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림 (패목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림(曹林)은 조조의 아들로, 위(魏)나라의 제후왕이다. 효양후, 초왕, 연성왕을 거쳐 태화 6년(232년)에 패왕(沛王)에 봉해졌다. 청룡 3년(235년) 동모제 조곤의 문병을 갔으며, 경초, 정원, 경원 연간에 봉읍이 늘어 4700호를 영했다. 감로 원년(256년)에 사망했으며, 시호는 목(穆)이고 아들 조위가 작위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56년 사망 - 여대 (삼국지)
    여대는 후한 말기부터 삼국시대 오나라의 장군이자 정치가로, 손권 휘하에서 교주 자사를 역임하며 반란 진압에 공헌했고, 손권 사후 대사마에 임명되었으며 청렴하고 검소한 생활로 알려졌다.
  • 256년 사망 - 왕숙
    왕숙은 삼국시대 위나라의 관료이자 학자로, 왕랑의 아들이며 조예의 신임을 받아 난릉후에 봉해졌고, 자신만의 학설을 펼치며 《공자가어》에 주석을 달았으나 위작 논란이 있는 인물이다.
  • 조조의 아들 - 조곤
    조곤은 삼국시대 위나라의 황족으로 조조의 아들이며, 문장력이 뛰어나 조비와 조예 시대에 여러 왕에 봉해졌고, 검소한 생활을 실천하여 조예의 칭송을 받아 사후 공왕으로 추증되었다.
  • 조조의 아들 - 조비
    조비는 삼국시대 위나라의 초대 황제로, 조조 사후 위왕과 승상 자리를 이어받아 헌제로부터 선양을 받아 위나라를 건국하고 황제에 즉위하여 구품관인법을 시행하는 등 내정을 정비했으나 오나라 정벌에 실패하고 요절했으며, 문학적 재능이 뛰어나 문장경국 사상을 내세우기도 했다.
  • 조위의 제후왕 - 조곤
    조곤은 삼국시대 위나라의 황족으로 조조의 아들이며, 문장력이 뛰어나 조비와 조예 시대에 여러 왕에 봉해졌고, 검소한 생활을 실천하여 조예의 칭송을 받아 사후 공왕으로 추증되었다.
  • 조위의 제후왕 - 조식 (조위)
    조식은 삼국시대 위나라의 시인이자 정치가로, 조조의 아들이며 조비와의 후계 다툼에서 밀려 정치적으로 불우했지만 뛰어난 문학적 재능으로 건안 문학을 대표하는 인물로 평가받는다.
조림 (패목왕)
기본 정보
이름조림 (曹林)
작위패왕 (沛王)
권성왕 (鄄城王)
초왕 (譙王)
초공 (譙公)
초후 (譙侯)
요양후 (饒陽侯)
시호목왕 (穆王)
가문조씨
아버지조조
어머니두 부인
자녀조위
계강의 아내
사망일256년 3월 11일
생애
봉작 경력211년: 요양후 (饒陽侯)
217년: 초후 (譙侯)
221년: 초공 (譙公)
222년: 초왕 (譙王)
226년: 권성왕 (鄄城王)
232년: 패왕 (沛王)

2. 생애

조림은 조조의 아들로, 건안 16년(211년) 아버지에게서 처음 후(侯) 작위를 받았다.[10] 이후 봉국이 옮겨지고 작위가 승격되어, 이복형 문제 시대인 황초 3년(222년)에는 왕(王)이 되었다. 명제 시대인 태화 6년(232년)에는 (沛) 지역에 봉해져 최종적으로 패왕(沛王)이 되었다.

청룡 3년(235년)에는 명제의 명으로 어머니와 함께 병석에 누운 동복 동생 조곤을 문병하고, 그의 후사를 부탁받아 장례를 치렀다. 경초, 정원, 경원 연간에 걸쳐 여러 차례 식읍이 늘어나 총 4,700호에 이르렀다.

감로 원년(256년) 1월 28일에 사망하였으며,[8][10] 시호(穆)이다. 아들 조위가 패왕 작위를 계승하였다. 다른 아들로는 일찍 죽은 숙부 조현의 뒤를 이었으나 요절한 조찬과, 조찬 사후 다시 조현의 뒤를 이은 조일이 있다. 한편, 혜씨보(嵇氏譜)에 따르면 죽림칠현의 한 사람인 혜강의 아내가 조림의 손녀라고 한다.[11]

2. 1. 초기 생애와 작위 변동

아버지 조조에게서 건안 16년(211년) 요양후(鄄鄉侯)에 봉해졌다.[10] 건안 22년(217년)에는 봉국이 (譙)로 옮겨져 초후(譙侯)가 되었다.

이복형 문제가 즉위한 후, 황초 2년(221년)에 공(公)으로 승진하여 초공(譙公)이 되었고, 이듬해인 황초 3년(222년)에는 다시 왕(王)으로 승진하여 초왕(譙王)이 되었다. 황초 5년(224년), 문제가 모든 왕을 현왕(縣王)으로 강등시키는 조치를 내리면서 초현왕(譙縣王)이 되었다. 황초 7년(226년)에는 연성(鄄城)왕으로 봉해졌다.

명제 시대인 태화 6년(232년), 작위 정책이 변경되면서 (沛) 지역에 봉해져 패왕(沛王)이 되었다. 이후 경초, 정원, 경원 연간에 걸쳐 여러 차례 식읍이 늘어나, 이전의 것과 합쳐 4,700호를 받았다.

2. 2. 패왕 시절

건안 16년(211년) 아버지 조조에게서 효양후(洨侯)에 봉해졌고, 건안 22년(217년)에는 봉국이 초(楚)로 옮겨져 초후(楚侯)가 되었다.

이복형 문제 즉위 후인 황초 2년(221년)에 공(公)으로 승작되었고, 이듬해인 황초 3년(222년)에는 왕(王)으로 승진하여 초왕(楚王)이 되었다. 황초 5년(224년), 문제가 모든 왕을 현왕(縣王)으로 낮추면서 초현왕(楚縣王)이 되었고, 황초 7년(226년)에는 연성왕(鄄城王)으로 봉국이 변경되었다.

명제가 즉위한 후인 태화 6년(232년), 제후왕 정책이 변경되면서 (沛) 지역을 받아 패왕(沛王)이 되었다.

청룡 3년(235년), 동복 동생인 조곤이 병에 걸리자 명제의 명으로 어머니 두부인과 함께 문병을 갔다. 조곤에게서 후사를 부탁받고 그의 장례를 치렀다.

이후 경초, 정원, 경원 연간에 걸쳐 여러 차례 식읍이 더해져 총 4,700호를 거느렸다.

감로 원년(256년) 1월 28일[8]에 사망하였다.[10] 시호(穆)이며, 아들 조위가 뒤를 이었다.

3. 가족 관계


  • '''아버지''' : 무제 조조
  • '''어머니''' : 두부인(杜夫人)
  • * '''본인''' : '''패목왕 조림'''
  • ** '''아들''' : 패왕 조위
  • ** '''아들''' : 서양애후 조찬
  • ** '''아들''' : 제양도공 조일
  • * '''아우''' : 중산공왕 조곤
  • * '''아우''' : 금향공주

4. 작위 변동

조조에게서 건안 16년(211년) 효양후에 봉해졌으며, 건안 22년(217년)에는 봉국이 초로 옮겨져 초후가 되었다. 이후 이복형 문제와 조카 명제를 거치며 작위와 봉읍이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주요 작위 변동 내역은 다음과 같다.

연도 (연호)작위비고
211년 (건안 16년)효양후조조에게 봉해짐
217년 (건안 22년)초후봉국이 초로 옮겨짐
221년 (황초 2년)초공문제에 의해 승진
222년 (황초 3년)초왕문제에 의해 승진
224년 (황초 5년)초현왕문제의 조치로 현왕으로 강등됨
226년 (황초 7년)연성왕봉읍 변경
232년 (태화 6년)패왕명제의 정책 변경으로 지역에 봉해짐
경초, 정원, 경원 연간패왕여러 차례 가증을 받아 이전의 것과 합쳐 식읍 4700호를 받음



감로 원년(256년) 1월 28일[8]에 사망하였으며,[10] 시호(穆)이다. 작위는 아들 조위가 이었다.

참조

[1] 서적 Sanguozhi
[2] 서적 Sanguozhi
[3] 서적 Sanguozhi
[4] 서적 Ji Shi Pu
[5] 서적 文選
[6] 문서 陸機の『弔魏武帝文』
[7] 서적 三国志
[8] 서적 三国志
[9] 서적 육기, 《조위무제문》(弔魏武帝文)
[10] 서적 삼국지 삼소제기
[11] 서적 배송지, 《삼국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