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9보병여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9보병여단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창설되어 갈리폴리 전역, 팔레스타인 전역 등에 참전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카이로 여단에서 제29독립보병여단으로 개편되었고, 마다가스카르 전투, 버마 전역 등에 참여했다. 한국 전쟁 발발 후에는 제29독립보병여단으로 재소집되어 서울 수복 작전, 설마리 전투 등에 참전했으며, 영국군, 벨기에군, 네덜란드군 등으로 구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 육군의 보병여단 - 제27보병여단
제27보병여단은 영국 육군의 여단으로,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등에 참전하여 한국 전쟁에서 부산 교두보 전투와 인천 상륙 작전에 참가하고 가평 전투와 글로스터 고지 전투에서 중공군을 저지하는 데 기여했으며, 1951년 4월 27일 제28영연방보병여단으로 개칭되었다. -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영국의 여단 - 제27보병여단
제27보병여단은 영국 육군의 여단으로,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등에 참전하여 한국 전쟁에서 부산 교두보 전투와 인천 상륙 작전에 참가하고 가평 전투와 글로스터 고지 전투에서 중공군을 저지하는 데 기여했으며, 1951년 4월 27일 제28영연방보병여단으로 개칭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영국의 여단 - 제27보병여단
제27보병여단은 영국 육군의 여단으로,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등에 참전하여 한국 전쟁에서 부산 교두보 전투와 인천 상륙 작전에 참가하고 가평 전투와 글로스터 고지 전투에서 중공군을 저지하는 데 기여했으며, 1951년 4월 27일 제28영연방보병여단으로 개칭되었다.
제29보병여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부대 정보 | |
![]() | |
활동 기간 | 1914년–1945년 |
병과 | 보병 |
규모 | 여단 |
별칭 | 얼어붙은 똥구멍 |
참전 전투 | |
제1차 세계 대전 | 갈리폴리 전역 시나이 및 팔레스타인 전역 |
제2차 세계 대전 | 마다가스카르 전투 버마 전역 |
한국 전쟁 | 1·4 후퇴 설마리 전투 |
주요 지휘관 |
2. 역사
2. 1. 제1차 세계 대전
제29보병여단은 1914년 8월 키치너 군의 첫 번째 부대인 제10(아일랜드) 사단의 일부로 창설되었다. 1915년 7월, 갈리폴리 전역을 위해 림노스 섬에서 제29여단의 소속사단이 변경되었다. 제29보병여단은 1915년 8월 6일에서 7일 사이에 ANZAC 곶에 상륙해 추누크 베어 전투에 참여했다. 1915년 9월 아일랜드 사단은 살로니카로 철수했고, 사단의 구성원들은 모노클리시아, 프로바타스, 코츠리노에서 군사활동을 이어나갔다. 1917년 9월 사단은 이집트로 철수했으며, 이후 팔레스타인 전역에 참전해 제3차 가자 전투에서 성과를 얻었다. 제10(아일랜드) 사단은 카라자코이스, 예니코이, 코스투리노 전투에서 작전에 참여했다. 사단은 전쟁이 끝날 무렵 카이로로 돌아갔다.2. 2.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카이로 여단은 1939년 9월 20일 제29보병여단으로 재명명되었다가 1939년 10월 제22여단으로 다시 명칭이 변경되었다.[6] 1940년 7월 14일, 올리버 리스 경 준장의 지휘 하에 새로운 제29독립보병여단이 영국에서 정규군 보병대대로부터 창설되었다.[6] 이 부대는 1941년 5월 육군성의 통제를 받기 전까지 제12군단, 웨스트 서식스 주 사단, 제4군단 및 남동부 사령부의 지휘를 순차적으로 받았다.
프랭크 페스팅 준장의 지휘를 받은 이 여단은 1942년 5월 5일 마다가스카르 전투에서 지휘부대 역할을 맡았다.[1] 1942년 8월 말 동아프리카에서 2주 동안 마다가스카르를 떠났고, 1942년 10월 16일 마침내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출발했다. 두 달 후, 여단은 인도로 출발하여 1943년 1월 26일에 도착했으며, 제36인도보병사단의 지휘를 받게 되어 상륙전 훈련을 받았다.[1]
1944년 2월 12일 버마에 진입한[6] 이 부대는 버마 전역의 나머지 기간 동안 제36사단 (1944년 9월 1일 영국 제36보병사단으로 재지정)에 남아 활동했다.[1] 휴 스톡웰 준장이 제36사단에 있는 동안 이 부대를 지휘했다. 제29여단은 1944년 6월 인도에 귀환한 후 1944년 8월 북부 버마로 비행하여 만달레이 남쪽으로 진격했고, 1945년 5월 인도에 귀환했다.


제29보병여단은 다음과 같은 전투에 참전했다:[2]
- 북 아라칸 (1944년 1월 1일 – 6월 12일)
- 만달레이 (1945년 2월 12/13일 – 3월 21일)
- 랑군 도로 (1945년 4월 1일 – 5월 6일)
2. 3. 한국 전쟁

1949년 재편성된 제29여단은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제29독립보병여단'''이라는 이름으로 재소집되었다. 1950년 12월 한국에 도착했을 때 이 부대는 왕립 노섬벌랜드 푸질리어 제1대대, 글로스터셔 연대와 왕립 얼스터 소총연대와 제8왕의 왕립 아일랜드 후사르, 제7왕립전차연대를 맡았다.[7] 벨기에 유엔 사령부를 비롯하여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벨기에 등 비영국인 병력도 포함하고 있었다.[7]
평양 부근에서 1.4 후퇴로 인하여 서울 부근의 송추에 제7왕립전차연대, 노섬버랜드 퓨질리어스와 함께 전개하였고, 이후 수원으로 후퇴했다.[7] 1951년 2월, 대반격으로 서울 수복 이후 여단은 1951년 4월 설마리 전투에서 중공군에게 큰 피해를 입히며 전투를 벌였다.[7] 그러나 제29여단의 글로스터셔 연대도 큰 피해를 입었다.[7]
1951년 7월 제29영국보병여단으로 재조직된 부대는 영연방 제1사단에 편입되어 1951년 11월까지 복무했다.[7]
3. 부대의 편성 및 배치
3. 1. 제1차 세계 대전 (1914-1918)
왕립 아이리시 연대 제5대대는 1914년 8월부터 1915년 6월까지, 왕립 아이리시 소총대 제6대대는 1914년 8월부터 1918년 5월까지 복무했다. 코노트 레인저스 제5대대는 1914년 8월부터 1918년 4월까지, 웰일즈공 렌스터 연대 (왕립 캐나다인) 제6대대는 1914년 8월부터 1918년 5월 2일까지 복무했다. 햄프셔 연대 제10대대는 1915년 6월부터 1916년 11월까지, 웰일즈공 렌스터 연대 (왕립 캐나다인) 제1대대는 1916년 11월부터 종전 시까지 복무했다. 제29기관총중대는 1916년 5월부터 1918년 5월까지, 제29참호박격포포대는 1916년 10월부터 1917년 10월까지 복무했다. 제54시크 (Frontier Force) 제1대대와 제101척탄대 제1대대는 1918년 4월부터 종전까지, 제151시크보병대 제2대대는 1918년 6월부터 종전 시까지 복무했다.3. 2. 제2차 세계 대전
1939년, 제29보병여단은 버프스 (이스트켄트 왕립연대) 제1대대와 스코츠 근위대 제2대대로 구성되었다.1940년부터 1945년까지 여단은 스코츠 왕립푸질러 제1대대, 이스트랭켜서 연대 제2대대, 웰치 왕립푸질러 제2대대, 그리고 1944년 4월 16일까지 사우스랭켜서 연대로 구성되었다. 1940년 9월 1일부터 1941년 1월 18일까지 제29독립여단집단 대전차중대가 여단에 합류했다. 왕립기갑군단 "B" SS Squadron은 1942년 8월 20일부터 1943년 6월 1일까지 여단 소속이었다.
왕립포병의 지원 부대로는 제204(Oban)대전차포대(1940년 7월 16일 ~ 1941년 5월 5일), 제17야전연대(1940년 7월 15일 ~ 1941년 5월 5일), 제455독립경포대(1942년 8월 20일 ~ 1943년 6월 1일)가 있었다.
기관총중대로는 제5아가일 셔터랜드 하이랜더스 "E" 중대(1940년 8월 16일 ~ 1941년 6월 11일), 아가일 셔터랜드 하이랜더스 기관총중대(1941년 6월 12일 ~ 1941년 10월 31일), 노섬벌랜드 왕립푸질러 기관총중대(1941년 1월 19일 ~ 1941년 5월 5일), 제2맨체스터 연대 "D" 중대(1943년 10월 17일 ~ 1944년 6월 16일)가 있었다.
이 외에도 왕립 공병 제236야전중대(1940년 7월 16일 ~ 1943년 1월 25일), 왕립육군근무대 제29독립여단집단 왕립육군근무중대(1940년 8월 1일 ~ 1941년 5월 5일), 왕립육군의무대 제154야전앰뷸런스(1940년 7월 16일 ~ 1943년 1월 25일), 왕립육군병기대 제29독립여단집단 Workshop(1940년 4월 27일 ~ 1941년 7월 10일) 및 제29독립여단집단 Ordnance Field Park(1940년 4월 29일 ~ 1941년 5월 5일), 왕립군사경찰 제29독립여단집단 감찰반 Provost Section(1940년 7월 18일 ~ 1943년 1월 15일)이 있었다.
1945년 5월부터 8월까지는 카메로니안 (스코티시 소총대) 제1대대, 에식스 연대 제1대대, 여왕 왕립연대 (웨스트서레이) 제2대대가 여단을 구성했다.
3. 3. 한국 전쟁
1950년 11월부터 1951년 7월까지 제29독립보병여단에는 노섬벌랜드 왕립푸질러 제1대대, 글로스터셔 연대 제1대대, 울스터 왕립 소총대 제1대대가 편성되었다. 1951년 7월부터 11월까지는 노섬벌랜드 왕립푸질러 제1대대, 글로스터셔 연대 제1대대, 울스터 왕립 소총대 제1대대가 편성되었다.1951년 11월부터 1952년 11월까지는 노퍽 왕립연대 제1대대, 레스터셔 왕립연대 제1대대, 웰치 연대 제1대대가 편성되었다. 1952년 11월부터 1953년 7월까지는 블랙 와치 제1대대, 국왕연대 (리버풀) 제1대대, 웰링턴 공작 연대 제1대대가 편성되었다.
4. 역대 지휘관
- 준장 R. J. 쿠퍼 (1914년 8월 26일)
:* ''대리'': 중령 H. F. N. 조르당 (1915년 8월 11일)
:* ''대리'': 중령 Q. G. K. 아그뉴 (1915년 8월 13일)
:* ''대리'': 중령 H. F. N. 조르당 (1915년 9월 10일)
- 준장 R. S. 반들루어 (1915년 9월 22일)
:* ''대리'': 중령 J. 크라스크 (1917년 6월 8일)
- 준장 R. S. 반들루어 (1917년 7월 28일)
:* ''대리'': 중령 E. H. 와일드블러드 (1918년 6월 9일)
- 준장 C. L. 스미스 (1918년 6월 12일)
:* ''대리'': 중령 E. H. 와일드블러드 (1918년 6월 12일)
- 준장 C. L. 스미스 (1918년 8월 21일)
'''제2차 세계 대전'''
- 중령 E.G. 얼 (사령관 대리)
- 준장 경 G.W.H. 리즈, 준남작
- 준장 J.M.L. 그로버
- 준장 F.W. 페스팅
- 준장 H.C. 스톡웰
- 준장 G.E.R. 바스틴
- 중령 C.S. 밀
- 준장 J.J. 맥컬리
'''한국 전쟁'''
- 준장 T. 브로디
- 준장 A.H.G. 리케츠
- 준장 D.A. 켄드루
4. 1.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5] 기간 동안 제29보병여단을 지휘한 지휘관은 다음과 같다:- 준장 R. J. 쿠퍼 (1914년 8월 26일)
:* ''대리'': 중령 H. F. N. 조르당 (1915년 8월 11일)
:* ''대리'': 중령 Q. G. K. 아그뉴 (1915년 8월 13일)
:* ''대리'': 중령 H. F. N. 조르당 (1915년 9월 10일)
- 준장 R. S. 반들루어 (1915년 9월 22일)
:* ''대리'': 중령 J. 크라스크 (1917년 6월 8일)
- 준장 R. S. 반들루어 (1917년 7월 28일)
:* ''대리'': 중령 E. H. 와일드블러드 (1918년 6월 9일)
- 준장 C. L. 스미스 (1918년 6월 12일)
:* ''대리'': 중령 E. H. 와일드블러드 (1918년 6월 12일)
- 준장 C. L. 스미스 (1918년 8월 21일)
4. 2. 제2차 세계 대전
- 중령 E.G. 얼 (사령관 대리)
- 준장 경 G.W.H. 리즈, 준남작[5]
- 준장 J.M.L. 그로버[5]
- 준장 F.W. 페스팅[5]
- 준장 H.C. 스톡웰[5]
- 준장 G.E.R. 바스틴[5]
- 중령 C.S. 밀[5]
- 준장 J.J. 맥컬리[5]
4. 3. 한국 전쟁
T. 브로디 준장,[5] A.H.G. 리케츠 준장,[5] D.A. 켄드루 준장이[5] 이 부대를 지휘하였다. 이들은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뛰어난 리더십과 헌신으로 임무를 수행했다.참조
[1]
서적
Joslen Vol 1 pg 276-7
[2]
서적
Joslen Vol 1 pg 277
[3]
서적
The Ashgate Research Companion to the Korean War
https://books.google[...]
Routledge
[4]
웹사이트
United Nations Command > Organization > Contributors > United Kingdom
https://www.unc.mil/[...]
2021-11-12
[5]
서적
Order of Battle of Divisions Part 3A New Army Divisions (9-26)
His Majesty's Stationery Office
[6]
서적
Joslen Vol 1 pg 276-7
[7]
웹인용
The Ashgate Research Companion to the Korean War
https://books.google[...]
Routled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