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재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재소는 통나무를 규격 제재목으로 가공하는 시설이다. 제재 공정은 벌목, 가지치기, 운송, 나무껍질 제거, 분류, 제재, 건조, 대패질, 운송의 과정을 거친다. 인류는 3세기경 로마 시대부터 제재소를 사용했으며, 산업 혁명 이후 증기 동력의 도입으로 제재소 산업이 발전했다. 현대 제재소는 자동화 및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폐기물을 최소화하고 부산물을 재활용하는 데 중점을 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목재산업 - 재목
    제재목은 나무를 깎아 만든 건축 자재로, 용도와 규격, 강도에 따라 등급이 결정되며, 건축 구조재, 가구, 인테리어 등에 사용되고, 자연적 요인과 가공 과정에서 결함이 발생할 수 있어 방부 처리 등을 통해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제재소
제재소 정보
산업

2. 제재 공정

제재소의 기본 작동 방식은 수백 년 전과 거의 동일하다. 통나무가 한쪽 끝으로 들어가면 규격 제재목이 다른 쪽 끝으로 나온다. 제재 공정은 원목 준비, 제재 및 가공, 운송 단계로 나뉜다.[1] 각 단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할 수 있다.

2. 1. 원목 준비

수확할 나무를 선택한 후, 벌목하여 적절한 길이로 자른다. 가지는 원통에서 잘라내는데, 이를 '가지치기'라고 한다. 통나무는 벌목 트럭, 철도 또는 통나무 떼를 이용하여 제재소로 운반된다. 통나무는 제재소로 가는 도중 또는 제재소에 도착하면 자원 평가를 받는다. 제재소에서 나무껍질을 제거한다. '데킹'은 통나무를 수종, 크기 및 최종 용도(제재목, 합판, 칩)별로 분류하는 과정이다.[1]

2. 2. 제재 및 가공

제재공은 헤드 쏘(헤드 리그 또는 1차 톱이라고도 함)를 사용하여 통나무를 칸트(추가 가공을 거칠 미완성 통나무)와 플리치(미완성 널빤지)로 자른다.[1] 통나무의 수종과 품질에 따라 칸트는 재단 톱 또는 갱 에지를 사용하여 여러 개의 플리치 및/또는 판자로 더 잘린다.[1] 가장자리 다듬기는 플리치의 불규칙한 가장자리를 모두 잘라내 사면 제재목을 만든다.[1] 다듬기는 일반적인 제재목 길이로 양쪽 끝을 직각으로 만든다.[1] 건조는 제재목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건조기 또는 공기 건조를 통해 이루어진다.[1] 대패질은 제재목 표면을 매끄럽게 하여 균일한 너비와 두께를 만든다.[1]

2. 3. 운송

운송은 완성된 제재목을 시장으로 운반하는 과정이다.[1]

3. 역사

제재소는 히에라폴리스의 로마식 수차 제재소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이는 크랭크와 커넥팅 로드를 사용한 가장 오래된 기계 장치로 알려져 있다.[2] 6세기에는 비잔틴의 게라사와 에페소스에서 수력을 이용한 석재 제재소가 발견되었다.[3] 로마 제국 시대에는 아우소니우스와 니사의 그레고리의 기록을 통해 수력을 이용한 대리석 제재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4]

중세 시대에는 제재소가 널리 사용되었으며, 15세기 마데이라를 거쳐 16세기에는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었다.[6] 제재소 발명 이전에는 나무를 쪼개거나 톱 구덩이에서 양손톱으로 톱질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초기 제재소는 물레방아를 동력원으로 사용하고 피트맨 암을 통해 톱날을 왕복 운동시켰다. 이후 수력으로 구동되는 이동식 캐리지가 개발되어 통나무를 톱날로 꾸준히 이동시켰다. 독일에서는 크랭크가 없는 "노크 앤 드롭" 방식의 제재소도 있었다.[7] 이러한 초기 제재소들은 발트해 연안 국가나 캐나다 같은 목재 수출 지역의 농촌 공동체에서 겨울철에만 운영되었으며, 생산량은 하루 500개 판자 정도로 낮았다.

미국에서는 버지니아 식민지화 직후 제재소가 도입되었고, 금속 부품은 네덜란드에서 수입했다.[6] 네덜란드의 코르넬리스 코르넬리슨 반 위트게스트는 1594년 풍차를 이용한 제재소를 발명하여 통나무 가공 속도를 크게 향상시켰다.[8] 그는 크랭크축을 사용하여 풍차의 회전 운동을 톱의 왕복 운동으로 바꾸는 특허를 받았다.[9]

산업 혁명 시기에는 증기 기관이 도입되면서 제재소는 큰 변화를 겪었다. 철도를 통해 통나무와 목재를 운반할 수 있게 되면서, 물길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도 제재소를 건설할 수 있게 되었다. 증기 동력 제재소는 기계화가 더욱 발전했고, 제재소에서 나오는 자투리 목재를 연료로 활용하여 효율성을 높였다. 그러나 새로운 제재소 건설 비용은 크게 증가했다.[10] 또한, 트랙션 엔진의 등장으로 제재소 전체를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12][13] 1900년에는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조지타운에 있던 Atlantic Lumber Company가 세계 최대 규모의 제재소를 운영했으며, 이 회사는 피디 강을 통해 운반된 통나무를 사용했다.

3. 1. 산업 혁명 이전

히에라폴리스의 로마식 수차 제재소는 3세기 후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크랭크와 커넥팅 로드 메커니즘을 통합한 가장 오래된 제재소로 알려져 있다.[2] 6세기에는 비잔틴 도시인 게라사 (소아시아)와 에페소스 (시리아)에서 기어 트레인 없이 크랭크와 커넥팅 로드를 사용하는 수력식 석재 제재소가 고고학적으로 증명되었다.[3]

4세기 후반, 로마 시인 아우소니우스독일 모젤강의 수차로 대리석을 자르는 날카로운 소리에 대해 묘사했다.[4] 니사의 그레고리 또한 370~390년경 대리석 제재소를 암시하여 로마 제국 여러 지역에서 수력이 다양하게 사용되었음을 보여준다.[4]

제재소는 중세 시대에 널리 퍼졌으며, 1225~1235년경 빌라르 드 오네쿠르의 스케치에서 확인할 수 있다.[5] 1420년경 마데이라 발견 후 소개되어 16세기에 유럽 전역으로 널리 퍼졌다고 주장된다.[6]

제재소 발명 이전에는 판자를 쪼개서 대패질하거나, 톱 구덩이를 사용하여 양손톱으로 톱질했다. 톱질은 느리고 힘든 작업이었으며, 윗톱질꾼은 판자 두께를 균일하게 유지해야 했다.

초기 제재소는 양손톱을 기계력에 적응시켜 물레방아로 구동하고 ''피트맨 암''을 통해 톱날의 왕복 운동으로 변경했다. 일반적으로 톱만 동력을 받았고, 통나무는 손으로 싣고 옮겨야 했다. 이후 수력으로 구동되는 이동식 캐리지가 개발되어 통나무를 톱날을 통해 꾸준히 이동시켰다.

독일에서는 크랭크가 없는 "노크 앤 드롭" 또는 "드롭" 제재소가 있었다. 이 제재소는 톱날 프레임이 캠에 의해 위로 쳐졌다가 자체 무게로 떨어져 통나무를 잘랐다.[7]

이러한 작은 공장은 발트해 연안 국가 및 캐나다와 같은 목재 수출 지역의 많은 농촌 공동체의 중심지였으며, 하루 생산량은 500개 판자 정도로 매우 낮았고, 겨울에만 운영되었다.

미국에서 제재소는 버지니아 식민지화 직후 도입되었고, 이후 금속 부품은 네덜란드에서 조달되었다.[6] 제재소는 18세기 후반까지 영국에서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네덜란드풍차 소유주 코르넬리스 코르넬리슨 반 위트게스트는 1594년에 풍력 제재소를 발명하여 통나무 가공 속도를 크게 향상시켰다.[8] 그는 크랭크축을 사용하여 풍차의 원형 운동을 톱에 동력을 공급하는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술에 대한 특허를 받았다.[9]

3. 2. 산업 혁명

19세기에 증기 동력이 도입되면서 제재소에 많은 변화가 생겼다. 통나무와 목재를 철도로 운송할 수 있게 되면서, 물길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도 철도 제재소를 지을 수 있게 되었다. 증기 동력 제재소는 기계화가 더욱 발전했다. 제재소에서 나오는 자투리 목재는 보일러를 가동하는 좋은 연료가 되었다. 효율성은 높아졌지만, 새로운 제재소를 짓는 비용도 크게 늘었다.[10]

또한, 증기나 휘발유로 움직이는 트랙션 엔진 덕분에 제재소 전체를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12][13]

1900년까지 세계에서 가장 큰 제재소는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조지타운에 있는 Atlantic Lumber Company가 운영했다. 이 회사는 피디 강을 따라 노스캐롤라이나주 애팔래치아 산맥 가장자리에서부터 떠내려온 통나무를 사용했다.

4. 현대 동향

20세기에 전기가 도입되고 첨단 기술이 발전하면서 제재소 운영은 더욱 효율적으로 변화하였다. 현대의 제재소는 대부분 대규모의 고가 시설이며, 작업의 대부분이 컴퓨터화되어 있다.[14] 새로운 시설의 비용은 최대 1.2억캐나다 달러에 달하며, 현대적인 제재소는 연간 에서 의 목재를 생산한다.

20세기 초에는 지역 사업가가 운영하는 소형 휘발유 동력 제재소가 여러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오늘날에도 특수 시장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는 개인 또는 전문적인 사용을 위한 소형 이동식 제재소가 다양한 디자인과 기능으로 등장하여 인기를 얻고 있다.[14] 이들은 제한된 양의 판재를 생산하거나 대형 목재와 같은 특수 제재에 적합하며, 제재소를 통나무가 있는 곳으로 가져갈 수 있어 외딴 지역에서 목재를 제재하는 데 유용하다. 일부 외딴 지역 사회에서는 자연 재해 후 쓰러진 나무를 활용하여 지역 사회를 재건하기 위해 이동식 제재소를 사용하기도 했다.

최근 제재소는 기술 발전을 통해 폐기물 최소화, 에너지 효율 증가, 작업자 안전 개선에 중점을 두고 있다. 과거에는 톱밥 연소기가 흔했지만, 현재는 톱밥 및 기타 제재소 폐기물을 파티클 보드와 같은 제품으로 가공하거나 목재 건조로를 가열하는 데 사용한다. 열병합 발전 시설을 통해 운영에 필요한 전력을 생산하고 남은 에너지를 전력망에 공급하기도 한다. 나무 껍질은 조경용 나무껍질 부스러기로 사용되거나, 열을 생산하기 위해 태워지기도 한다. 톱밥은 파티클 보드를 만들거나 나무 펠릿으로 압축되어 펠릿 스토브 연료로 사용된다. 목재로 만들 수 없는 큰 나무 조각은 나무 조각으로 만들어 제지 공장에 공급된다. 제재소의 목재 부산물은 배향 스트랜드 보드 (OSB) 패널을 만드는 데 사용되어 합판보다 저렴하면서도 튼튼한 대체재를 제공한다. 일부 자동 제재소는 한 시간에 800개의 작은 통나무를 처리하여 나무껍질 조각, 나무 조각, 톱밥으로 분류하고, 판재를 적재 및 결속할 수 있다.

5. 갤러리

그리스 에피루스, 스몰리카스 산에 있는 아르마타의 제재소

참조

[1] 웹사이트 Lumber Manufacturing http://www.lumberbas[...] Western Wood Products Association 2008-02-12
[2] 논문
[3] 논문
[4] 논문
[5] 서적 History of Technology Oxford
[6] 간행물 Sawdust Trail: Annals of Sawmilling and the Lumber Trade from Virginia to Hawaii via Maine, Barbados, Sault Ste. Marie, Manchac and Seattle to the Year 1860 1973
[7] 웹사이트 Die Sägemühle http://www.familienv[...] 2017-05-08
[8] 웹사이트 Cornelis Corneliszoon van Uitgeest (1550–1607), inventor of the wind powered saw mill http://www.dehoopuit[...]
[9] 웹사이트 Dutch inventions by Cornelisz van Uitgeest http://uitvindingen.[...]
[10] 문서 Oakleaf
[11] 간행물 Circular Saws and the History of Technology
[12] 문서 Edwardian Farm: Roy Hebdige's mobile sawmill
[13] 웹사이트 RitchieSpecs Equipment Specs & Dimensions https://www.ritchies[...]
[14] 웹사이트 Reap the Profits of Mobile Milling http://www.trees2mon[...] 2016-0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