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창원시의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지역구 선거구
- 3. 지역구 선거 결과
- 3.1. 창원시 가선거구 (의창구)
- 3.2. 창원시 나선거구 (의창구)
- 3.3. 창원시 다선거구 (의창구)
- 3.4. 창원시 라선거구 (성산구)
- 3.5. 창원시 마선거구 (성산구)
- 3.6. 창원시 바선거구 (성산구)
- 3.7. 창원시 사선거구 (마산합포구)
- 3.8. 창원시 아선거구 (마산합포구)
- 3.9. 창원시 자선거구 (마산합포구)
- 3.10. 창원시 차선거구 (마산합포구)
- 3.11. 창원시 카선거구 (마산회원구)
- 3.12. 창원시 타선거구 (마산회원구)
- 3.13. 창원시 파선거구 (마산회원구)
- 3.14. 창원시 하선거구 (진해구)
- 3.15. 창원시 거선거구 (진해구)
- 3.16. 창원시 너선거구 (진해구)
- 3.17. 창원시 더선거구 (진해구)
- 4. 비례대표 선거 결과
- 5. 전체 결과
- 참조
1. 개요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창원시의회 선거는 2014년에 치러졌으며, 지역구 16개 선거구와 비례대표 선거로 진행되었다. 지역구 선거 결과, 새누리당이 25석, 새정치민주연합(현 더불어민주당)이 6석, 통합진보당이 4석, 무소속이 3석을 얻었다. 비례대표 선거에서는 새누리당이 3석, 새정치민주연합이 2석을 차지하여, 창원시의회 전체 의석은 새누리당 28석, 새정치민주연합 8석, 통합진보당 4석, 무소속 3석으로 구성되었다.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창원시의회 지역구 선거구는 창원시의 5개 일반구인 의창구, 성산구, 마산합포구, 마산회원구, 진해구를 기준으로 총 17개의 선거구로 나뉘었다. 각 선거구는 관할하는 행정구역에 따라 구분되며, 선거구별로 2명 또는 3명의 시의원을 선출하였다. 자세한 선거구별 정보는 아래 각 구별 문단을 참고한다.
2. 지역구 선거구
2. 1. 의창구
wikitext
2. 2. 성산구
wikitext
2. 3. 마산합포구
wikitext선거구명 | 관할 지역 | 선출 의원 수 |
---|---|---|
창원시 사선거구 | 마산합포구 구산면, 진동면, 진북면, 진전면 | 2 |
창원시 아선거구 | 마산합포구 현동, 가포동, 월영동, 문화동, 반월동, 중앙동 | 2 |
창원시 자선거구 | 마산합포구 완월동, 자산동, 동서동, 성호동, 오동동 | 2 |
창원시 차선거구 | 마산합포구 교방동, 노산동, 합포동, 산호동 | 2 |
2. 4. 마산회원구
선거구명 | 관할 지역 | 선출 의원 수 |
---|---|---|
창원시 카선거구 | 마산회원구 내서읍 | 2 |
창원시 타선거구 | 마산회원구 회원1동, 회원2동, 석전1동, 석전2동, 회성동, 합성1동 | 2 |
창원시 파선거구 | 마산회원구 양덕1동, 양덕2동, 합성2동, 구암1동, 구암2동, 봉암동 | 3 |
2. 5. 진해구
wikitext선거구명 | 관할 지역 | 선출 의원 수 |
---|---|---|
창원시 하선거구 | 진해구 중앙동, 태평동, 충무동, 여좌동 | 2 |
창원시 거선거구 | 진해구 태백동, 경화동, 병암동, 석동 | 2 |
창원시 너선거구 | 진해구 이동, 자은동, 덕산동, 풍호동 | 2 |
창원시 더선거구 | 진해구 웅천동, 웅동1동, 웅동2동 | 2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창원시의회 지역구 선거의 각 선거구별 결과는 아래와 같다.
3. 지역구 선거 결과
3. 1. 창원시 가선거구 (의창구)
순위 | 후보자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1 | 김우돌 | 새누리당 | 9,167 | 23.97% | 당선 |
2 | 김장하 | 새정치민주연합 | 8,610 | 22.51% | 당선 |
3 | 김동수 | 새누리당 | 6,793 | 17.76% | 당선 |
4 | 차형보 | 새누리당 | 5,849 | 15.29% | |
5 | 박한석 | 무소속 | 4,633 | 12.11% | |
6 | 김석규 | 무소속 | 3,190 | 8.34% | |
합계 | 38,242 |
3. 2. 창원시 나선거구 (의창구)
유권자 수는 76,632명이다.이름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방종근 | 새누리당 | 12,299 | 28.99% | 당선 |
주철우 | 새정치민주연합 | 8,388 | 19.77% | 당선 |
강영희 | 통합진보당 | 6,179 | 14.56% | 당선 |
정성교 | 무소속 | 5,402 | 12.73% | |
허남명 | 새누리당 | 4,566 | 10.76% | |
황긍일 | 새누리당 | 4,366 | 10.29% | |
오상준 | 노동당 | 1,224 | 2.88% | |
합계 | 42,424표 | colspan="2" | |
3. 3. 창원시 다선거구 (의창구)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 (유권자 수: 58,315명, 투표 수: 30,238표)정당 | 후보자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새누리당 | 이희철 | 10,284 | 34.01% | 당선 |
새정치민주연합 | 공창섭 | 9,299 | 30.75% | 당선 |
새누리당 | 진정원 | 6,010 | 19.87% | 낙선 |
통합진보당 | 최미니 | 4,645 | 15.36% | 낙선 |
3. 4. 창원시 라선거구 (성산구)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이다.후보자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이찬호 | 새누리당 | 13,173 | 36.08% | 당선 |
정영주 | 통합진보당 | 11,416 | 31.26% | 당선 |
임채현 | 새누리당 | 7,014 | 19.21% | 낙선 |
한길수 | 무소속 | 4,905 | 13.43% | 낙선 |
합계 | 36,508표 | 유효표 기준 |
3. 5. 창원시 마선거구 (성산구)
- '''유권자 수''': 67,688명
- '''투표수''': 39,746표
순위 | 후보자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1 | 김삼모 | 새정치민주연합 | 9,001 | 22.64% | 당선 |
2 | 강호상 | 새누리당 | 8,681 | 21.84% | 당선 |
3 | 노창섭 | 무소속 | 5,848 | 14.71% | 당선 |
4 | 박성호 | 새누리당 | 5,675 | 14.27% | 낙선 |
5 | 김경수 | 새누리당 | 4,980 | 12.52% | 낙선 |
6 | 김준용 | 통합진보당 | 3,438 | 8.64% | 낙선 |
7 | 노성식 | 무소속 | 2,123 | 5.34% | 낙선 |
3. 6. 창원시 바선거구 (성산구)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새누리당 | 강장순 | 10,853 | 34.38% | 당선 |
통합진보당 | 김석규 | 9,176 | 29.07% | 당선 |
정의당 | 여월태 | 7,029 | 22.26% | |
새누리당 | 홍성실 | 4,507 | 14.27% | |
계 | 31,565표 | colspan="2" | |
3. 7. 창원시 사선거구 (마산합포구)
wikitext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창원시 사선거구 후보별 득표 순위 (마산합포구) | ||||
---|---|---|---|---|
정당 | 후보자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새누리당 | 김이근 | 5,524 | 44.80% | 당선 |
새누리당 | 이천수 | 2,662 | 21.59% | 당선 |
무소속 | 박성원 | 1,570 | 12.73% | |
무소속 | 김승주 | 1,290 | 10.46% | |
무소속 | 추만수 | 1,283 | 10.40% | |
계 | 12,329표 | - |
3. 8. 창원시 아선거구 (마산합포구)
wikitext후보자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정쌍학 | 새누리당 | 12,776 | 40.57% | 당선 |
이옥선 | 무소속 | 7,768 | 24.66% | 당선 |
정길상 | 새누리당 | 7,029 | 22.32% | 낙선 |
정판식 | 무소속 | 2,162 | 6.86% | 낙선 |
배재수 | 무소속 | 1,753 | 5.56% | 낙선 |
합계 | 31,488표 | colspan="2" | |
3. 9. 창원시 자선거구 (마산합포구)
- '''유권자수''': 39,479명
- '''투표수''': 20,948표
순위 | 후보자 | 정당명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1 | 박옥순 | 새누리당 | 7,765 | 37.06% | 당선 |
2 | 김재철 | 새누리당 | 7,046 | 33.63% | 당선 |
3 | 김진 | 통합진보당 | 2,365 | 11.28% | |
4 | 손광문 | 무소속 | 1,943 | 9.27% | |
5 | 손태복 | 무소속 | 947 | 4.52% | |
6 | 조대래 | 무소속 | 882 | 4.21% | |
계 | 20,948표 | 100% |
3. 10. 창원시 차선거구 (마산합포구)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황일두 | 새누리당 | 7,762 | 40.93% | 당선 |
김순식 | 새누리당 | 3,746 | 19.75% | 당선 |
홍용채 | 무소속 | 2,829 | 14.91% | |
장철규 | 무소속 | 1,871 | 9.86% | |
조종래 | 무소속 | 1,494 | 7.87% | |
송은옥 | 무소속 | 804 | 4.23% | |
조동환 | 무소속 | 457 | 2.40% | |
합계 | 18,963표 |
3. 11. 창원시 카선거구 (마산회원구)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노종래 | 새누리당 | 12,915 | 40.51% | 당선 |
송순호 | 통합진보당 | 11,613 | 36.43% | 당선 |
김상만 | 새누리당 | 7,349 | 23.05% | |
합계 | 31,877표 | colspan="2" | |
3. 12. 창원시 타선거구 (마산회원구)
- '''유권자 수''': 54,678명
- '''투표수''': 28,772표
- '''투표율''': 52.62%
정당 | 후보자 | 득표수 | 득표율 | 결과 |
---|---|---|---|---|
새누리당 | 노판식 | 12,327 | 42.84% | 당선 |
새정치민주연합 | 김종대 | 9,340 | 32.46% | 당선 |
새누리당 | 박덕조 | 7,105 | 24.69% | 낙선 |
3. 13. 창원시 파선거구 (마산회원구)
- '''유권자수''': 66,847명
- '''투표수''': 37,377표
순위 | 후보자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1 | 조영명 | 새누리당 | 11,886 | 31.80% | 당선 |
2 | 손태화 | 새정치민주연합 | 10,311 | 27.58% | 당선 |
3 | 이상인 | 새누리당 | 7,666 | 20.50% | 당선 |
4 | 문순규 | 통합진보당 | 6,319 | 16.90% | |
5 | 배효연 | 새누리당 | 1,195 | 3.19% | |
합계 | 37,377표 |
3. 14. 창원시 하선거구 (진해구)
wikitext이름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이해련 | 새누리당 | 6,741 | 45.72% | 당선 |
전수명 | 새누리당 | 4,293 | 29.12% | 당선 |
김종율 | 무소속 | 3,707 | 25.14% | |
계 | 14,741표 | ※ 전체 투표율: 56.38% |
3. 15. 창원시 거선거구 (진해구)
후보자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유원석 | 새누리당 | 7,859 | 38.72% | 당선 |
김헌일 | 새누리당 | 5,928 | 29.20% | 당선 |
김주석 | 무소속 | 4,376 | 21.56% | |
조광호 | 무소속 | 2,132 | 10.50% | |
합계 | 20,295표 | 유효표 기준 |
3. 16. 창원시 너선거구 (진해구)
후보자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박춘덕 | 새누리당 | 6,868 | 29.45% | 당선 |
김성일 | 새누리당 | 5,540 | 23.75% | 당선 |
박철하 | 무소속 | 5,084 | 21.80% | |
김태웅 | 통합진보당 | 3,838 | 16.45% | |
박지호 | 무소속 | 1,989 | 8.52% | |
합계 | 23,319표 | colspan="2" | |
3. 17. 창원시 더선거구 (진해구)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창원시 더선거구'''의 선거 결과이다. 해당 선거구는 진해구 지역을 관할하며, 총 유권자 수는 34,787명이었다. 선거 결과, 새누리당 이치우 후보와 무소속 김하용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자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이치우 | 새누리당 | 6,283 | 37.79% | 당선 |
김하용 | 무소속 | 4,203 | 25.28% | 당선 |
이성섭 | 무소속 | 4,046 | 24.33% | 낙선 |
박기성 | 새누리당 | 2,092 | 12.58% | 낙선 |
계 | 16,624 | 100% |
4.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창원시의회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별 득표율에 따라 의석이 배분되었다. 새누리당은 57.38%의 득표율로 3석을, 새정치민주연합은 30.13%의 득표율로 2석을 각각 확보하였다. 통합진보당, 노동당, 정의당은 의석 배분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여 비례대표 의석을 얻지 못했다.
4. 1. 정당 투표 결과
wikitext
4. 2. 비례대표 당선자
wikitext순번 | 새누리당 | 새정치민주연합 |
---|---|---|
1 | 김영미 | 한은정 |
2 | 배여진 | 이민희 |
3 | 배옥숙 |
5. 전체 결과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
style="background:#E2001A;" | | 새누리당 | 25 | 3 | 28 |
style="background:#00A0E2;" | | 새정치민주연합 | 6 | 2 | 8 |
style="background:#7D1F79;" | | 통합진보당 | 4 | 0 | 4 |
style="background:#CCCCCC;" | | 무소속 | 3 | - | 3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 창원시의회는 위와 같이 구성되었다. 새누리당이 총 28석(지역구 25석, 비례대표 3석)을 획득하여 과반 의석을 차지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지역구 6석과 비례대표 2석을 더해 총 8석을 확보하며 창원시민들의 지지를 확인했다. 통합진보당은 지역구에서 4석을 얻었으며, 무소속 후보도 3명이 당선되어 의회 구성에 다양성을 더했다. 이러한 결과는 새누리당이 다수당의 지위를 유지하는 가운데, 새정치민주연합을 비롯한 야권 및 무소속 의원들의 활동을 통해 다양한 시민의 목소리가 시정에 반영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