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교황청 중화민국 대사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교황청 중화민국 대사관은 중화민국과 바티칸의 외교 관계를 위해 설립된 대사관이다. 1942년 7월에 외교 관계를 수립했으며, 1943년 1월에 초대 공사가 부임하면서 공식적인 외교가 시작되었다. 1959년 대사관으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유럽 내 유일한 중화민국 대사관으로, 몰타 기사단과의 관계도 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좌 주재 공관 - 주교황청 대한민국 대사관
    주교황청 대한민국 대사관은 대한민국이 교황청과의 외교 관계 증진과 상호 이해 증진을 위해 설치한 외교 공관으로, 1974년 초대 대사 부임 이후 현재까지 총 17명의 대사가 임명되었다.
  • 중화민국의 재외 공관 - 주투발루 중화민국 대사관
    주투발루 중화민국 대사관은 중화민국이 투발루와 외교 관계를 수립한 후 푸나푸티에 개설한 대사관으로, 2004년 대사급 외교 공관으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대사는 린둥헝이다.
  • 중화민국의 재외 공관 - 주과테말라 중화민국 대사관
    주과테말라 중화민국 대사관은 중화민국과 과테말라의 외교 관계를 위해 설립되었으며, 1933년 외교 관계 수립 후 총영사관, 공사관을 거쳐 1960년 대사관으로 승격되었다.
주교황청 중화민국 대사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로마에 위치한 중화민국 대사관
로마에 위치한 대사관
현지 이름中華民國駐教廷大使館 (중국어)
로마자 표기Zhōnghuá Mínguó zhù Jiàotíng Dàshǐguǎn (병음)
라틴어Legatio Rei Publicae Sinarum ad Sanctam Sedem
이탈리아어Ambasciata della Repubblica di Cina presso la Santa Sede
일반 정보
설립1942년 (바티칸 시국)
1996년 (로마)
관할
(성좌, 몰타 기사단)
소재지로마, 이탈리아
웹사이트주교황청 중화민국 대사관
인력 및 예산
직원알 수 없음
예산알 수 없음
주요 인물
대사Matthew S.M. Lee
소속 기관
상위 기관중화민국 외교부
하위 기관알 수 없음

2. 역사

중화민국과 바티칸의 외교 관계는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인 1942년 7월에 정식으로 수교하면서 시작되었다.[7]

1943년 1월 26일 주교황청 중화민국 공사인 셰서우캉(謝壽康)이 이탈리아 로마에 도착해 교황청의 안내하에 바티칸 시내의 임시 관사에 부임하여 공식적인 외교 관계가 시작되었다.[7]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에 주교황청 중화민국 대사관은 바티칸 시국 외곽으로 이전해 로마에 새 공관을 설치하였다. 1959년 6월을 기해 주교황청 중화민국 공사관이 대사관으로 승격되면서 셰서우캉은 초대 주교황청 대사가 되었다.[8]

아편 전쟁 (1839-1841)에서 대영 제국청나라를 꺾은 후, 서구 열강들은 청나라에 외국 선교사들의 파견을 요구했고, 불평등 조약을 통해 유럽 열강들은 선교에 대한 관할권과 중국 기독교인들에 대한 일정 권한을 부여받았다.[6] 프랑스는 중국 내 가톨릭교도의 보호자를 자처했고, 이는 결과적으로 중국 가톨릭교도에 대한 권한이 누구에게 있는지에 대한 교황청과의 지속적인 외교 분쟁으로 이어졌다.[6] 1917년, 중화민국과 교황청은 외교 관계 수립에 원칙적으로 합의했지만, 프랑스의 방해로 무산되었다.[6]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중국 대륙에서 가톨릭교회와 교황청에 대한 탄압이 시작되었다.[6] 1951년, 중국 공산당은 교황 대사를 추방했고[6], 1953년 교황 대사는 타이베이로 이전했다.[6] 국공 내전에서 패배한 중화민국 국민당 정부는 타이베이로 이전했고, 중화민국은 외교적 고립을 겪게 되었다. 1959년 8월, 중화민국 대사 우칭슝은 중화민국 교황청 대사직에서 사임했다.[6] 당시 중화민국 외교부는 이미 국공 내전에서 국민당의 패배로 인해 타이베이로 이전한 상태였다.[6]

1971년 유엔 총회 결의 2758호에 따라 중화인민공화국이 '중국'의 대표권을 획득하고 중화민국은 유엔에서 축출되었다. 교황청은 중화민국과의 외교적 지위를 격하시켰다.[6] 이후 중화민국이 외교적 승인을 계속 잃어감에 따라, 교황청 주재 대사관은 중화민국의 관점에서 정치적 중요성이 증가했다.[6] 주교황청 중화민국 대사관은 유럽 내 유일한 중화민국 대사관이다.[6] 2005년 3월, 대사관은 Via della Conciliazione 4/D로 이전되었다.[9]

2. 1. 외교 관계 수립

중화민국과 바티칸의 외교 관계는 제2차 세계 대전 시기부터 시작되었다. 양국은 1942년 7월에 정식으로 수교하였다.[7]

1943년 1월 26일 주교황청 중화민국 공사인 셰서우캉(謝壽康)이 이탈리아 로마에 도착해 교황청의 안내하에 바티칸 시내의 임시 관사에 부임하여 공식적인 외교 관계가 시작되었다.[7]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에 주교황청 중화민국 대사관은 바티칸 시국 외곽으로 이전해 로마에 새 공관을 설치하였다. 1959년 6월을 기해 주교황청 중화민국 공사관이 대사관으로 승격되면서 셰서우캉은 초대 주교황청 대사가 되었다.[8]

아편 전쟁 (1839-1841)에서 대영 제국이 중국을 꺾은 후, 외국 열강들은 중국에 외국 선교사들을 허용하도록 요구했다.[6] 불평등 조약은 유럽 열강들에게 선교에 대한 관할권과 중국 기독교인들에 대한 어느 정도의 권한을 부여했다.[6] 프랑스는 중국 내 가톨릭교도의 보호자를 자처했고, 이는 결과적으로 중국 가톨릭교도에 대한 권한이 누구에게 있는지에 대한 성좌와의 지속적인 외교 분쟁으로 이어졌다.[6]

1917년, 중화민국과 성좌는 외교 관계 수립에 원칙적으로 합의했다.[6] 그러나, 불평등 조약 이후 중국 내 가톨릭교도의 보호자를 자처하며 성좌와 오랜 분쟁을 겪어온 프랑스는 이러한 외교적 노력을 방해했다.[6]

1951년, 중국교황 대사를 추방했다.[6] 1953년, 교황 대사는 타이베이로 이전했다.[6]

1959년 8월, 중화민국 대사 우칭슝은 중화민국 성좌 대사직에서 사임했다.[6] 당시 중화민국 외교부는 이미 국공 내전에서 국민당의 패배로 인해 타이베이로 이전한 상태였다.[6]

국제 연합이 중화민국을 축출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을 중국으로 인정한 후, 성좌는 중화민국과의 외교적 지위를 격하시켰다.[6]

2. 2. 초기 관계의 어려움

아편 전쟁 (1839-1841) 이후, 서구 열강들은 청나라에 선교사 파견을 요구했고, 불평등 조약을 통해 유럽 열강들은 선교에 대한 관할권과 중국 기독교인에 대한 일정 권한을 부여받았다.[6] 프랑스는 중국 내 가톨릭교도의 보호자를 자처했고, 이는 교황청과의 외교 분쟁으로 이어졌다.[6] 1917년, 중화민국과 교황청은 외교 관계 수립에 원칙적으로 합의했지만, 프랑스의 방해로 무산되었다.[6]

2. 3.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중국 대륙에서 가톨릭교회와 교황청에 대한 탄압이 시작되었다. 1951년, 중국 공산당은 교황 대사를 추방했고, 1953년 교황 대사는 타이베이로 이전했다. 국공 내전에서 패배한 중화민국 국민당 정부는 타이베이로 이전했고, 중화민국은 외교적 고립을 겪게 되었다. 1959년 6월, 중화민국 공사관은 대사관으로 승격되었고, 전권 공사는 대사가 되었다.1971년 유엔 총회 결의 2758호에 따라 중화인민공화국이 '중국'의 대표권을 획득하고 중화민국은 유엔에서 축출되었다. 그 이후로 중화민국은 외교적 승인을 계속 잃어감에 따라, 성좌 주재 대사관은 중화민국의 관점에서 정치적 중요성이 증가했다. 이곳은 중화민국의 유일한 유럽 내 대사관이다.

2. 4. 외교적 지위 격하와 유지 노력

1971년 국제 연합이 중화민국을 축출하고 중화인민공화국중국으로 인정한 후, 교황청은 중화민국과의 외교적 지위를 격하시켰다.[6] 이후 중화민국이 외교적 승인을 계속 잃어감에 따라, 교황청 주재 대사관은 중화민국의 관점에서 정치적 중요성이 증가했다.[6] 주교황청 중화민국 대사관은 유럽 내 유일한 중화민국 대사관이다.[6] 2005년 3월, 대사관은 Via della Conciliazione 4/D로 이전되었다.[9]

3. 역대 공사 및 대사

wikitext

이름임명임기 종료비고
셰서우캉/Xie Shoukang프랑스어1943년 1월1946년 9월
우징슝1946년 9월1949년 7월
추잉1949년 7월1954년 10월대리
셰서우캉/Xie Shoukang프랑스어1954년 10월1959년 6월이후 대사로 임명



이름임명임기 종료비고
셰서우캉(HSIEH Shou-Kang)1959년 6월1966년 9월
션창환1966년 9월1969년 3월
천즈마이1969년 3월1978년 1월
저우수카이(CHOW Shu-Kai)1978년 1월1991년 8월
황시우제(HOANG Sieou-Je)1991년 8월1993년 5월
우쯔위(Edward Tzu-Yu WU)1993년 5월1996년 8월
타이루이밍(Raymond R.M. TAI)1996년 9월2004년 1월[10]
두차오성/Tou Chou-sengde2004년 1월2008년 9월 15일[11]
왕러리2008년 9월[12]2015년 12월
리시밍(Matthew S.M. LEE)2015년 12월현직


3. 1. 역대 공사 목록

이름임명임기 종료비고
셰서우캉/Xie Shoukang프랑스어1943년 1월1946년 9월
우징슝1946년 9월1949년 7월
추잉1949년 7월1954년 10월대리
셰서우캉1954년 10월1959년 6월이후 대사로 임명


3. 2. 역대 대사 목록

wikitable

이름임명임기 종료비고
셰서우캉(HSIEH Shou-Kang)1959년 6월1966년 9월
션창환1966년 9월1969년 3월
천즈마이1969년 3월1978년 1월
저우수카이(CHOW Shu-Kai)1978년 1월1991년 8월
황시우제(HOANG Sieou-Je)1991년 8월1993년 5월
우쯔위(Edward Tzu-Yu WU)1993년 5월1996년 8월
타이루이밍(Raymond R.M. TAI)1996년 9월2004년 1월[10]
두차오성(Chou-seng TOU)2004년 1월2008년 9월 15일[11]
왕러리2008년 9월[12]2015년 12월
리시밍(Matthew S.M. LEE)2015년 12월현직


4. 기타

주교황청 중화민국 대사관유럽에 존재하는 유일한 중화민국 대사관이며, 몰타 기사단과의 관계도 담당하고 있다.[14] 로마에 있는 타이베이 경제문화대표처는 이탈리아에서의 사실상 대사관으로 기능하고 있으며, 주교황청 중화민국 대사관과는 별개의 기관이다.[15]

5. 사진



참조

[1] 뉴스 Pope welcomes new Taiwanese ambassador http://en.radiovatic[...] Vatican Radio 2016-01-23
[2] 뉴스 Taiwan's European ally, the Vatican, says remains loyal http://www.taipeitim[...] Taipei Times 2015-09-12
[3] 웹사이트 Europe Area http://www.boca.gov.[...] Bureau of Consular Affairs,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OC
[4] 웹사이트 Apostolic Nunciature http://www.mofa.gov.[...]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China (Taiwan)
[5] 웹사이트 Ufficio di Rappresentanza di Taipei in Italia http://www.mofa.gov.[...]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China (Taiwan)
[6] 서적 The Taiwan Question in Xi Jinping's Era: Beijing's Evolving Taiwan Policy and Taiwan's Internal and External Dynamics Routledge
[7] 서적 Catholic Church in China https://books.google[...] China Intercontinental Press
[8] 웹사이트 Embassy of the Republic of China (Taiwan) to the Holy See - Organizations https://web.archive.[...]
[9] 웹사이트 Embassy of the Republic of China (Taiwan) to the Holy See http://www.mofa.gov.[...]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China (Taiwan)
[10] 간행물 Address of His Holiness John Paul II to H.E. Mr Raymond R.M. Tai, new Ambassador of the Republic of China to the Holy See https://w2.vatican.v[...] 1996-10-04
[11] 뉴스 Ex-envoy publishes book on Vatican ties http://www.taipeitim[...] Taipei Times 2013-01-17
[12] 뉴스 Holy See's secretary of state attends 10/10 Day reception http://www.chinapost[...] China Post 2015-10-11
[13] 뉴스 Pope welcomes new Taiwanese ambassador http://en.radiovatic[...] Vatican Radio
[14] 웹사이트 Taiwan’s European ally, the Vatican, says remains loyal - Taipei Times https://www.taipeiti[...] 2015-09-12
[15] 웹사이트 歐洲地區 https://www.mofa.gov[...]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