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주광역시의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주광역시의회는 2018년 6월 13일에 치러졌으며, 광주광역시의회 의원을 선출했다. 지역구는 동구 2곳, 서구 4곳, 남구 3곳, 북구 6곳, 광산구 5곳으로 구성되었으며, 더불어민주당이 압도적인 지지를 받아 지역구 20석, 비례대표 2석을 차지했다. 정의당은 비례대표 1석을 얻었다.
광주광역시의회는 지역구에서 직접 선출하는 지역구 의원과 정당 득표율에 따라 선출하는 비례대표 의원으로 구성된다.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기준으로 광주광역시의회 의원 정수는 총 23명이며, 이 중 지역구 의원은 20명, 비례대표 의원은 3명이다.
2. 광주광역시의회 구성
지역구 의원은 각 선거구에서 유권자의 직접 투표를 통해 선출되며, 비례대표 의원은 정당에 대한 득표율에 따라 각 정당에 배분된다.
2. 1. 지역구 선거구
| 선거구명 | 관할 지역 |
|---|---|
| 동구 제1선거구 | 충장동, 동명동, 계림1동, 계림2동, 산수1동, 산수2동 |
| 동구 제2선거구 | 지산1동, 지산2동, 서남동, 학동, 학운동, 지원1동, 지원2동 |
| 서구 제1선거구 | 양동, 양3동, 농성1동, 농성2동, 화정1동, 화정2동 |
| 서구 제2선거구 | 광천동, 유덕동, 치평동, 상무1동, 동천동 |
| 서구 제3선거구 | 화정3동, 화정4동, 풍암동 |
| 서구 제4선거구 | 상무2동, 서창동, 금호1동, 금호2동 |
| 남구 제1선거구 | 봉선1동, 월산동, 월산4동, 월산5동, 주월1동, 주월2동 |
| 남구 제2선거구 | 양림동, 방림1동, 방림2동, 사직동, 백운1동, 백운2동 |
| 남구 제3선거구 | 봉선2동, 효덕동, 송암동, 대촌동 |
| 북구 제1선거구 | 중흥1동, 중흥2동, 중흥3동, 중앙동, 임동, 신안동 |
| 북구 제2선거구 | 우산동, 문흥1동, 문흥2동, 오치1동, 오치2동 |
| 북구 제3선거구 | 풍향동, 문화동, 두암1동, 두암2동, 두암3동, 석곡동 |
| 북구 제4선거구 | 용봉동, 삼각동, 일곡동, 매곡동 |
| 북구 제5선거구 | 운암1동, 운암2동, 운암3동, 동림동 |
| 북구 제6선거구 | 건국동, 양산동 |
| 광산구 제1선거구 | 송정1동, 송정2동, 도산동, 어룡동, 동곡동, 평동, 삼도동, 본량동 |
| 광산구 제2선거구 | 신흥동, 우산동, 월곡1동, 월곡2동, 운남동 |
| 광산구 제3선거구 | 비아동, 첨단1동, 첨단2동, 하남동, 임곡동 |
| 광산구 제4선거구 | 신가동, 신창동 |
| 광산구 제5선거구 | 수완동 |
2018년 6월 13일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광주광역시의회 의원을 선출하였다. 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이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3.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주광역시의회 선거 결과
총 23석의 의석 중 지역구 20석 모두를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차지하였으며, 이 중 3개 선거구에서는 무투표 당선되었다. 비례대표 의석 3석은 더불어민주당이 2석, 정의당이 1석을 각각 확보하였다.
최종적으로 더불어민주당은 총 22석(지역구 20석, 비례대표 2석)을, 정의당은 1석(비례대표 1석)을 확보하여 제7대 광주광역시의회를 구성하게 되었다. 민주평화당, 민중당, 바른미래당, 자유한국당 등 다른 정당들은 의석을 얻지 못했다.
3. 1. 지역구 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은 광주광역시의회 지역구 20석 모두를 석권하며 압승을 거두었다. 이 중 서구 제1선거구(장재성), 서구 제4선거구(황현택), 북구 제5선거구(김동찬)는 무투표 당선되었으며, 나머지 17개 선거구에서도 모두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당선되었다.
3. 1. 1. 동구
3. 1. 2. 서구
| 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 서구 제1선거구 | 장재성 | 더불어민주당 | — | — | 무투표 당선 |
| 서구 제2선거구 | 정순애 | 더불어민주당 | 27,080 | 62.51% | 당선 |
| 이은주 | 민중당 | 16,239 | 37.48% | 낙선 | |
| 서구 제3선거구 | 송형일 | 더불어민주당 | 26,238 | 81.95% | 당선 |
| 신태양 | 민주평화당 | 5,776 | 18.04% | 낙선 | |
| 서구 제4선거구 | 황현택 | 더불어민주당 | — | — | 무투표 당선 |
3. 1. 3. 남구
wikitext| 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 남구 제1선거구 | 김용집 | 더불어민주당 | 당선 (무투표) | ||
| 남구 제2선거구 | 김점기 | 더불어민주당 | 20,074 | 73.84% | 당선 |
| 박기홍 | 민주평화당 | 7,109 | 26.15% | ||
| 남구 제3선거구 | 임미란 | 더불어민주당 | 당선 (무투표) |
3. 1. 4. 북구
| 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 북구 제1선거구 | 반재신 | 더불어민주당 | 24,166 | 77.89% | 당선 |
| 북구 제1선거구 | 오동오 | 민주평화당 | 6,859 | 22.10% | |
| 계 | 31,025표 | colspan="2" | | |||
| 북구 제2선거구 | 이경호 | 더불어민주당 | 28,147 | 76.16% | 당선 |
| 북구 제2선거구 | 이동국 | 민주평화당 | 8,808 | 23.83% | |
| 계 | 36,955표 | colspan="2" | | |||
| 북구 제3선거구 | 신수정 | 더불어민주당 | 21,645 | 75.18% | 당선 |
| 북구 제3선거구 | 김재찬 | 민중당 | 7,144 | 24.81% | |
| 계 | 28,789표 | colspan="2" | | |||
| 북구 제4선거구 | 조석호 | 더불어민주당 | 23,837 | 73.48% | 당선 |
| 북구 제4선거구 | 김영풍 | 민주평화당 | 4,845 | 14.93% | |
| 북구 제4선거구 | 최용현 | 정의당 | 3,757 | 11.58% | |
| 계 | 32,439표 | colspan="2" | | |||
| 북구 제5선거구 | 김동찬 | 더불어민주당 | 무투표 당선 | ||
| 계 | 0표 | colspan="2" | | |||
| 북구 제6선거구 | 김나윤 | 더불어민주당 | 20,486 | 70.70% | 당선 |
| 북구 제6선거구 | 소재섭 | 민중당 | 8,488 | 29.29% | |
| 계 | 28,974표 | colspan="2" | | |||
3. 1. 5. 광산구
- '''광산구 제1선거구''' : 김익주 (더불어민주당)
- '''광산구 제2선거구''' : 정무창 (더불어민주당)
- '''광산구 제3선거구''' : 김학실 (더불어민주당)
- '''광산구 제4선거구''' : 김광란 (더불어민주당)
- '''광산구 제5선거구''' : 이정환 (더불어민주당)
3. 2.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주광역시의회 비례대표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더불어민주당이 과반이 넘는 득표율로 2석을 확보하였고, 정의당이 1석을 차지하였다. 그 외 민주평화당, 민중당, 바른미래당, 자유한국당 등은 의석을 얻지 못했다.|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
|---|---|---|---|---|
| 더불어민주당 | 461,406 | 67.47% | 2 | |
| 정의당 | 87,327 | 12.77% | 1 | |
| 민주평화당 | 56,341 | 8.23% | 0 | |
| 민중당 | 31,417 | 4.59% | 0 | |
| 바른미래당 | 30,015 | 4.38% | 0 | |
| 자유한국당 | 9,465 | 1.38% | 0 | |
| 노동당 | 4,257 | 0.62% | 0 | |
| 녹색당 | 3,610 | 0.52% | 0 | |
3. 2. 1. 비례대표 당선자
wikitext
4. 광주광역시의회 역대 선거
광주광역시의회는 대한민국의 지방자치제가 부활한 1991년 이후 여러 차례의 선거를 거쳐 구성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