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위는 대한민국 국군, 자위대, 미군, 영국군 등 여러 국가의 군대에서 사용되는 장교 계급이다. 대한민국 국군에서는 육해공군 및 해병대에서 각기 다른 형태의 계급장을 사용하며, 자위대에서는 3등위관으로 불린다. 미 육군, 해병대, 공군, 우주군에서는 Second Lieutenant, 해군 및 해안경비대에서는 Ensign을 소위에 해당하는 계급으로 사용한다. 영국 해군에서는 소위(sub-lieutenant) 계급을 사용하며, 영국 해군과 영연방 국가에서 유사한 계급장을 사용한다. 그 외에도 다양한 국가에서 소위 계급을 사용하며, 각기 다른 계급 명칭과 계급장을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소대 - 소대 (군사) 소대는 분대보다 크고 중대보다 작은 군사 조직으로, NATO 표준에 따라 국가별로 다양한 명칭을 사용하며, 3개의 분대와 소대 본부로 구성되지만, 실제 구성원 수는 20명에서 40명 이상까지 다양하고, 현대에는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기본 전투 단위이다.
위관급 장교 - 대위 대위는 중대를 지휘하는 장교를 가리키는 군사 계급으로, 근대 이후 대부분 국가에서 중위와 소령 사이의 위관급 장교 계급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위관급 장교 - 중위 중위는 상관의 부재 시 그 자리를 대신하는 사람을 의미하는 계급으로, 군대에서 소위 다음 계급이며, 다양한 조직에서 중간 관리자 역할 및 정치적 직함으로도 사용된다.
군사 계급 - 4성 장군 4성 장군은 군대 계급 중 대장에 해당하며, 대한민국 국군에서는 합동참모의장, 각 군 참모총장 등을 포함한 7명이, 다른 국가에서는 각 군 참모총장, 통합군 사령관 등이 해당되는 군 최고위급 지휘관이다.
군사 계급 - 대령 대령은 연대 규모의 부대를 지휘하는 장교 계급으로, 국가와 군종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현대에는 부대 운영, 훈련, 작전 수행 등의 책임을 지고 명예연대장과 같은 직책도 존재한다.
'''프랑스''': 육군 또는 공군의 소위(sous-lieutenant프랑스어)는 가장 낮은 장교 계급이다. 소속 부대의 색깔(예: 보병은 금색, 기갑 기병은 은색 등)이 들어간 띠를 착용한다. 18세기 프랑스 해군에는 sous-lieutenant de vaisseau프랑스어 계급이 있었으나, 현재는 "일등 소위"(enseigne de vaisseau de première classe프랑스어) 계급으로 대체되었다.
'''영국''': 영국 육군은 1871년부터 1877년까지 잠시 소위 계급을 사용했으나, 이후 다시 소위 계급으로 대체되었다. 해군, 호주 왕립 해군, 뉴질랜드 왕립 해군의 소위 계급장은 중간 크기의 금색 굵은 줄 하나에 행정용 곡선(executive curl)이 달린 형태이다. 공군도 유사한 줄무늬 방식을 사용한다.
'''캐나다''': 캐나다 왕립 해군의 임시 소위는 중간 크기 줄 하나를, 정식 소위는 중간 크기 줄 아래에 가는 줄을 추가한다. 공군 중위는 중간 크기 줄 위에 가는 줄을 단다.
'''자위대''': 3등위(三等尉) 계급이 소위에 해당한다. 약칭으로 3위(三尉)라고도 부른다.
판적봉환 이후, 1870년 10월 12일(메이지 3년 9월 18일) 태정관의 결정에 따라 해군·육군 대좌 이하의 관위에 상당하는 계급을 정할 때, 해군·육군 중위 아래에 해군·육군 소위를 두고 정팔위(正八位)에 상당하게 했다.[18] 1871년 2월 11일(메이지 3년 12월 22일)에는 각 번(藩)의 상비병 편제법을 정하면서 보병 대대의 반대장(半隊長)을 소위로, 포병대의 부관·분대장을 중소위로 개칭했다.[26][27] 이 소위 이상은 상등사관으로 총칭되었고, 번청(藩庁)이 선발하여 병부성에 보고하도록 했다.[26][27]
1871년 4월 2일(메이지 4년 2월 13일) 어친병이 편제되고, 같은 해 6월 10일(같은 해 4월 23일) 동산서해 양도에 진대가 설치되어 병부성 관할이 되면서, 병부성에 의한 해군·육군 소위 임관 사례가 늘어났다. 폐번치현 이후 메이지 4년 8월의 관제 등급 개정[46] 및 병부성 관등 개정,[47] 메이지 5년 1월의 관등 개정[48] 및 병부성 중관등표 개정 등 여러 차례 변경이 있었다.[47] 메이지 5년 2월 병부성이 폐지되고 육군성과 해군성이 설치된 후,[50] 메이지 6년 5월 8일 태정관 포달 제154호[51][52]에 의한 육해군 무관 관등표 개정으로 소위는 군인의 정식 계급 호칭으로 계속 사용되었고, 서구 근대 군대의 계급 서열에 맞춰지게 되었다.
대일본제국 육군 및 해군의 소위 및 동등한 대우를 받는 관리는 고등관 팔등에 해당하며, 위계로는 정팔위(正八位), 훈등으로는 훈육등(勳六等) 또는 오등에 서임되었다. 무공이 뛰어난 경우 공오급(功五級) 또는 삼급의 공급(功級)에 서임되어 금치훈장을 받기도 했다.[61]
소위 임관 자격은 다음과 같았다.
구분
임관 자격
육군
육군사관학교 또는 육군항공사관학교를 졸업한 수습사관(조장)으로, 소속 부대 병과 장교 전원으로 구성된 선고 회의의 동의를 받은 자
준위(특무조장)·조장 중에서 지원하여 시험에 합격하고 육군사관학교에서 소위 후보자 교육을 받은 자
갑종간부후보생 교육을 받은 수습사관(조장)으로, 소속 부대 병과 장교 전원으로 구성된 선고 회의의 동의를 받은 자 (역종: 예비역)
특별갑종 간부후보생 또는 특별조종견습사관 교육을 받은 수습사관(조장)으로, 소속 부대 병과 장교 전원으로 구성된 선고 회의의 동의를 받은 자 (역종: 예비역)
해군병학교 (구 해군기관학교의 마이즈루 분교, 이와쿠니 해군항공대에 병설된 이와쿠니 분교 등 포함) 학생 과정을 졸업한 소위 후보생[62] (장교인 사관)
해군경리학교 학생 과정을 졸업한 주계소위 후보생 (장교담당관인 사관)
해군 위탁 학생, 2년 현역 사관(전문학교 졸업자 한정), 그 외 수습의관 제도 등에서 정해진 과정을 수료한 자 (장교담당관인 사관)
고등상선학교 본과를 졸업한 해군 예비 학생 (예비사관)
해군 예비 학생 과정을 수료한 자 (예비사관)
대학이나 고등학교 등에 재학 중인 자 중에서 채용된 해군 예비 학생 출신의 예비원 소위 후보생 (예비사관)
1920년 이후, 병조장까지 진급한 자 중 선발되어 특무소위(후에 특무사관 소위)로 진급한 자 (특무사관)
선발된, 5년의 실역 정년을 가진 예비준사관인 병조장 (예비사관)
상선학교, 단기 고등 해원 양성소, 무선전신 강습소 고등과, 조선총독부 교통국 고등해원 양성소, 고등항공기 승원 양성소 고등과 등을 졸업하고 소정 기간 복역한 해군 예비 연습생 출신의 예비준사관 (예비사관)
이 외에도 특별공격대에서 출격하여 돌아오지 못한 비행병조가 순직 처리되어 소위 계급으로 전사 공보가 발표되는 경우가 많았다.
소위로 임관되면 관보 및 장교 상당관 명부에 이름이 올라, 당시 일본 제국 신민으로서 최고의 명예 중 하나로 여겨졌다.
2. 3. 역할 및 임무
대일본제국 육해군의 소위 및 동등한 대우를 받는 관리는 고등관 팔등에 해당하며, 위계로는 정팔위(正八位), 훈등으로는 훈육등(勳六等) 또는 오등(五等)에 서훈되었다. 또한, 무공이 뛰어난 경우 공오급(功五級)에서 삼급(三級) 사이의 공급(功級)에 서임되어 금치훈장을 받기도 했다.[61]
메이지 시대 초기에는 보병 대대의 반대장(半隊長)[26][27]이나 소대 반대장[37][38] 등의 직책을 맡기도 했으나, 시대가 흐르면서 소위 임관 자격은 다음과 같이 정해졌다.
영국 육군은 1871년부터 1877년까지 잠시 소위(Second Lieutenant) 계급을 사용했는데, 이는 보병의 Ensign 계급과 기병의 Cornet 계급을 대체한 것이었다. 1877년에 이는 다시 소위(Second Lieutenant) 계급으로 대체되었지만, 왕립 포병, 왕립 공병, 그리고 라이플 및 용기병 연대에서는 이 계급 명칭이 계속 사용되었다.
영국 해군에서는 과거 승진을 기다리는 통과 견습 함장(passed midshipman)이 항해사(sailing master)를 보조하는 측량수(master's mate)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 계급은 숙련된 하사관으로 간주되었으며, 공식적으로 소위(lieutenant)로의 승진 경로는 아니었지만 다른 하사관보다 급여가 높았고 선박 지휘가 가능한 유일한 하사관이었다.[6] 시간이 지나면서 측량수 복무는 장교 임관으로 가는 일반적인 과정이 되었다. 18세기 후반에는 장교가 되려는 측량수와 임관을 목표로 하는 전 견습 함장이 같은 직책과 책임을 맡게 되면서 혼란이 발생하기도 했다.
19세기 초, 항해 분야의 측량수와 구별하기 위해 통과 견습 함장 앞에 붙던 '측량수(master's)'라는 접두사가 삭제되었다. 1824년에는 측량수 보조와 2등 자원병 계급이 추가되어, 통과 견습 함장은 측량수(mate)로, 장차 측량사가 될 사람은 측량수 보조 계급으로 불리게 되었다. 1861년, 측량수(mate) 계급은 '''소위(sub-lieutenant)'''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영국 해군, 호주 왕립 해군, 뉴질랜드 왕립 해군에서 소위(Sub-Lieutenant)와 임시 소위(Acting Sub-Lieutenant)의 계급장은 중간 크기의 금색 굵은 줄 하나에 executive curl이 달린 형태이다. 이는 뉴질랜드 왕립 해군의 소위(Ensign) 계급이나 캐나다 왕립 해군의 해군 사관후보생 계급에 사용되는 가는 줄과는 구별된다. 영국 공군도 계급 체계를 만들 때 이러한 줄 방식을 따랐다. 대부분의 영연방 국가에서 소위(Sub-Lieutenant) 계급장은 미국 해군과 미국 해안 경비대의 소위(Ensign) 계급장과 동일하다(미국 계급은 executive curl을 사용하지 않음). 다만 미국 해군에서 영국 소위(Sub-Lieutenant)에 해당하는 계급은 실제로는 중위(Lieutenant Junior Grade)이다.
캐나다 왕립 해군에서 임시 소위(Acting Sub-Lieutenant)는 중간 크기 줄 하나를, 소위(Sub-Lieutenant)는 중간 크기 줄 아래에 가는 줄을 추가하여 표시한다(위쪽 executive curl 유지). 이는 해당 공군 중위 계급(중간 줄 위에 가는 줄)과 차이가 있다.
1955년, 영국 해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간헐적으로 존재했던 '''임시 소위(Acting sub-lieutenant)''' 계급을 다시 만들었다. 이들은 정식 임관이 아닌 명령에 의해 계급을 받는 하위 장교(subordinate officer)였다. 함대 심사를 통과하면 소위(Sub-Lieutenant)로 승진하고 임시 소위로 임명된 날짜로 소급하여 임관장을 받았다. 임시 소위 계급은 1993년경 영국 해군에서 폐지되었으나, 영국 해군 예비군(Royal Naval Reserve)에는 2013년까지 남아 있었다. 현재 영국 해군과 예비군은 모두 사관후보생(midshipman) 계급으로 임관한다.[9] 임시 소위 계급은 훈련 장교가 이 계급으로 입대하는 영국 해군 대학교 부대(University Royal Naval Unit) 내에서만 유지되고 있다.[10] 폐지 전 영국 해군 임시 소위는 육군 중위 및 공군 Flying Officer와 동등했지만 계급은 더 낮았다.
캐나다와 오스트레일리아 등 많은 영연방 해군에서는 임시 소위 계급이 여전히 중위(Second Lieutenant)에 상응하는 임관 계급으로 존재하며, 소위(Sub-Lieutenant) 계급은 육군 중위에 상응한다. '임시(Acting)'는 명칭의 일부이므로 공식 서류에는 전체 명칭을 사용해야 하지만, 구두 호칭 시에는 '소위'로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뉴질랜드 해군, 피지 해군, 남아프리카 해군은 최하위 임관 계급으로 소위(Ensign)를 사용하는 미국식 관례를 따른다.
태국: 소위와 임시 소위는 양쪽 어깨에 별 하나를 착용한다. 태국 육군에서는 5학년을 수료하고 학사 학위를 마친 육군 예비군 학생(Army Reserve Force Students)이 임시 중위(ว่าที่ ร้อยตรี|와티 로이 트리tha, acting second lieutenant)로 진급한다.
5. 영국군
영국군에서 소위 계급은 각 군별로 다른 명칭을 사용한다. 영국 육군의 소위는 Second Lieutenant이며, 영국 해군에서는 Sub-lieutenant, 영국 공군에서는 Pilot Officer라고 부른다.[6] 각 군의 소위 계급은 역사적 변천 과정을 거쳐 현재의 명칭으로 정착되었다.
'''프랑스''': 육군 또는 공군에서 가장 낮은 장교 계급은 sous-lieutenant프랑스어이다. 소위는 소속 부대의 색깔(예: 보병은 금색, 기갑 기병은 은색 등)의 띠를 착용한다. 18세기 프랑스 해군에는 영국 해군의 master's mate에 해당하는 sous-lieutenant de vaisseau프랑스어 계급이 있었으나, 현재는 "일등 소위"(enseigne de vaisseau de première classe프랑스어) 계급으로 대체되었다.
* 태국: 소위와 임시 소위는 양쪽 어깨에 별 하나를 착용한다. 태국 육군에서는 5학년을 수료하고 B.D.를 마친 육군 예비군 학생(Army Reserve Force Students)이 임시 중위(ว่าที่ ร้อยตรีth, acting second lieutenant)로 진급한다.
* 영국 육군: 1871년부터 1877년까지 잠시 Sub-lieutenant 계급을 사용했는데, 이는 보병의 Ensign 계급과 기병의 Cornet 계급을 대체한 것이었다. 1877년에 다시 Second Lieutenant 계급으로 대체되었지만, 왕립 포병, 왕립 공병, 그리고 라이플 및 용기병 연대에서는 계속 사용되었다. 현재 육군 소위는 Second Lieutenant이다.
* 영국 해군: Sub-lieutenant 계급은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었다. 과거 승진을 기다리는 passed midshipman은 종종 숙련된 하사관으로서 항해사(sailing master)를 보조하는 master's mate가 되었다.[6] 이 계급은 공식적으로 소위로 이어지지는 않았지만, 다른 하사관보다 급여가 높았고 선박 지휘가 가능한 유일한 하사관이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master's mate 복무는 장교 임관 과정의 일부가 되었다. 19세기 초, 항해 분야의 master's mate와 구별하기 위해 통과 견습 함장 앞의 "master's" 접두어가 삭제되었고, 이들은 mate로 불렸다. 1861년 mate 계급은 Sub-lieutenant로 개명되었다. 현대 영국 해군에서는 모든 사관후보생이 Midshipman으로 임관하며, 브리타니아 왕립 해군 대학 입학 1년 후 Sub-lieutenant로 진급한다. 상급 선원은 선임 날짜가 12개월을 초과하는 경우 Sub-lieutenant로 임관한다. 영국 해군 Sub-lieutenant 계급장은 중간 크기의 금색 굵은 줄 하나에 executive curl이 달린 형태이다. 영국 해군은 중위와 소위의 구분이 없고, 소위 바로 위가 중위이다.
* 영국 공군: 소위는 Pilot Officer이다. 계급장은 영국 해군의 영향을 받아 중간 크기의 굵은 줄 하나 형태이다.
* 캐나다 왕립 해군: 기본적인 장교 훈련을 받는 모든 사람은 Naval Cadet으로 입대한다. 학사 학위 소지자는 졸업 시 임시 소위(Acting Sub-lieutenant)로 진급하며, 학위가 없는 사람은 관련 교육을 마칠 때까지 Naval Cadet 계급을 유지한다. 캐나다 왕립 해군의 임시 소위는 중간 크기의 줄 하나를, 소위는 중간 크기 줄 아래에 가는 줄을 추가한 계급장을 사용한다(executive curl 포함).
* 호주 왕립 해군, 뉴질랜드 왕립 해군: 영국 해군과 유사하게 Sub-lieutenant와 Acting Sub-lieutenant 계급장을 사용한다.
* 계급장 비교: 대부분의 영연방 국가 해군 소위 계급장은 미국 해군/해안경비대의 Ensign 계급장과 동일하다(executive curl 제외). 하지만 미국 해군에서 Sub-lieutenant에 해당하는 계급은 실제로는 Lieutenant junior grade이다.
* 임시 소위(Acting Sub-lieutenant): 1955년 영국 해군에서 신설된 계급으로, 명령에 의해 계급을 받는 하급 장교였다. 함대 심사를 통과하면 정규 소위로 진급하고 임관장을 받았다. 이 계급은 1993년경 영국 해군에서 폐지되었으나(예비군에서는 2013년까지 유지), 캐나다와 오스트레일리아 등 많은 영연방 해군에서는 여전히 중위에 상응하는 임관 계급으로 존재한다. 명칭에 'Acting'가 붙지만, 일반적으로는 '소위'로 호칭하며, 서류에만 전체 명칭을 사용한다.
* 기타: 뉴질랜드 해군, 피지 공화국 해군, 남아프리카 해군은 최하위 임관 계급으로 미국식 명칭인 Ensign을 사용한다.
프랑스에서는 소위(sous-lieutenant|수-리외트낭프랑스어)가 육군 또는 공군에서 가장 계급이 낮은 장교이다. 소위는 소속 부대의 색깔(예: 보병은 금색, 기갑 기병은 은색 등)의 띠를 착용한다. 18세기 프랑스 해군에는 sous-lieutenant de vaisseau|수-리외트낭 드 베소프랑스어 계급이 존재했으며, 이는 영국 해군의 측량수(master's mate) 계급에 해당했다. 현재는 "1등해위"(enseigne de vaisseau de première classe|앙센 드 베소 드 프르미에르 클라스프랑스어) 계급으로 대체되었다.
아르헨티나 소위는 양쪽 어깨에 은색 태양 하나를 착용한다. 브라질 소위는 가장 계급이 높은 부사관 계급(해군과 공군에서는 부사관이라고 함)이며, 금색 마름모를 착용한다. 멕시코에서는 소위가 가장 계급이 낮은 장교이며, 금색 견장 하나를 착용한다. 태국 소위와 임시 소위는 양쪽 어깨에 별 하나를 착용한다.
영국 육군은 1871년부터 1877년까지 잠시 소위(sub-lieutenant) 계급을 사용했는데, 이는 보병의 소위(Ensign) 계급과 기병의 코넷(Cornet) 계급을 대체한 것이었다. 1877년에 이 계급은 다시 소위(Second lieutenant) 계급으로 대체되었지만, 왕립 포병, 왕립 공병, 그리고 라이플 및 용기병 연대에서는 계속 사용되었다.
영국 해군에서는 과거 승진을 기다리는 통과 견습 함장(passed midshipman)이 숙련된 하사관으로서 항해사(sailing master)를 보조하는 측량수(master's mate)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 계급은 공식적으로 소위로 이어지지는 않았지만, 다른 하사관보다 급여가 높았고 선박 지휘가 가능한 유일한 하사관 계급이었다.[6] 측량수가 된 견습 함장은 급여가 인상되었지만, 장교 임관 가능성은 초기에 줄어들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측량수 복무는 장교 임관으로 가는 일반적인 경로가 되었다. 18세기 후반에는 장교가 되려는 측량수와 임관을 목표로 하는 전 견습 함장이 같은 직책을 맡으면서 혼란이 발생하기도 했다. 19세기 초에는 항해 분야의 측량수와 구별하기 위해 통과 견습 함장 앞에 붙던 "측량수(master's)"라는 접두사가 삭제되었다. 1824년에는 측량수 보조와 2등 자원병 계급이 추가 도입되어 이러한 혼란을 줄이는 데 기여했다. 1861년에 측량수 계급은 소위(sub-lieutenant)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현대 영국 해군에서는 모든 사관후보생이 견습장교(Midshipman)로 임관하며, 브리타니아 왕립 해군 대학 입학 1년 후 소위(Sub-lieutenant)로 진급한다. 상급 선원은 선임 날짜가 12개월을 초과하는 경우 소위로 임관한다.
캐나다 왕립 해군에서는 기본적인 장교 훈련을 받는 모든 사람이 해군 사관후보생으로 입대한다. 학사 학위 소지자는 졸업 시 임시 소위(Acting Sub-Lieutenant)로 진급하는 반면, 학위가 없는 사람은 관련 교육을 마칠 때까지 해군 사관후보생 계급을 유지한다.
영국 해군, 호주 왕립 해군, 뉴질랜드 왕립 해군에서 소위와 임시 소위의 계급장은 중간 크기의 금색 굵은 줄 하나에 행정용 곡선(executive curl)이 달린 형태이다. 이는 뉴질랜드 왕립 해군의 소위 계급과 캐나다 왕립 해군의 해군 사관후보생 계급에 사용되는 가는 줄과는 구별된다. 대부분의 영연방 국가에서 소위의 계급장은 미국 해군과 미국 해안경비대의 소위(Ensign) 계급장과 동일하다(미국 계급은 행정용 곡선이 없음). 캐나다 왕립 해군에서 임시 소위는 중간 크기의 줄 하나를, 소위는 중간 크기 줄 아래에 가는 줄을 추가하여 표시한다.
1955년, 영국 해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간헐적으로 존재했던 임시 소위(Acting sub-lieutenant) 계급을 신설했다. 임시 소위는 명령에 의해 계급을 받는 하급 장교였으며, 함대 심사를 통과하면 정규 소위로 승진하고 임관장을 받았다. 이 계급은 1993년경 영국 해군에서 폐지되었으나, 영국 해군 예비군(Royal Naval Reserve)에는 2013년까지 남아 있었다. 현재 영국 해군과 예비군 모두 사관후보생(midshipman) 계급으로 임관한다.[9] 임시 소위 계급은 훈련 장교가 이 계급으로 입과하는 영국 해군 대학교 부대(University Royal Naval Unit) 내에서만 유지되고 있다.[10] 폐지 전 영국 해군의 임시 소위 계급은 육군 중위(lieutenant) 및 공군 소위(flying officer) 계급과 동등했지만, 계급은 더 낮았다.
캐나다와 오스트레일리아 등 많은 영연방 해군에서는 임시 소위 계급이 여전히 중위에 상응하는 임관 계급으로 존재하며, 소위 계급은 육군 중위에 상응한다. "임시(Acting)"는 명칭의 일부이므로 공식 서류에는 전체 명칭을 사용해야 하지만, 구어적으로는 "소위"로 지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뉴질랜드 왕립 해군, 피지 공화국 해군, 남아프리카 해군은 최하위 임관 계급으로 소위(ensign)를 사용하는 미국식 관례를 따른다.
태국 육군에서는 5학년을 수료하고 과정을 마친 육군 예비군 학생(Army Reserve Force Students)이 임시 중위(ว่าที่ ร้อยตรี|와티 로이 트리th, acting second lieutenant)로 진급한다.
ملازم|물라짐ar (알제리 육군)[1]
소위(앙골라 육군)[2]
- 소위(베냉 육군)[3]
소위(브라질 육군)[4]
- 소위(브라질 군경 및 군 소방대)
소위 (앙골라 공군)[5]
소위 (Enseigne de vaisseau de 2e classe프랑스어) (캐나다 왕립 해군)[7]
소위 (영국 해군)[8]
참조
[1]
웹사이트
Ranks
https://www.mdn.dz/s[...]
Ministry of National Defence (Algeria)
2021-05-30
[2]
웹사이트
Postos do Exército
https://faa.ao/exe/p[...]
Angolan Army
2021-06-27
[3]
웹사이트
LOI N° 2005-43 DU 26 JUIN 2006
https://www.ilo.org/[...]
National Assembly (Benin)
2021-06-13
[4]
웹사이트
Postos e Graduações
https://www.eb.mil.b[...]
2024-09-07
[5]
웹사이트
Postos da Força Aérea Nacional
https://faa.ao/fan/p[...]
Angolan Air Force
2021-06-27
[6]
웹사이트
Officer ranks in the Royal Navy
http://www.royalnava[...]
Royal Naval Museum
2009-04-25
[7]
웹사이트
Ranks and appointment
https://www.canada.c[...]
Government of Canada
2021-05-28
[8]
웹사이트
Shaping your career
https://www.royalnav[...]
Royal Navy
2021-09-24
[9]
웹사이트
BR3, Ch102 – Maritime Reserves Personnel Management
http://www.royalnavy[...]
Royal Navy
2015-12-31
[10]
웹사이트
BR3, Ch 110 – The University Royal Naval Units and Cadet Forces
http://www.royalnavy[...]
Royal Navy
2015-12-31
[11]
웹사이트
衛門府条
http://www.sol.dti.n[...]
2000-03-26
[12]
웹사이트
左衛士府条
http://www.sol.dti.n[...]
2000-03-26
[13]
웹사이트
左兵衛府条
http://www.sol.dti.n[...]
2000-03-26
[14]
웹사이트
左右兵衛府四部官(四等官・四分官)
http://www.sol.dti.n[...]
1997-07-11
[15]
웹사이트
左右衛門大少尉
http://www.sol.dti.n[...]
1999-01-12
[16]
웹사이트
検非違(使)大少尉
http://www.sol.dti.n[...]
1998-10-02
[17]
웹사이트
府の四部官(四等官・四分官)とその官位相当
http://www.sol.dti.n[...]
1997-07-16
[18]
위키소스
海陸軍大中少佐及尉官及陸軍曹長權曹長ヲ置ク
[19]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20]
간행물
御沙汰書 9月 官位相当表の件御達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1]
웹사이트
7. 法令の種別、法令番号
https://dajokan.ndl.[...]
国立国会図書館
2023-12-02
[22]
간행물
「弁官往復閏 7月 官位相当表の義々付上申」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3]
간행물
「海軍ハ英式ニ依テ興スヘキヲ山尾民部権大丞ニ令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4]
간행물
「常備兵員海軍ハ英式陸軍ハ仏式ヲ斟酌シ之ヲ編制ス因テ各藩ノ兵モ陸軍ハ仏式ニ基キ漸次改正編制セシ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5]
논문
陸軍史の窓から(第1回)「階級呼称のルーツ」
https://kaikosha.or.[...]
偕行社
2023-11-12
[26]
간행물
「各藩ノ常備兵編制法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7]
간행물
「単行書・大政紀要・下編・第六十五巻・官職八・陸軍武官」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8]
간행물
「官員取調帳」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9]
간행물
「薩長土ノ三藩ニ令シテ御親兵ヲ徴シ兵部省ニ管轄セシ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0]
간행물
「東山西海両道ニ鎮台ヲ置キ兵部省ノ管轄ニ属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1]
간행물
職員録・明治三年十一月・職員録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2]
간행물
海軍諸達 伊東四郎海軍大尉任官外数件達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3]
간행물
職員録・明治四年四月・職員録改(下)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4]
간행물
5月19日 飛準丸1等士官塩澤善十郎同2等士官朝枝辰太郎任海軍中尉他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5]
간행물
5月23日 海兵士官徳田彦二見習士官井上直八任海軍中尉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6]
간행물
海軍諸達留 植木太郎右ヱ門外3名任大尉外数件達他3件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7]
간행물
5月25日 白井龍吉任陸軍大尉及第2連隊第1大隊小隊隊長申付他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8]
간행물
5月25日 竹内信之允海軍中尉及第2連隊第1大隊2番小隊隊長申付他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9]
간행물
職員録・明治四年六月・職員録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40]
간행물
職員録・明治四年十二月・諸官省官員録(袖珍)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41]
간행물
職員録・明治五年五月・官員全書改(海軍省)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42]
간행물
職員録・明治四年十二月・諸官省官員録(袖珍)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43]
간행물
職員録・明治五年五月・官員全書改(陸軍省武官)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44]
기타
[45]
기타
[46]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47]
간행물
兵部省官等改定・二条
[48]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49]
간행물
官等改正
[50]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51]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52]
간행물
「陸海軍武官官等表改正・二条」
国立公文書館
[53]
아카이브
[54]
아카이브
[55]
아카이브
[56]
아카이브
[57]
아카이브
[58]
간행물
「職員録・明治五年五月・官員全書改(陸軍省武官)」
国立公文書館
[59]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2024-11-17
[60]
간행물
「海軍武官彼我ノ称呼ヲ定ム」
国立公文書館
[61]
서적
日本の勲章-日本の表彰制度-
第一法規出版
1965-01-00
[62]
기타
[63]
웹사이트
自衛隊しまなみ通信
https://web.archive.[...]
自衛隊広島地方協力本部
[64]
기타
[65]
기타
[66]
기타
[67]
기타
[68]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