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사회과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사회과학은 사회 현상을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학문 분야로, 고대부터 이론이 존재했지만 17세기 이후 자연과학의 발전과 함께 본격적으로 발전했다. 사회과학은 사회, 경제, 정치, 문화, 개인의 심리 등 다양한 현상을 다루며, 인류학, 사회학, 경제학, 정치학, 심리학, 지리학, 법학 등 다양한 분야로 구성된다. 연구 기법으로는 가설 설정 및 검증, 통계 분석, 질적 연구 등이 사용되며, 자연과학에 비해 연구비 지원이 적고 용어 정의의 모호성, 재현성 문제 등의 비판과 한계가 존재한다. 한국 사회에서도 사회과학은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되고 있으며, 응용 사회과학 분야도 발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회과학 - 지리학
    지리학은 지구와 천체의 특징, 현상, 그리고 공간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 사회과학 - 정책학
    정책학은 정책 과정, 형성, 집행, 분석, 평가 등을 연구하는 사회과학 분야로서, 다양한 과학적 방법론과 이론을 활용하여 민주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고려하며, 현대 사회 문제 해결 및 정책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한다.
  • 사회 및 사회과학 - 지리학
    지리학은 지구와 천체의 특징, 현상, 그리고 공간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 사회 및 사회과학 - 인류학
    인류학은 인간의 생물학적, 문화적, 사회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형질인류학, 문화인류학, 고고학, 언어인류학 등의 분야로 나뉘어 인간의 진화, 문화적 다양성, 사회 조직, 언어의 기원과 발전을 탐구하며,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인간과 사회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추구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사회과학
사회 과학 지도 정보
사회 과학 개요
설명사회 및 사회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분야인류학
고고학
경제학
지리학
역사학
법학
언어학
정치학
심리학
사회학
학문적 방법론
연구 방법혼합 방법 연구
질적 연구
양적 연구
접근 방식경험주의
해석주의
사회 과학 연구의 기본 원칙
원칙관찰 가능성
반복 가능성
재현 가능성
검증 가능성
사회 과학의 주요 목표
목표사회적 행동에 대한 이해
사회적 패턴과 구조 분석
사회 문제 해결
사회 변화 예측
비판적 사고 능력 향상
시민 역량 함양
역사적 맥락
발전 과정사회 과학은 19세기에 자연 과학의 성공에 영향을 받아 발전되었다.
사회 과학의 철학적 기반
철학적 기반실증주의
해석학
비판 이론
사회 과학의 미래
미래 방향데이터 과학과의 융합
계산 사회 과학의 발전
다학제적 연구의 강조
글로벌 문제 해결에 기여
사회 과학의 한계
한계인간 행동의 복잡성
연구 객관성 확보의 어려움
연구윤리 문제
가치 중립성 유지의 어려움
사회 과학의 응용 분야
응용 분야정책 결정
사회복지
교육
지역 개발
도시 계획
마케팅
언론

2. 역사

사회 현상에 대한 이론은 고대부터 존재해 왔지만, 근대 이전에는 철학, 종교, 윤리와 같은 사변적인 학문을 통해 다루어졌다. 17세기 자연주의와 경험주의의 영향으로 자연 과학이 발달하면서, 사회 현상을 과학적 방법으로 탐구하려는 시도가 나타났다.

2. 1. 근대 이전

고대 그리스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저서 《정치학》을 통해 도덕에 입각한 정치를 역설하였다.[137] 중국춘추 시대에는 수많은 학자들이 다양한 이론을 저술하였다. 제자백가라 불리는 이들 가운데에는 묵자, 한비자, 공자와 같은 사람들이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공자의 견해는 훗날 논어로 정리되어 근래에 이르기까지 중국, 한국, 일본 등지에서 통치의 기본 이념으로 자리잡았던 유교의 바탕을 이루었다.[138]

경제와 관련한 가장 오래된 문서는 고대 인도의 재상 차나키아가 저술한 아르타샤스트라로 알려져 있다.[139] 고대 그리스의 플라톤이 저술한 《국가》에 등장하는 노동 계층의 특성에 관한 토론을 경제 사상으로 다루기도 한다.[140]

마키아벨리는 정치학의 출발에 영향을 주었다.


마키아벨리는 정치를 윤리와 구분한 첫 번째 유럽인으로 꼽힌다. 그의 저서 군주론은 실제 유럽에서 일어나는 정치 상황에 대한 관찰을 바탕으로 정치 현상을 파악하려 한 점에서 근대 사회과학의 출발점으로 평가받고 있다.[141]

2. 2. 근대 이후

18세기 스미스를 중심으로 중상주의를 비판하면서 고전 경제학이 성립되었다.[142] 고전 경제학은 가치 이론, 수요 공급의 법칙과 같은 주요 경제학 개념을 정립하였다. 마르크스의 경제 이론 역시 고전 경제학의 하나로 평가하기도 한다.

콩트, 뒤르켐 등은 실증주의를 대표하는 학자이다.[143] 이들은 과학적 방법의 사용을 중시하며, 실험과 논증을 거쳐 증명된 것만을 참으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베버는 《개신교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을 비롯한 사회 구조의 변화와 발전에 대한 독창적인 이론을 발표하였다.[144] 그의 연구 방법과 주장은 사회학 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으나, 훗날 많은 비판을 받기도 하였다.[145]

막스 베버


20세기에 들어 실증주의가 편협한 단면만을 보여줄 뿐이라는 비판과 함께 구조주의에 입각한 사회과학 연구가 대두되었다. 알튀세르 등은 네오마르크스주의 진영과 깊은 관련이 있었다.[146] 안토니오 그람시의 헤게모니 개념 역시 사회과학에 큰 영향을 주었다.[147]

현대 사회학은 다양한 분야로 나뉘어 있으며, 페미니즘, 생태주의와 같은 다양한 이념의 영향을 받고 있다.

3. 분야

사회과학은 사회 현상을 다루는 학문으로, 사회 자체의 구성뿐만 아니라 경제, 정치, 문화와 같은 사회적 사건, 그리고 사회 구성원인 개인심리까지 다양한 분야를 포함한다.[111] 사회과학은 연구 결과가 발표되는 학술지와 학회, 그리고 대학의 학과나 학부를 통해 정의되고 인정된다. 사회과학의 여러 하위 분야는 종종 구분선이 모호하며, 널리 사회과학으로 인정되는 분야는 다음과 같다.[85]

학문 분야내용
인류학인간에 관한 모든 것을 연구하는 학문 (세부 학문: 고고학, 민족지학, 체질인류학, 문화인류학)
범죄학범죄와 관련된 현상을 연구 (세부 학문: 형사처벌학)
지리학인간이 사는 지표상의 지역적 성격을 밝히는 학문 (세부 학문: 인구학, 지역 연구)
역사학과거의 사건과 인물을 연구
경제학재화와 용역의 생산, 분배, 소비를 연구 (세부 학문: 거시경제학, 미시경제학)
교육학교육 현상과 관련된 모든 활동을 연구
언어학언어의 구조, 의미, 사용 등을 연구
군사학군사와 관련된 모든 현상을 연구
경영과학기업의 경영을 위한 학문 (세부 학문: 조직 연구)
정치학정치 현상을 탐구 (세부 학문: 국제 관계, 선거학, 비교 정치학)
공중보건학인간의 건강과 관련된 현상을 연구 (세부 학문: 역학)
심리학인간의 마음행동을 과학적으로 연구 (세부 학문: 인지과학, 사회심리학, 성격심리학, 심리측정학)
종교학종교 현상과 관련된 모든 활동을 연구
사회학사회 현상과 인간의 사회적 행동을 연구
법학법률을 연구 대상으로 함
정책학정책 결정과 집행 과정을 연구
경영학기업의 경영을 위한 학문



경제학, 법학, 정치학 등은 사회과학으로 분류되는 대표적인 학문들이다.[99] 사회학은 인문사회과학 또는 사회과학으로 분류되기도 하며, 사회과학의 한 분야인지 아니면 사회과학 그 자체인지에 대한 논의가 있다.[101] 어떤 맥락에서는 심리학도 사회과학에 포함된다.[102][103][98]

자연과학과 인접한 분야로는 경영공학, 사회공학, 도시공학, 정보학(사회정보학 등), 통계학, 데이터 과학, 경제물리학 등이 있다.

와세다대학 등 일부 대학에는 사회과학 여러 분야를 종합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사회과학부"가 존재하지만, 그 수는 매우 적다.

3. 1. 인류학

인류학(人類學, anthropology영어)은 '그리스어 anthropos(인간)와 logos(학문, 지식)가 합쳐진 말'로 인간에 관한 모든 것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정의할 수 있다.[111]

인간은 생물학적 속성과 문화적 특징을 가진 존재로 인류학은 양 측면을 모두 포괄하여 매우 광범위한 차원에서 인간을 연구한다. 연구 대상과 범위가 매우 광범위하며, 19세기 이후 학문으로 체계화되어 미국과 유럽에서 서로 다른 관심을 갖고 발전해 왔다. 오늘날 인류학은 형질인류학, 고고학, 문화인류학 등 전문적인 여러 하위 학문으로 나뉘어 있다. 형질인류학은 인간의 기원과 진화를 다루는 분야와 현대 인류의 다양성을 연구하는 분야로 나뉜다. 고고학은 선사시대와 같은 오래된 인류의 유적 등을 연구하여 당시의 문화 등을 규명한다. 문화인류학은 오늘날 다양하게 존재하는 여러 문화들에 대해 총체적으로 연구하는 것이다. 여전히 석기를 사용하는 문화에서부터 현대 산업사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화에 대해서 가족, 친족관계, 경제생활, 정치생활, 종교생활과 같은 여러 문화적 생활을 연구하여 해당 사회의 내적 규칙을 발견하고자 한다.[112]

청동거울에 새겨진 트로이 신화.
신화와 전설은 문화인류학의 주요 관심사 가운데 하나이다.

3. 2. 사회학

오귀스트 콩트는 초기 사회학 발전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오귀스트 콩트Isidore Auguste Marie François Xavier Comte프랑스어는 인간 사회도 자연세계처럼 자연과학적 방법과 동일하게 연구될 수 있다고 보았으며, 인간 사회를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새로운 과학의 필요성을 주장하면서 사회학을 ‘사회 질서와 진보의 법칙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명명하였다.[113]

사회학은 사회 행동을 앞세워서 동적(動的) 의미를 강조하고 구조 속에 질서의 의의를 찾을 수 있는 양면성(兩面性)을 지닌 개념이다. 보편적인 입장에서의 사회학은 사회제도 속에서의 사회의 집합과 집단, 제도와 조직 그리고 그 제도나 조직의 변화에 관한 원인과 결과를 탐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에밀 뒤르켐은 사회학의 창시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에밀 뒤르켐Émile Durkheim프랑스어은 콩트의 후계자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자신의 저서 『사회학적 방법의 규칙들(''The Rules of Sociological Method'', 1895)』에서 사회학이 좀 더 체계적·객관적인 과학이 되기 위해서는 연구 대상을 ‘사회적 사실’(social fact)로 설정하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뒤르켐은 사회학을 ‘사회적 사실들의 발생 원인과 기능을 과학적 방법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이해하였다.

사회는 단순히 개인의 총합이라는 개체주의적 접근을 비판하고, 인간과 사회를 사변적으로만 이해하는 비과학적인 태도를 거부하며, 사회의 질서와 변동에 대하여 이론적 관심을 보인 것이 사회학의 지적 전통이었다. 대한민국에 사회학이 들어온 것은 20세기 초였다.

사회학에서는 다양한 사회 연구 기법을 이용하여 경험적인 조사를 하고[114], 그 결과를 분석한다.[115] 사회학은 이러한 의미에서 사회과학의 한 분야로서 다루어진다. 사회학의 목표는 인간 사회를 연구하여 미시적인 부분에서부터 거시적인 단계에 이르기까지 사회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다.[116]

사회학은 방법론이나 탐구 주제면에서 매우 광범위한 학문이다. 전통적으로 사회학은 양적 연구 방법을 통하여 계량적인 방법으로 계급과 같은 사회 계층, 사회 이동성, 종교, 세속화, 법률, 문화, 일탈, 근대성 등을 연구했다. 근래에 들어서 사회학의 연구 분야는 의학, 군사, 처벌과 같은 각종 사회 제도인터넷과 같은 새로운 사회 관계, 과학 지식과 같은 지식 체계에까지 확장되고 있다. 연구 분야가 광범위 한 만큼 연구의 기법 역시 다양하여 언어적 방법, 문화적 방법, 이해사회학, 철학적 방법 등이 사회학 연구에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에이전트 기반 모형이나 사회 네트워크의 분석을 위해 수학적 방법과 컴퓨터 연산 기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117][118]

오귀스트 콩트(1798–1857)는 1838년 자연 과학의 원리와 기법을 사회 세계에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사회학"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40][41]

콩트는 일반적으로 "사회학의 아버지"로 여겨지지만, 이 학문은 실증주의를 실용적인 사회 연구의 기초로 발전시킨 또 다른 프랑스 사상가인 에밀 뒤르켐(1858–1917)에 의해 공식적으로 확립되었다. 뒤르켐은 1895년 보르도 대학교에 유럽 최초의 사회학과를 설립하고 그의 저서 『사회학 방법의 규칙』을 출판했다. 1896년에는 L'Année sociologique프랑스어라는 학술지를 창간했다. 뒤르켐의 중요한 연구 논문인 『자살』(1897)은 가톨릭프로테스탄트 인구의 자살률에 대한 사례 연구로, 사회학적 분석을 심리학이나 철학과 구별했다.[42]

칼 마르크스는 콩트의 실증주의를 거부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사적 유물론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 과학"을 확립하려고 노력했으며, 이 용어가 더 넓은 의미를 얻으면서 사후에 사회학의 창시자로 인정받게 되었다. 20세기 초, 막스 베버게오르크 지멜을 포함한 제1세대 독일 사회학자들은 사회학적 반실증주의를 발전시켰다. 이 분야는 특히 세 가지 사회 사상 방식의 혼합으로 광범위하게 인식될 수 있다. 즉, 뒤르켐의 실증주의와 구조 기능주의, 마르크스의 역사적 유물론과 갈등 이론, 그리고 베버의 반실증주의와 이해 분석이다.

1920년대에는 시카고 학파가 상징적 상호작용론을 발전시켰다. 한편, 1930년대에는 프랑크푸르트 학파비판 이론이라는 개념을 개척했는데, 이는 지그문트 프로이트프리드리히 니체처럼 다양한 사상가들의 생각을 바탕으로 한 마르크스 사회학의 학제 간 형태이다.

사회학은 산업화, 도시화, 세속화 및 포괄적인 합리화 과정으로 여겨지는 것과 같은 근대성의 과제에 대한 학문적 대응으로 발전했다.[43] 사회학의 관심 분야는 거리에서 익명의 개인들 사이의 짧은 접촉 분석에서부터 세계적인 사회 과정 연구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사회학자 피터 L. 버거토마스 루크만의 용어를 사용하자면, 사회 과학자들은 ''사회적 현실의 구성''에 대한 이해를 추구한다.

예를 들어, 사회 계층화는 불평등과 계급 구조를 연구하고, 인구 통계학은 인구 규모 또는 유형의 변화를 연구하며, 범죄학은 범죄 행위와 일탈 행위를 조사하고, 정치 사회학은 사회와 국가 간의 상호 작용을 연구한다.

사회학이 시작된 이후로 사회학적 인식론, 방법 및 연구 틀은 상당히 확장되고 다양해졌다.[82] 사회학자들은 다양한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정량적 및 정성적 데이터를 수집하고, 경험적 기법을 활용하며, 비판 이론을 활용한다.[41] 일반적인 현대 방법에는 사례 연구, 역사적 연구, 면접, 참여 관찰, 사회 네트워크 분석, 설문 조사, 통계 분석 및 모델 구축 등이 있다.

3. 3. 경제학

경제학(經濟學)은 재화와 용역의 생산, 분배, 소비를 연구하는 사회과학의 한 분야이다. 영어 단어 'economics'는 고대 그리스어 οἶκοςgrc ()와 νόμοςgrc ()에서 유래했으며, "가계 관리" 또는 "국가 관리"를 의미한다.[19] 경제학은 인간의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한 수단이 항상 제한되어 있다는 사실, 즉 자원의 희소성에 직면하여 선택을 하는 과정에서 자원이 어떻게 배분되고 소득이 어떻게 처리되는가를 연구한다.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 표지


애덤 스미스가 1776년에 펴낸 《국부론》은 경제학을 사회과학의 독립된 학문으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 이로 인해 애덤 스미스는 '경제학의 아버지'라고 불린다.

경제학은 연구 목적과 방법에 따라 실증경제학과 규범경제학으로 나뉜다.[121] 또한, 시장에 참여한 경제 주체의 활동을 연구하는 미시경제학[122] 국가 단위 규모의 경제 활동과 정책을 연구하는 거시경제학으로[123] 구분되기도 한다.

과테말라 치치카스테낭고 시장에서 구매자들은 좋은 가격을 위해 흥정하고, 판매자들은 최선을 다해 물건을 내놓는다.


경제학은 경제 주체들이 시장에 참여하여 최대한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행동하고, 이 때문에 일정한 규칙이 성립한다는 점을 전제로 한다. 경제학은 이러한 경제 활동의 규칙을 찾고 미래를 예측하며, 경제 문제 해결 방법을 찾고자 한다.

한국에서는 1876년 개항 이후 서구 경제학이 소개되었으며, 1907년 전후에는 근대식 교육기관 설립과 외국 유학생들의 귀국으로 경제학 교재 출판과 논설이 활발해졌다.

3. 4. 정치학

정치학정치 체제나 정치 행위와 같은 정치 현상을 탐구하는 사회과학이다. 정치학은 서로 연관되어 있는 정치적 사건과 여러 조건들을 살피고 세계의 정치 방향을 연구하여 그 안에 있는 규칙성을 발견하고 개념화하는 작업이다.[124] 행정학정부의 운영과 관리를 연구하는 정치학의 한 분야이다.



정치학의 하위 분야에는 정치경제학, 정치 이론 및 철학, 시민학 및 비교정치학, 직접 민주주의 이론, 무정치적 거버넌스, 참여적 직접 민주주의, 국가 시스템, 국가 간 정치 분석, 정치 발전, 국제 관계, 외교 정책, 국제법, 정치, 공공 행정, 행정 행위, 공법, 사법 행위 및 공공 정책이 포함된다. 정치학은 또한 국제 관계에서의 권력과 강대국초강대국 이론을 연구한다.

정치학은 방법론적으로 다양하지만, 최근 몇 년 동안 과학적 방법[29] 즉, 형식적 연역적 모델 구축과 정량적 가설 검증의 확산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 분야에 대한 접근 방식에는 합리적 선택 이론, 고전 정치 철학, 해석학, 구조주의, 행동주의, 현실주의, 다원주의 및 제도주의가 포함된다. 사회과학의 한 분야인 정치학은 추구하는 조사의 종류와 관련된 방법과 기술을 사용한다. 역사적 문서, 인터뷰 및 공식 기록과 같은 1차 출처뿐만 아니라 학술 논문과 같은 2차 출처도 이론을 구축하고 검증하는 데 사용된다. 경험적 방법에는 조사 연구, 통계 분석 또는 계량 경제학, 사례 연구, 실험 및 모델 구축이 포함된다.

3. 5. 심리학

심리학은 인간의 마음행동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125] 프로이트, 카를 융 등 정신분석학파 심리학자들이 심리학 발전에 기여했다.

지그문트 프로이드와 함께한 정신분석학파 심리학자들


심리학은 인간 행동과 심리 과정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인간과 동물의 정신 과정에 대한 질문에 답을 찾는다. 초기에는 '영혼에 대한 탐구'로 불렸으나, 19세기 후반에 들어서야 '정신과학'으로 인정받았다.[125]

심리학의 연구 대상인 '마음'은 다의적이고 다차원적이어서 시대와 학파에 따라 다양한 정의가 존재한다. 플라톤은 영육 이원론을 주장했고, 아리스토텔레스는 영혼을 육체의 형상으로 보았다. 데모크리토스에피쿠로스는 원자론적 관점을 제시했다. 근대 심리학에서는 정신을 육체와 독립적으로 연구하려는 경향이 나타났다.

심리학은 크게 세 가지 입장으로 나뉜다.

  • 정신은 육체에 의존하며, 생리학으로 환원될 수 있다고 보는 입장.
  • 정신은 육체에 기반하지만, 역으로 육체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는 입장.
  • 정신과 육체는 분리될 수 없으며, 정신이 육체를 움직인다고 보는 입장.


근대 심리학은 로크, 등의 연합심리학에서 시작되었다. 이들은 인간 정신이 경험을 통해 획득한 관념들의 연합으로 형성된다고 보았다. 분트는 내관법을 통해 정신의 요소를 파악하려 했고, 킬페는 판단, 사고 등 고등 정신 작용을 연구했다. 윗슨은 행동주의 심리학을 주창하며 객관적 관찰과 측정이 가능한 행동만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요소주의에 반대하는 학파도 있었다. 볼프는 정신을 능동적 실체로 보았고, 브렌타노는 의식의 작용을 중시했다. 제임스는 의식을 전체적 흐름으로 보았고, 맥두걸은 본능을 강조했다. 베르트하이머, 쾰러 등은 게슈탈트 심리학을 통해 전체는 부분의 총합 이상이라고 주장했다. 피아제는 발생적 인식론을 통해 정신 발달을 연구했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은 무의식을 가정하여 심리학의 연구 영역을 확장했다. 행동주의 심리학은 자극-반응(S-R) 도식을 넘어 생체(O) 요인을 고려하는 새로운 행동주의로 발전했다. 게슈탈트 심리학은 사회심리학에 영향을 주었다.

심리학은 철학, 물리학, 생물학, 생리학, 의학, 인류학 등 다양한 학문과 연관되어 있다.[126]

심리학은 연구 분야에 따라 생리심리학, 인지심리학, 발달심리학, 성격심리학, 사회심리학 등의 이론 분야와 임상심리학, 교육심리학, 산업심리학 등의 응용심리학 분야로 나뉜다.[126]

3. 6. 지리학

지리학(地理學, geography)은 인간이 사는 지표상의 지역적 성격을 밝히는 학문이다.[127] 지리학을 이해하려면 세상 사람들의 모습이 장소와 지역에 따라 다르다는 점, 그리고 이러한 차이를 땅과 연관 지어 생각해야 한다. 지리학은 고대부터 지역과 장소의 정체성을, 인간이 사는 땅을 중심으로 그 관계를 밝혀 왔다.

지리학의 영어 어원은 고대 그리스 학자 에라토스테네스가 명명했는데, ‘지구’를 뜻하는 ‘geo’와 ‘기술하다’를 뜻하는 ‘graphy’를 결합한 것이다. 한자어 지리학(地理學)은 땅(地)의 이치(理)를 밝히는 학문(學)이라는 뜻이다. 지리학은 사람이 사는 모든 장소와 지역에서 나타나는 자연적, 인문적 현상에 관심을 두고, 그 현상이 나타나는 장소나 지역과의 이치를 탐구한다. 이를 위해 지리학은 분포, 패턴, 과정, 관계 등의 개념을 통해 자연 및 인문 환경과 인간의 관련성을 연구한다.

지리학은 자연 과학과 인문사회과학의 개념을 모두 적용하는 융합 학문이다. 자연 과학 기반의 지리학은 자연지리학, 사회 과학 기반의 지리학은 인문지리학이라고 한다.

인문지리학도시, 경제, 인구, 역사, 주거, 문화 등 인문 환경을 다루는 지리학의 한 분야이다. 지형, 기후, 식생자연 환경을 다루는 자연지리학이 자연 과학으로 분류되는 것과 달리, 사회 과학의 한 분야로 다루어진다.[127]

3. 7. 법학

법학법률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학문이다. 즉, 헌법, 민법, 상법, 형법과 같은 법률의 해석을 다루는 법해석학이라고 할 수 있다.[128] 법학에서는 법의 개념을 정리하고 법률의 종류를 분류하며 법의 효력, 적용과 해석 등을 연구한다.[129]

형사 법정에서의 재판, 런던의 런던중앙형사법원.


일반적인 의미로, 법은 관습을 벗어나 강제할 수 있는 규칙(윤리 규칙과는 같지 않은)을 의미한다.[130] 법에 대한 연구는 사회 과학과 인문과학 사이의 경계를 넘나들고, 그 목적과 효과를 연구하는 연구자의 시각에 의존한다. 법은 특히 국제 관계 맥락에서 항상 강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국민들의 이해를 조정하기 위한 "권위"[131] 로서, 정의를 구현하기 위한 하나의 "해석 개념"[132] 으로서 그리고 동시에 "제재 위협으로써 지지되는 하나의 주권자의 명령"[133] 인, 하나의 "규칙 체계"[134] 로서 정의되어 왔다. 그러나 누구나 법에 대해 생각하는 것처럼, 법은 철저히 중앙 집중적인 사회 제도이다. 법 정책은 거의 모든 사회 과학과 인류애로부터 사고의 실천적인 선언을 반영하고 있다. 법은 정치학이다. 왜냐하면 정치인들이 법을 만들기 때문이다. 법은 철학이다, 왜냐하면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신조들은 그것들의 생각을 구체화하기 때문이다. 법은 역사로 이야기되는 경우가 많은데, 그 이유는 성문법과 판례법, 그리고 성문화 과정이 시간 속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법은 경제학이다. 왜냐하면 계약, 불법 행위, 재산법, 노동법, 회사법 그리고 더 많은 것들에 대한 규칙은 부의 분배에서 가장 오래 지속되는 효과를 갖기 때문이다. 명사 'law'는 후기 고대 영어의 'lagu'로부터 유래했는데, 이는 "내려 놓거나 고정된 어떤 것"을 의미하고,[135] 형용사 'legal'은 라틴어 단어 'lex'로부터 유래했다.[136]

3. 8. 응용사회과학

경영학은 기업의 경영을 위한 학문으로, 20세기 이후 자본주의 및 기술 발달에 따른 산업 구조가 복잡해지고 수많은 기업들 사이에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서 실제 회사 경영에 필요로 하는 지식의 체계화와 이의 전달을 위하여 경제학에서 실천적 이론 위주의 학문으로 독립한 학술 분야이다.[111]

문헌정보학은 전통적인 도서관학도서의 고증과 해석을 중심으로 하는 서지학, 기록물의 관리와 보존을 다루는 기록관리학, 그리고 정보학이 융합되어 탄생한 학문으로, 문헌을 수집, 조직, 축적, 제공하는 도서관의 제 현상을 인식하고 그 원칙, 이론, 기술 등을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인간의 정보 이용과 관계되는 도서관 정보 서비스의 방향을 결정하여 주는 이론을 연구하는 학문이다.[111] 문헌정보학은 문헌을 그 대상으로 하며 문헌이란 형태와 종류에 상관없이 정보 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총칭한다.

고고학은 과거 인류가 남긴 잔존물을 통해 과거 문화를 복원하고 그들의 생활상을 연구하는 학문이다.[111] 과거 인간들의 활동은 반드시 그 잔존물을 남기게 되는데 이것이 유적, 유구, 유물 등의 고고학적 자료이고, 이 물질적인 잔존물을 통해 고고학의 연구가 이루어진다.

4. 연구 기법

사회과학은 연구 대상인 사회 현상을 정의하고 변인을 분석하여 가설을 설정하고 예측을 실험으로 검증한다. 통계는 사회과학에서 가장 일반적인 연구 기법이다.[148] 사회 현상은 복잡하기 때문에, 실험 대상을 측정 가능한 개념으로 정의하는 조작적 정의가 필요하다. 사회과학은 사회 현상의 원인과 결과를 밝히려 하며, 원인이 되는 변인을 독립 변인, 결과가 되는 변인을 종속 변인이라고 한다. 독립 변인의 영향을 받아 종속 변인의 변화를 일으키는 변인을 가외 변인이라고 한다.[149]

실험 결과는 내적 타당성과 외적 타당성으로 평가된다. 변인을 엄격하게 통제하면 내적 타당성은 올라가지만, 지나치게 엄격한 통제는 실제 사회 현상과 동떨어진 결과를 낳을 수 있다.[150]

사회과학 연구자들은 일반화된 법칙을 사용하여 미래를 예측한다. 경제 전망, 도시 계획 등이 그 예시이다. 그러나, 현재 수준에서 이러한 예측은 자주 빗나가기도 한다.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에 따른 세계금융위기가 대표적인 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과학의 예측은 여전히 유용한 도구로 사용된다. 여러 경제 지표들은 금융위기 극복 과정에서 출구전략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근거로 활용된다.

사회 연구 방법은 크게 양적 설계질적 설계로 나눌 수 있다. 양적 설계는 수량화 가능한 증거를 통해 사회 현상에 접근하며, 통계적 분석에 의존한다. 질적 설계는 직접 관찰, 참가자와의 의사 소통, 텍스트 분석 등을 통해 사회 현상을 이해하며, 맥락적 정확성을 강조한다. 사회 과학자들은 다중 전략 설계의 일부로 양적 및 질적 접근 방식을 결합한다. 설문지, 현장 기반 데이터 수집, 기록 데이터베이스 정보 및 실험실 기반 데이터 수집 등이 사용되는 측정 기술이다. 수학적 모델동역학계, 통계 모델, 미분 방정식, 게임 이론적 모델 등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사회 과학자들은 종종 프로그램 평가를 수행하여 프로젝트, 정책,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효율성에 대한 질문에 답한다. 프로그램 평가에서는 참가자 당 프로그램 비용, 프로그램 개선 방법, 프로그램의 가치, 대안의 존재 여부, 의도하지 않은 결과, 프로그램 목표의 적절성 등을 고려한다.

4. 1. 가설 설정 및 검증

사회과학은 사회 현상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고, 실험, 통계 분석 등을 통해 이를 검증한다. 이 과정에서 독립 변인, 종속 변인, 가외 변인 등 변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148][149]

용어설명
조작적 정의사회 현상을 측정 가능하도록 명확하게 정의하는 것. 이렇게 정의된 개념을 변인이라고 한다.[149]
독립 변인원인이 되는 변인이다.[149]
종속 변인결과가 되는 변인이다.[149]
가외 변인독립 변인의 영향을 받아 종속 변인의 변화를 일으키는 변인이다.[149]



실험 결과는 가설에서 제시한 변인들에 의해 이루어졌는지(내적 타당성), 그리고 실제 사회 현상을 적절하게 반영하는지(외적 타당성)를 검토하여 평가한다.[150]

통계는 사회과학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실험 방법으로, 표본을 표집하여 가설과 사회 현상의 상관성과 인과성을 검증한다.[148] 반복된 실험을 통해 가설이 입증되면 법칙으로 인정받아 일반화된다. 경제학의 한계효용 법칙이 그 예시이다.

4. 2. 통계 분석

통계는 사회과학에서 가장 일반적인 연구 기법 가운데 하나이다.[148] 사회과학에서는 실험의 통제를 통하여 적절한 변인과 모집단을 선정한 후, 표본을 표집하여 연구가 제시하는 가설과 조사된 사회 현상의 상관성과 인과성을 검증한다. 반복된 실험을 통해 가설의 효력이 인정되면 법칙으로 인정되어 일반화된다.

4. 3. 질적 연구

질적 연구는 수치화된 데이터로 파악하기 어려운 사회 현상의 깊이 있는 의미를 탐구하는 방법이다. 통계 분석만으로는 알 수 없는 인간 행동의 동기, 사회적 상호작용의 맥락, 문화적 의미 등을 이해하는 데 유용하다.[82]

질적 연구는 다양한 방법을 활용한다.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82]

  • 참여 관찰: 연구자가 직접 연구 대상이 되는 사회 현장에 참여하여 구성원들의 행동과 상호작용을 관찰하고 기록한다.
  • 심층 인터뷰: 연구 대상자와 일대일로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누며 개인의 경험, 생각, 감정 등을 파악한다.
  • 문헌 분석: 기록물, 문서, 미디어 자료 등 다양한 텍스트 자료를 분석하여 사회 현상에 대한 이해를 넓힌다.
  • 사례 연구: 특정 사례를 깊이 있게 탐구하여, 보편적인 결론보다는 맥락적이고 구체적인 사실을 밝힌다.


질적 연구는 사회 현상에 대한 풍부하고 상세한 설명을 제공하며, 참여자들의 관점을 생생하게 드러낸다는 장점이 있다. 사회과학에서는 이러한 질적 설계를 통하여, 직접 관찰, 참가자와의 의사 소통 또는 텍스트 분석을 통해 사회 현상에 대한 이해를 강조한다.[82] 그러나 연구자의 주관이 개입될 여지가 있고,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한계도 존재한다.

따라서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에 있으며, 사회 현상을 다각도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방법을 함께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비판 및 한계

사회과학 연구는 심리학, 경제학, 사회학 등에서 용어 정의가 모호하고, 자연과학에 비해 연구의 재현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는다.[98] 특히 재현성 위기는 심리학과 의학에서 심각하게 여겨지지만, 기계 학습이나 인공 지능 기법으로 해결하려는 시도도 있다.[104] 또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과학 연구 결과는 일반 사회에 적용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105] 2016년 11월 미국 국립보건원(NIH)은 이러한 사회과학 분야의 현황을 개선하기 위한 전략과 지침을 발표했다.[98]

참조

[1] 백과사전 Social science: History, Disciplines, Future Development, & Facts https://www.britanni[...] 2023-04-27
[2] 서적 Introduction to Sociology – 1st Canadian Edition https://opentextbc.c[...] BCampus 2014-11-06
[3] 학술지 Mixed methods research: what it is and what it could be 2019-04
[4] 서적 Social Science Research: Principles, Methods, and Practices https://digitalcommo[...] University of South Florida 2012
[5] 서적 The Social Science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996
[6] 학술지 Three Versions of Social Science in Late Eighteenth-Century France 2023-05-30
[7] 문서 Comte의 사회 물리학
[8] 서적 Methodology of Social Sciences Routledge 2017
[9] 학술지 Max Weber's 'Verstehen' 1965
[10] 학술지 Political 'Science': Positivist Method and Philosophic Critiques 1986
[11] 서적 La scienza e l'oggetto. Autocritica del sapere strategico 2010
[12] 학술지 Ethical Challenges for the Social Sciences on the Threshold of the 21st Century 2002-01
[13] 학술지 Review of The History of Statistics: The Measurement of Uncertainty Before 1900 1987
[14] 서적 The Closing of the American Mind Simon and Schuster 2012
[15] 학술지 Anthropology, Sociology, and Other Dubious Disciplines http://eprints.lse.a[...] 2003
[16] 서적 Primitive Religion Routledge and Sons 1924
[17] 서적 Culture Counts Wadsworth 2008
[18] 서적 Culture and Truth: The remaking of social analysis Beacon Press 1993
[19] 웹사이트 economics – Britannica Online Encyclopedia http://www.britannic[...]
[20] 서적 The Economic Approach to Human Behavio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6
[21] 웹사이트 An overview of education http://www.teachersm[...]
[22] 웹사이트 About NEH http://www.neh.gov/a[...] National Endowment for the Humanities
[23] 웹사이트 Research-Doctorate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Continuity and Change http://books.nap.edu[...]
[24] 웹사이트 SSHA website http://www.ssha.org/
[25] 웹사이트 Etymonline Dictionary http://www.etymonlin[...]
[26] 웹사이트 Merriam-Webster's Dictionary http://www.m-w.com/d[...]
[27] 웹사이트 What is Linguistics? https://linguistics.[...] 2024-07-13
[28] 서적 Introduction to Political Thinkers Wadsworth 2002
[29] 서적 Rational Choice Palgrave Macmillan 2006
[30]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APA https://www.apa.org/[...] 2023-11-28
[31] 웹사이트 About APA http://www.apa.org/a[...] APA 2010-10-20
[32] 서적 Handbook of Psychology 2003
[33] 웹사이트 Psychology http://www.etymonlin[...] Online Etymology Dictionary 2017-07-18
[34] 서적 Biopsychology Prentice Hall 2010
[35] 서적 Advanced psychology: applications, issues and perspectives. Nelson Thornes 2002
[36] 웹사이트 Psychology Subfields https://www.apa.org/[...] 2024-01-17
[37] 서적 SOC 218 McGraw-Hill
[38] 서적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15: Ser - soosy Clarendon Pr 1991
[39] 서적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8: Interval - looie Clarendon Pr 1991
[40] 서적 A Dictionary of Sociology
[41] 서적 SOC 2018 McGraw-Hill
[42] 서적 Durkheim Oxford University Press
[43] 서적 The Philosophical Discourse of Modernity: Modernity's Consciousness of Time Polity Press
[44] 서적 Paradoxes of Gender Yale University Press
[45] 웹사이트 The Founding of SWS http://socwomen.org/[...] 2018-02-05
[46] 웹사이트 All About the Sociology of Gender https://www.thoughtc[...] 2024-06-14
[47] 서적 The Vietnamese Social Sciences at a Fork in the Road https://books.google[...] De Gruyter 2019
[48] 웹사이트 What is Archaeology https://www.saa.org/[...] 2024-01-18
[49] 웹사이트 Area studies Social Research, Interdisciplinary Analysis & Global Perspectivesca https://www.britanni[...] 2024-01-18
[50] 웹사이트 Behavioral science Definition, Examples, & Facts https://www.britanni[...] 2024-01-18
[51] 백과사전 Computational Social Sciences http://link.springer[...]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7
[52] 웹사이트 Demography Population Trends, Migration & Age Structure https://www.britanni[...] 2024-01-18
[53] 웹사이트 Development Studies • Centre for Samoan Studies https://centreforsam[...] 2024-01-18
[54] 웹사이트 Environmental social sciences - Latest research and news Nature https://www.nature.c[...] 2024-01-18
[55] 웹사이트 Environmental Studies Course Catalogue https://www.wesleyan[...] 2024-01-18
[56] 서적 Philosophy of Linguistics 2012
[57] 웹사이트 Information science Definition & Facts https://www.britanni[...] 2024-01-18
[58] 웹사이트 International Studies https://converge.col[...] 2024-01-18
[59] 웹사이트 Law Management https://www.canada.c[...] 2024-01-18
[60] 웹사이트 Library Science and How to Become a Librarian https://www.usnews.c[...] 2021-06-21
[61] 웹사이트 Primary Functions of Management Principles of Management https://courses.lume[...] 2024-01-18
[62] 서적 Principles of Marketing https://openstax.org[...] OpenStax 2023-01-25
[63] 웹사이트 8.1: What is Political Economy? https://socialsci.li[...] 2024-01-18
[64] 서적 Dictionary of the Social Sciences – Oxford Reference
[65] 서적 The Myth of Disenchantment: Magic, Modernity, and the Birth of the Human Scienc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7
[66] 서적 A history of sociology in Britain: science, literature, and society
[67] 서적 A new dictionary of sociology
[68] 논문 The Founder of Statistics https://www.jstor.or[...]
[69] 서적 System Identification: Parameter and State Estimation Wiley & Sons
[70] 웹사이트 The Program Manager's Guide to Evaluation http://www.acf.hhs.g[...]
[71] Presentation Slides What Is Program Evaluation: A Beginner's Guide The Global Social Change Research Project 2018-02-11
[72] 논문 Double Bind et Conversion Le Seuil
[73] 서적 Social Theory and Modern Sociology Polity Press
[74] 논문 Reflexive discourse analysis: A methodology for the practice of reflexivity 2021
[75] 논문 Reflexive discourse analysis: A methodology for the practice of reflexivity 2021
[76] 서적 Peterson's graduate programs in the humanities, arts, & social sciences, 2007 Peterson's
[77] 논문 The misallocation of climate research funding 2020-04
[78] 논문 Social sciences in Brazil in perspective: foundation, consolidation and diversification 2005-06
[79] 논문 Los Desarrollos Académicos de Las Relaciones Internacionales EnBrasil: Elementos Sociológicos, Institucionales Y Epistemológicos
[80] 서적 Western Dominance in International Relations? Routledge 2018
[81] 서적 Crimes Against Humanity Penguin
[82] 서적 Introduction to Sociology. Sixth Edition W.W. Norton and Company
[83] 웹사이트 What is Environmental Geography, Anyway? http://webhost.bridg[...] 2006-10-09
[84] 논문 Economic Imperialism
[85] 서적 The Social Science Encyclopaedia
[86] 서적 The International Cyclopedia, A Compendium of Human Knowledge Dodd, Mead and Company
[87] 서적 Social sciences Garretson, Cox & Company
[88] 웹사이트 What is geography? http://www.aag.org/C[...]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2006-10-09
[89] 서적 The Concept of Law Oxford University Press
[90] 간행물 From shared representations to consensually coordinated actions International Society for Theoretical Psychology
[91] 서적 The Providence of Jurisprudence Determined
[92] 서적 The Authority of Law Oxford University Press
[93] 서적 Law's Empire Harvard University Press
[94] 백과사전 世界大百科事典 第二版
[95] 웹사이트 社会学コース https://www.waseda.j[...] 2023-09-03
[96] 웹사이트 https://eow.alc.co.j[...]
[97] 서적 バウマン社会理論の射程 ポストモダニティと倫理
[98] 웹사이트 「社会科学」は崩壊した。米国の新たな指針は救いとなるか? https://wired.jp/201[...] 2017-02-20
[99] 웹사이트 社会科学(しゃかいかがく)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小学館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2023-09-02
[100] 웹사이트 https://www.hss.shiz[...]
[101] 웹사이트 社会科学(しゃかいかがく)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3-09-02
[102] 간행물 From shared representations to consensually coordinated actions International Society for Theoretical Psychology
[103] 논문 Another crisis in the psychology: A possible motive for the Vygotsky-boom http://www.staff.u-s[...]
[104] 논문 The Rigor and Transparency Index Quality Metric for Assessing Biological and Medical Science Methods https://linkinghub.e[...] 2020-11
[105] 논문 On the Use of College Students in Social Science Research: Insights from a Second-Order Meta-analysis https://academic.oup[...] 2001-12
[106] 서적 クーリエジャポン 講談社 2013-09-25
[107] 서적 사회과학 오디세이 을유문화사 2001
[108] 서적 사회과학 오디세이 을유문화사 2001
[109] 서적 사회과학 오디세이 을유문화사 2001
[110] 문서 이념과 구분짓는 기준이 된다.
[111] 서적 사회과학으로의 초대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7
[112] 서적 문화인류학의 이해 성신여자대학교출판부 1991
[113] 서적 A Dictionary of Soci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114] 서적 Sociological theory: Classical statements Pearson Education 2005
[115] 서적 Sociological theory: Classical statements Pearson Education 2005
[116] 서적 Introduction to Sociology W.W. Norton and Company 2007
[117] 논문 From Factors to Actors: Computational Sociology and Agent-Based Modeling 2002
[118] 논문 Computational Social Science 2009-02-06
[119] 서적 경제학의 기본원리 시그마프레스 2007
[120] 서적 경제학의 기본원리 시그마프레스 2007
[121] 서적 경제학강의 학문사 2007
[122] 서적 미시경제학 시그마프레스 2008
[123] 서적 거시경제학 박영사 2009
[124] 웹사이트 Writing in Political Science http://www.unc.edu/d[...] 2011-08-09
[125] 서적 새로 쓴 심리학 세창출판사 2009
[126] 서적 새로 쓴 심리학 세창출판사 2009
[127] 서적 월경하는 지식의 모험자들 한길사 2003
[128] 서적 살아있는 우리 헌법 이야기 삼인 2005
[129] 서적 교양법학 학문사 1992
[130] 서적 인도에 반한 죄 (Crimes Against Humanity) 펭귄출판사 2006
[131] 서적 법의 권위 (The Authority of Law) 옥스포드대학교 출판부 1979
[132] 서적 법의 제국 (Law's Empire) 하버드대학교 출판부 1986
[133] 서적 법리학의 범역 (The Providence of Jurisprudence Determined) 1831
[134] 서적 법의 개념 (The Concept of Law) 옥스퍼드대학교 출판부 1961
[135] 웹사이트 Etymonline 사전 http://www.etymonlin[...]
[136] 웹사이트 Mirriam-Webster 사전 http://www.m-w.com/d[...]
[137] 서적 세상의 모든 철학 이론과실천 2007
[138] 서적 세계사 100장면 실천문학사 1998
[139] 서적 The First Great Political Realist: Kautilya and His Arthashastra Lexington Books 2002
[140] 서적 경제학 산책 비지니스맵 2007
[141] 서적 군주론 을유문화사
[142] 서적 경제학강의 학문사
[143] 웹사이트 Auguste Comte http://plato.stanfor[...]
[144] 서적 The Protestant Ethic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Roxbury Publishing Company
[145] 서적 세상의 모든 철학 이론과실천
[146] 서적 구조주의, 사유체계와 사상 - 레비-스트로쓰, 라캉, 푸코, 알튀세르에 관한 연구 인간사랑
[147] 서적 그람시 헤게모니의 사회이론 학문과사상사
[148] 서적 사회과학 연구법과 결과분석 시그마프레스
[149] 서적 사회과학 연구법과 결과분석 시그마프레스
[150] 서적 사회과학 연구법과 결과분석 시그마프레스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