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5연대 연대직할수색중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75연대 연대직할수색중대는 제75 레인저 연대 본부에서 창설된 미국 육군 특수작전사령부 예하 부대이다. 정찰, 감시, 직접 타격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제75 레인저 연대와 협력하여 시너지를 창출한다. 걸프 전쟁, 아이티, 코소보, 아프가니스탄 등 다양한 전투 작전에 참여하여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현재까지도 전 세계 여러 국가에 배치되어 전투 작전을 지원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대 - 제506보병연대 E중대
제506보병연대 E중대는 1942년에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럽 전선에서 활약했으며, 《밴드 오브 브라더스》를 통해 유명해졌다. - 미국 육군 레인저의 부대 - 제75레인저연대
제75레인저연대는 미군의 정예 연대급 부대로, '레인저'라는 명칭은 정예부대의 상징으로 여겨져 각 전쟁마다 강인한 부대들에게 붙여졌으며, 주요 군사 작전에 투입되어 혁혁한 공을 세웠고, 현대에는 신속한 deployment에 특화된 3개의 레인저 대대로 편성되어 있다. - 미군 합동특수작전사령부 - 해군특수전개발단
해군특수전개발단은 미국 해군의 특수 부대로, 대테러 작전, 대량 살상 무기 확산 방지, 적대 국가 내 고가치 목표 제거 또는 확보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SEAL 팀 6으로 창설되었다가 재창설되어 엄격한 선발 과정과 강도 높은 훈련을 거친 요원들이 육군의 델타 포스와 함께 합동 특수 작전 태스크 포스의 핵심 전력으로 활동한다. - 미군 합동특수작전사령부 - 정보 지원 활동대
정보 지원 활동대(ISA)는 미국 육군 특수 작전 부대를 지원하기 위해 창설된 비밀 정보 부대로, 1980년대부터 테러와의 전쟁과 특수 작전 지원을 위해 활동하다 2003년 합동 특수 작전 사령부로 이관되었다.
제75연대 연대직할수색중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부대 정보 | |
부대 명칭 | 제75레인저연대 - 연대직할수색중대 |
영문 명칭 | 75th Ranger Regiment – Regimental Reconnaissance Company |
약칭 | RRC, RRD, "더 컴퍼니", "태스크 포스 레드" |
종류 | 특수 임무 부대 |
역할 | 특수 정찰, 직접 타격 |
소속 | [[File:US Army 75 Ranger Regiment STB CSIB.png|20px]] 특수병력대대 [[File:Seal of the Joint Special Operations Command (JSOC).svg|20px]] 합동특수전사령부 [[File:US Army Special Operations Command SSI.svg|20px]] 미국 육군 특수작전사령부 |
본부 | 포트 무어, 조지아 |
별칭 | RRC, RRD, "더 컴퍼니", "태스크 포스 레드" |
창설 | 1984년 |
전투 및 작전 | |
주요 참전 | 파나마 침공 걸프 전쟁 아이티 침공 태스크 포스 팔콘 테러와의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
휘장 | |
![]() | |
![]() |
2. 기원 및 창설
조지아주 포트 무어`(구 포트 베닝)`에 본부를 둔 연대직할수색중대(Regimental Reconnaissance Company, RRC)는 미군 내에서 손꼽히는 특수 정찰 부대 중 하나이다.
이 부대의 전신은 연대 정찰 분견대(Ranger Reconnaissance Detachment, RRD)로, 1984년 10월 제75 레인저 연대 본부가 포트 베닝에 창설될 때 함께 조직되었다.[2] RRD는 제75 레인저 연대와 미국 육군 특수 작전 사령부(USASOC), JSOC 등을 지원하기 위한 전 세계적인 정찰 및 작전 환경 준비 임무를 수행했다.[2]
2007년 10월, 제75 레인저 연대의 특수 부대 대대 창설과 함께 RRD는 연대 정찰 중대(RRC)로 개편되었으며, 선발 과정도 자격을 갖춘 모든 미 육군 병사에게 개방되었다.[2]
2. 1. RRD (Ranger Reconnaissance Detachment)
RRD(Ranger Reconnaissance Detachment)는 현재의 연대 정찰 중대(RRC)의 전신으로, 1984년 10월 조지아주 포트 무어(구 포트 베닝)에 제75 레인저 연대 본부가 창설될 때 함께 조직되었다.[2] RRD의 주된 목적은 제75 레인저 연대와 미국 육군 특수 작전 사령부(USASOC) 및 JSOC 산하 부대들을 지원하기 위해 전 세계적인 특수 정찰 및 작전 환경 준비 임무를 수행하는 것이었다.[2] 초기에는 3개 대대를 각각 지원하는 3개의 6인조 팀으로 구성되었으며, 정찰, 감시, 직접 타격의 세 가지 주요 임무를 수행했다.[2]2007년 10월, 제75 레인저 연대의 특수 부대 대대가 공식적으로 창설되면서 RRD는 연대 정찰 중대(Regimental Reconnaissance Company, RRC)로 이름을 변경하고, 선발 과정이 자격 요건을 충족하는 미 육군 모든 병사에게 개방되었다.[2]
2. 2. 제75 레인저 연대와의 관계
연대 정찰 중대(RRC)의 전신인 연대 정찰 분견대(RRD)는 1984년 10월 제75레인저연대 본부가 조지아주 포트 무어(구 포트 베닝)에 창설될 때 함께 만들어졌다. RRD의 주된 임무는 제75레인저연대와 미국 육군 특수작전사령부(USASOC), 그리고 합동특수작전사령부(JSOC) 내의 다른 부대들을 지원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전 세계적인 특수 정찰 및 작전 환경 준비 임무를 수행했다. 초기에는 3개의 6인조 팀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팀은 제75 레인저 연대의 3개 대대 중 하나를 각각 지원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2]2007년 10월, 제75레인저연대에 특수병력대대가 공식적으로 창설되면서 RRD는 현재의 이름인 연대 정찰 중대(RRC)로 변경되었다. 이와 함께 선발 과정도 자격 요건을 갖춘 모든 미 육군 병사에게 개방되었다.
2. 3. 임무의 다양성
제75 레인저 연대의 연대직할수색중대(RRC, 구 RRD)는 정찰, 감시, 직접 타격이라는 세 가지 주요 임무를 수행한다.[2] 이러한 임무를 효과적으로 완수하기 위해 팀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작전 능력을 갖추고 있다.- 다양한 수단을 이용한 목표 지역 침투:
- 낙하산 (고고도 저강하(HALO), 고고도 고강하(HAHO), 정적 강하)
- 헬리콥터
- 고정익 항공기
- 스쿠버
- 소형 보트
- 도보 및 기타 수단
- 장기간 은밀 작전 수행: 목표 지역 인근에서 탐지되지 않고 최대 5일 동안 작전 유지.
- 첨단 장비를 활용한 정찰 및 감시:
- 야간 관측 장비
- 적외선 감지 장치
- 무인 조기 경보 센서
- 사진 장비
- 목표 분석 및 특수 장비 운용:
- 파괴 목표 분석 수행
- 소형 선박 및 팽창식 보트 운용
- 무인 지상 센서, 전방향 항법 비콘, 수동 배치 소모성 재머, 전자 목표 지정 장치 설치
- 정보 수집 및 보고:
- 우선 정보 요구 사항(PIR) 및 임무 필수 정보 요소(EEFI) 충족을 위한 전투 정보 수집
- 장거리, 보안, 버스트 전송 통신 장비를 이용한 정보 보고
- 공중 강습 및 기상 지원:
- 투하지점(DZ) 선택, 표시, 수신 임무 수행
- 목표 지역의 기상 조건 보고
- 제한적 공격 및 탈출/회피:
- 지시에 따른 매우 선별적이고 제한적인 공격 또는 매복 수행
- 목표 지역에서 레인저 주력 부대와 연결하거나, 아군 복귀를 위한 적진 탈출 및 회피
3. 역할 및 임무
조지아주 포트 무어(구 포트 베닝)에 본부를 둔 연대직할수색중대(RRC)는 미국 육군의 최정예 특수 정찰 부대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1984년 10월, 제75 레인저 연대 본부가 포트 베닝에 창설되면서 연대정찰파견대(Regimental Reconnaissance Detachment, RRD)라는 이름으로 처음 만들어졌다. RRD의 주된 임무는 제75 레인저 연대뿐만 아니라 미국 육군 특수 작전 사령부(USASOC) 및 합동특수작전사령부(JSOC) 소속의 다른 부대들을 지원하기 위한 전 세계적인 정찰 및 작전 환경 준비였다.[2] 초기에는 3개의 6인조 팀으로 구성되어 각 팀이 3개의 레인저 대대를 각각 지원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2]
RRC가 수행하는 주요 임무는 크게 정찰, 감시, 그리고 직접 타격으로 나뉜다.[2] 이러한 임무들은 다양한 침투 수단을 통해 목표 지역에 은밀히 접근하여 정보를 수집하거나, 필요시 제한적인 공격 작전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세한 임무 수행 방식과 능력은 하위 문단에서 다룬다.
2007년 10월, 제75 레인저 연대에 특수병력대대(Special Troops Battalion)가 공식적으로 창설되면서 RRD는 현재의 이름인 연대직할수색중대(Regimental Reconnaissance Company, RRC)로 명칭을 변경했다. 이와 함께 선발 과정도 자격을 갖춘 미 육군 소속 모든 병사에게 개방되었다.
3. 1. 정찰 및 감시
연대직할수색중대(RRC)는 제75 레인저 연대와 미국 육군 특수 작전 사령부(USASOC) 및 JSOC 내 다른 부대를 지원하기 위해 전 세계적인 특수 정찰 및 환경에 대한 작전 준비 임무를 수행한다.[2] 정찰 및 감시는 RRC의 주요 임무 중 하나이며, 이 임무를 수행하면서 팀은 다음과 같은 활동을 할 수 있다.- 침투: 목표 지역에 다양한 방법으로 침투한다.
- 낙하산 강하: 고고도 저강하(HALO), 고고도 고강하(HAHO), 정적 강하(Static line jump) 등
- 항공기: 헬리콥터, 고정익 항공기
- 해상: 스쿠버, 소형 보트
- 육상: 도보 및 기타 수단
- 잠복 및 정찰: 목표 지역 인근에서 최대 5일 동안 탐지되지 않고 머무르며, 다음과 같은 장비를 사용하여 정찰 작전을 수행한다.
- 야간 관측 장비
- 적외선 감지 장치
- 무인 조기 경보 센서
- 사진 장비
- 정보 수집 및 보고: 우선 정보 요구 사항(PIR) 및 임무 필수 정보 요소(EEFI)를 충족하기 위해 전투 정보를 수집하고, 장거리 보안 통신 장비를 이용하여 버스트 방식으로 보고한다.
- 특수 장비 운용 및 설치:
- 소형 선박 및 팽창식 보트 운용
- 무인 지상 센서, 전방향 항법 비콘, 수동 배치 소모성 재머, 전자 목표 지정 장치 등 설치
- 기타 임무:
- 파괴 목표 분석 수행
- 투하지점(DZ) 선택, 표시 및 수신 임무 수행
- 목표 지역의 기상 조건 보고
- 지시에 따른 매우 선별적이고 제한적인 공격 또는 매복 수행
- 목표 지역에서 레인저 주력 부대와의 연결 또는 아군 진영으로 복귀하기 위한 적진 탈출 및 회피 수행
3. 2. 직접 타격
지시가 있을 경우, 매우 선택적이고 제한적인 공격이나 매복을 수행한다.3. 3. 투하지점 설정 및 기상 정보 보고
연대직할수색중대(RRC)는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며, 그중에는 투하지점(DZ)을 선택하고 표시하며 수신하는 임무가 포함된다.[2] 또한, 목표 지역의 기상 조건을 수집하여 보고하는 역할도 담당한다.[2]3. 4. 침투 및 탈출 방법
연대직할수색중대는 다양한 방법으로 목표 지역에 침투한다. 낙하산을 이용한 침투 방식으로는 고고도 저강하(HALO), 고고도 고강하(HAHO), 정강하(Static line) 강하가 있다. 이 외에도 헬리콥터, 고정익 항공기, 스쿠버, 소형 보트, 도보 등 가용한 여러 수단을 활용하여 침투 작전을 수행한다.[2]임무를 마친 후에는 목표 지역에서 레인저 주력 부대와 합류하거나, 적진을 탈출 및 회피하여 아군에게 복귀하는 방식으로 작전 지역을 벗어난다.[2]
4. 조직 구조
제75연대 연대직할수색중대(RRC)는 미국 육군 제75레인저연대 직속 부대로, 여러 개의 수색팀과 이를 지휘 및 지원하는 중대 본부로 구성된다. 각 수색팀은 통상적으로 주임원사가 팀 리더(TL)를 맡아 이끌며, 특정 군사 주특기(11B, 13F, 25 계열)를 가진 대원들로 이루어진다. 중대 지휘는 소령 계급의 장교와 주임원사가 담당하며, 중대 본부에는 작전팀, 선발 및 훈련팀, 기타 지원 인력이 배치되어 있다.
4. 1. 팀 구성
제75연대 연대직할수색중대는 소수의 병력으로 구성된 6개의 팀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팀은 통상적으로 팀 리더(TL)로 알려진 주임원사가 지휘하며, 약 6명의 병력을 유지한다. 팀원들은 11B, 13F, 25 계열 병과 출신으로 구성된다. 중대 자체는 본부에서 지휘하며, 소령과 주임원사가 수색중대 지휘를 맡는다. 중대 본부에는 작전팀, 선발 및 훈련팀, 그리고 기타 지원 인력이 포함된다.4. 2. 중대 지휘
수색중대는 중대 본부에서 지휘한다. 소령 계급의 장교가 중대장을 맡고, 주임원사가 중대장과 함께 중대를 지휘한다. 중대 본부에는 작전팀, 선발 및 훈련팀, 그리고 기타 지원 인력이 소속되어 중대의 운영을 지원한다.4. 3. 지원 인력
수색중대의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작전팀, 선발 및 훈련팀, 그리고 그 외의 지원 인력이 별도로 존재한다. 이들은 수색팀의 작전 수행과 훈련 등을 돕는 역할을 한다.5. 선발 및 훈련
미국 육군 제75레인저연대의 연대직할수색중대(RRC) 대원이 되기 위해서는 매우 엄격한 선발 과정과 강도 높은 전문 훈련을 거쳐야 한다. 지원자들은 극한의 체력과 정신력을 요구하는 산악 지형 행군을 포함한 혹독한 선발 과정을 통과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높은 탈락률을 보인다.[1] 선발된 인원은 29주 동안 자유 낙하, 고급 통신, 정찰, 잠행, 근접 전투, 사격술, 폭파, 고급 의료 기술 등 광범위하고 전문적인 기술을 배우는 정찰 훈련 과정을 이수해야 한다.[1] 모집은 주로 특정 병과와 계급의 남성 군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진다.[1]
5. 1. 선발 과정
모든 지원자는 산악 지형에서 지점 간 이동 능력을 평가하는 선발 과정을 통과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지원자는 34kg에 달하는 군장을 메고 하루에 19km에서 32km를 행군한다. 특히 '스트레스 주간'의 마지막 날에는 총 64km를 완주하는 장거리 행군이 실시된다.선발 과정은 신체 능력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측면도 중요하게 평가한다. 지원자는 육군 체력 검정을 포함한 다양한 신체 검정을 통과해야 하며, 동시에 심리 검사와 정신 능력 검사도 받아야 한다.
각 선발 과정은 5명에서 최대 20명의 지원자로 시작하지만, 경쟁은 매우 치열하다. 통상적으로 15명에서 20명의 지원자 중 5명에서 7명 정도만이 과정을 수료하며, 수료자 중에서도 약 절반만이 최종적으로 부대원으로 선발된다.
모집은 주로 특정 병과와 계급의 군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진다. 기본적으로 전문하사부터 상사 계급의 남성 군인 중 보병, 야전 포병, 의무병, 통신병 병과에서 지원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병과 및 계급에서 공석이 발생할 수 있다.
5. 2. 스트레스 주간
선발 과정 중 하나로, 지원자는 혹독한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를 견뎌야 한다. 특히 '스트레스 주간'으로 불리는 기간에는 약 34.02kg(약 34kg)에 달하는 군장을 메고 산악 지형에서 지점 간 이동 훈련을 받는다. 이 기간 동안 지원자는 하루에 19km에서 32km 거리를 행군해야 하며, 마지막 날에는 총 64km에 달하는 장거리 행군을 완료해야 한다. 이는 극한의 체력과 정신력을 요구하는 과정이다.5. 3. 정찰 훈련 과정
선발 과정을 통과한 인원은 29주 동안 진행되는 정찰 훈련 과정에 참여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는 자유 낙하 훈련, 컴퓨터 활용, 고급 통신 기술, 디지털 사진 촬영 및 편집, 정찰 보고서 작성법, 야전 기술 및 잠행, 침투 및 탈출 기법, 근접 항공 지원 유도, 근접 전투 기술, 무술, 고급 운전 기술, 사격술, 폭파, 전술 추적, 고급 의료 기술 등 광범위한 전문 기술을 습득한다.5. 4. 모집 대상
모집은 보병, 야전 포병, 의무병, 통신 분야의 전문하사부터 상사 계급의 남성 군인을 대상으로 한다.또한, 이 부대에는 다음과 같은 병과 및 계급의 공석이 있다.
6. 전투 작전
연대직할수색중대(RRC, 구 RRD)는 창설 이후 다수의 주요 전투 및 군사 작전에 참여하며 그 역량을 입증해왔다.
1989년 파나마에서 저스트 코즈 작전에 참여했으며, 1990년부터 1991년까지 이어진 사막의 방패 작전 및 사막의 폭풍 작전에도 레인저 대대의 투입 상황을 고려할 때 참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1994년에는 아이티에서 유지 민주주의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정찰 임무를 수행했다. 2000년 11월에는 코소보에 파견되어 태스크 포스 팔콘을 지원했다.[4]
특히 항구적 자유 작전이 시작된 이후 아프가니스탄에 지속적으로 배치되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5] RRC는 JSOC의 지휘 아래 특수 정찰 임무를 비롯한 다양한 작전을 수행했으며, 여러 차례의 전투 강하 작전을 통해 활주로 확보 및 전술 장비 배치 등의 임무를 완수했다.
2001년부터 현재까지 모든 RRC 팀은 전투 작전 지원을 위해 전 세계 여러 국가에 지속적으로 파병되고 있다. 각 팀은 연간 최소 1회에서 2회, 4개월에서 8개월 동안 파병되며, 이는 제75레인저연대 내에서 가장 빈번하게 파병되는 부대 중 하나이다.
6. 1. 저스트 코즈 작전 (파나마, 1989)
연대직할수색중대(RRD/RRC)는 1989년 파나마에서 저스트 코즈 작전에 참여했다.6. 2. 사막의 방패/폭풍 작전 (1990/1991)
연대직할수색중대(RRC)는 1990년부터 1991년까지 이어진 사막의 방패 작전 및 사막의 폭풍 작전 (통칭 걸프 전쟁)에 참여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당시 레인저 대대가 해당 작전에 투입되었기 때문이다.6. 3. 유지 민주주의 작전 (아이티, 1994)
1994년, 제1대대와 제2대대, 그리고 제3대대의 1개 중대가 아이티로 파견되었다. 그러나 성공적인 협상으로 인해 작전 개시 5분 만에 취소되었고, 레인저 대대는 본국으로 돌아갔다. 하지만 연대직할수색중대(RRD) 팀은 유지 민주주의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현지에 남아 정찰 임무를 수행했다.6. 4. 태스크 포스 팔콘 지원 (코소보, 2000)
2000년 11월 24일, 제75레인저연대는 태스크 포스 팔콘을 지원하기 위해 연대 직할 수색 중대 제2팀과 지휘 통제 요소를 코소보에 배치했다.[4]6. 5. 항구적 자유 작전 (아프가니스탄)
연대직할수색중대(RRD)는 항구적 자유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아프가니스탄에 지속적으로 배치되었으며, 이들의 기술은 전쟁 수행에 매우 중요한 자산으로 평가받았다.[5] RRD는 JSOC의 지휘 아래 모든 JSOC 예하 부대를 위한 특수 정찰 임무를 수행했다.2001년 11월 아프가니스탄 침공 당시, RRD 제3팀은 제75레인저 연대의 두 번째 전투 강하 작전에 참여하여 특정 목표 확보 및 활주로 구축 임무를 수행했다. 이는 후속 작전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함이었다.
2004년 7월, RRD 제3팀은 아프가니스탄 남동부의 Tillman Drop Zone에 전술 장비 배치를 목적으로 전투 군사 자유 낙하 강하를 실시했다.
2006년에는 JSOC 태스크 포스에 배속된 RRD 팀이 힌두쿠시 산맥에서 반군 지도자 잘랄루딘 하카니 관련 첩보 작전을 수행 중 교전을 벌였으며, 공중 지원을 통해 반군에 타격을 입혔다.
2009년 7월 11일, RRD 제1팀은 아프가니스탄에서 탠덤 승객과 함께 전술 장비 배치를 위한 전투 군사 자유 낙하 강하를 수행했다.
2001년부터 현재까지 모든 연대직할수색중대(RRD) 팀은 전투 작전 지원을 위해 전 세계 여러 국가에 지속적으로 파병되고 있다. 각 팀은 연간 최소 1회에서 2회, 4개월에서 8개월 동안 파병되며, 이는 제75레인저 연대 내에서 가장 빈번하게 파병되는 부대 중 하나이다.
6. 5. 1. 목표 울버린, 랩터 및 작전 렐렌트리스 스트라이크
2001년 11월, 아프가니스탄 침공 중 제75레인저 연대는 아프가니스탄에서 두 번째 전투 강하를 실시했다. 이때 연대 정찰 중대 제3팀을 포함한 소대 규모의 레인저 보안 부대가 목표 울버린, 랩터 및 작전 렐렌트리스 스트라이크를 수행했다.연대 정찰 중대 제3팀은 후속 전투 작전을 위한 비행 착륙 활주로를 구축하기 위해 두 차례 강하 작전을 펼쳤다. 첫 번째는 2001년 11월 10일 아프가니스탄 남동부의 Wrath Drop Zone에서 실시된 전투 군사 자유 낙하 강하였고, 두 번째는 2001년 11월 21일 아프가니스탄 남동부의 Shiloh Drop Zone에서 실시된 전투 정적 라인 낙하 강하였다.
6. 5. 2. 힌두쿠시 산맥 작전 (2006)
2006년, JSOC 태스크 포스에 소속된 6명의 연대직할수색중대(RRD) 팀원이 힌두쿠시 산맥으로 파견되었다. 이는 반군 지도자 잘랄루딘 하카니가 파키스탄에서 아프가니스탄으로 넘어올 것이라는 첩보에 따른 것이었다. 팀은 해발 4000m에 가까운 고지에 관측소(OP)를 설치하고 목표물을 기다리며 감시 활동을 펼쳤다.그러나 반군 세력이 해당 지역에 도착했을 때 RRD 팀의 위치가 발각되어 총격을 받게 되었다. 이에 대응하여 RRD 팀에 배속되어 있던 합동 최종 공격 통제관(JTAC)은 상공을 비행 중이던 B-1B 전략 폭격기를 유도하여 반군 세력에 대한 공습을 요청했다. 이 공습으로 약 100명의 반군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목표였던 잘랄루딘 하카니는 현장에 없었다.
6. 6. 지속적인 배치
연대직할수색중대(RRC)는 항구적 자유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아프가니스탄에 지속적으로 배치되었으며, 이들의 다양한 기술은 작전 수행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5] RRC는 JSOC의 지휘 아래 모든 JSOC 부대를 위한 특수 정찰 임무를 수행했다.- 2001년 11월: 아프가니스탄 침공 중, 제75레인저연대는 아프가니스탄에서 두 번째 전투 강하를 실시했다. RRC 제3팀을 포함한 소대 규모의 레인저 보안 부대가 목표 울버린, 랩터 및 작전 렐렌트리스 스트라이크를 수행했다.
- 11월 10일: 제3팀은 아프가니스탄 남동부의 Wrath 강하 지점에 전투 군사 자유 낙하(MFF) 강하를 실시하여 후속 작전을 위한 비행장 활주로를 확보했다.
- 11월 21일: 제3팀은 아프가니스탄 남동부의 Shiloh 강하 지점에 전투 정적선 낙하(Static Line) 강하를 실시하여 마찬가지로 활주로를 확보했다.
- 2004년 7월: RRC 제3팀은 전술 장비 배치를 위해 아프가니스탄 남동부의 Tillman 강하 지점에 전투 군사 자유 낙하 강하를 수행했다.
- 2006년: JSOC 태스크 포스에 배속된 6명의 RRC 팀은 반군 지도자 잘랄루딘 하카니가 파키스탄에서 아프가니스탄으로 이동할 것이라는 첩보에 따라 힌두쿠시 산맥에 투입되었다. 팀은 해발 4000m에 가까운 고지에 관측소(OP)를 설치하고 목표를 기다렸다. 반군이 도착하자 레인저 팀은 발각되어 교전이 벌어졌고, RRC에 배속된 JTAC은 상공을 비행 중이던 B-1B 전략 폭격기를 유도하여 공습을 실시했다. 이 공습으로 약 100명의 반군이 사망했으나, 하카니는 포함되지 않았다.
- 2009년 7월 11일: RRC 제1팀은 전술 장비 배치를 위해 아프가니스탄에서 탠덤 승객과 함께 전투 군사 자유 낙하 강하를 수행했다.
2001년부터 현재까지 모든 RRC 팀은 전투 작전 지원을 위해 전 세계 여러 국가에 지속적으로 배치되고 있다. 각 팀은 연간 최소 1~2회, 4개월에서 8개월 동안 파병되며, 제75레인저연대 내에서 가장 빈번하게 배치되는 부대 중 하나이다.
참조
[1]
웹사이트
Evolution of the 75th Ranger Regiment: RRD
https://thenewsrep.c[...]
2013-06-22
[2]
웹사이트
75th Ranger Regiment
http://www.globalsec[...]
[3]
서적
FM 3-05.20 (FM 31-20) Special Forces Operations
https://irp.fas.org/[...]
Headquarters, Department of the Army
2001-06
[4]
웹사이트
75th Ranger Regiment History
http://www.soc.mil/7[...]
2012-06-04
[5]
웹사이트
U.S. Army Rangers
http://www.goarmy.co[...]
GoArmy.com
[6]
웹인용
Evolution of the 75th Ranger Regiment: RRD
https://thenewsrep.c[...]
thenewsrep.com
2013-06-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