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광역시의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광역시의회 선거는 2014년에 치러졌으며, 지역구 42석과 비례대표 5석을 선출했다. 선거 결과, 새누리당이 지역구 42석과 비례대표 3석을 확보하여 압도적인 다수당이 되었고, 새정치민주연합은 비례대표 2석을 얻었다.
부산광역시의회는 총 47개의 선거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선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2. 지역구 선거구
선거구명 관할 지역 중구 선거구 중구 전역 서구 제1선거구 동대신1동, 동대신2동, 동대신3동, 서대신1동, 서대신3동, 서대신4동, 부민동 서구 제2선거구 아미동, 초장동, 충무동, 남부민1동, 남부민2동, 암남동 동구 제1선거구 초량1동, 초량2동, 초량3동, 초량6동, 수정1동, 수정2동, 수정4동 동구 제2선거구 수정5동, 좌천1동, 좌천4동, 범일1동, 범일2동, 범일4동, 범일5동 영도구 제1선거구 남항동, 영선1동, 영선2동, 신선동, 봉래1동, 봉래2동, 청학1동 영도구 제2선거구 청학2동, 동삼1동, 동삼2동, 동삼3동 부산진구 제1선거구 부전1동, 범전동, 연지동, 초읍동, 양정1동, 양정2동 부산진구 제2선거구 부암1동, 부암3동, 당감1동, 당감2동, 당감4동 부산진구 제3선거구 부전2동, 전포1동, 전포2동, 전포3동, 가야1동, 범천1동, 범천2동, 범천4동 부산진구 제4선거구 가야2동, 개금1동, 개금2동, 개금3동 동래구 제1선거구 수민동, 복산동, 명륜동 동래구 제2선거구 온천1동, 온천2동, 온천3동, 사직1동, 사직2동, 사직3동 동래구 제3선거구 안락1동, 안락2동, 명장1동, 명장2동 남구 제1선거구 대연1동, 대연3동, 대연4동, 대연5동, 대연6동 남구 제2선거구 용호1동, 용호2동, 용호3동, 용호4동 남구 제3선거구 용당동, 감만1동, 감만2동, 우암동 남구 제4선거구 문현1동, 문현2동, 문현3동, 문현4동 북구 제1선거구 구포1동, 구포2동, 구포3동 북구 제2선거구 덕천1동, 덕천3동, 만덕1동, 만덕2동, 만덕3동 북구 제3선거구 금곡동, 화명2동 북구 제4선거구 화명1동, 화명3동, 덕천2동 해운대구 제1선거구 중1동, 우1동, 우2동 해운대구 제2선거구 중2동, 좌1동, 좌2동, 좌3동, 좌4동, 송정동 해운대구 제3선거구 반여2동, 반여3동, 재송1동, 재송2동 해운대구 제4선거구 반여1동, 반여4동, 반송1동, 반송2동, 반송3동 기장군 제1선거구 기장읍 기장군 제2선거구 장안읍, 일광면, 정관읍, 철마면 사하구 제1선거구 괴정1동, 괴정2동, 괴정3동, 괴정4동 사하구 제2선거구 당리동, 하단1동, 하단2동 사하구 제3선거구 신평1동, 신평2동, 구평동, 감천1동, 감천2동 사하구 제4선거구 장림1동, 장림2동, 다대1동, 다대2동 금정구 제1선거구 서1동, 서2동, 서3동, 금사동, 부곡1동, 부곡2동, 부곡3동, 부곡4동, 선두구동, 청룡노포동 금정구 제2선거구 장전1동, 장전2동, 장전3동, 남산동, 구서1동, 구서2동, 금성동 강서구 제1선거구 대저1동, 대저2동, 강동동, 가락동, 명지동(1~15통, 18~20통) 강서구 제2선거구 명지동(16~17통, 21~33통), 녹산동, 천가동 연제구 제1선거구 거제1동, 거제2동, 거제3동, 거제4동, 연산2동, 연산4동, 연산5동 연제구 제2선거구 연산1동, 연산3동, 연산6동, 연산8동, 연산9동 수영구 제1선거구 남천1동, 남천2동, 광안1동, 광안2동, 광안3동, 광안4동 수영구 제2선거구 수영동, 망미1동, 망미2동, 민락동 사상구 제1선거구 삼락동, 모라동(모라1동, 모라3동), 덕포동(덕포1동, 덕포2동), 괘법동, 감전동 사상구 제2선거구 주례동(주례1동, 주례2동, 주례3동), 학장동, 엄궁동
2. 1. 중구 선거구
선거구명 | 관할 지역 |
---|---|
중구 선거구 | 중구 전역 |
2. 2. 서구 선거구
선거구명 | 관할 지역 |
---|---|
서구 제1선거구 | 동대신1동, 동대신2동, 동대신3동, 서대신1동, 서대신3동, 서대신4동, 부민동 |
서구 제2선거구 | 아미동, 초장동, 충무동, 남부민1동, 남부민2동, 암남동 |
2. 3. 동구 선거구
선거구명 | 관할 지역 |
---|---|
동구 제1선거구 | 초량1동, 초량2동, 초량3동, 초량6동, 수정1동, 수정2동, 수정4동 |
동구 제2선거구 | 수정5동, 좌천1동, 좌천4동, 범일1동, 범일2동, 범일4동, 범일5동 |
2. 4. 영도구 선거구
2. 5. 부산진구 선거구
선거구명 | 관할 지역 |
---|---|
부산진구 제1선거구 | 부전1동, 범전동, 연지동, 초읍동, 양정1동, 양정2동 |
부산진구 제2선거구 | 부암1동, 부암3동, 당감1동, 당감2동, 당감4동 |
부산진구 제3선거구 | 부전2동, 전포1동, 전포2동, 전포3동, 가야1동, 범천1동, 범천2동, 범천4동 |
부산진구 제4선거구 | 가야2동, 개금1동, 개금2동, 개금3동 |
2. 6. 동래구 선거구
선거구명 | 관할 지역 |
---|---|
동래구 제1선거구 | 수민동, 복산동, 명륜동 |
동래구 제2선거구 | 온천1동, 온천2동, 온천3동, 사직1동, 사직2동, 사직3동 |
동래구 제3선거구 | 안락1동, 안락2동, 명장1동, 명장2동 |
2. 7. 남구 선거구
선거구명 | 관할 지역 |
---|---|
남구 제1선거구 | 대연1동, 대연3동, 대연4동, 대연5동, 대연6동 |
남구 제2선거구 | 용호1동, 용호2동, 용호3동, 용호4동 |
남구 제3선거구 | 용당동, 감만1동, 감만2동, 우암동 |
남구 제4선거구 | 문현1동, 문현2동, 문현3동, 문현4동 |
2. 8. 북구 선거구
선거구명 | 관할 지역 |
---|---|
북구 제1선거구 | 구포1동, 구포2동, 구포3동 |
북구 제2선거구 | 덕천1동, 덕천3동, 만덕1동, 만덕2동, 만덕3동 |
북구 제3선거구 | 금곡동, 화명2동 |
북구 제4선거구 | 화명1동, 화명3동, 덕천2동 |
2. 9. 해운대구 선거구
선거구명 | 관할 지역 |
---|---|
해운대구 제1선거구 | 중1동, 우1동, 우2동 |
해운대구 제2선거구 | 중2동, 좌1동, 좌2동, 좌3동, 좌4동, 송정동 |
해운대구 제3선거구 | 반여2동, 반여3동, 재송1동, 재송2동 |
해운대구 제4선거구 | 반여1동, 반여4동, 반송1동, 반송2동, 반송3동 |
2. 10. 기장군 선거구
2. 11. 사하구 선거구
선거구명 | 관할 지역 |
---|---|
사하구 제1선거구 | 괴정1동, 괴정2동, 괴정3동, 괴정4동 |
사하구 제2선거구 | 당리동, 하단1동, 하단2동 |
사하구 제3선거구 | 신평1동, 신평2동, 구평동, 감천1동, 감천2동 |
사하구 제4선거구 | 장림1동, 장림2동, 다대1동, 다대2동 |
2. 12. 금정구 선거구
선거구명 | 관할 지역 |
---|---|
금정구 제1선거구 | 서1동, 서2동, 서3동, 금사동, 부곡1동, 부곡2동, 부곡3동, 부곡4동, 선두구동, 청룡노포동 |
금정구 제2선거구 | 장전1동, 장전2동, 장전3동, 남산동, 구서1동, 구서2동, 금성동 |
2. 13. 강서구 선거구
선거구명 | 관할 지역 |
---|---|
강서구 제1선거구 | 대저1동, 대저2동, 강동동, 가락동, 명지동(1~15통, 18~20통) |
강서구 제2선거구 | 명지동(16~17통, 21~33통), 녹산동, 천가동 |
2. 14. 연제구 선거구
선거구명 | 관할 지역 |
---|---|
연제구 제1선거구 | 거제1동, 거제2동, 거제3동, 거제4동, 연산2동, 연산4동, 연산5동 |
연제구 제2선거구 | 연산1동, 연산3동, 연산6동, 연산8동, 연산9동 |
2. 15. 수영구 선거구
2. 16. 사상구 선거구
선거구명 | 관할 지역 |
---|---|
사상구 제1선거구 | 삼락동, 모라동(모라1동, 모라3동), 덕포동(덕포1동, 덕포2동), 괘법동, 감전동 |
사상구 제2선거구 | 주례동(주례1동, 주례2동, 주례3동), 학장동, 엄궁동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부산광역시의회 지역구 선거는 새누리당이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각 지역구별 결과는 다음과 같다.
3. 지역구 선거 결과
3. 1. 중구
'''중구'''에서는 새누리당 최영규 후보가 당선되었다.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새누리당 | 최영규 | 13,835 | 61.11% |
새정치민주연합 | 이병환 | 5,774 | 25.50% |
무소속 | 김진필 | 3,028 | 13.37% |
합계 | 22,637 |
3. 2. 서구
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서구 제1선거구 | 권칠우 | 새누리당 | 16,215 | 58.44% |
서구 제1선거구 | 이경포 | 무소속 | 11,528 | 41.55% |
서구 제2선거구 | 공한수 | 새누리당 | 16,292 | 61.75% |
서구 제2선거구 | 김종대 | 무소속 | 7,757 | 29.40% |
서구 제2선거구 | 곽정훈 | 무소속 | 2,334 | 8.84% |
3. 3. 동구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 동구 기초의원 선거 결과 | |||
---|---|---|---|
선거구 | 당선자 | 정당 | 비고 |
동구 제1선거구 | 김진홍 | 새누리당 | |
동구 제2선거구 | 김종한 | 새누리당 |
'''동구 제1선거구'''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동구 제1선거구 | |||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새누리당 | 김진홍 | 12,747표 | 55.98% |
무소속 | 강철호 | 6,918표 | 30.38% |
무소속 | 정충보 | 3,105표 | 13.63% |
합계 | 22,770표 | |
'''동구 제2선거구'''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동구 제2선거구 | |||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새누리당 | 김종한 | 15,210표 | 65.20% |
새정치민주연합 | 안효득 | 8,116표 | 34.79% |
합계 | 23,326표 | |
3. 4. 영도구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영도구 제1선거구에서는 새누리당 황보승희 후보가 72.9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고, 통합진보당 박용찬 후보는 27.01%를 득표했다. 영도구 제2선거구에서는 새누리당 이상호 후보가 58.9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고, 새정치민주연합 박상현 후보는 41.06%를 득표했다.선거구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영도구 제1선거구 | 새누리당 | 황보승희 | 20,449 | 72.98% |
영도구 제1선거구 | 통합진보당 | 박용찬 | 7,570 | 27.01% |
영도구 제2선거구 | 새누리당 | 이상호 | 18,068 | 58.93% |
영도구 제2선거구 | 새정치민주연합 | 박상현 | 12,592 | 41.06% |
3. 5. 부산진구
선거구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부산진구 제1선거구 | 새누리당 | 박석동 | 27,192 | 58.07% |
새정치민주연합 | 서진혜 | 14,735 | 31.47% | |
무소속 | 김선미 | 4,895 | 10.45% | |
합계 | 46,822 | 100% |
선거구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부산진구 제2선거구 | 새누리당 | 이대석 | 24,071 | 54.52% |
새정치민주연합 | 서은숙 | 18,427 | 41.74% | |
통합진보당 | 김도숙 | 1,648 | 3.73% | |
합계 | 44,146 | 100% |
선거구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부산진구 제3선거구 | 새누리당 | 김병환 | 25,269 | 54.13% |
새정치민주연합 | 송병곤 | 15,066 | 32.27% | |
무소속 | 고진현 | 4,219 | 9.03% | |
통합진보당 | 안수용 | 1,234 | 2.64% | |
노동당 | 이지원 | 889 | 1.90% | |
합계 | 46,677 | 100% |
선거구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부산진구 제4선거구 | 새누리당 | 김영욱 | 21,261 | 57.04% |
새정치민주연합 | 조권환 | 16,011 | 42.95% | |
합계 | 37,272 | 100% |
3. 6. 동래구
제6회 지방 선거 동래구 제1선거구에서는 새누리당 박중묵 후보가 58.1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박민성 후보는 41.89%를 득표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박중묵 | 새누리당 | 17,840 | 58.10% |
박민성 | 무소속 | 12,863 | 41.89% |
합계 | 30,703 | 100% |
제6회 지방 선거 동래구 제2선거구에서는 새누리당 권오성 후보가 60.5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정임석 후보는 22.21%, 무소속 박경석 후보는 17.24%를 득표했다.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권오성 | 새누리당 | 35,500 | 60.54% |
정임석 | 무소속 | 13,024 | 22.21% |
박경석 | 무소속 | 10,111 | 17.24% |
합계 | 58,635 | 100% |
제6회 지방 선거 동래구 제3선거구에서는 새누리당 이진수 후보가 58.1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하태견 후보는 29.66%, 노동당 권우상 후보는 12.18%를 득표했다.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이진수 | 새누리당 | 21,647 | 58.15% |
하태견 | 무소속 | 11,043 | 29.66% |
권우상 | 노동당 | 4,536 | 12.18% |
합계 | 37,226 | 100% |
3. 7. 남구
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남구 제1선거구 | 이희철 | 새누리당 | {{cvt|} | } || 57.01%
선거구 | 당선자 | 정당 | 득표율 |
---|---|---|---|
북구 제1선거구 | 박대근 | 새누리당 | 55.03% |
북구 제2선거구 | 손상용 | 새누리당 | 58.58% |
북구 제3선거구 | 이종진 | 새누리당 | 52.72% |
북구 제4선거구 | 이상민 | 새누리당 | 51.14% |
3. 9. 해운대구
선거구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해운대구 제1선거구 | 새누리당 | 신정철 | 27,485 | 61.94% |
해운대구 제2선거구 | 새누리당 | 최준식 | 26,111 | 49.50% |
해운대구 제3선거구 | 새누리당 | 김진영 | 23,735 | 63.56% |
해운대구 제4선거구 | 새누리당 | 강무길 | 29,215 | 60.23%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서는 총 4명의 시의원을 선출했으며, 모든 선거구에서 새누리당 후보가 당선되었다. 각 선거구별 당선자와 득표율은 위 표와 같다.
3. 10. 기장군
'''기장군 제1선거구'''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박인대 | 새누리당 | 13,862 | 55.85% |
김유환 | 무소속 | 8,344 | 33.61% |
박성훈 | 노동당 | 2,613 | 10.52% |
합계 | 24,819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누리당 박인대 후보가 당선되었다.
'''기장군 제2선거구'''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쌍우 | 새누리당 | 21,620 | 59.95% |
정영주 | 새정치민주연합 | 14,439 | 40.04% |
합계 | 36,059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누리당 김쌍우 후보가 당선되었다.
3. 11. 사하구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 사하구 | ||||
---|---|---|---|---|
선거구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사하구 제1선거구 | 새누리당 | 최영진 | 20,505 | 68.49% |
사하구 제2선거구 | 새누리당 | 신현무 | 20,346 | 55.75% |
사하구 제3선거구 | 새누리당 | 김홍남 | 18,485 | 56.77% |
사하구 제4선거구 | 새누리당 | 조정화 | 26,468 | 53.86% |
3. 12. 금정구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금정구 제1선거구에서는 새누리당 백종헌 후보가 64.4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인철 후보는 19.93%, 통합진보당 박명진 후보는 15.61%를 득표했다.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금정구 제2선거구에서는 새누리당 박성명 후보가 54.9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이일권 후보는 28.71%, 통합진보당 김태진 후보는 16.38%를 득표했다.
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금정구 제1선거구 | 백종헌 | 새누리당 | 35,731 | 64.44% |
금정구 제1선거구 | 김인철 | 무소속 | 11,054 | 19.93% |
금정구 제1선거구 | 박명진 | 통합진보당 | 8,656 | 15.61% |
금정구 제2선거구 | 박성명 | 새누리당 | 33,485 | 54.90% |
금정구 제2선거구 | 이일권 | 무소속 | 17,509 | 28.71% |
금정구 제2선거구 | 김태진 | 통합진보당 | 9,991 | 16.38% |
3. 13. 강서구
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강서구 제1선거구 | 김진용 | 새누리당 | 8,175 | 48.49% |
조경환 | 무소속 | 3,595 | 21.32% | |
이성두 | 무소속 | 3,570 | 21.17% | |
이대진 | 통합진보당 | 1,517 | 8.99% | |
강서구 제1선거구 합계 | 16,857 | |||
강서구 제2선거구 | 윤종현 | 새누리당 | 10,297 | 59.89% |
박인식 | 새정치민주연합 | 6,894 | 40.10% | |
강서구 제2선거구 합계 | 17,191 |
3. 14. 연제구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광역시 연제구 제1선거구 | |||
---|---|---|---|
* 유권자: 95,750명 |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새누리당 | 안재권 | 30,429표 | 56.23% |
새정치민주연합 | 김태훈 | 17,705표 | 32.71% |
무소속 | 차성민 | 5,978표 | 11.04% |
합계 | 54,112표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광역시 연제구 제2선거구 | |||
---|---|---|---|
* 유권자: 78,657명 |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새누리당 | 이해동 | 25,171표 | 58.56% |
무소속 | 박재홍 | 11,020표 | 25.64% |
통합진보당 | 서희자 | 6,785표 | 15.78% |
합계 | 42,976표 |
3. 15. 수영구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수영구 결과 | ||||
---|---|---|---|---|
선거구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수영구 제1선거구 | 새누리당 | 강성태 | 26,472 | 60.26% |
수영구 제1선거구 | 새정치민주연합 | 이종준 | 11,667 | 26.55% |
수영구 제1선거구 | 무소속 | 강혜란 | 5,789 | 13.17% |
수영구 제2선거구 | 새누리당 | 전봉민 | 24,055 | 65.05% |
수영구 제2선거구 | 새정치민주연합 | 이남중 | 12,920 | 34.94% |
3. 16. 사상구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 사상구 결과 | |||
---|---|---|---|
선거구 | 성명 | 정당 | 득표율 |
제1선거구 | 이상갑 | 새누리당 | 58.67% |
제2선거구 | 오보근 | 새누리당 | 53.50% |
4.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부산광역시의회 비례대표 의원 선거에서는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이 각각 3명, 2명의 의원을 당선시켰다.
4. 1. 정당 투표 결과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 수 |
---|---|---|---|
새누리당 | 921,198 | 58.14 | 3 |
새정치민주연합 | 520,414 | 32.84 | 2 |
통합진보당 | 63,646 | 4.01 | 0 |
정의당 | 45,351 | 2.86 | 0 |
노동당 | 20,462 | 1.29 | 0 |
녹색당 | 13,363 | 0.84 | 0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부산광역시의회 비례대표 정당 투표에서는 새누리당이 58.14%의 득표율로 3명의 의원을 당선시켰고, 새정치민주연합은 32.84%의 득표율로 2명의 의원을 당선시켰다. 통합진보당, 정의당, 노동당, 녹색당은 의원 당선에 실패했다.
4. 2. 비례대표 당선자
정당 | 이름 |
---|---|
새누리당 | 김남희 |
새누리당 | 황대선 |
새누리당 | 박광숙 |
새정치민주연합 | 전진영 |
새정치민주연합 | 정명희 |
5. 전체 결과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새누리당 | 42 | 3 | 45 |
새정치민주연합 | 0 | 2 | 2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 부산광역시의회는 새누리당이 지역구 42석과 비례대표 3석을 합쳐 총 45석을 차지하며 압도적인 다수당이 되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비례대표 2석을 얻는 데 그쳤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