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회 아시안 필름 어워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5회 아시안 필름 어워즈는 2011년에 개최되었으며, 주요 수상작으로는 최우수 작품상에 아피찻퐁 위라세타쿤 감독의 엉클 분미, 최우수 감독상에 이창동 감독의 시가 선정되었다. 남녀 주연상은 각각 하정우와 쉬판이 수상했으며, 윤여정은 여우조연상을, 홍금보는 남우조연상을 받았다. 그 외 촬영상, 편집상, 미술상, 음악상, 시각효과상, 의상상 등 다양한 부문에서 시상이 이루어졌고, 특별상으로는 김동호가 아시아 영화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0년 홍콩 - 마닐라 인질극
마닐라 인질극은 2010년 필리핀 마닐라에서 해고된 전직 경찰관 롤란도 멘도사가 자신의 복직을 요구하며 홍콩 관광객을 태운 버스를 납치하여 벌인 사건으로, 미흡한 경찰 대응으로 인질 다수가 사망하며 국제적 비판과 외교적 긴장을 야기했다. - 2010년 홍콩 - 제4회 아시안 필름 어워즈
제4회 아시안 필름 어워즈는 2009년 아시아 영화계의 뛰어난 작품과 영화인들의 노고를 기리는 시상식으로, 최우수 작품상, 감독상, 남녀 주연상/조연상, 신인상 등 다양한 부문에서 시상이 이루어졌으며, 《마더》, 《남경! 남경!》이 최우수 작품상을 공동 수상하고 장이머우 감독과 아미타브 밧찬이 공헌상과 공로상을 수상했다. - 아시안 필름 어워즈 - 제7회 아시안 필름 어워즈
2013년에 개최된 제7회 아시안 필름 어워즈에서는 《미스터리》가 최우수 작품상을, 기타노 다케시가 최우수 감독상을, 에디 가르시아와 노라 아우노르가 각각 남우주연상과 여우주연상을 수상했으며, 양자경이 아시아 영화 공헌상을, 《잃어버린: 태국》이 2012년 아시아 최고 흥행 영화상을 수상했다. - 아시안 필름 어워즈 - 제3회 아시안 필름 어워즈
제3회 아시안 필름 어워즈는 2009년에 개최된 영화 시상식으로, 최우수 작품상, 감독상, 남녀주연상, 남녀조연상, 신인상 등 다양한 부문에서 아시아 영화의 뛰어난 작품과 영화인들에게 상이 수여되었다. - 2010년 영화상 - 제67회 골든 글로브상
2010년 1월 17일에 열린 제67회 골든 글로브상은 영화와 텔레비전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긴 작품과 배우들을 기리는 시상식으로, 영화 부문에서는 《아바타》와 《행오버》가, 텔레비전 부문에서는 《매드 맨》과 《글리》가 각각 작품상을 수상했으며 마틴 스코세이지는 세실 B. 데밀 상을 받았다. - 2010년 영화상 - 제46회 백상예술대상
제46회 백상예술대상은 2010년에 개최되었으며, 영화 부문 대상은 윤제균, TV 부문 대상은 고현정이 수상했고, 영화, TV 부문별 작품상, 최우수 연기상, 신인 연기상, 인기상 등이 수여되었다.
제5회 아시안 필름 어워즈 - [상(Prize)]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회차 | 5회 |
시상 | 2011년 3월 21일 |
장소 | 홍콩 컨벤션 & 전시 센터 |
사회자 | 안젤라 차우 |
사회자 2 | 자넷 셰 |
작품상 | 《엉클 분미》 |
최다 수상 | 《당산대지진》 (3개 부문) |
최다 후보 | 《당산대지진》, 《피플리 라이브》 (4개 부문) |
이전 회차 | 제4회 아시안 필름 어워드 |
다음 회차 | 제6회 아시안 필름 어워드 |
2. 주요 수상 내역
제5회 아시안 필름 어워즈에서는 여러 국가의 다양한 영화들이 주요 부문에 후보로 올랐다.
순번 | 작품명 | 부문 | 국가/지역 | 후보 수 | 수상 수 |
---|---|---|---|---|---|
1 | 13인의 자객 | 감독상, 남우주연상, 미술상, 편집상, 의상 디자인상 | 일본 | 5 | 1 |
2 | 포화 속으로 | 신인상, 시각 효과상 | 대한민국 | 2 | 0 |
3 | 오토토 | 여우조연상 | 일본 | 1 | 0 |
4 | 당산대지 | 작품상, 감독상, 여우주연상, 시각 효과상 | 중국, 홍콩 | 4 | 2 |
5 | 고백 | 작품상, 감독상, 여우주연상, 남우조연상, 여우조연상, 편집상 | 일본 | 6 | 0 |
6 | 적인걸: 측천무후 | 미술상, 시각 효과상, 의상 디자인상 | 중국, 홍콩 | 3 | 0 |
7 | 세월신투 | 신인상 | 홍콩 | 1 | 0 |
8 | 골든 슬럼버 | 음악상 | 일본 | 1 | 0 |
9 | 엽문 | 남우조연상 | 홍콩 | 1 | 1 |
10 | 악마를 보았다 | 촬영상, 편집상 | 대한민국 | 2 | 1 |
11 | 일대종사 | 작품상, 감독상, 남우주연상, 여우조연상, 각본상, 의상 디자인상 | 중국, 홍콩 | 6 | 1 |
12 | 러브 인 딜레이 | 각본상 | 홍콩 | 1 | 0 |
13 | MADAME X | 여우조연상, 미술상 | 인도네시아 | 2 | 0 |
14 | 몽가 | 남우주연상, 신인상, 촬영상, 미술상, 음악상 | 타이완 | 5 | 1 |
15 | 검은 마을 | 남우조연상 | 대한민국 | 1 | 0 |
16 | 노르웨이의 숲 | 여우주연상, 촬영상, 의상 디자인상 | 일본 | 3 | 1 |
17 | 피플리 라이브 | 작품상, 신인상, 음악상, 편집상 | 인도 | 4 | 1 |
18 | 시 |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 대한민국 | 3 | 2 |
19 | 검우강호 | 여우주연상, 각본상, 음악상 | 중국, 홍콩, 타이완 | 3 | 0 |
20 | 더 라스트 윈드 | 남우주연상, 남우조연상 | 중국, 홍콩 | 2 | 0 |
21 | 우주전함 야마토 | 시각 효과상 | 일본 | 1 | 0 |
22 | 하녀 | 여우주연상, 여우조연상, 의상 디자인상 | 대한민국 | 3 | 1 |
23 | 빛을 비추는 사람 | 촬영상 | 키르기스스탄 | 1 | 0 |
24 | 아저씨 | 시각 효과상 | 대한민국 | 1 | 0 |
25 | 밀고 | 촬영상 | 홍콩 | 1 | 0 |
26 | 세 개의 거래 | 남우조연상, 각본상 | 대한민국 | 2 | 0 |
27 | 황해 | 감독상, 남우주연상, 미술상, 음악상 | 대한민국 | 4 | 1 |
28 | 엉클 분미 | 작품상 | 태국 | 1 | 1 |
29 | 산사나무 아래 | 신인상, 편집상 | 홍콩 | 2 | 0 |
대한민국 영화는 시가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후보에 올라 감독상과 각본상을, 황해가 남우주연상을, 하녀가 여우조연상을 수상하며 선전했다.
2. 1. 최우수 작품상
작품 | 국가 | 감독 |
---|---|---|
엉클 분미 | ลุงบุญมีระลึกชาติ|룽 분미 라륵 찻th | 아피찻퐁 위라세타쿤 |
대지진 | 唐山大地震|탕산 대지진중국어 | 펑샤오강 |
고백 | 告白|고하쿠일본어 | 나카시마 테츠야 |
양자탄비파 | 让子弹飞|랑쯔단페이중국어 | 장원 |
더 폴링 | पीपली लाइव|피플리 라이브hi | 아누샤 리즈비 |
시 | 시|시한국어 | 이창동 |
- '''수상:''' 엉클 분미 (태국)
2. 2. 최우수 감독상
2. 3. 남우주연상
2. 4. 여우주연상
후보 | 영화 | 국가 |
---|---|---|
쉬판 | 대지진 | 徐帆|쉬판중국어 (중국) |
전도연 | 하녀 | 대한민국 (대한민국) |
키쿠치 린코 | 노르웨이의 숲 | 菊地 凛子|기쿠치 린코일본어 (일본) |
마츠 다카코 | 고백 | 松 たか子|마쓰 다카코일본어 (일본) |
양자경 | 검우강호 | 楊紫瓊|양쯔충중국어 (말레이시아, 중국, 홍콩, 태국) |
2. 5. 남우조연상
2. 6. 여우조연상
2. 7. 신인상
2. 8. 각본상
후보 | 작품 | 국가 |
---|---|---|
이창동 | 시 | 대한민국한국어 |
ZHU Sujin 외 5명 | 양자탄비파 | 중국중국어 / |
맥희인 외 1명 | 담배연기 속에 피는 사랑 | |
수 차오핑 | 검우강호 | 중국중국어 / / |
박훈정 | 부당거래 | 대한민국한국어 |
펑하오샹, 맥계화 | 출기 | |
주쑤진, 수핑, 장원, 궈쥔리, 웨이샤오, 리부콩 | 쏘리 쏘리, 아이 러브 유 | 중국중국어 / |
펑하오샹, 헤이워드 믹 | 사랑의 럼블 | |
박훈정 | 악마를 보았다 | 대한민국한국어 |
수상: 이창동 | 시 | 대한민국한국어 |
2. 9. 기타 부문상
부문 | 후보 | 수상 |
---|---|---|
촬영상 | 리판빙 - 상실의 시대 | |
미술상 | 하야시다 유지 - 13인의 자객 | |
음악상 | 인디언 오션 - 더 폴링 | |
편집상 | 남나영 - 악마를 보았다 | |
시각효과상 | 필 존스 - 대지진 | |
의상상 | 장숙평 - 양자탄비파 |
추이샤오밍(홍콩)은 공로상을, 김동호(대한민국)는 아시아 영화 발전에 대한 공헌상을 수상하였다.[1] 펑샤오강 감독의 《당산 대지진》(唐山大地震|당산 대지진중국어}}) (중국)은 2010년 아시아 최고 흥행 영화상을, 포티시모 필름스(Fortissimo Films)는 아시아 영화 진흥상을 수상하였다.[1]
3. 특별상
3. 1. 공로상
추이샤오밍(홍콩)이 공로상을 수상하였다.[1] 아시아 영화 발전에 대한 공헌상은 김동호(대한민국)가 수상하였다.[1]
3. 2. 아시아 영화 발전 공헌상
김동호는 대한민국 영화계의 대표적인 인물로, 아시아 영화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1]
3. 3. 2010년 아시아 최고 흥행 영화상
당산 대지진 (唐山大地震|당산 대지진중국어) (중국)의 펑샤오강 감독이 2010년 아시아 최고 흥행 영화상을 수상하였다.[1]
3. 4. 아시아 영화 진흥상
포티시모 필름스(Fortissimo Films)는 홍콩과 암스테르담에 기반을 둔 영화 제작, 판매 및 배급 회사였다. 이 회사는 아시아와 서양 영화를 전 세계에 배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