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재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재관은 '연결된, 부속된'의 의미를 가진 프랑스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대사관 등에 파견되어 특정 분야의 외교 임무를 수행하는 직책을 의미한다. 19세기 중반 군사 아타셰에서 기원하여, 현재는 군사, 과학, 보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군사 아타셰는 군사적 임무를 수행하며, 과학 아타셰는 과학 기술 관련 자문, 보건 아타셰는 국제 보건 문제에 대한 조언을 제공한다. 또한 교황청 외교단에서도 사용되며, 교회 봉사에 전문 지식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재관 | |
|---|---|
| 직책 개요 | |
| 직책 명칭 | 주재관 (Attaché) |
| 역할 | 특정 전문 분야를 대표하여 대사관 또는 공사관에 파견되어 외교 업무 수행 |
| 주요 업무 | 전문 지식 및 정보 제공 자국 이익 옹호 외교 활동 지원 |
| 역할 및 기능 | |
| 전문 분야 | 문화: 문화 교류 및 홍보 언론: 언론 관계 및 정보 관리 국방: 군사 협력 및 정보 분석 (무관) 경제: 경제 협력 및 투자 유치 농업: 농업 기술 협력 및 농산물 수출입 과학: 과학 기술 협력 및 연구 교류 교육: 교육 교류 및 유학생 지원 법무: 법률 자문 및 국제 사법 협력 노동: 노동 관련 협력 및 해외 취업 지원 해양 수산: 해양 수산 협력 및 자원 개발 |
| 임명 및 파견 | |
| 임명 기관 | 해당 전문 분야의 정부 부처 또는 기관 (예: 문화체육관광부, 국방부, 농림축산식품부) |
| 파견 기관 | 외교부 (대사관 또는 공사관) |
| 파견 절차 | 해당 부처/기관에서 외교부에 파견 요청 외교부에서 파견 승인 및 임명 주재국 정부의 동의 (아그레망) 획득 |
| 계급 및 대우 | |
| 계급 | 외교관 계급에 상응하는 직급 부여 (예: 서기관, 참사관) |
| 대우 | 외교관에 준하는 대우 및 특권 부여 (면책 특권 등) |
| 기타 | |
| 참고 | 주재관은 파견된 국가의 법률 및 규정을 준수해야 함 주재관은 외교관으로서 품위를 유지하고 국가의 명예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함 주재관은 해당 전문 분야의 최신 동향을 파악하고 전문성을 유지해야 함 |
2. 어원
이 단어는 영어의 attached(연결된, 부속된)에 해당하는 프랑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프랑스어에서는 남성형과 여성형을 구분하지만, 영어에서는 구별 없이 양성에 attachée를 사용한다. 19세기 중반 군사 아타셰(현재 일본에서는 방위 아타셰)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이후 의무관(메디컬 아타셰), 문화 아타셰 등으로 사용되어 왔다.
이 단어는 영어의 attached (연결된, 부속된)에 해당하는 프랑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프랑스어에서는 남성형과 여성형을 구분하지만, 영어에서는 그러한 구별 없이 양성에 attachée를 사용한다. 19세기 중반의 군사 아타셰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무관으로 번역됨)에서 기원했으며, 의무관 (메디컬 아타셰), 문화 아타셰 등으로 사용되어 왔다.
또한, 아타셰 케이스 등의 단어도 생겨났다.
이와 다소 비슷한 단어로는 '''리에종''' (liaison|리에종프랑스어)이 있는데, 이는 연락 담당자의 의미가 강하며, 연락 장교(리에종 오피서) 등에 사용된다.
3. 종류
아타셰 케이스 등의 단어도 생겨났다.
이와 다소 비슷한 단어로는 '''리에종''' (liaison프랑스어)이 있는데, 이는 연락 담당자의 의미가 강하며, 연락 장교 (리에종 오피서) 등에 사용된다.
3. 1. 군사 아타셰
일반적으로 무관은 대사관 또는 영사관의 외교 직무를 수행하면서 군사적 임무를 유지한다.
3. 2. 과학 아타셰
과학 주재관은 과학 기술과 관련된 문제에 대해 자문한다.[3]
3. 3. 보건 아타셰
보건 주재관은 국제 보건 문제에 대해 조언하며, 여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4][5] "외국 또는 여러 국가의 보건에 관한 정보를 수집, 분석 및 처리하고, 공중 보건과 외교 관계자 간의 중요한 연결 고리를 제공하는 외교관"이다.[6]
과거에는 '의료 주재관'으로 더 잘 알려졌다. 보건 주재관은 국제 외교에서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연결 고리이다.[7]
4. 교황청
아타셰는 외교 및 로마 교황청을 포함한 가톨릭교회의 계층적 행정에서도 사용되는데, 특히 교황청 외교단 소속이나 교황청 봉사를 위해 파견된 사제가 특정 국가의 교황 대사나 국제 기구 또는 정부간 기구에서 근무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특히 후자의 경우, 해당 관리는 교회 봉사에 특정 전문 지식(예: 법률 관련 전문 지식)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1]
5. 기타
이와 다소 비슷한 단어로는 리에종(liaison)이 있는데, 이는 연락 담당자의 의미가 강하며, 연락 장교 등에 사용된다.
6. 같이 보기
무관
과학 주재관
참조
[1]
웹사이트
attaché
http://www.merriam-w[...]
2016-03-24
[2]
웹사이트
attaché
http://dictionary.ca[...]
2016-03-24
[3]
논문
Diplomacy for Science Two Generations Later
http://www.sciencedi[...]
2014-03-13
[4]
논문
Bridging Public Health and Foreign Affairs
http://www.sciencedi[...]
[5]
웹사이트
Health Attachés
https://www.hhs.gov/[...]
2016-07-13
[6]
웹사이트
Bridging Public Health and Foreign Affairs
https://www.scienced[...]
2022-10-06
[7]
웹사이트
Health attaches are the missing link in global diplomacy
https://www.atlantic[...]
2022-12-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