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고노에 내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차 고노에 내각은 1940년 7월 22일부터 1941년 7월 18일까지 362일 동안 재직했다. 이 내각은 '대동아 신질서' 건설을 국시로 하고, 신체제 운동을 통해 대정익찬회를 중심으로 일당 독재 체제를 구축하려 했다. 또한 독일, 이탈리아와 삼국 동맹을 체결하고 일소 중립 조약을 맺는 등, 추축국과의 관계를 강화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노에 신체제운동 - 대정익찬회
대정익찬회는 고노에 후미마로가 쇼와 연구회의 권고를 바탕으로 1940년 10월 12일에 발족한 일본의 전시 체제 지원 단체로, 개혁주의 정당을 지향하며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을 지지하고 국가총동원법을 통해 사회를 통제하고 세뇌하는 데 기여하다 1945년에 해산되었다. - 고노에 신체제운동 - 쇼와 연구회
1930년 고토 류노스케가 설립한 쇼와 연구회는 메이지 헌법과 정치 문제점을 검토하고 정치 개혁을 추구한 일본의 정책 연구 단체로, 고노에 후미마로의 동아시아 신질서 구상과 대정익찬회 형성에 영향을 주었으나 1940년 대정익찬회에 흡수되어 해산되었다. - 고노에 후미마로 - 고노에 다다테루
고노에 다다테루는 1939년생 일본 귀족이자 국제 적십자 운동가로, 호소카와 모리테루로 태어나 고노에 가문을 이었으며, 일본 적십자사에서 활동하다 아시아 최초로 국제 적십자·적신월사 연맹 회장을 역임하며 전 세계 재해 구호 활동을 지휘했다. - 고노에 후미마로 - 제1차 고노에 내각
고노에 후미마로가 총리대신을 맡은 제1차 고노에 내각은 상극 마찰 완화를 내세웠으나 중일 전쟁 발발로 전시 체제로 전환하며 국가총동원법 제정과 기획원 발족 등을 통해 군부의 영향력을 확대했다. - 1940년 일본 - 창씨개명
창씨개명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내선일체를 명분으로 조선인의 성과 이름을 일본식으로 바꾸도록 강요한 황국신민화 정책으로, 천황 중심의 국가 체계에 통합하려는 목적을 가졌다. - 1940년 일본 - 삼국 동맹 조약
1940년 일본, 독일, 이탈리아가 체결한 삼국 동맹 조약은 각국의 제국주의적 야망과 상호 지원을 약속했으나, 실제 협력은 제한적이었고 제2차 세계 대전 확대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제2차 고노에 내각 | |
---|---|
제2차 고노에 내각 | |
![]() | |
내각 정보 | |
내각 번호 | 38대 |
관할 국가 | 일본 |
정부 수반 직함 | 내각총리대신 |
정부 수반 | 고노에 후미마로 |
국가 원수 직함 | 천황 |
국가 원수 | 쇼와 |
내각 형태 | 다수 연립 (1940년 10월 12일까지) 일당 정부 (1940년 10월 12일 이후) |
정치 정당 | 입헌민정당 (1940년 10월 12일까지) 입헌정우회 (1940년 10월 12일까지) 국민동맹 (1940년 10월 12일까지) 대정익찬회 (1940년 10월 12일부터) 무소속 군부 |
입법부 현황 | 다수 연립 (1940년 10월 12일까지) 일당 정부 (1940년 10월 12일부터) |
입법부 임기 | 76회 제국의회 |
전임 내각 | 요나이 내각 |
후임 내각 | 제3차 고노에 내각 |
연혁 | |
출범일 | 1940년 7월 22일 |
해산일 | 1941년 7월 18일 |
관련 웹사이트 | |
총리대신 관저 | 수상 관저 - 역대 내각 각료 명단 (38대) |
내각 정보 조사실 | Topics - A Window into the Early Showa Period |
2. 재직 기간
1940년 (쇼와 15년) 7월 22일 ~ 1941년 (쇼와 16년) 7월 18일[1]
3. 내각의 주요 정책
1940년 7월 26일, 각의에서 "대동아 신질서 건설"(대동아 공영권)을 국시로 하고 국방 국가 완성을 목표로 하는 기본 국책 요강을 결정했다.[1] 같은 해 10월 12일에는 신체제 운동의 지도적 조직인 대정익찬회를 결성했다.[1] 1941년 4월 13일에는 일소 중립 조약을 체결했다.[1]
3. 1. 독일-이탈리아-일본 삼국 동맹
1940년 9월 27일, 독일, 이탈리아와 함께 삼국 군사 동맹을 체결하여 추축국의 일원이 되었다.[1] 이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이 패전국이 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1]4. 각료 명단
다음은 제2차 고노에 내각의 각료 명단이다.[2][3] 1940년 7월 22일에 임명되었으며, 362일간 재직하였다.
직책 | 대수 | 성명 | 사진 | 출신 및 정당 | 비고 |
---|---|---|---|---|---|
내각총리대신 | 38 | 고노에 후미마로 | ![]() | 귀족원 무소속 (화요회), 공작 | 대정익찬회 총재, 농림대신 겸임 |
외무대신 | 56 | 마쓰오카 요스케 | ![]() | 민간[4] | 척무대신 겸임, 첫 입각 |
내무대신 | 54 | 야스이 에이지 | -- | 귀족원 대정익찬회 (무회파→무소속 구락부) | 후생대신 겸임, 1940년 12월 21일 면직[5] |
55 | 히라누마 기이치로 | -- | 민간, 남작 | 전임,[6] 1940년 12월 21일 임명[5] | |
대장대신 | 42 | 가와다 이사오 | -- | 귀족원 무소속 (공정회) | 첫 입각 |
육군대신 | 29 | 도조 히데키 | -- | 육군 중장 (육대 27기) | 대만 사무국 총재 겸임, 첫 입각 |
해군대신 | 20 | 요시다 젠고 | -- | 해군 중장 (해대 갑종 13기) | 유임, 1940년 9월 5일 면직[7] |
21 | 오이카와 고시로 | -- | 해군 대장 (해대 갑종 13기) | 첫 입각, 1940년 9월 5일 임명[7] | |
사법대신 | 41 | 가자미 아키라 | -- | 중의원 (국민동맹→) 대정익찬회 | 첫 입각, 1940년 12월 21일 면직[5] |
42 | 야나가와 헤이스케 | -- | 예비역 육군 중장 (육대 24기) | 첫 입각, 1940년 12월 21일 임명[5] | |
문부대신 | 52 | 하시다 구니히코 | -- | 민간[8] | 첫 입각 |
농림대신 | 17 | 고노에 후미마로 | ![]() | 귀족원 무소속 (화요회), 공작 | 내각총리대신 겸임, 1940년 7월 24일 면직[9] |
18 | 이시구로 타다아쓰 | -- | 민간[10] | 첫 입각, 1940년 7월 24일 임명,[9] 1941년 6월 11일 면직[11] | |
19 | 이노 히로야 | -- | 농림성 육군 주계소위 | 첫 입각, 1941년 6월 11일 임명[11] | |
상공대신 | 20 | 고바야시 이치조 | -- | 민간 | 첫 입각, 1941년 4월 4일 면직[12] |
21 | 도요다 데이지로 | -- | 예비역 해군 대장 (해대 갑종 17기) | 첫 입각, 1941년 4월 4일 임명[12] | |
체신대신 | 47 | 무라타 쇼조 | ![]() | 귀족원 무소속 (동화회) | 철도대신 겸임, 첫 입각 |
철도대신 | 20 | 무라타 쇼조 | -- | 귀족원 무소속 (동화회) | 체신대신 겸임, 첫 입각, 1940년 9월 28일 면직[13] |
21 | 오가와 고타로 | -- | 중의원 (입헌민정당→) 대정익찬회 | 1940년 9월 28일 임명[13] | |
척무대신 | 18 | 마쓰오카 요스케 | -- | 민간 | 외무대신 겸임, 첫 입각, 1940년 9월 28일 면직[13] |
19 | 아키타 기요시 | -- | 중의원 (무소속→) 대정익찬회 (제1의원 구락부) | 1940년 9월 28일 임명[13] | |
후생대신 | 6 | 야스이 에이지 | -- | 귀족원 (무소속→) 대정익찬회 ((무회파→) 무소속 구락부) | 내무대신 겸임, 1940년 9월 28일 면직[13] |
7 | 가네미쓰 쓰네오 | -- | 중의원 (입헌정우회 (가네미쓰파)→) 대정익찬회 | 1940년 9월 28일 임명[13] |
4. 1. 국무대신
무소속(화요회)
공작
남작
무소속
(연구회)
(육대 29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