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주특별자치도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주특별자치도기는 제주특별자치도를 상징하는 깃발로, 흰색 바탕에 제주특별자치도 공식 로고와 하단에 파란색, 주황색, 초록색 반원이 디자인되어 있다. 로고는 제주특별자치도를 뜻하는 'Jeju' 로마자를 바탕으로 하며, 바다, 한라산,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을 상징하는 색상과 붓 터치를 활용하여 평등, 자연, 미래 지향적인 가치를 표현한다. 1969년부터 2009년까지 사용된 과거의 기는 일본의 도모에 문양과 유사하다는 논란으로 인해 교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주특별자치도의 상징 - 진달래
    진달래는 4월에 연분홍색 꽃을 피우는 한국과 중국 동북부 자생 식물로, 관상용, 화전 재료, 약재 등으로 사용되며, 봄을 상징하는 꽃이다.
  • 제주특별자치도의 상징 - 녹나무
    녹나무는 장뇌 향이 나는 잎을 가진 높이 20~30m의 상록 교목으로, 따뜻한 지역에서 잘 자라며 장뇌 채취, 목재 활용, 신목 숭배, 천연기념물 지정 등의 특징을 가진다.
  • 대한민국의 시도기 - 경상북도기
    경상북도기는 녹색 바탕에 경상북도의 영문 이니셜과 태양, 백색 곡선 등을 조합하여 도의 정체성과 미래 비전을 나타내는 깃발이며, 2001년 1월 1일에 제정되었다.
  • 대한민국의 시도기 - 대전광역시기
    대전광역시기는 무궁화와 '대'자를 형상화한 심볼마크를 중심으로 디자인되었으며, 쾌적한 삶, 과학기술 도시, 역동적인 도약을 염원하는 시민의 꿈을 담고 초록색, 금색, 하얀색을 사용한다.
  • 대한민국의 기 -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의 국기는 흰색 바탕에 태극 문양과 건곤감리 4괘로 구성되어 음양의 조화와 하늘, 땅, 물, 불을 상징하며, 1882년 처음 사용되어 1948년 공식 국기로 채택되었고, 국기법에 따라 제작 및 게양되며 훼손 시 처벌받는다.
  • 대한민국의 기 - 국기에 대한 맹세
    대한민국 국기에 대한 맹세는 국기에 대한 경례 시 행하는 맹세로, 시대 변화에 따라 내용이 수정되어 왔으나, 맹세 강요에 대한 양심의 자유 침해 논란도 있다.
제주특별자치도기
기본 정보
제주특별자치도기
제주특별자치도기
비율2:3
채택일2009년 4월 20일
요소하얀색 바탕 가운데에 제주특별자치도의 공식 로고가 그려져 있고 로고 하단에 "제주특별자치도"라는 은색 글자가 쓰여져 있다. 기 하단에는 좌우로 길쭉하게 뻗은 파란색, 주황색, 초록색 반원이 그려져 있다.

2. 디자인

하얀색 바탕 가운데에 제주특별자치도의 공식 로고가 그려져 있고 로고 하단에 "제주특별자치도"라는 은색 글자가 쓰여져 있다. 기 하단에는 좌우로 길쭉하게 뻗은 파란색, 주황색, 초록색 반원이 그려져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의 공식 로고는 제주특별자치도를 뜻하는 "Jeju"라는 로마자를 바탕으로 하여 제작되었는데 제주특별자치도를 대표하는 가치, 비전을 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2][3][4] 파란색 반원은 태평양과 마주하고 있는 제주특별자치도의 깨끗한 바다를, 초록색 반원은 제주특별자치도의 영산인 한라산을, 주황색 반원은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을 보유한 국제 자유 도시인 제주특별자치도의 떠오르면서 커가는 21세기의 비전을 나타낸다.[2][3][4]

제주특별자치도의 공식 로고에 그려진 수평선 디자인에서 볼 수 있는 붓 터치는 평등이라는 가치에 기반한 제주특별자치도의 정신,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빛나는 제주특별자치도의 자연을 나타낸다. 검정색은 제주특별자치도에서 볼 수 있는 현무암에서 파생된 색인데 제주특별자치도의 강인함, 전통을 지키고 발전시켜 나가는 제주특별자치도민의 문화를 나타낸다. 파란색은 제주특별자치도의 바다와 생물권보전지역을, 초록색은 한라산과 제주특별자치도의 푸른 자연을, 주황색은 제주특별자치도가 특별자치도로서 갖는 미래 지향적인 가치, 제주특별자치도의 우뚝 솟는 희망을 나타낸다.[2][3]

2. 1. 디자인 설명

흰색 바탕 가운데에 제주특별자치도의 공식 로고가 있고, 그 아래에 "제주특별자치도"라는 은색 글자가 쓰여 있다.[2][3][4] 기 하단에는 파란색, 주황색, 초록색 반원이 그려져 있다.[2][3][4] 파란색 반원은 태평양과 마주한 제주특별자치도의 깨끗한 바다를 상징한다.[2][3][4] 초록색 반원은 제주특별자치도의 영산인 한라산을 상징한다.[2][3][4] 주황색 반원은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을 보유한 국제 자유 도시인 제주특별자치도의 떠오르는 21세기 비전을 나타낸다.[2][3][4]

공식 로고의 수평선 디자인에 사용된 붓 터치는 평등의 가치,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제주특별자치도의 정신을 나타낸다.[2][3] 검정색은 제주특별자치도의 현무암에서 파생된 색으로, 강인함과 전통을 지키고 발전시키는 제주특별자치도민의 문화를 상징한다.[2][3] 파란색은 제주특별자치도의 바다와 생물권보전지역을, 초록색은 한라산과 푸른 자연을, 주황색은 특별자치도로서의 미래 지향적인 가치와 희망을 나타낸다.[2][3]

2. 2. 색상

wikitable

색상하양검정파랑주황초록은색
CMYK0–0–0–00–5–4–7899–35–0–240–46–80–4100–0–24–333–3–0–54
RGB255–255–25556–53–542–126–194245–132–490–171–130114–114–117
웹 색상#FFFFFF#373435#027EC2#F58430#00AC83#727376


3. 과거의 기 (1969년 ~ 2009년)

제주특별자치도기 (1969년 11월 5일 ~ 2009년 4월 19일)


1969년 11월 5일부터 2009년 4월 19일까지 사용된 제주특별자치도기는 왼쪽 상단에 하얀색 직각삼각형이, 오른쪽 하단에 파란색 직각삼각형이 그려져 있고 하얀색 직각삼각형 안에 3개의 구름 무늬를 가진 빨간색 원형 고리가 그려져 있다.[5]

하얀색 직각삼각형은 하늘을, 파란색 직각삼각형은 숭고한 한라산과 땅을 나타낸다. 3개의 물결 무늬를 가진 빨간색 원형 고리는 태양을 나타낸다. 빨간색 구름 무늬는 제주특별자치도에서 볼 수 있는 거센 물결, 무극(無極, 영원함)을 나타낸다. 3개의 빨간색 구름 무늬는 삼다도(三多島, 돌·바람·여자가 많은 섬), 삼무도(三無島, 도둑·거지·대문이 없는 섬)라는 별명으로 부르는 제주특별자치도를 나타낸다.[6][7]

이 기는 2000년대에 들어 일본의 무사 가문에서 사용되던 도모에 문양과 유사하다는 논란이 제기되었다.[8][9] 이러한 논란은 일제 강점기의 잔재를 청산하지 못했다는 비판과 함께 더욱 거세졌다. 이에 따라 제주특별자치도는 2009년에 제주특별자치도기와 관련된 조례를 개정하여 교체했다.[10][11]

색상하양파랑빨강
CMYK0–0–0–0100–53–0–00–71–81–0
RGB255–255–2550–119, 255255–74–48
웹 색상#FFFFFF#0077FF#FF4A31


3. 1. 디자인 설명

왼쪽 상단에 하얀색 직각삼각형, 오른쪽 하단에 파란색 직각삼각형이 그려져 있으며, 하얀색 직각삼각형 안에는 3개의 구름 무늬를 가진 빨간색 원형 고리가 그려져 있다.[5] 하얀색 직각삼각형은 하늘을, 파란색 직각삼각형은 숭고한 한라산과 땅을 나타낸다. 3개의 물결 무늬를 가진 빨간색 원형 고리는 태양을 나타낸다. 빨간색 구름 무늬는 제주특별자치도에서 볼 수 있는 거센 물결, 무극(無極, 영원함)을 나타낸다. 3개의 빨간색 구름 무늬는 삼다도(三多島, 돌·바람·여자가 많은 섬), 삼무도(三無島, 도둑·거지·대문이 없는 섬)라는 별명으로 부르는 제주특별자치도를 나타낸다.[6][7]

색상하양파랑빨강
CMYK0–0–0–0100–53–0–00–71–81–0
RGB255–255–2550–119, 255255–74–48
웹 색상#FFFFFF#0077FF#FF4A31


3. 2. 도모에 문양 유사성 논란

1969년 11월 5일부터 2009년 4월 19일까지 사용된 제주특별자치도기는 왼쪽 상단에 하얀색 직각삼각형이, 오른쪽 하단에 파란색 직각삼각형이 그려져 있고 하얀색 직각삼각형 안에 3개의 구름 무늬를 가진 빨간색 원형 고리가 그려져 있었다.[5] 하얀색 직각삼각형은 하늘을, 파란색 직각삼각형은 숭고한 한라산과 땅을 나타낸다. 3개의 물결 무늬를 가진 빨간색 원형 고리는 태양을 나타낸다. 빨간색 구름 무늬는 제주특별자치도에서 볼 수 있는 거센 물결, 무극(無極, 영원함)을 나타낸다. 3개의 빨간색 구름 무늬는 삼다도(三多島, 돌·바람·여자가 많은 섬), 삼무도(三無島, 도둑·거지·대문이 없는 섬)라는 별명으로 부르는 제주특별자치도를 나타낸다.[6][7] 2000년대에 들어 이 기가 일본의 무사 가문에서 사용되던 도모에 문양과 유사하다는 논란이 제기되었다.[8][9] 이에 따라 제주특별자치도는 2009년에 제주특별자치도기와 관련된 조례를 개정하여 기를 교체했다.[10][11]

3. 3. 색상

참조

[1] 웹인용 제주특별자치도기 조례 (제주특별자치도 조례 제481호, 2009년 4월 20일 일부 개정 및 시행) https://www.elis.go.[...] 2024-12-17
[2] 웹인용 제주특별자치도 상징물 관리 및 사용 조례 (제주특별자치도 조례 제2975호, 2021년 11월 23일 일부 개정 및 시행) https://www.elis.go.[...] 2024-12-17
[3] 웹인용 제주 소개 > 제주 소개 및 상징 > 심벌마크 > 심벌마크 - 제주특별자치도 https://www.jeju.go.[...] 2024-12-17
[4] 웹인용 제주 소개 > 제주 소개 및 상징 > 심벌마크 > 제주특별자치도기 - 제주특별자치도 https://www.jeju.go.[...] 2024-12-17
[5] 웹인용 제주도기 조례 (제주특별자치도 조례 제284호, 1969년 11월 5일 제정 및 시행) https://www.law.go.k[...] 2024-12-17
[6] 웹인용 제주특별자치도기 조례 (제주특별자치도 조례 제4호, 2006년 11월 11일 제정 및 시행) https://www.law.go.k[...] 2024-12-17
[7] 서적 내고장상징물총람 https://memory.libra[...] 경기도청 2024-12-17
[8] 뉴스 제주도기에 웬 사무라이 문양? https://www.jejusori[...] 2024-12-17
[9] 뉴스 제주도 깃발 문양, 일 무사집안과 닮았다 https://www.hani.co.[...] 2024-12-17
[10] 뉴스 日사무라이 문장 비슷 제주도 깃발 39년만 교체 https://www.jejusori[...] 2024-12-17
[11] 뉴스 제주도 깃발 40년 만에 교체 https://www.hani.co.[...] 2024-12-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