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산구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의 구로, 2010년 7월 1일 통합 창원시 출범과 함께 설치되었다. 창원시의 옛 지명인 성산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창원분지의 중심지인 성산 일대에 위치한다. 역사적으로 청동기 시대부터 취락이 형성되었고, 삼한 시대에는 철기 문화가 발달했으며, 통일신라 시대에는 의안군으로 불렸다. 현재 8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21년 7월 기준 25만 명 이상의 인구가 거주한다. 주요 교통 시설로는 국도, 터널, 교량 등이 있으며, 진해선 철도가 지나간다. 관광 명소로는 삼귀해안, 성주사, 불곡사, 안민고개 등이 있고, 창원시청, 창원축구센터, 한국기계연구원 등 주요 시설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남도의 구 - 의창구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는 1읍 2면 4동으로 구성된 행정구역으로, 경남 행정 및 창원시 교통의 중심지이며 주요 교육 및 문화시설이 위치하고, 2021년 7월 기준 인구는 21만 8,589명이다. - 경상남도의 구 - 마산합포구
창원시 마산합포구는 마산시 인구 증가로 설치, 폐지되었다가 창원시 통합 과정에서 재신설되었으며, 옛 지명 '합포'를 포함한 명칭으로 구산면, 진동면 등 일부 지역을 관할하고 마산어시장, 마산가고파국화축제, 경남 마산로봇랜드와 경남대학교를 포함한 교육 기관이 위치한다. - 창원시의 구 - 의창구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는 1읍 2면 4동으로 구성된 행정구역으로, 경남 행정 및 창원시 교통의 중심지이며 주요 교육 및 문화시설이 위치하고, 2021년 7월 기준 인구는 21만 8,589명이다. - 창원시의 구 - 마산합포구
창원시 마산합포구는 마산시 인구 증가로 설치, 폐지되었다가 창원시 통합 과정에서 재신설되었으며, 옛 지명 '합포'를 포함한 명칭으로 구산면, 진동면 등 일부 지역을 관할하고 마산어시장, 마산가고파국화축제, 경남 마산로봇랜드와 경남대학교를 포함한 교육 기관이 위치한다. - 성산구 - 창원시 성산구 (선거구)
창원시 성산구는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적용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로, 창원시 성산구 전 지역을 관할하며 진보 정당 지지세가 강한 지역이지만 선거 결과에 따라 정치 지형에 변화가 있다. - 성산구 - 창원지방법원
창원지방법원은 경상남도 창원시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지방법원으로, 1895년 진주재판소로 설치된 후 명칭 변경과 관할 구역 조정을 거쳐 1992년 현재의 이름으로 개칭 및 이전되었으며, 본원과 함께 마산, 거창, 밀양, 진주, 통영에 지원을 두고 각 지원은 관할 구역 내의 시군법원과 등기소를 관할한다.
성산구 | |
---|---|
개요 | |
행정구역명 | 성산구 |
한글 | 성산구 |
한자 | 城山區 |
로마자 표기 | Seongsan-gu |
![]() | |
기본 정보 | |
면적 | 82.09km² |
총 인구 (2023년) | 245,259명 |
남자 인구 | 125,110명 |
여자 인구 | 120,149명 |
세대 (2021년) | 105,052 |
하위 행정 구역 | 8개 행정동 (33개 법정동) |
상위 자치 단체 | 창원시 |
구청 소재지 | 성산구 창원대로 1086 (성주동 5) |
홈페이지 | 성산구청 홈페이지 |
정치 | |
구청장 | 홍순영 |
국회의원 | 허성무(더불어민주당, 창원시 성산구) |
상징 | |
구화 | (설정 없음) |
구목 | (설정 없음) |
구조 | (설정 없음) |
상징 동물 | (설정 없음) |
2. 역사
청동기 시대에는 창원 분지 중심지에 사람들이 모여 살기 시작했으며, 지석묘, 석관묘, 패총 등의 유적이 발견되었다. 삼한 시대에는 변한의 일부였으며, 철기 문화가 발달했음을 보여주는 야철지 유적이 남아있다. 통일신라 시대에는 '''의안군'''(義安郡)으로 불렸고, 고려 시대에는 '''의창현'''(義昌縣)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조선 시대에 들어 1408년(조선 태종 8년) '''창원도호부'''(昌原都護府)로 승격되었고, 1601년(조선 선조 34년)에는 '''창원대도호부'''(昌原大都護府)가 되었다. 이후 1895년(조선 고종 32년) 갑오개혁으로 행정구역이 개편되면서 '''창원군'''(昌原郡)이 되었다. 대한제국 시기인 1899년(광무 3년)에는 '''창원부'''(昌原府)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80년 4월 1일 창원 지역이 시로 승격되었고, 이후 2010년 마산시, 창원시, 진해시가 통합되면서 2010년 7월 1일 통합 창원시가 출범함과 동시에 일반구로서 '''성산구'''가 신설되었다.[4]
- 2010년 7월 1일: 경상남도 창원시에 구제(區制)가 실시되어 성산구가 신설되었다.[5]
- 2021년 7월 1일: 통합시 출범 이후 의창구에 속해 있던 반송동이 성산구 관할 지역과 떨어져 있는 월경지 문제가 지속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의창구의 용지동, 팔룡동 중 대원동 일대, 봉림동 일부 지역을 성산구로 편입하는 행정구역 조정이 이루어졌다.[6]
2. 1. 지명 유래
성산구의 이름은 창원의 옛 지명인 성산(城山)에서 유래했다. 성산은 현재 창원시 성산구 내동에 위치한 구릉을 가리키는 이름이다. 이곳은 창원 분지의 중심지로 남천을 끼고 있으며, 과거 창원공업단지 조성 중 발견된 사적 제240호 성산패총을 비롯하여 야철지와 통일신라시대 정치 중심지였음을 짐작하게 하는 장방형 산성 유적이 분포하고 있다. 특히 성산 야철지 유적은 삼한시대 창원 지역에 철기 문화가 발달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이며, 오늘날 대한민국 기계 산업의 중심지인 창원국가산업단지가 같은 지역에 자리 잡고 있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이러한 역사적 배경 때문에 통합 창원시 출범을 앞두고 2010년 4월 17일부터 4월 21일까지 실시된 구청 명칭 공모에서, 당시 국회의원 창원시 을선거구에 해당하는 창원 남부에 신설될 구(區)의 이름으로 '성산'이 가장 많은 지지를 받았다.[7] 이 결과는 같은 해 5월 6일 창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통합준비위원회 제13차 회의의 구 명칭 최종 결정에도 그대로 반영되었다.[8]
'성산'이라는 구 이름에는 과거 성산 지역을 기반으로 번영했던 선조들의 정신이 깃든 역사적 지명을 사용함으로써, 창원국가산업단지를 바탕으로 미래 창원시의 번영을 이끌어갈 중심지가 되고자 하는 염원이 담겨 있다.[9]
3. 행정 구역
성산구의 행정 구역은 46개의 법정동을 8개의 행정동으로 관리하고 있다. 성산구의 인구는 2021년 7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25만 3362명, 10만 4562가구이고[10], 면적은 89.06km2이다.[11]
행정동 | 영어 | 면적 (km2) | 인구 (명) | 세대 (가구) |
---|---|---|---|---|
반송동 | 盤松洞 | 2.3km2 | 41,395 | 15,451 |
용지동 | 龍池洞 | 2.65km2 | 29,654 | 13,255 |
중앙동 | 中央洞 | 8.87km2 | 34,547 | 17,730 |
상남동 | 上南洞 | 1.14km2 | 27,885 | 10,653 |
사파동 | 沙巴洞 | 8.06km2 | 45,095 | 18,465 |
가음정동 | 加音丁洞 | 2.89km2 | 40,670 | 15,943 |
성주동 | 聖住洞 | 24.94km2 | 26,335 | 9,645 |
웅남동 | 熊南洞 | 38.13km2 | 7,781 | 3,420 |
성산구 | 城山區 | 89.06km2 | 253,362 | 104,562 |
성산구는 8개 행정동으로 나뉘며, 각 행정동이 관할하는 법정동은 다음과 같다.
행정동 | 법정동 |
---|---|
반송동 | 반림동, 반송동, 반지동, 퇴촌동 |
중앙동 | 내동, 외동, 중앙동, 상남동, 대원동, 삼동동, 두대동, 덕정동 |
상남동 | 상남동 |
사파동 | 남산동, 사파동, 사파정동, 토월동, 대방동 |
가음정동 | 가음동, 가음정동, 남양동, 대방동 |
성주동 | 불모산동, 삼정자동, 성주동, 안민동, 천선동 |
웅남동 | 귀곡동, 귀산동, 귀현동, 남지동, 상복동, 성산동, 신촌동, 양곡동, 완암동, 웅남동, 월림동, 적현동, 창곡동 |
용지동 | 신월동, 용지동, 용호동, 반송동 |
4. 인구
창원시 성산구(에 해당하는 영역)의 연도별 인구 추이는 다음과 같다.[12]
5. 교통
창원평야를 따라 흐르는 남천을 끼고 창원분지 중심부에 위치한 교통의 요지이다. 각종 터널과 교량이 있어 부산, 김해, 서부경남 방향 교통의 관문 역할을 하고 있다.[13]
주요 간선도로는 다음과 같다.
주요 교통 시설로는 창원터널, 안민터널, 봉암대교, 마창대교 등이 있다.
5. 1. 철도
코레일 진해선이 지나며, 남창원역과 성주사역이 있다. 현재 정기 여객 열차는 운행되지 않는다.5. 2. 버스
- 남산시외버스정류소
6. 관광
- '''삼귀해안''': 아름다운 해안 경관과 마창대교의 야경 등 볼거리가 풍부한 곳이다.
- '''성주사''': 창원시 천선동에 위치한 사찰로, 신라 흥덕왕 10년인 835년에 창건되었다. 창원 지역의 대표적인 사찰 중 하나이다.
- '''불곡사''': 창원시 대방동에 있는 사찰로, 935년 고려 태조 18년에 세워졌다.
- '''안민고개''': 안민동과 태백동을 잇는 약 9km 길이의 아름다운 고갯길이다.
- '''테마공원'''
공원 종류 | 공원 목록 |
---|---|
테마공원 | 장미공원, 젊은이의 광장, 대방녹지공원, 대방체육공원, 가음정체육공원, 중앙체육공원, 내동공원, 88올림픽공원, 반송공원, 대상공원, 덕정공원, 월림공원, 남지공원, 양곡공원, 불모산공원, 삼정자 전통놀이공원, 가음정공원, 상남공원, 상남분수광장, 웅남공원 |
7. 주요 시설
- '''사립전문대학'''
- * 창원문성대학
- 창원컨벤션센터
- 더 시티7 : 주상복합단지
- 창원과학체험관 : 경남 유일의 과학관이다.
- 용지호수
- 창원스포츠센터
- * 창원종합운동장
- * 창원실내체육관
- 창원국제사격장

8. 자매 결연 도시
참조
[1]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2]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3]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4]
웹사이트
성산구의 역사
http://seongsan.chan[...]
2011-07-12
[5]
간행물
창원시 조례 제65호
2010-07-01
[6]
웹사이트
의창구-성산구 간 행정구역 조정 안내
https://www.changwon[...]
2021-07-01
[7]
뉴스
통합 창원시 구명칭, '의창-성산-합포-회원-진해구' 유력
http://www.cbs.co.kr[...]
노컷뉴스
2010-04-22
[8]
뉴스
통합창원시 구청이름 결정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0-05-07
[9]
웹사이트
성산구 지명유래
http://seongsan.chan[...]
2012-07-11
[10]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s://jumin.mois.g[...]
행정안전부
2021-08-12
[11]
웹사이트
지적공부등록현황
https://www.changwon[...]
창원시청
2021-08-14
[12]
웹사이트
창원시 정보통계시스템
https://bigdata.chan[...]
2022-05-06
[13]
웹사이트
성산구의 지리 교통
http://seongsan.chan[...]
2012-07-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