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병은 가장 기본적인 병과로, 지상 전력의 핵심을 담당하며, 적 제압, 지역 점령, 방어 임무를 수행한다. 과거에는 검, 창 등을 사용했지만, 현대에는 소형 화기와 차량을 활용하며, 기계화 보병과 경보병으로 분류된다. '보병'이라는 용어는 1570년대부터 도보로 전투하는 병사를 지칭했으며, 특수 무기를 사용하는 보병은 무기 이름을 따서 불리기도 한다. 보병은 고대부터 현대까지 육상 전력의 중추로, 다양한 지형과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며 전투의 승패를 결정짓는다. 보병은 소총, 수류탄, 방탄복 등의 장비를 갖추고, 분대, 소대, 중대, 대대, 여단/연대, 사단으로 편성된다. 보병은 이동, 진지 구축, 전투를 수행하며, 전차와 협력하여 작전을 수행하고, 게릴라전, 대테러 작전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한다. 미래에는 보병의 기계화와 정보화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기술적인 한계와 전투 환경의 복잡성으로 인해 보병의 역할은 여전히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보병 | |
---|---|
지도 정보 | |
개요 | |
종류 | 군인 |
역할 | 지상 전투를 수행하는 군인 |
관련 용어 | 군대 보병 부대 전투 |
역사 | |
기원 | 고대부터 존재 가장 오래된 전투 병과 |
발전 | 고대 밀집 대형에서 다양한 전술로 발전 화기 발달에 따라 전술 변화 |
현대 | 주요 지상 전투 병과 다양한 특수 임무 수행 |
특징 | |
장점 | 지형 극복 능력 우수 근접 전투에 강함 다양한 작전 수행 가능 |
단점 | 기동력 제한적 화력 지원 의존도 높음 기계화 보병과의 격차 존재 |
역할 및 임무 | |
기본 임무 | 적군 제압 및 격멸 지상 점령 및 확보 주요 시설 및 지역 방어 |
특수 임무 | 정찰 및 수색 특수 작전 수행 게릴라전 수행 민사 작전 지원 |
구성 | |
부대 | 분대, 소대, 중대, 대대, 연대, 여단, 사단, 군단 등 다양한 규모의 보병 부대 존재 |
장비 | 개인 화기 (소총, 권총 등) 폭발물 (수류탄, 지뢰 등) 통신 장비 방호 장비 (방탄복, 헬멧 등) |
훈련 | 전투 기술 숙달 팀워크 및 협동 능력 강화 체력 및 정신력 강화 생존 기술 및 구급법 교육 |
기타 | |
관련 직업 | 보병 장교 보병 부사관 보병 병사 |
유명 보병 관련 사례 | 제1차 세계 대전 참호전 제2차 세계 대전 노르망디 상륙작전 한국 전쟁 고지전 베트남 전쟁 정글전 |
2. 보병의 의의
보병은 가장 기본적인 병과로서, 최소한의 무기와 최대한의 인원으로 구성된다. 과거의 검병 및 창병, 현대의 소총수 모두 보병으로 분류된다. 보병은 동물이나 차량에 탑승하지 않고(탑승할 경우 기병 또는 기갑이 된다), 최소한의 무기로 전투를 수행하는(무기가 월등할 경우 포병이 된다) 병과를 의미한다.[1][2][3]
"보병"이라는 용어는 1570년대경 영어에서 도보로 행군하고 싸우는 병사들을 묘사하기 시작했다. 이 단어는 중세 프랑스어 "infanterie"에서 유래했으며, 더 오래된 이탈리아어(스페인어도) "infanteria"(기병으로는 너무 경험이 없는 보병)에서 유래했고, 라틴어 "īnfāns"(말을 못 하는, 신생아, 어리석은)에서 유래했는데, 영어의 "infant"(유아)도 여기서 유래했다.[1] 개별 병사 용어인 "보병"은 1837년까지 만들어지지 않았다.[2]
보병은 지상 전력의 근간이 되며, 적을 공격하여 섬멸하고, 분쟁 지역을 점령하거나, 적의 공격을 저지하고 격퇴하여 지역을 방어하는 것이 주 임무이다. 보병 전투는 전술 공군, 포병, 기갑 등과의 긴밀한 협동과 지원 하에 수행되는 것이 보통이며, 화력과 육박전으로 육상 전투를 한다. 주로 1~2명이 운반할 수 있는 소형 화기(개인 화기 및 공용 화기)를 이용하고 도보로 이동하는 것이 기본이다. 하지만 현대에는 보병에게도 상당한 화력, 기동력, 전자 병기가 요구되어 소형 미사일 병기가 채택되고, 기계화 보병 또는 차량화 부대도 생겨났다.
3. 역사
특수 무기를 장착한 보병은 종종 그 무기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예를 들어, 수류탄을 사용하는 척탄병이나 소총을 사용하는 용기병이 있다. 이러한 명칭은 무기 특성이 사라진 후에도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는데, 왕립 아일랜드 용기병과 척탄병 근위대가 그 예이다.
용기병은 전투 사이의 이동을 위한 말을 가진 기병 보병으로 만들어졌으며, 전투 전에 말에서 내렸기 때문에 여전히 보병으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군대에 경기병이 부족한 경우, 이용 가능한 용기병이 그들의 임무를 맡을 수 있었다. 이러한 관행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했고, 용기병은 결국 보병과 기병 모두의 무기와 훈련을 받게 되었으며, 보병과 기병 모두로 분류될 수 있었다. 19세기 중반부터 정규 기병은 적 보병 화기의 효과가 점점 증가함에 따라 전투에서 말에서 내려 시간을 보내야 했다. 따라서 대부분의 기병은 기병 보병으로 전환되었다. 척탄병과 마찬가지로 "용기병"과 "기병" 명칭은 왕립 용기병 근위대, 왕립 랜서, 왕립 휘사르와 같이 말이 사라진 후에도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었다.
마찬가지로, 기계화 보병은 비전투 이동을 위한 트럭 및 기타 무장하지 않은 차량을 보유하고 있지만, 전투를 위해 차량에서 내리기 때문에 여전히 보병이다. 현대 보병에서 일부 장갑차는 보병전투차량(IFV)으로 발전했는데, 이는 경전차의 전투 능력에 근접하는 더욱 강력한 전투 능력을 갖춘 수송 차량이다.
화약의 발달과 함께 보병은 주로 화기로 전환하기 시작했다. 나폴레옹 전쟁 시대에는 보병, 기병, 포병이 지상군의 기본적인 삼각편대를 형성했지만, 보병은 대개 가장 많은 수를 유지했다. 기갑전으로 인해 장갑 전투 차량이 기병의 말을 대체했고, 공군력이 지상전에 새로운 차원을 더했지만, 보병은 모든 현대 합동 작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화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머스킷병 보병은 적을 향해 넓은 대열로 싸우도록 훈련되었고, 열 보병을 만들었다. 이러한 대열을 지원하기 위해 분산된 소규모 교전 대형을 사용하는 소규모 보병 대형이 만들어졌는데, 이것을 경보병이라고 하며, 이전 경보병과 같은 여러 역할을 수행했다. 현대 소총병 보병은 합동 작전의 요소로서 전장에서 지형을 점령하고 유지하는 주요 전력이 되었다.
보병의 훈련은 시대와 장소에 따라 크게 달랐다. 고대에는 그리스와 로마의 잘 훈련되고 사기 높은 시민군부터, 전쟁 경험이 거의 없는 농부와 사냥꾼으로 구성된 부족 군대, 그리고 최후의 수단으로 편성된 무장이 부실하고 훈련이 제대로 되지 않은 민병대까지 다양한 형태의 군대가 존재했다. 쿠시의 왕 타하르카는 장거리 달리기 훈련을 통해 군대를 강화하여 근동에서 군사적 성공을 거두었다.[22]
역사를 통틀어 보병은 대부분의 군대에서 핵심적인 존재였다.
3. 1. 고대
고대 사회에서 보병은 주력 부대였다. 역사상 최초의 군사력은 보병이었으며, 이들은 창, 도끼, 검과 같은 초기 근접 무기나 창, 투석기, 활 같은 초기 원거리 무기를 사용했다.[4] 기록된 역사 이전에는 조직이나 편제가 없는 느슨한 집단이었지만, 최초의 고대 제국(기원전 2500~1500년) 시기에는 표준화된 군사 장비를 갖춘 정규 보병이 등장했다.[5] 이들은 전장 편대와 기동에 필요한 훈련과 규율을 갖추고 있었다.[5] 정규 보병은 군대의 주력이었지만, 훈련과 유지 비용 때문에 규모가 작았고, 현지에서 단기간 징집된 비정규 보병으로 보충되었다.[6]
전차가 채택되기 전(기원전 2000년경)에는[7] 모든 군대가 순수 보병이었다. 서구 세계에서 고전 시대부터 중세(기원전 8세기~서기 15세기)까지 보병은 중보병과 경보병으로 분류되었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폴리스(도시 국가) 시민을 주축으로 한 중장보병이 밀집 대형을 이루어 싸우는 전술(팔랑크스)이 사용되었다. 이 전술은 그리스-페르시아 전쟁에서 페르시아군을 격파하며 명성을 떨쳤다. 그리스에서는 파노플리아(완전한 갑옷)나 펠타스트(경장병)와 같은 보병도 등장했다. 그리스 보병 전술은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에 헤타이로이 기병 전술과 결합(철퇴 전술)하여 제국 건설에 기여했다.
고대 로마는 그리스와 같은 시민군 제도였고, 기병 활용이 어려워 처음에는 팔랑크스를 모방했다. 그러나 카르타고군, 갈리아군과의 전투를 통해 독자적인 전술을 만들었고, 레기온이라는 정교한 편제, 대형, 지휘 체계를 가진 전술로 발전했다.
3. 2. 중세~근세
서구 세계에서 고전 시대를 거쳐 중세(기원전 8세기~서기 15세기)까지 보병은 중보병 또는 경보병으로 분류되었다. 로마 제국 멸망 후 중보병의 질은 저하되었고, 전쟁은 기사와 같은 중기병이 결정적인 충격 전투를 위한 소규모 정예 부대를 형성하고, 농민 보병 민병대와 하층 계급 출신의 다양한 경보병의 지원을 받는 것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중세 말엽, 이러한 상황은 바뀌기 시작하여, 백년 전쟁에서 잉글랜드 장궁병과 같이 더 전문적이고 훈련이 잘 된 경보병이 기사에 효과적일 수 있게 되었다.[9] 르네상스 초기에 보병은 다시 더 큰 역할을 하기 시작했고, 스위스 창병과 독일 란츠크네히트가 다시 중보병 역할을 수행하면서, 창의 밀집 대형을 사용하여 기병을 격퇴했다.
밀집 대형은 원거리 무기에 취약했다. 기술 발전으로 전통적인 고숙련 궁수와 투석병에게 기대되는 수년간의 훈련 없이도 원거리 무기를 장착한 다수의 경보병 부대를 양성할 수 있게 되었다. 이것은 처음에는 석궁병으로, 그 다음 휴대용 대포병과 아르케뷰시병으로 점차 효과가 높아지면서, 근세 전쟁의 시작을 알렸고, 화기가 중보병의 사용을 쓸모없게 만들었다. 17세기 중반 머스킷병이 총검을 사용하면서 창이 보병 사각형으로 대체되기 시작했고, 창진은 보병 사각형으로 대체되었다.[10]
3. 3. 근대 이후
19세기에는 철도가 보병 수송에 사용되기 시작했고, 자전거를 이용한 부대도 등장했다.[21] 20세기에는 자동차를 이용한 기계화 보병 부대가 등장했다.[21] 현대의 보병은 장갑차와 포병, 헬리콥터 등 항공기의 지원을 받아 작전하지만, 여전히 지상의 특정 지역을 점령하고 확보할 수 있는 유일한 병과이다. 또한 개인이 휴대할 수 있는 무기의 화력이 높아지고, 게릴라전이나 시가전과 같은 비대칭전쟁이 증가하는 추세로 인해, 각국에서 보병에게 고도로 전문적인 훈련을 받은 특수부대를 배치하고 있다.
4. 대한민국 국군의 보병
대한민국 육군의 보병 병과는 사단, 여단, 대대, 중대, 소대, 분대 등으로 구성된다. 2020년 12월 1일을 기해 보병사단 예하의 연대가 여단으로 개편되었다.
4. 1. 편제

최초로 확인되는 정규 군사 부대 편성은 기원전 1274년경 카데시 전투에 대한 이집트 기록에서 찾을 수 있다. 이 기록에 따르면, 병사들은 50명 단위로 편성되었으며, 이들은 다시 250명, 1,000명, 최대 5,000명 단위의 부대로 조직되었다. 5,000명 단위 부대는 가장 큰 독립적인 지휘 부대였다. 이집트의 여러 "사단"들은 하나의 군대를 구성했지만, 행군과 전술적인 면에서 모두 독립적으로 작전하여 기본적인 전투 기동을 위한 충분한 군사 지휘통제 조직을 갖추고 있었다. 이와 유사한 계층적 조직은 다른 고대 군대에서도 발견되는데, 현대의 분대, 소대, 연대와 유사하게 일반적으로 10 대 100 대 1,000의 비율(십진법이 일반적이지 않은 경우에도)로 구성되었다.[20]
4. 1. 1. 보병 사단 편제
사단은 장기간 단독 작전이 가능한 부대로, 병력 규모는 약 1만 2천 명 내외이다.[24] 사단의 편제는 다음과 같다.구분 | 구성 |
---|---|
사단 사령부 | |
보병여단 | |
포병여단 | 2020년 12월 1일 이전에는 포병연대 |
사단 직할대 |
4. 1. 2. 보병 여단 편제
2020년 12월 1일을 기해 보병사단 예하의 연대(보병연대, 포병연대)가 여단으로 개편되었다. 병력 규모는 약 2,500명 내외이다.[25]여단의 편성은 다음과 같다.
- 여단본부 (여단장, 부여단장, 주임원사)
- * 참모부 (인사과, 정보과, 작전과, 군수과)
- 보병대대
- 보병대대
- 보병대대
- 여단 직할대
- * 본부중대
- * 정보중대 : 기존 수색중대를 확대 개편 (드론을 활용한 공중정찰 기능 추가)
- * 통신중대
- * 의무중대
- * 포병대 : 기존 전투지원중대를 확대 개편 (차량탑재형 105㎜ 자주곡사포 또는 155mm 자주포 장비)
- * 군수지원대대 : 기존 연대본부 수송부 전력에 기존 사단의 보급 및 정비부대의 인력과 자원을 결합하여 편성
- ** 대대본부
- ** 정비중대
- ** 보급수송중대
4. 1. 3. 보병 대대 편제
보병 대대는 사단의 기본 전술 단위부대로, 공격 및 방어 작전에서 주도적인 임무를 수행한다. 병력 규모는 약 400명에서 450명 사이이다.- 대대본부: 대대장, 부대대장, 주임원사 및 참모부(인사과, 정보과, 작전과, 군수과)로 구성된다.
- 본부중대:
- 통신소대 (무선반, 유선반)
- 전투소대 (2개 분대)
- 처부소대 (참모부 병력)
- 보병중대: 3개의 보병중대로 구성된다.
- 중화기중대: 81mm 박격포를 장비한 3개 소대와 90mm 무반동총 및 K4 고속유탄기관총을 장비한 1개 소대로 구성된다.
4. 1. 4. 보병 중대, 소대, 분대 편제
보병 중대는 '소총 중대'라고도 불리며, 중대 본부와 3개의 소총 소대, 그리고 1개의 포반 또는 화기소대로 구성된다. 병력 규모는 100명에서 130명 사이이다.[26]중대 구성 |
---|
중대본부 (중대장, 부중대장, 행정보급관, 통신병, 보급병 등) |
보병소대 |
보병소대 |
보병소대 |
화기소대 (또는 중대본부 박격포반) |
보병 소대는 소대 본부와 3개의 소총 분대로 구성되며, '소총 소대'라고도 불린다. 소대의 병력 규모는 30명에서 40명 사이이다.[26]
소대 구성 |
---|
소대본부 (소대장, 부소대장, 통신병 등) |
보병분대 |
보병분대 |
보병분대 |
화기분대 (또는 소대본부 기관총반) |
보병 분대는 '소총 분대'라고도 불리는데, 2020년대 이전 편성은 다음과 같았다.[26]
분대 구성 (2020년대 이전) |
---|
분대장 (하사, 병장, 상병) |
소총수 |
소총수 |
유탄수 |
소총수 |
소총수 |
경기관총 사수 |
경기관총 부사수 |
유탄수 |
부분대장 (병장, 상병) |
5. 장비
일반적으로 보병은 소총, 탄약, 대검, 수류탄, 방탄모, 화생방 장비, 감시 장비 등의 개인 장비와 공용화기를 갖춘다. 공용화기로는 경기관총, 중기관총, 박격포, 대전차화기(로켓포, 무반동총 등), 대공화기 등이 있다. 그 외 생활용품으로 여벌의 전투복 및 전투화, 수통, 판초우의, 야전삽 등을 휴대한다.[11]
주요 무기와 방탄장비 외에도 보병의 "군장"에는 전투화, 전투복 또는 전투용 군복, 캠핑 장비, 악천후 장비, 생존 장비, 보조 무기와 탄약, 무기 정비 및 수리 키트, 건강 및 위생 용품, 야전 식기, 전투식량, 물이 채워진 물통 및 기타 소모품이 포함된다. 임무별 특수 장비도 포함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장비 중 하나는 접을 수 있는 삽인데, 이는 방어 시설 구축, 다양한 작업, 때로는 무기로도 사용될 수 있다.[11] 보병은 텐트나 중화기와 같이 여러 명이 함께 사용하는 장비를 추가로 보유하기도 한다. 행군 중인 병사 1인당 장비 무게는 25kg에 달할 수 있다.[12]
전투가 예상될 경우, 보병은 무기, 탄약 등 필수품 위주로 장비를 줄이고 "경량화"하며, 불필요한 물품은 수송 수단이나 수송대에 남겨두거나, 은닉처에 숨기거나, 심지어 버리기도 한다.[14] 임무나 지형에 따라 파편수류탄, 폭파 도구, 지뢰, 철조망 등 특수 장비가 추가될 수 있다.
보병의 건강, 에너지, 환경 보호를 위한 장비는 손실률을 줄이고 효과적인 행동 수준을 높인다. 군대는 병사에게 충분한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표준화된 전투식량을 지급한다.
GPS, 암호화된 통신 장비, 감시 및 야간 투시 장비, 고급 정보 장비 등 최첨단 장비도 현대 보병에게 필수적이다.
군대는 보병 장비의 개선과 표준화를 통해 피로를 줄이고, 이동의 자유도를 높이며, 다른 휴대 장비와의 호환성을 높이고 있다.
보병은 적의 공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방패, 투구, 다양한 종류의 갑옷을 사용해왔다. 갑옷에는 덧대어 만든 아마포, 가죽, 판갑, 사슬갑옷, 판금갑옷, 케블라 등이 있다.
화기 발전에 따라 갑옷은 근접전용으로 변화했고, 제1차 세계 대전 중 포병이 전장을 지배하면서 투구가 다시 사용되기 시작했다. 현대에는 케블라 등 방탄 복합 소재를 이용한 방탄복이 사용되지만, 무게 부담은 여전하다.
화학 및 생물학 공격에 대비하여 군용 방독면, 대응제, 보호복도 필요하지만, 이는 무게 증가와 전투 효율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
초기 분대급 무기는 공성병기와 같았으며, 현대에는 기관총, 대전차 미사일, 보병용 박격포 등이 사용된다.
현대전 보병의 주요 장비는 다음과 같다.
- 소총이나 권총 등의 소화기: 근대 이후 보병의 주력 무기이다. 주로 AK-47이나 M16 등의 자동소총이 사용되지만, MP5 등 단기관총이 사용될 수도 있다. 미니미 경기관총 등의 기관총은 분대에 배치되어 화력을 높인다.
- 폭약과 수류탄: 시설 폭파나 부비트랩 설치 등에 사용된다. 플라스틱 폭탄은 다리나 건물 파괴에, 수류탄은 은폐된 적 공격에 효과적이다. 대전차지뢰와 수류탄은 전투 진지 구축에도 사용된다.
- 방호 장비: 방탄조끼와 헬멧은 탄환이나 파편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지만,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 위장복: 시인성을 낮춰 적에게 발견되기 어렵게 하는 위장 효과가 있다.
- 무선 통신 장비: 다른 부대와의 연계 및 지휘 체계 유지를 위해 중요하다.
- 생활 용품: 식량 세트, 물통, 휴대용 삽, 나이프, 통신 장비, 진통제와 소독액 등이 들어 있는 응급 세트 등.
6. 분류
현대에는 장비와 운용 형태에 따라 보병을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 경보병: AFV의 지원을 받지 않는 보병을 말한다.
- 공수부대: 고정익 항공기(수송기)로 이동하여 낙하산 강하를 할 수 있는 보병을 가리킨다.
- 공중기동보병: 주로 회전익기(헬리콥터)로 이동하는 보병을 뜻한다.
- 레인저
- 기계화보병: 자동차를 이용하는 보병 부대를 의미한다.
- 자동화 보병: 보병전투차나 장갑병력수송차 등의 차량(AFV)으로 이동하는 보병을 말한다.
임무에 따라서는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7. 운용과 전술
보병은 이동, 방어진지 건설, 전투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전투는 보병에게 가장 힘들고 고통스러운 임무이며, 그 목적과 환경, 참가 전력의 규모와 종류에 따라 참호전, 시가전, 상륙전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전투에서 보병은 기본적으로 분대, 소대 단위로 편성되어 부대 단위로 움직이며, 각자가 다른 방향을 경계하여 사각지대를 없애는 대형을 유지하며 이동한다. 지역의 위험도에 따라 이동 절차는 다른데, 위험도가 비교적 낮으면 모든 인원이 전방위에 대한 경계를 유지하면서, 한 번의 공격으로 전멸하지 않도록 보병 간의 간격을 유지하며 일제히 이동한다. 이 간격은 정글전, 야전 등에 따라 달라진다.[21]
실제 전투에 돌입하면, 기본적으로 두 개의 분대로 나뉘어 적에게 제압 사격(기관총 사격이나 연막을 치는 것을 의미하며, 적을 살상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적의 행동을 봉쇄하는 것이 목적이다)을 번갈아 가며 반복한다. 한쪽이 사격하는 동안 다른 한쪽은 적보다 유리한 지점을 확보하여 더 유리한 상황에서 전투를 전개한다. 이는 현대 보병 기동 전술의 기본이며, 이 과정에서 적과 아군 전력 분석 실수로 인한 잘못된 전술, 무기 장비 고장, 화력 부족, 기동력 부족, 부대 사기 저하, 지휘관 실패, 팀워크 부족 등으로 보병은 종종 사상자를 낸다.[21] 전차, 장갑차, 박격포 등이 있으면 더 무거운 화력으로 공격할 수 있어 보병의 부담이 줄어든다.
전차는 강력한 화포와 기동력을 갖추고 있어 적의 장갑차, 전투진지, 사격진지 등에 효과적인 타격을 줄 수 있지만, 지형 적응력과 유연성은 보병에 못 미친다. 참호나 은폐물에 숨어 효과적인 대전차무기를 장비한 보병은 높은 운용비용으로 인해 수적으로 열세인 전차부대보다 신뢰성 있는 전력이 된다.
전투차량은 일반적으로 시야가 열악하다. 전차는 강력한 장갑을 갖춘 반면, 대전차 무기를 휴대하고 있는 보병이 접근하면 취약하다. 보병은 지형에 매복하거나 위장하여 전투차량을 매복 공격할 수 있다. 근접 공격에 성공하거나 적 전차에 발각되지 않은 보병은 적 전차의 시야 밖에서 차체 후부나 기관실 상부 등 장갑이 얇은 부분을 공격하여 파괴할 수 있다. 시가전에서 전차 1대는 대략 보병 1~2개 분대 정도의 전력에 불과하다. 따라서 시야가 나쁜 지형·상황에서 전투차량이 단독 행동을 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며, 수행 보병과의 연계가 필수적이다.
보병부대는 어느 정도 인적 피해를 입어도 부대 재편성을 하여 유연한 운용이 가능하지만, 정비부대와 떨어져 행동하는 전차가 차체에 피해를 입으면 차량을 버릴 수밖에 없다. 행동 가능한 장소가 제한되기 때문에 지뢰의 표적이 되기 쉽다.
과거나 현재나 보병의 유연성과 유능함이 가장 잘 발휘되는 것은 도시 지역이나 정글과 같은 폐쇄적인 지형에서의 게릴라전일 것이다. 『손자병법』에도 적혀 있듯이, 태고부터 전술적으로 복잡한 기동이 가능한 소수 정예에 의한 게릴라전은 움직임이 느리고 중무장한 대규모 적 전력에 대해 유효한 전법으로 여겨져 왔다. 적에게 발각되지 않고 접근하여 기습 공격으로 피해를 입히고 본격적인 반격이 시작되기 전에 철수하는 것이 기본이며, 일방적으로 전투의 주도권을 유지함으로써 정신적 스트레스도 적에게 줄 수 있다. 현재에도 그러한 양상은 변함없으며, 화기 성능의 발전으로 인해 거대 세력에게 소규모이면서도 상당한 숙련도를 가진 게릴라 병사는 위협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전술이 유효한 것은 도시 지역이나 정글과 같이 은폐물이 많이 존재하는 장소에 한정되며, 적의 상황을 확실히 파악하기 위한 정보망과 인맥, 지형에 정통한 유도원 등이 필요하다.[21] 정규군의 특수부대에 의한 게릴라 전술(예: 제2차 세계 대전 중 북아프리카에서 영국의 특수부대(SAS))보다 무장한 민간인에 의한 게릴라 전술(예: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점령 하 각국의 레지스탕스, 파르티잔, 베트남 전쟁의 베트민, 베트콩)이 더 활발하다.
냉전 종식 이후에는 전쟁 이외의 임무(MOOTW, Military operations other than war)에 대한 보병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국제연합(UN)의 평화유지활동, 테러와 같은 긴급 상황 대응, 게릴라 활동 등의 치안 유지 활동, 재해 구호 활동 등이다.
테러 사건 등에서는 보병이 유연한 전투력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인질을 잡은 농성, 하이재킹 등 정밀하고 신속한 공격이 요구되는 테러 대응에 있어서는 매우 뛰어나다. 각국의 경찰이나 군대에서도 이러한 인질 구출을 전문으로 훈련받은 보병 부대가 특수부대(Special Forces)로서 운용되고 있다. 그들은 건물이나 비행기뿐만 아니라 열차, 자동차, 버스 등 모든 밀폐된 공간에서 정확한 움직임을 할 수 있도록 매일 CQB 훈련(근접 전투 훈련)을 받는다.
8. 미래
2010년 현재,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보병 장비 재검토 연구 및 장비 개량이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보병 개인 단위의 네트워크화가 시험되고 있다.[23] 1990년대부터 휴대 정보 단말기 등을 장착한 첨단 보병 시스템 개발이 진행되어 왔으며, 웨어러블 컴퓨터 도입 등에 따라 보병 개인에게 주어지는 개별 지시의 밀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23]
이러한 상황에서 경량의 HMD를 내장한 동력식 갑옷을 장착한 보병이나, NBC 방호구에 의해 오염된 지역에서도 활동할 수 있는 방호력이 높은 슈트를 입은 보병 등의 미래상이 고려되고 있다. 파워드 슈트(외골격 수트) 도입이나, 통신 및 정보 전달·상호 연계에 컴퓨터와의 인터페이스 개량을 통한 종합적인 정보 처리 기술 도입 등도 장기적인 관점에서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총기의 위력 향상과 전자전 기술의 발전, 그리고 현재 배터리 기술력 등을 고려해 볼 때, 보병의 미래가 안전하고 편안해질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현재로서는 판단된다. 화기의 공격력은 높아지고, 센서의 정밀도가 향상됨에 따라 야간이나 악천후에서의 살상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또한 생물 무기와 화학 무기 등이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어, 보병을 둘러싼 무기와 병기는 더욱 강력해지는 반면, 보병에게는 더욱 강력한 방어력이 요구되고 있으며, 본질적으로는 “창과 방패”의 끝없는 경쟁의 연장선에 불과하다.
전장의 기계화·무인화의 끝에는 궁극적으로 완전 무인 자율 제어의 로봇 병사가 있다는 생각도 있지만, 최근 증가 추세에 있는 시가전과 같이 적과 아군 이외에 민간인 등이 혼재하는 복잡한 전장에서의 자율 제어형 로봇의 적아 식별 능력과 교전 규칙을 고려한 행동 능력에는 아직 문제가 있다. 미래의 보병이 자율 로봇화되는 것의 현실성은 로봇 기술과 AI의 기술적인 측면에서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다만 공격 등 최종적인 판단은 조작하는 병사에게 맡기는 자율 제어가 아닌 원격 조종 방식의 로봇의 실전 배치는 진행되고 있으며, 이들은 기존 보병이 휴대하는 무기의 연장적인 운용이 이루어지는 외에도, 보병에 선행하여 주변을 정찰하는 데 이용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Infantry
http://www.etymonlin[...]
2017-10-17
[2]
웹사이트
Infantryman
http://www.etymonlin[...]
2017-10-17
[3]
웹사이트
Infantry
http://www.dictionar[...]
2017-10-17
[4]
논문
The evolution of lethal intergroup violence
2005-10-00
[5]
서적
War Before Civiliz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Military in the Middle Ages
http://www.thefinert[...]
2012-05-29
[7]
뉴스
Remaking the Wheel: Evolution of the Chariot
https://www.nytimes.[...]
1994-02-22
[8]
서적
The Circle of War in the Middle Ages
Boydell Press
1999
[9]
서적
Warfare in the Medieval World
Pen & Sword Military
2006
[10]
서적
World History of Warfare
https://archive.org/[...]
U of Nebraska Press
2002
[11]
웹사이트
Military kit through the ages: from the Battle of Hastings to Helmand
https://www.telegrap[...]
2017-10-26
[12]
뉴스
Weight Of War: Soldiers' Heavy Gear Packs On Pain
https://www.npr.org/[...]
2017-10-26
[13]
논문
Tactical reform in the late Roman republic: the view from Italy
https://biblioscout.[...]
2019-01-01
[14]
서적
That Powerless Feeling
Trafford Publishing
2010-01-01
[15]
서적
Battle cry of freedom : the Civil War era
https://archive.org/[...]
Ballantine Books
1989-01-01
[16]
서적
Germany at War: 400 Years of Military History
ABC-CLIO
2014-10-28
[17]
웹사이트
List of weapons
https://www.britanni[...]
The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7-11-13
[18]
웹사이트
Are We Forever Stuck with the Bayonet?
http://www.sadefense[...]
2017-11-13
[19]
서적
Historia: Zeitschrift für Alte Geschichte
ABC-CLIO
2000-01-01
[20]
서적
War and Society
John Wiley & Sons
2016-03-31
[21]
웹사이트
Training of Infantry in history
https://www.bing.com[...]
2024-08-07
[22]
서적
The Kingdom of Kush: Handbook of the Napatan-Meroitic Civilization
Brill
1998
[23]
간행물
THE 未来歩兵
学習研究社
2010-06
[24]
기타
[25]
웹인용
<기사> 육군 '연대를 여단으로' 전투 기동력 높였다
https://www.khan.co.[...]
2021-02-22
[26]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