heart of Matter Harcourt Brace Jovanovich 1979
[8] 서적 Exploring the Noosphere: Teilhard de Chardin https://www.amazon.c[...]
[9] 웹사이트 The Early Years 1881 - 1899 http://tcreek1.jimdo[...] 2023-12-24
[10] 웹사이트 Religious Scientists: Fr. Pierre Teilhard de Chardin, S.J. (1881-1955); Jesuit paleontologist https://www.vaticano[...] 2023-12-24
[11] Google books Hen's Teeth and Horse's Toes: Further Reflections in Natural History https://books.google[...]
[12] 웹사이트 Teilhard and the Pildown "Hoax" http://www.clarku.ed[...] 2017-12-14
[13] 뉴스 How to Solve Human Evolution's Greatest Hoax http://www.smithsoni[...] 2017-12-14
[14] 웹사이트 The Piltdown Puzzle, article in New Scientist https://www2.clarku.[...] 2023-12-19
[15] 웹사이트 Teilhard and Piltdown https://www2.clarku.[...] 2023-12-19
[16] 웹사이트 The Phenomenon of Pierre Teilhard de Chardin https://huumanists.o[...] 2023-12-24
[17] 웹사이트 Some Remarks on Teilhard and the Piltdown Hoax https://www2.clarku.[...] 2023-12-19
[18] Citation Teilhard de Chardin: His Importance in the 21st Century https://www.youtube.[...] 2023-12-19
[19] 웹사이트 Clerics in the trenches: French priests in WWI https://archokc.org/[...] 2024-12-01
[20] 문서 Genèse d'une pensée
[21] 간행물 Brève histoire de la Société géologique de France vue à travers ses présidents successifs https://www.annales.[...] 2012
[22] 서적 The Jesuit and the Skull: Teilhard de Chardin, Evolution, and the Search for Peking Man https://archive.org/[...] Riverhead Trade 2008-11-04
[23] 웹사이트 How Gigantopithecus was discovered http://www.uiowa.edu[...] The University of Iowa Museum of Natural History 2016-09-16
[24] 웹사이트 Letters from a Traveller http://archive.org/d[...] 2022-09-26
[25] 문서 AAS, 6 August 1962
[26] 문서 The text of this decree was published in daily L’Aurore of Paris, dated 2 October 1963, and was reproduced in Nouvelles De Chrétienté, 10 October 1963, p. 35.
[27] 서적 The design of Teilhard de Chardin: an essay in theological reflection https://archive.org/[...] Newman Press 1967
[28] 웹사이트 The Divine Milieu: Work by Teilhard de Chardin http://www.britannic[...] 2015-10-28
[29] Youtube "Teilhard de Chardin, Orthogenesis, and the Mechanism of Evolutionary Change" https://www.youtube.[...]
[30] 문서 Teilhard de Chardin in the Age of Ecology 1982
[31] 서적 Vitalism and the Scientific Image in Post-Enlightenment Life Science, 1800-2010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06-15
[32] 간행물 "(Review of) Howard, Damian.Being Human in Islam: The Impact of the Evolutionary Worldview" http://teilharddecha[...] 2017-01-24
[33] 웹사이트 Facebook https://www.facebook[...] 2021-05-09
[34] 간행물 Teilhard de Chardin's Engagement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Theology in Light of Discussions about Environmental Ethics 2005
[35] 서적 The Cosmic Christ in Origen and Teilhard de Chardin: A Comparative Study Oxford University Press 1982
[36] 웹사이트 A Note on Progress https://web.archive.[...] Teilhard de Chardin
[37] 서적 The Phenomenon of Man Harper and Row 1959
[38] 서적 The Cosmic Christ in Origen and Teilhard de Chardin 1982
[39] 서적 The Cosmic Christ in Origen and Teilhard de Chardin: A Comparative Study Oxford University Press 1982
[40] 서적 The Cosmic Christ in Origen and Teilhard de Chardin 1982
[41] 서적 The Cosmic Christ in Origen and Teilhard de Chardin 1982
[42] 간행물 Pierre Teilhard de Chardin's Legacy of Eugenics and Racism Can't Be Ignored https://religiondisp[...] Religion Dispatches 2018-05-21
[43] 간행물 Trashing Teilhard https://www.commonwe[...] Commonweal 2022-09-26
[44] 뉴스 Will Pope Francis remove the Vatican's 'warning' from Teilhard de Chardin's writings? https://www.americam[...] 2017-11-21
[45] 서적 Teologia Teilharda de Chardin. Studium nad komentarzami Henri de Lubaca UKSW 2009
[46] 서적 The Religion of Teilhard de Chardin Image Books 1968
[47] 서적 Introduction To Christianity Ignatius Press 2010-06-04
[48] 웹사이트 Teilhard de Chardin https://www.ewtn.com[...] L'osservatore romano 2019-12-31
[49] 서적 The Spirit of the Liturgy Ignatius Press 2009-06-11
[50] 문서 A Eucharistic Church: The Vision of John Paul II
[51] 서적 Creation, Evolution, and a Rational Faith Ignatian Press 2007
[52] 뉴스 Pope cites Teilhardian vision of the cosmos as a 'living host' http://ncronline.org[...] 2015-06-19
[53] 간행물 ENCYCLICAL LETTER LAUDATO SI' OF THE HOLY FATHER FRANCIS ON CARE FOR OUR COMMON HOME https://www.vatican.[...] 2015-06-20
[54] 서적 Trojan Horse in the City of God https://archive.org/[...] Sophia Inst Pr
[55] 문서 Preface
[56] 웹사이트 Acclaim for Teilhard and his Works http://tcreek1.jimdo[...] 2023-12-24
[57] 간행물 Nothing in Biology Makes Sense Except in the Light of Evolution 1973-03
[58] 서적 Darwin's Dangerous Idea: Evolution and the Meaning of Life https://books.google[...] Simon & Schuster 1995
[59] 서적 This View of Life: Completing the Darwinian Revolution https://books.google[...]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2019-02-26
[60] 서적 Hen's Teeth and Horse's Toes: Further Reflections in Natural History https://openlibrary.[...] W. W. Norton & Company 1994
[61] 서적 The Richness of Life: The Essential Stephen Jay Gould https://books.google[...] W.W. Norton
[62] 웹사이트 The Haunting, article in the journal Antiquity http://www2.clarku.e[...] 2023-12-19
[63] 웹사이트 Piltdown Man, Letter to New Scientist https://www2.clarku.[...] 2023-12-19
[64] 웹사이트 Teilhard and the Pildown "Hoax", article in the magazine America https://www2.clarku.[...] 2023-12-19
[65] 웹사이트 A Readers Guide to S. J. Gould's Piltdown Argument http://www2.clarku.e[...] 2023-12-19
[66] 간행물 Critical Notice http://bactra.org/Me[...] Oxford University Press
[67] 문서 Teilhard, Medawar, and the New Atheism
[68] Youtube Teilhard de Chardin: His Importance in the 21st Century https://www.youtube.[...] 2023-12-19
[69] 서적 Unweaving the Rainbow: Science, Delusion and the Appetite for Wonder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Harcourt 2000-04-05
[70] 서적 Teilhard de Chardin: in Quest of the Perfection of Man: An International Symposium https://books.google[...] Fairleigh Dickinson Univ Press 1973-01
[71] 서적 George Gaylord Simpson: Paleontologist and Evolutionist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3-08-13
[72] 서적 Teilhardism and the New Religion: A Thorough Analysis of the Teachings of Pierre Teilhard de Chardin Tan Books & Pub, Gastonia/NC, USA
[73] 서적 The Phenomenon of Man Harper & Row, New York
[74] 문서
[75] 문서
[76] 서적 The Phenomenon of Man Harper & Row, New York
[77] 서적 The Future of Mankind Harper & Row, New York
[78] 문서
[79] 서적 The Phenomenon of Man Harper & Row, New York
[80] 문서
[81] 문서
[82] 문서
[83] 문서
[84] 문서
[85] 문서
[86] 서적 Letters to Léontine Zanta Harper & Row, New York
[87] 서적 The Heart of Matter Harcourt Brace Jovanovich, New York
[88] 문서
[89] 서적 Science and Christ Collins, London
[90] 문서
[91] 문서 Introduction Sussex Academic Press, Brighton and Portland, Oregon
[92] 웹사이트 Back to France, 1946 - 1951 http://tcreek1.jimdo[...] 2023-12-24
[93] 간행물 Suffering, sinful Catholics Antioch Review 1978-03-01
[94] 서적 The Fall of Hyperion https://archive.org/[...] Doubleday 1990-02-01
[95] 서적 A Scanner Darkly https://archive.org/[...] Vintage
[96] 서적 Jack the Bodiless Random House Value Publishing 1994-04-11
[97] 서적 For the Time Being Vintage 2000-02-08
[98] 서적 The Light of Other Days Tom Doherty Associates, LLC
[99] 서적 Point Omega Scribner
[100] 웹사이트 The Divine Milieu by Frederick Hart http://www.jeansteph[...] www.jeanstephengalleries.com 2009-04-19
[101] 웹사이트 UDQuickly Past Scribblings http://campus.udayto[...] campus.udayton.edu 2009-04-19
[102] 웹사이트 National Gallery of Victoria Educational Resource http://www.ngv.vic.g[...]
[103] 웹사이트 When life finds its way https://www.westcork[...] 2020-11-16
[104] 간행물 Challenging the Rehabilitation of Pierre Teilhard de Chardin http://www.crisismag[...] Sophia Institute Press 2015-06-19
[105] 간행물 More Dangerous Than Nonsense http://genesis1.asu.[...] 2007-05-12
[106] 웹사이트 white gardenia - interview w/ frank tipler (discussion on richard dawkins stephen hawking more.. https://www.youtube.[...] 2016-11-13
[107] 웹사이트 Q&A with Frank Tipler http://turingchurch.[...]
[108] 서적 Evolution and Guilt Orbis Books 1972
[109] 서적 The Making of a Mind: Letters from a Soldier-Priest 1914–1919 Collins 1965
[110] 서적 Lettres de voyage 1923-1939, de Pierre Teilhard de Chardin Bernard Grasset 1956
[111] 서적 Nouvelles lettres de voyage 1939-1955, de Pierre Teilhard de Chardin Bernard Grasset 1957
[112] 서적 Genèse d'une pensée, Lettres 1914-1919, de Pierre Teilhard de Chardin Bernard Grasset 1961
[113] 서적 Encyclopedia of New Age Beliefs https://books.google[...] Harvest House Publishers
[114] 문서 Wojciech Sadłoń, Teologia Teilharda de Chardin. Studium nad komentarzami Henri de Lubaca, Warszawa, UKSW 2009
[115] 문서 Ratzinger, Joseph Cardinal; Pope Benedict XVI; Benedict; J. R. Foster; Michael J. Miller (4 June 2010). Introduction To Christianity, 2nd Edition (Kindle Locations 2840-2865). Ignatius Press. Kindle Edition.
[116] 문서 Cardinal Henri Cardinal de Lubac – The Religion of Teilhard de Chardin, Image Books (1968)
[117] 문서 '– Ratzinger, Joseph Cardinal; Pope Benedict XVI (11 June 2009). The Spirit of the Liturgy (Kindle Locations 260–270). Ignatius Press. Kindle Edition.'
[118] 문서 A Eucharistic Church: The Vision of John Paul II – McGinley Lecture, University, 10 November 2004
[119] 문서 Cardinal Christoph Schoenborn, Creation, Evolution, and a Rational Faith, Ignatian Press (2007)
[120] 간행물 ENCYCLICAL LETTER LAUDATO SI' OF THE HOLY FATHER FRANCIS ON CARE FOR OUR COMMON HOME https://www.vatican.[...] 2015-06-20
[121] 웹사이트 Cardinal Agostino Casaroli praises the work of Fr. Teilhard de Chardin to Cardinal Paul Poupard, then Rector of the Institut Catholique de Paris – L'Osservatore Romano, June 10, 1981 @ TraditionInAction.org http://www.tradition[...]
[122] 웹사이트 Teilhard de Chardin https://www.ewtn.com[...] L'osservatore romano 2019-12-31
[123] 뉴스 Pope cites Teilhardian vision of the cosmos as a 'living host' http://ncronline.org[...] 2015-06-19
[124] 간행물 ENCYCLICAL LETTER LAUDATO SI' OF THE HOLY FATHER FRANCIS ON CARE FOR OUR COMMON HOME https://www.vatican.[...] 2015-06-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