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니히토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니히토에는 일본 헤이안 시대 귀족 여성들이 입었던 12겹의 화려한 의복으로, 여러 겹의 옷을 겹쳐 입는 것이 특징이다. 카라기누, 모, 우와기, 우치기누, 이츠츠기누, 히토에, 나가바카마 등 여러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옷의 색상 조합인 카사네(襲)는 계절과 신분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로 활용되었다. 오늘날에는 일본 황실의 주요 행사, 박물관, 축제 등에서 볼 수 있으며, 특히 황후의 대관식에서 공식적으로 착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민속의상 - 훈도시
훈도시는 일본의 전통 속옷으로, 다양한 종류와 형태가 존재하며, 전통 행사, 스모, 연극 등에서 사용되고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 일본 민속의상 - 하오리
하오리는 기모노 위에 걸쳐 입는 일본 전통 의복으로, 방한복에서 시작하여 무사들의 예복으로 사용되었으며, 메이지 시대 이후 남성의 예복으로 보급되었다. - 일본어 낱말 - 사무라이
사무라이는 12세기부터 19세기까지 일본의 무사 계급을 일컫는 말로, 본래 귀족을 섬기는 사람을 뜻하는 '사부라이'에서 유래하여 쇼군을 섬기는 무사를 가리키는 용어로 변화했으며, 무사도를 따르며 일본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일본어 낱말 - 훈도시
훈도시는 일본의 전통 속옷으로, 다양한 종류와 형태가 존재하며, 전통 행사, 스모, 연극 등에서 사용되고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주니히토에 | |
---|---|
개요 | |
![]() | |
종류 | 일본의 전통 의상 |
용도 | 일본 헤이안 시대에 귀족 여성들이 입던 정장 |
다른 이름 | 이쓰쓰기누카라기누모 (五衣唐衣裳) |
구성 | |
기본 구성 | 고소데 하카마 히토에 이쓰쓰기누 우치기 가라기누 모 |
역사 | |
기원 | 헤이안 시대 |
유래 | 중국 당나라의 복식에서 유래 |
변화 | 시대에 따라 색상, 소재, 착용 방식 등에 변화 |
특징 | |
색상 | 계절에 따른 색상 조합 중시 |
무게 | 약 20kg |
착용 시간 | 약 1시간 |
소재 | 주로 견직물 사용 |
기타 | |
현대 | 일본 왕실의 행사 등에서 착용 |
참고 | 옷 |
2. 구성
주니히토에일본어는 여러 겹의 옷으로 구성되며, 각 부분은 고유한 명칭과 의미를 지닌다.[3] 각 겹은 비단 의류로, 가장 안쪽 의류(kosode일본어)는 흰색 비단으로 만들어진다.[3] 그 위에 다양한 색상과 비단 직물의 다른 겹들을 겹쳐 입고, 마지막 겹이나 코트, 꼬리를 추가하여 완성한다.[3]
초기 주니히토에일본어는 더 많은 겹을 착용하여 총 무게가 20kg에 달해 움직임이 어려웠다.[3] 헤이안 시대 여성들은 주니히토에일본어의 가장 안쪽 겹인 hakama일본어와 kosode일본어를 잠옷으로 사용하기도 했다.[3] 무로마치 시대에 이르러서는 의상의 겹 수가 상당히 줄어들었다.[3]
Hitoe일본어 (히토에)는 kosode일본어 위에 겹쳐 입는 각각의 로브를 지칭하며, 코트와 꼬리 겹은 제외된다.[4] itsutsuginu일본어 (이츠츠기누)는 겹겹의 로브 세트를, karaginu일본어 (카라기누)는 짧은 코트를, mō일본어 (모)는 공식적인 자리에서 착용하는 길고 치마 같은 꼬리를 의미한다.[4] 이 세 용어를 결합한 itsutsuginu-karaginu-mo일본어는 19세기부터 사용된 공식적인 주니히토에일본어 의상의 이름이다.[5]
겐페이 조세이키에서는 오이노 카라기누모를 12단이라고 부르는 풍조가 세상에 잘못 알려져 퍼진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한다.[13][14] 또한, 옛날에는 코우치(小袿)의 매수를 '단'으로 나타내는 어휘도 있었다.[15]
십이단은 20kg 정도이며, 사계절에 따른 명칭의 '가사네'를 사용했다.[17] 헤이안 시대의 평균 기온이 현재보다 1℃ 낮아 교토가 매우 추웠기 때문에 방한복으로 입었다는 설도 있다.[19] 그러나 역사 기후학 연구에 따르면 헤이안 시대는 온난한 시기였음이 나타나 방한복설은 이와 모순된다.[20]
2. 1. 주요 구성 요소
주니히토에의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코소데(小袖):''' 발목 또는 종아리 아래 길이의 짧은 빨간색 또는 흰색 비단 로브이다. 속옷으로 취급되어 주니히토에의 구성 요소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 '''나가바카마(長袴):''' 귀족 여성들이 입는 하카마의 공식적인 버전이다. 매우 긴 주름진 붉은색 치마로, 두 개의 분할된 다리로 꿰매어져 있다. 착용자의 연령에 따라 색을 달리하며, 모(裳)의 퇴화로 인한 앞의 트임을 덮기 위해 등장했다.
- '''히토에(単):''' 안감이 없는 비단 로브이다. 일반적으로 빨간색, 흰색 또는 청록색이지만, 다른 색상(예: 짙은 빨간색-보라색 또는 짙은 녹색)은 매우 드물게 나타난다. 의상의 속옷에 해당한다.
- '''이츠츠기누(五衣):''' 밝은 색상의 로브 또는 우치기 세트로, 일반적으로 다섯 개 또는 때로는 여섯 개로 구성되어 주니히토에의 겹겹이 나타나는 모습을 만든다. 헤이안 시대에는 사치 금지법 제정 전에는 더 많은 겹의 우치기를 착용했으며, 이로 인해 착용하는 겹의 수가 줄었다.[6][7] 최성기에는 10여 장 겹쳐 입었지만, 헤이안 시대 말기부터 5장으로 정착되었다.
- '''우치기누(打衣):''' 바깥쪽 로브를 뻣뻣하게 하고 지지하기 위해 착용하는 진홍색으로 두드린 비단 로브이다. 키누타(きぬた)로 쳐서 윤을 낸다.
- '''우와기(表衣):''' 우치기누보다 짧고 좁으며, 패턴이 있고 장식된 비단 로브로, 일반적으로 직조된 장식으로 되어있다. 우와기에 사용된 색상과 직물은 착용자의 계급을 나타낸다. 모 안쪽의 최상층에 위치한다.
- '''카라기누(唐衣):''' 허리 길이의 중국식 재킷이다. 배자가 변화한 것으로 짧은 소매가 있다. 황후의 당의가 흰색 계통이 된 것은 후세부터이다.
- '''모(裳):''' 앞치마와 같은 꼬리 치마로, 로브의 뒷면을 따라 늘어뜨려 입는다. 염색하거나 자수를 놓은 장식으로 된 흰색이다. 겉옷 위에서 허리의 뒤쪽 반신만을 덮는다. 헤이안 시대 초기까지는 말아 올린 치마처럼 착용했지만, 겹쳐 입기로 인해 이러한 착용 방법이 불가능해져 현재의 형태가 되었다.
덜 격식을 갖춘 자리에서는 코우치기(小袿) (작은 망토, 더 짧은 브로케이드 로브)를 우치기 또는 우와기 위에 입었는데, 카라기누와 모를 착용하지 않는 경우 의상의 격식을 높이기 위한 것이었다.[8][9] 그러나 주니히토에를 공식 의상으로 간주하려면 카라기누와 모가 필요했다.[10]
주니히토에에서 색상과 겹쳐 입는 방식은 특히 중요한 의미를 지녔다. 겹쳐 입은 옷감의 층이 실제로 드러나는 곳은 소매, 옷자락, 목 부분뿐이었지만, 여름에는 얇은 직물을 사용해 겹겹이 겹쳐 입어 새로운 색상 효과를 냈다. 헤이안 시대에는 여성들이 스다레(簾, 발) 뒤에 숨어 외부인에게는 몸의 아랫부분과 소매 끝자락만 보였다. 따라서 겹쳐 입은 색상은 여성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으며, 겹겹이 입은 옷의 배열과 색상은 외부인에게 여인의 취향과 신분을 짐작하게 해주는 중요한 지표였다.
겹색(襲の色目, kasane no irome)이라고 불리는 색상 조합은 계절의 동식물을 가리키는 시적인 이름을 부여받았다. 예를 들어 "봄의 진홍 매화"와 같은 이름이 붙었지만, 반드시 이러한 색상을 정확하게 재현하는 것은 아니었다. "눈 아래"라는 이름의 색상 조합은 잎을 나타내는 녹색 겹, 분홍색 겹에 눈을 나타내는 흰색을 덧입는 식이었다. 이러한 색상 조합은 계절과 행사에 따라 변화했으며, 계절이 바뀌기 직전에 옷을 갈아입는 것이 유행이었다. 이러한 색상을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과 옷을 갈아입는 시점은 착용자의 교양과 세련된 취향을 나타내는 지표였다.
2. 2. 부속품
히오기(檜扇)는 주니히토에와 함께 착용하는 중요한 부속품인 정교한 부채였다. 히오기는 얇은 삼나무 조각으로 만들어졌고, 흔히 칠을 하고 긴 비단 끈으로 묶여 있었다. 이것은 여성들이 더위를 식히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중요한 의사 소통 도구로도 사용되었다. 헤이안 시대의 궁정 여성들은 남성 외부인과 직접 대화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여성은 소매를 들어 올리거나 펼친 부채를 사용하여 궁금한 시선으로부터 자신을 가릴 수 있었다.잠재적인 구혼자와의 소통은 일반적으로 스다레|일본어 장막 뒤에 앉아 있는 여성과 함께 이루어졌으며, 구혼자는 그녀의 주니히토에 소매, 즉 겹겹의 옷만 볼 수 있었다. 이 관행은 헤이안 시대에 두드러졌으며, ''겐지 이야기''에 묘사되어 있다.
3. 카사네(襲)
카사네(襲)는 주니히토에에서 옷을 겹쳐 입는 방식, 또는 그 색상의 조합을 의미한다. 겹쳐 입은 옷감의 층은 소매, 옷자락, 목 부분에서 드러났으며, 여름에는 얇은 직물을 사용하여 겹쳐 입음으로써 새로운 색상 효과를 냈다.
헤이안 시대에는 여성들이 스다레(簾, 발) 뒤에 숨어 외부인에게는 몸의 아랫부분과 소매 끝자락만 보였기 때문에, 겹쳐 입은 옷의 배열과 색상은 그 여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였다.
일본 조정의 전통적인 장식에서는 우치기(袿)라고 불리는 여러 벌의 의복을 겹쳐 입는 것이 기본이었으며, 그 색의 조합, 또는 겹옷의 겉감과 안감의 색 조합을 "카사네"(襲・重)라고 불렀다.[17][23]
어떤 뇨보(女房)는 카사네에 심취하여 보통보다 많은 20장 이상의 옷을 겹쳐 입었지만, 옷의 무게 때문에 걸을 수 없게 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이처럼 헤이안 시대에는 우치기(袿)의 장수에 정해진 것이 없었지만, 무로마치 시대에는 5장이 되었고, 그 이후 "이쓰쓰기누(五衣)"라고 불리며 뇨보(女房) 복장에 정착되었다.
겹침도 마찬가지로, 색을 겹쳐 입는 방식에 규칙이 있으며, 겹쳐 입는 색의 수나 그러데이션 정도에 따라 각각 고유한 이름(옷자락 농담, 향기 등)이 있었다. 다만, 겹침과 襲에는 같은 명칭도 있기 때문에, 고전 연구 시 혼란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3. 1. 카사네노 이로메(襲の色目)
겹색(襲の色目, 카사네노 이로메)은 계절에 따라 피는 꽃과 식물, 혹은 자연 현상 등을 가리키는 시적인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17][23] 예를 들어, "봄의 진홍 매화"와 같은 이름이 붙었지만, 반드시 이러한 색상을 정확하게 재현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었다. "눈 아래"라는 이름의 색상 조합은 잎을 나타내는 녹색 겹, 분홍색 겹에 눈을 나타내는 흰색을 덧입는 식이었다.헤이안 시대에는 여성들이 스다레(簾, 발) 뒤에 숨어 외부인에게는 몸의 아랫부분과 소매 끝자락만 보였기 때문에, 겹쳐 입은 옷의 배열과 색상은 외부인에게 여인의 취향과 신분을 짐작하게 해주는 중요한 지표였다. 이러한 색상 조합은 계절과 행사에 따라 변화했으며, 계절이 바뀌기 직전에 옷을 갈아입는 것이 유행이었다. 이러한 색상을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과 옷을 갈아입는 시점은 착용자의 교양과 세련된 취향을 나타내는 지표였다.
일본 조정의 전통적인 장식에서는, 袿(우치기)라고 불리는 여러 개의 의복을 겹쳐 입는 것이 기본이며, 그 색의 조합, 또는 겹옷의 겉감과 안감의 색 조합을 "카사네"(襲・重)라고 불렀다.[17][23] 카사네는 소매, 옷자락 등에 옷이 조금씩 비치는 것을 이용하여, 십이 단의 옷차림에 많은 궁리가 담겨져 있었다. 『영화 이야기』 등에는 당시 여방이 옷 색깔에 대해 궁리한 모습이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겹침의 배합을 "겹침・襲의 색목"이라고 하는데, 색목에 관해서는 주로 계절감을 도입한 조합이 이루어지고 있다. 봄, 여름, 가을, 겨울, 또는 식물이나 색 단체의 그러데이션에 따라 엄청난 수의 종류가 있으며, 착용하는 계절이나 행사가 엄밀하게 정해져 있었다. 이러한 계절감 등을 무시한 조합을 사용하는 것은 매너 위반이며 센스가 없다고 여겨졌으며, 당시 여성들이 궁리를 하며 옷을 입었던 것을 당시의 이야기나 일기 등에서 엿볼 수 있다.
襲의 색목에는 안과 겉의 배합으로 고유한 이름이 있으며, 고전에서 자주 언급되는 대표적인 겹침으로는 복상 시의 아오니비(청둔. 겉과 안 모두 짙은 쪽빛), 봄의 코우바이(홍매. 겉은 붉은색・안은 자색 또는 소황), 벚꽃(겉은 흰색・안은 붉은색 또는 소황) 등이 있다.
4. 역사
주니히토에일본어는 헤이안 시대 일본 궁중 의상으로, 여러 겹의 비단 옷을 겹쳐 입는 것이 특징이다. 초기에는 더 많은 겹을 입었으나, 시대가 지나면서 점차 간소화되었다. 각 겹은 비단으로 만들어졌으며, 가장 안쪽에는 흰색 비단으로 만든 kosode일본어를 입고, 그 위에 다양한 색상의 옷을 겹쳐 입었다. 겹쳐 입는 옷의 수는 계절이나 상황에 따라 달랐으며, 무게는 최대 20kg에 달하기도 했다.[3]
무로마치 시대에는 겹쳐 입는 옷의 수가 줄어들어, 이츠츠기누일본어(五衣)가 5겹으로 정착되었다. 이에 따라 십이단이라는 명칭보다는 '이츠츠기누-카라기누-모일본어(五衣-唐衣-裳)'라는 명칭이 사용되기도 했다.[5] 여기서 카라기누일본어(唐衣)는 짧은 겉옷을, 모일본어(裳)는 공식적인 자리에 착용하는 길고 치마 같은 꼬리를 의미한다.
헤이안 시대에는 여성의 "속대"에 해당하는 의상으로 '모노구 소조쿠일본어'[18]가 있었으나, 여성이 공적인 자리에 나서는 것을 꺼리는 풍조로 인해 쇠퇴하였다.
일설에는 헤이안 시대의 평균 기온이 현재보다 낮아 방한복으로 십이단을 입었다고도 하지만,[19] 역사 기후학 연구에 따르면 헤이안 시대는 온난한 시기였기 때문에[20] 이 설은 신빙성이 떨어진다.
4. 1. 십이단 명칭의 유래에 대한 오해
헤이케 이야기의 이본인 『겐페이 조세이키』에는 "3월 말의 일이라, 후지노 가사네의 12단의 어의를 입으시고"[13]라는 구절이 있는데, 사람들은 이 말의 의미를 잘못 이해하여 널리 퍼진 것으로 보인다. 궁중에서는 오이노 카라기누모를 12단이라고 부르지 않기 때문이다.[14]옛날에는 고치의 매수를 '단'으로 나타내어, 2겹으로 겹쳐 입는 것을 '2단', 7겹으로 겹쳐 입는 것을 '7단'이라고 하였다. 이 기록에서는 12장의 고치를 겹쳐 입은 겹쳐 입은 고치 모습으로 타이라노 토쿠코가 입수했다는 의미가 된다.[15] 그러나 본래의 의미와는 다르더라도, 오이, 카라기누, 모를 12단이라고 부르는 속칭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16]
5. 현대의 십이단
오늘날 주니히토에는 일반적으로 박물관, 영화, 의상 시연, 관광 명소 또는 특정 축제에서만 볼 수 있다. 일본 황실만이 여전히 중요한 행사, 특히 천황과 황후의 즉위식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하며, 이 자리에서 남성들은 속대를 착용한다.
황후 마사코와 황태자의 결혼식에서 황후는 공식 행사에서 주니히토에를 착용했다. 미치코 황후 역시 1990년 아키히토의 즉위식에서 주니히토에를 착용했다. 황후, 황실 공주 및 시녀들은 모두 주니히토에를 착용했지만, 착용된 스타일은 헤이안 시대가 아닌 에도 시대의 변형된 형태였다. 나루히토의 즉위식에서 황실 여성들과 시녀들은 모두 주니히토에를 착용했고, 천황, 아키시노노미야 후미히토 친왕 및 시종들은 모두 속대를 착용했다.
미에현 메이와에서 매년 열리는 사이오 축제는 헤이안 시대의 의상을 선보인다. 또한 교토의 아오이 축제에서도 볼 수 있다.
참조
[1]
서적
Textiles
https://books.google[...]
[2]
웹사이트
Kasane no Irome
https://sengokudaimy[...]
[3]
서적
Above the Clouds: Status Culture of the Modern Japanese Nobili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3-01-29
[4]
웹사이트
Fabric Details
https://web.archive.[...]
2008-05-01
[5]
웹사이트
What is Jyuni-hitoe?
http://japanese-kimo[...]
[6]
웹사이트
The Juni-hito of Heian Japan
http://www.clothesli[...]
[7]
웹사이트
Kasane No Irome - Introduction
http://kasane.fuyuya[...]
[8]
웹사이트
Court lady in semiformal costumes known as "itsutsu-ginu kouchiki"
http://www.iz2.or.jp[...]
[9]
웹사이트
Examples of Jūnihitoe, Kasane no iro, from the Costume Museum in Kyoto
http://kasane.fuyuya[...]
[10]
서적
Kabuki Costume
https://books.google[...]
Tuttle
2013-01-15
[11]
서적
The Social Life of Kimono: Japanese Fashion Past and Present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017-03-23
[12]
문서
満佐須計装束抄
[13]
문서
源平盛衰記
[14]
서적
服装の歴史
中公文庫
2005
[15]
서적
国史大辞典 挿絵及年表
吉川弘文館
1908
[16]
문서
晴装十二単装束着用之事
[17]
웹사이트
「重なり志向」の日本文化
http://language-cult[...]
言語文化学会
2019-11-03
[18]
문서
十二単」に比礼(ひれ。長細いスカーフのような物)、桾帯(くんたい、長い布で作られたベルト)、宝冠(ほうかん)を追加、奈良時代の感じを残す。
[19]
Youtube
【CGS 日本の歴史 4-3】大和絵とスーパーマリオブラザーズ ~平安文化と現代のつながり~
https://www.youtube.[...]
[20]
학술지
4〜10世紀における気候変動と人間活動
https://doi.org/10.5[...]
[21]
웹사이트
鹿児島における平均的な気候
https://ja.weathersp[...]
WeatherSpark.com
2020-01-18
[22]
웹사이트
仙台における平均的な気候
https://ja.weathersp[...]
WeatherSpark.com
2020-01-28
[23]
문서
長崎盛輝等は、袿の上下に重ねることを「重ね」といい、袷の表地と裏地の色の取り合わせによって透けて見える具合を「襲」と使い分けてい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