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민주평화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주평화당은 2018년 1월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의 통합에 반대하여 호남 지역 의원들을 중심으로 창당되었다. 김대중 전 대통령과 연관된 세력이 주축이 되었으며, 2018년 2월 조배숙을 초대 당대표로 공식 창당했다. 2018년 8월 정동영이 당대표로 선출되었다. 2019년 당내 갈등으로 분당 사태를 겪었고, 2020년 2월 바른미래당, 대안신당과 함께 민생당으로 통합되면서 해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민주평화당 - 평화와 정의의 의원 모임
    평화와 정의의 의원 모임은 2018년 민주평화당과 정의당이 대한민국 국회에서 원내교섭단체 구성을 위해 결성한 연합체였으나, 노회찬 의원의 사망으로 의원 수가 20명 미만이 되어 해산되었다.
  • 2018년 설립된 정당 - 바른미래당
    바른미래당은 2018년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의 합당으로 창당된 대한민국 정당으로, 중도와 개혁적 보수를 표방했으나 이념 갈등, 선거 참패, 분당을 겪고 민생당으로 합당되며 소멸되었다.
  • 2018년 설립된 정당 - 인민의 종
    인민의 종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이 주연한 드라마에서 유래된 우크라이나의 중도주의 정당으로, 2019년 대통령 선거 당선과 총선 다수당 확보를 통해 유럽 연합 및 북대서양 조약 기구와의 협력 확대를 추구한다.
  • 대한민국의 중도정당 - 바른미래당
    바른미래당은 2018년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의 합당으로 창당된 대한민국 정당으로, 중도와 개혁적 보수를 표방했으나 이념 갈등, 선거 참패, 분당을 겪고 민생당으로 합당되며 소멸되었다.
  • 대한민국의 중도정당 - 국민의당 (2016년)
    국민의당 (2016년)은 2016년 안철수의 탈당으로 시작되어 20대 총선에서 38석을 얻었으나, 리베이트 의혹 등으로 당 대표가 사퇴하고 바른정당과 통합하여 바른미래당으로 해산되었다.
민주평화당 - [정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민주평화당 로고
로고 크기200px
색상 코드#40B02A
창립 (사실상)2018년 2월 6일
창립 (법적)2018년 2월 7일
해산2020년 2월
합병 대상민생당
이념자유주의(대한민국)
보수자유주의
지역주의
중도개혁주의
정치적 위치중도주의
웹사이트민주평화당
국가대한민국
모국어 이름민주평화당
民主平和黨
분리 정당국민의당
주석중도좌파 또는 중도우파로 평가되기도 함. 사회보수적 성향이 강함.
대표
대표정동영
원내대표
사무총장
국회의원
의석수4/300
의석수 기준일2019년 8월 22일
광역단체장
의석수0/17
의석수 기준일2019년 8월 22일
광역의회
의석수3/824
의석수 기준일2019년 8월 22일
기초단체장
의석수4/226
의석수 기준일2019년 8월 22일
기초의회
의석수50/2927
의석수 기준일2019년 8월 22일
기타 정보
당원 수9만 2000명
당원 수 기준 연도2018년
상징색초록색
관련 정보
이전 정당국민의당
선행 조직국민의당 지키기 운동본부
개혁신당 창당추진위원회
통합 정당민생당
정책 연구소민주평화연구원
학생 조직민주평화당 전국대학생위원회
청년 조직민주평화당 전국청년위원회

2. 역사

2018년 1월 3일 국민의당 지키기 운동본부가 출범했고, 1월 14일 개혁신당 창당추진위원회가 출범했다.[13] 1월 24일 민주평화당으로 명칭을 확정했으며, 1월 28일 민주평화당 창당준비위원회가 출범했다.[13] 2월 6일 민주평화당이 공식 창당되었다.[25] 민평당(민주평화당)은 대통령을 지낸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과 깊은 연관이 있던 국민의당의 분당 세력에 의해 창당되었다.[13]

2018년 3월 29일 정의당평화와 정의의 의원 모임을 결성했으나, 7월 23일 정의당 노회찬 의원의 사망으로 해체되었다.[15]

2018년 8월 1일 당대표 선거가 시작되어 최경환, 유성엽, 정동영, 민영삼, 이윤석, 허영 6명의 후보가 출마했고,[38] 8월 5일 정동영 의원이 당대표로, 유성엽, 최경환, 허영, 민영삼이 최고위원으로 선출되었다.[39]

2019년 8월 16일, 유성엽 등 9명이 민주평화당을 탈당하고 변화와 희망의 대안정치연대(이후 대안신당으로 개칭)로 이동했고, 바른미래당 소속 장정숙 의원은 별도로 탈당, 김경진은 탈당 후 무소속 신분으로 전환되었다. 당시 민주평화당 현역 의원은 김광수, 정동영, 조배숙, 황주홍, 천정배 의원 등 5명이었다.

2020년 2월 15일 바른미래당, 대안신당과 합당하여 새로운 정당 “민주통합당”을 결성하기로 합의했고,[26] 약간의 수정을 거쳐 2월 24일 민생당이 창당되면서 민주평화당은 해체되었다.[27]

민평당 당사

2. 1. 창당 배경

2018년 1월, 안철수 대표의 국민의당과 유승민 대표의 바른정당이 합당하여 바른미래당을 창당하기로 결정했다.[14] 이러한 합당 결정은 중도 성향의 국민의당과 중도우파 성향의 바른정당 간의 통합으로, 특히 진보 성향이 강한 전북과 전남 출신 의원들의 반발을 샀다.[14]

이에 반발한 국민의당 내 호남계 의원들은 독자적인 세력을 구축하기 시작했다. 2018년 1월 3일, 국민의당을 지키기 위한 운동본부를 출범시켰고,[13] 1월 14일에는 개혁신당 창당추진위원회를 출범시켰다.[13] 이후 1월 24일, 민주평화당으로 명칭을 확정하고, 1월 28일 창당준비위원회를 출범하며 본격적인 창당 절차에 돌입했다.[13]

2. 2. 창당 및 활동

2018년 1월 28일, 국민의당바른미래당과의 합당에 반대하는 의원들이 민주평화당 창당준비위원회를 출범시켰다.[13] 2월 6일에는 민주평화당을 공식 창당하고, 초대 당대표로 조배숙 의원을 선출했다.[25]

2018년 3월 29일, 정의당과 함께 평화와 정의의 의원 모임을 결성했으나,[15] 7월 23일 노회찬 의원의 사망으로 해체되었다.

2018년 8월 5일, 제1차 정기 전국당원대표자대회에서 정동영 의원이 당대표로 선출되었다.[39] 유성엽, 최경환, 허영, 민영삼이 최고위원으로 선출되었다.[39]

사회 정책 면에서는 동성결혼낙태에 반대하는 등 더불어민주당보다 보수적인 입장을 보였다.[18][19][20]

일본과의 관계에서는 강제징용 소송 판결과 관련하여 2018년 11월 7일 소속 의원인 천정배가 일본 외무성에 "불법적인 침략의 역사를 솔직하게 인정하고, 한국인 피해자들에게 정당한 배상이 이루어지도록 앞장서 주길 바란다"는 내용의 공개 서한을 발송할 의사를 밝혔다.[28] 2019년 1월 9일에는 당대표인 정동영이 강제징용 소송 문제에 대한 일본 정부의 태도는 내정간섭이라며 아베 신조 일본 총리에게 항의하는 서한을 작성하여 일본 대사관 관계자에게 전달했다.[29] 또한 한국 해군 레이더 조사 문제에 대해서도 정당한 인도적 구조였으며, 일본은 외교 문제화하는 것을 그만둬야 한다고 주장했다.[29]

2. 3. 분당 및 해산

2019년 당내 갈등으로 유성엽 등 9명이 민주평화당을 탈당하고 변화와 희망의 대안정치연대(이후 대안신당으로 개칭)를 창당했다.[38] 장정숙 의원은 바른미래당을 탈당했으며, 김경진은 탈당 후 무소속으로 전환되었다.

2020년 2월, 민주평화당은 바른미래당, 대안신당과 함께 민생당으로 통합되면서 해산되었다.[26][27]

3. 지도부

2018년 1월 28일 조배숙 의원을 창당준비위원장으로 하는 창당준비위원회가 구성되었다.[1] 창당기획단장은 김경진 의원, 대변인은 최경환, 장정숙 의원이 임명되었고, 부대변인에는 조성은, 김현식, 손동호가 임명되었다.[1] 조직분과위원장은 김종회, 홍보위원장은 박주현, 정강정책위원장은 윤영일, 당헌당규위원장은 이용주 의원이 임명되었으며, 장병완, 유성엽 의원은 인재영입위원장을 맡았다.[1]

직책이름
창당준비위원장조배숙
창당기획단장김경진
대변인최경환, 장정숙
부대변인조성은, 김현식, 손동호
조직분과위원장김종회
홍보위원장박주현
정강정책위원장윤영일
당헌당규위원장이용주
인재영입위원장장병완, 유성엽



2018년 2월 6일부터 2018년 8월 5일까지 초대 지도부는 다음과 같다.

직책이름비고
당대표조배숙
최고위원윤영일, 김경진, 배준현, 정호준선출직
최고위원민영삼지명직
원내대표장병완
원내수석부대표 겸 원내대변인이용주
원내부대표단최경환(공보), 정인화(기획당무), 이용주(법률), 윤영일(정책)
정책위원회 의장황주홍
정책위원회 수석부의장김광수
사무총장정인화
대변인최경환, 장정숙
제7회 지방선거 공동선거대책위원장김경진(상임)
전당대회 준비위원장정인화(2018년 6월 20일 ~ 2018년 8월 5일)
전당대회준비위원황주홍, 장정숙, 이관승, 홍훈희, 황인철, 김기옥, 조군수, 문정선, 홍승태*, 양영두



2018년 8월 5일부터 2020년 2월 24일까지 2기 지도부는 다음과 같다.

직책이름
당대표정동영
최고위원
선출직유성엽, 최경환, 허영, 민영삼 → 허영, 민영삼
당연직양미강, 서진희
지명직박주현, 김명삼, 김종배
원내대표장병완유성엽조배숙
원내대변인최경환
원내부대표단정인화(기획당무), 이용주(법률), 윤영일(정책), 공석 (여성) → 박지원 (제1 정조위), 박주현 (제2 정조위), 김종회 (제3 정조위), 장정숙 (제4 정조위) → (공보), (당무), (정책), (법률)
정책위원회 의장황주홍윤영일
정책위원회 수석부의장김광수장정숙
사무총장정인화황주홍김광수 → 이관승
대변인
박주현, 김정현, 홍성문, 민영삼(홍보) → 박주현(수석), 김명삼, 김종배
부대변인최재희, 김형구(수석)


3. 1. 역대 대표


3. 2. 역대 원내대표


3. 3. 창당준비위원회 (2018.01.28 ~ 2018.02.06)

조배숙 의원을 창당준비위원장으로 하여 창당준비위원회를 구성하였다.[1] 창당기획단장은 김경진 의원, 대변인은 최경환, 장정숙 의원이 임명되었다.[1] 부대변인에는 조성은, 김현식, 손동호가 임명되었다.[1]

조직분과위원장은 김종회, 홍보위원장은 박주현, 정강정책위원장은 윤영일, 당헌당규위원장은 이용주 의원이 임명되었다.[1] 장병완, 유성엽 의원은 인재영입위원장을 맡았다.[1]

직책이름
창당준비위원장조배숙
창당기획단장김경진
대변인최경환, 장정숙
부대변인조성은, 김현식, 손동호
조직분과위원장김종회
홍보위원장박주현
정강정책위원장윤영일
당헌당규위원장이용주
인재영입위원장장병완, 유성엽


3. 4. 초대 지도부 (2018.02.06 ~ 2018.08.05)

직책이름비고
당대표조배숙
최고위원윤영일, 김경진, 배준현, 정호준선출직
최고위원민영삼지명직
원내대표장병완
원내수석부대표 겸 원내대변인이용주
원내부대표단최경환
(공보), 정인화
(기획당무), 이용주
(법률), 윤영일
(정책)
정책위원회 의장황주홍
정책위원회 수석부의장김광수
사무총장정인화
대변인최경환, 장정숙
제7회 지방선거 공동선거대책위원장김경진
(상임)
전당대회 준비위원장정인화(2018년 6월 20일 ~ 2018년 8월 5일)
전당대회준비위원황주홍, 장정숙, 이관승, 홍훈희, 황인철, 김기옥, 조군수, 문정선, 홍승태*, 양영두


3. 5. 2기 지도부 (2018.08.05 ~ 2020.02.24)

wikitext

직책이름
당대표정동영
최고위원
선출직유성엽, 최경환, 허영, 민영삼 → 허영, 민영삼
당연직양미강, 서진희
지명직박주현, 김명삼, 김종배
원내대표장병완유성엽조배숙
원내대변인최경환
원내부대표단정인화(기획당무), 이용주(법률), 윤영일(정책), 공석 (여성) → 박지원 (제1 정조위), 박주현 (제2 정조위), 김종회 (제3 정조위), 장정숙 (제4 정조위) → (공보), (당무), (정책), (법률)
정책위원회 의장황주홍윤영일
정책위원회 수석부의장김광수장정숙
사무총장정인화황주홍김광수 → 이관승
대변인
박주현, 김정현, 홍성문, 민영삼(홍보) → 박주현(수석), 김명삼, 김종배
부대변인최재희, 김형구(수석)


4. 역대 전당대회

2018년 2월 6일 민주평화당 창당대회에서 민주평화당을 공식 당명으로 채택하고, 조배숙 의원을 당 대표로 추대했다.

2018년 8월 5일 민주평화당 제1차 정기 전국당원대표자대회에서는 지도부 선출 방식을 둘러싼 갈등 끝에 1인 2표제로 전당원투표 90%와 국민 여론조사 10%를 합산하는 방식이 채택되었다. 정동영열린우리당 의장이 당 대표로 선출되었고, 유성엽, 최경환 의원, 민영삼 전 전남지사 후보, 허영 인천시당위원장이 최고위원으로 선출되었다.[1]

4. 1. 민주평화당 창당대회 (2018년 2월 6일)

2018년 2월 6일, 민주평화당 창당대회에서 민주평화당을 공식 당명으로 채택하고, 당헌·당규와 강령, 기본 정책을 제정한 뒤 조배숙 의원을 당 대표로 추대했다.

4. 2. 민주평화당 제1차 정기 전국당원대표자대회 (2018년 8월 5일)

2018년 7월 3일, 민주평화당 전당대회준비위원회는 집단지도체제 지도부 선출에 대해 1인 1표제로 전당대회 시행세칙을 확정했으나, 7월 4일 최고위원회는 1인 2표제로 전준위의 결정을 뒤엎었다. 이후에도 지도부 선출 방식을 두고 정동영 의원과 박지원 의원 측 간의 갈등이 벌어졌다. 7월 10일, 전준위는 1인 2표제로 전당원투표 90%와 국민 여론조사 10%를 합산해 1위가 당대표, 2~5위가 최고위원으로 선출되는 순수 집단지도체제를 채택했다.[1]

7월 17일, 지도부 경선 후보등록을 마친 결과, 정동영열린우리당 의장, 유성엽, 최경환 의원, 이윤석 전 의원, 민영삼 전 전라남도지사 후보, 허영 인천시당위원장 등 6명이 후보로 등록했다.[1]

순위기호이름K보팅 전당원투표ARS 전당원투표국민여론조사
(10%)
총 득표비고
13정동영70.0471.6949.6869.57당대표
22유성엽42.4141.1437.1141.45최고위원
31최경환25.8536.8529.3229.97최고위원
46허영24.3417.5514.4421.02최고위원
54민영삼17.8416.3044.3219.96최고위원
65이윤석19.5416.4625.1319.04
합계-



2018년 8월 5일, 평화당 전당대회는 정동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을 대표로, 박지원계의 유성엽, 최경환 의원, 정동영계의 민영삼 전 전남지사 후보, 허영 인천시당위원장을 최고위원으로 선출했다.[1]

5. 주요 선거 결과

선거대표광역자치단체장광역의회기초자치단체장기초의회
2018년 지방 선거조배숙0 / 173 / 8245 / 22648 / 2927



2018년 재보궐선거2019년 재보궐선거에서는 국회의원 의석을 얻지 못했다.

5. 1. 지방선거

2018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에서 민주평화당은 조배숙 대표 체제 하에 광역자치단체장 0석, 기초자치단체장 5석, 광역의회의원 3석, 기초의회의원 49석을 얻었다.

선거대표광역자치단체장광역의회기초자치단체장기초의회
2018년조배숙0 / 173 / 8245 / 22649 / 2927


5. 2. 재보궐선거

2018년한국어 6·13 재보선에서는 국회의원 12석 중 한 석도 얻지 못했다.[1] 2019년한국어 4·3 재보선에서는 국회의원 2석 중 한 석도 얻지 못했지만, 기초의원 3석 중 1석을 얻었다.[1]

실시년도선거국회의원기초의원
2018년6·13 재보선0/12-
2019년4·3 재보선0/21/3


참조

[1] 뉴스 People Party defectors launch new liberal party http://www.koreahera[...] Herald Corporation 2018-02-06
[2] 웹사이트 http://www.nec.go.kr[...] 2018-02-13
[3] 뉴스 (LEAD) Defectors from People Party create new liberal party http://english.yonha[...] 2018-02-06
[4] 웹사이트 The merger of the three Honam region political parties - the Bareunmirae Party, New Alternatives, and the Democratic and Peace Party. http://www.hani.co.k[...] Hankyoreh 2020-02-14
[5] 뉴스 https://www.hankooki[...] Hankook Ilbo 2019-02-08
[6] 웹사이트 http://news.naver.co[...]
[7] 웹사이트 First anniversary of the Peace Party, "centrist-reform" aspirations... an internal and external fishline in the political realignment theory. http://www.hankookil[...] 2019-02-08
[8] 뉴스 South Korea advocates call for Jeju Massacre reparations https://www.upi.com/[...] 2018-08-20
[9] 뉴스 https://www.upinews.[...] 2021-09-24
[10] 뉴스 https://news.naver.c[...] 2019-01-08
[11] 뉴스 http://goodnews1.com[...] 2019-01-08
[12] 뉴스 '''보수적 자유주의'''자 이상돈의 엑스파일 https://www.joongang[...] 2021-06-19
[13] 뉴스 People's Party dissenters establish preparation committee for new party http://www.koreahera[...] Herald Corporation 2018-01-28
[14] 뉴스 Two minor parties declare merger https://www.koreatim[...] 2018-01-18
[15] 뉴스 http://news.naver.co[...] 2018-11-28
[16] 뉴스 Over two-thirds of Party for Democracy and Peace lawmakers bolt http://www.koreahera[...] 2019-08-12
[17] 뉴스 http://www.ccdailyne[...] 2019-01-08
[18] 뉴스 https://news.naver.c[...] 2019-01-08
[19] 뉴스 http://goodnews1.com[...] 2019-01-08
[20] 뉴스 https://news.naver.c[...] 2019-01-08
[21] 뉴스 Three conservative opposition parties, "President Roh, apologize for canceling his pledge to relocate the office to Gwanghwamun". (Korean) http://www.viewsnnew[...] 2019-01-08
[22] 웹사이트 민주평화당發 '민평-정의 공동교섭단체론'…순항할까 http://news.naver.co[...]
[23] 뉴스 보수 야3당 "文대통령, 집무실 광화문 이전 백지화 사과하라(保守野党3党"文大統領、執務室、光化門(クァンファムン)移転の白紙化に謝罪すべき) http://www.viewsnnew[...] views&news 2019-01-05
[24] 웹사이트 평화당 첫돌 “중도개혁 중심” 포부… 정계개편설에 안팎 어수선(平和堂が誕生する"中道改革中心"抱負... 政界再編説に内外騒然) http://www.hankookil[...]
[25] 뉴스 韓国野党第2・3党が合併へ 新党名は「未来党」 http://m.yna.co.kr/m[...] 聯合ニュース 2018-02-02
[26] 뉴스 正しい未来党、代案新党、民主平和党の全羅道系3党が合併 http://japan.hani.co[...] 2020-02-15
[27] 뉴스 민생당 출범…손학규·최경환·정동영 합당 의결(종합) https://archive.is/w[...] 2020-02-24
[28] 웹사이트 韓国野党議員、日本外務省に書簡伝達予定 「正当な賠償のために率先を」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8-11-07
[29] 웹사이트 韓国野党代表「安倍氏は内政干渉やめよ」=徴用工訴訟で抗議書簡 https://www.jiji.com[...] 時事通信 2018-01-09
[30] 웹사이트 http://www.ohmynews.[...]
[31] 뉴스 통합반대파 국민의당 의원들 신당 이름 '민주평화당' http://www.hani.co.k[...] ハンギョレ 2018-01-24
[32] 뉴스인용 (LEAD) Defectors from People's Party create new liberal party http://english.yonha[...]
[33] 뉴스인용 다시 만들어지는 4당 체제, 향후 정치권은? http://news.i6news24[...]
[34] 뉴스인용 정당들 ‘동성애 합법화’ 반대 공감… 방법론선 온도차 https://news.naver.c[...] 2019-01-08
[35] 뉴스인용 지방선거 코앞…교계 '낙태·동성애 문제' 최대 이슈 http://goodnews1.com[...] 2019-01-08
[36] 웹인용 바른미래당·대안신당·민주평화당 등 호남계 3당 합당 http://www.hani.co.k[...] 한겨레 2020-02-14
[37] 뉴스인용 기치 올린 민평당, 중도 재편작업 완료 https://news.v.daum.[...]
[38] 웹인용 평화당 당대표 선거시작…유-최 연대 "변화" vs DY "존재감" http://www.newsis.co[...] NEWSIS
[39] 뉴스인용 [속보] 민주평화당 새 대표에 정동영 선출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2018-08-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