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 D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타민 D는 여러 형태의 지용성 비타민으로, 칼슘 흡수와 뼈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비타민 D₂ (에르고칼시페롤)와 비타민 D₃ (콜레칼시페롤) 두 가지 형태가 있으며, 피부에서 자외선(UVB)을 쬐어 합성하거나 음식 섭취를 통해 얻을 수 있다. 비타민 D는 장에서 칼슘 흡수를 촉진하고, 뼈 건강 유지에 기여하며, 결핍 시 구루병, 골다공증 등의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과다 섭취 시 고칼슘혈증과 같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며, 비타민 D₂와 D₃의 효과 차이에 대한 논쟁이 있다. 비타민 D는 체내에서 활성형인 칼시트리올로 전환되어 작용하며, 다양한 질병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타민 D - 구루병
구루병은 비타민 D 결핍, 칼슘 및 인 섭취 부족, 유전적 요인 등으로 인해 소아기에 뼈의 성장과 골화 과정에 장애가 생겨 뼈가 약해지고 변형되는 질환으로, 혈액 검사, 골밀도 검사, 방사선 촬영 등으로 진단하며 비타민 D와 칼슘 제제로 치료한다. - 비타민 D - 칼시트리올
칼시트리올은 활성형 비타민 D로서, 위장관 칼슘 흡수 촉진, 신장 칼슘 재흡수 증가, 뼈 칼슘 방출 자극을 통해 혈중 칼슘 농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며, 저칼슘혈증, 골다공증 치료에 사용되지만 고칼슘혈증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 생화학에 관한 - 미토콘드리아 DNA
미토콘드리아 DNA(mtDNA)는 세포 호흡에 필수적인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미토콘드리아 내의 이중 가닥 환상 DNA로서, 동물의 경우 약 16,000개의 염기쌍과 37개의 유전자로 구성되며, 모계 유전, 높은 돌연변이율, 질병 및 노화와의 연관성 등의 특징을 가진다. - 생화학에 관한 - 단백질
단백질은 아미노산 중합체로 생체 구조 유지와 기능에 필수적이며, 아미노산 서열에 따라 고유한 3차원 구조를 형성하여 효소, 구조, 수송, 저장, 수축, 방어, 조절 단백질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인체 내에서 건강 유지와 질병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필수 영양소이다. - 생화학 - 부패
부패는 미생물에 의한 유기체의 사후 분해 과정으로, 악취 물질 생성, 시신 외형 변화를 동반하며 환경적·내적 요인에 따라 속도가 달라지고 법의학 등에서 연구된다. - 생화학 - 광합성
광합성은 생물이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와 물로부터 유기물을 합성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과정으로, 엽록체 내 틸라코이드 막에서 일어나는 명반응과 스트로마에서 일어나는 암반응으로 구성되며, 환경에 따라 탄소 농축 메커니즘을 통해 효율을 높이기도 하고, 지구 대기의 산소를 생성하는 주요 원천이다.
비타민 D | |
---|---|
약물 분류 | |
동의어 | 칼시페롤 |
사용 | 구루병 골다공증 골연화증 비타민 D 부족증 |
생물학적 표적 | 비타민 D 수용기 |
ATC 코드 접두사 | A11CC |
Drugs.com | 비타민 D |
비타민 D2 | |
IUPAC 이름 | (3β,5Z,7E,22E)-9,10-세코에르고스타-5,7,10(19),22-테트라엔-3-올 |
기타 이름 | 에르고칼시페롤 |
CAS 등록 번호 | 50-14-6 |
KEGG | D00187, C05441 |
일본 화학 물질 사전 번호 | J1.907K |
분자식 | C28H44O |
몰 질량 | 396.65 |
녹는점 | 114-118 °C |
비타민 D3 | |
IUPAC 이름 | (3β,5Z,7E)-9,10-세코콜레스타-5,7,10(19)-트리엔-3-올 |
기타 이름 | 콜레칼시페롤 비타민 D3 |
CAS 등록 번호 | 67-97-0 |
KEGG | D00188, C05443 |
일본 화학 물질 사전 번호 | J2.367A |
SMILES | O[C@H](C/C1=C/C=C3/ C2CC[C@@H]([C@@](CCC3)2C) [C@H](C)CCCC(C)C)CCC1=C |
분자식 | C27H44O |
몰 질량 | 384.64 |
녹는점 | 84.5-87 °C |
일반 정보 | |
동의어 | 칼시페롤 |
사용 | 구루병 골다공증 골연화증 비타민 D 결핍 |
생물학적 표적 | 비타민 D 수용기 |
ATC 코드 접두사 | A11CC |
Drugs.com | 비타민 D |
2. 종류
비타민 D는 여러 형태(비타머(vitamer))가 존재하며, 주요 두 형태는 비타민 D2 또는 에르고칼시페롤(ergocalciferol)과 비타민 D3 또는 콜레칼시페롤(cholecalciferol)이다.[1] '비타민 D'라는 용어는 D2 또는 D3, 또는 둘 모두를 지칭하며, 집합적으로 칼시페롤(calciferol)로 알려져 있다.
명칭 | 화학적 조성 | 구조 |
---|---|---|
비타민 D1 | 에르고칼시페롤(ergocalciferol)과 루미스테롤(lumisterol)의 혼합물(1:1) | style="text-align: center;" | |
비타민 D2 | 에르고칼시페롤(ergocalciferol) (에르고스테롤(ergosterol)로부터 생성됨) | |
비타민 D3 | 콜레칼시페롤(cholecalciferol) (피부에서 7-데히드로콜레스테롤(7-dehydrocholesterol)로부터 생성됨). | |
비타민 D4 | 22-디하이드로에르고칼시페롤(22-dihydroergocalciferol) | |
비타민 D5 | 시토칼시페롤(sitocalciferol) (7-데히드로시토스테롤(7-dehydrositosterol)로부터 생성됨) |
활성 비타민 D 대사체인 칼시트리올은 주로 표적 세포의 세포핵에 위치한 비타민 D 수용체(VDR)에 결합하여 생물학적 효과를 나타낸다.[1][10] 칼시트리올이 VDR에 결합하면, 이 수용체는 전사 인자로 작용하여 장에서의 칼슘 흡수에 관여하는 수송 단백질(예: TRPV6 및 칼빈딘)의 유전자 발현을 조절한다.[12] VDR은 스테로이드 호르몬 수용체의 핵 수용체 슈퍼패밀리에 속하며, 대부분의 장기 세포에서 발현된다.
자연에서 비타민 D의 합성은 자외선(UV) 방사선 노출과 이후 간과 신장에서의 활성화 과정에 의존한다. 많은 동물은 피부에서 7-데히드로콜레스테롤로부터 비타민 D3를 합성하며, 많은 균류는 에르고스테롤로부터 비타민 D2를 합성한다.[150][160]
비타민 D2는 1931년에 화학적으로 특징이 밝혀졌다. 1935년에는 비타민 D3의 화학 구조가 정의되었고, 7-데히드로콜레스테롤의 자외선 조사 결과임이 밝혀졌다. 비타민 D 형태에 대한 화학적 명명법이 1981년에 권장되었지만,[9] 대안적인 이름들이 여전히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3]
화학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비타민 D는 세코스테로이드(secosteroids)이며, 이는 스테로이드 고리의 결합 중 하나가 끊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10] 비타민 D2와 비타민 D3의 구조적 차이는 측쇄에 있다. 비타민 D2는 탄소 22번과 23번 사이에 이중 결합이 있고, 탄소 24번에는 메틸기가 있다. 수많은 비타민 D 유사체도 합성되었다.[3]
3. 기능
비타민 D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칼슘과 인의 대사를 조절하여 뼈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다.[1][13] 비타민 D는 골격 형성에 필요한 칼슘의 대장과 콩팥에서의 흡수를 촉진하며, 부갑상선에서 생산되는 부갑상선 호르몬(PTH) 및 칼시토닌과 협력하여 칼슘을 뼈로 적절히 운반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활성 비타민 D(칼시트리올)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혈중 칼슘(Ca2+) 농도를 높인다.[204]
# 장에서 칼슘 흡수를 촉진한다.
# 신장에서 칼슘이 소변으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한다 (칼슘 재흡수 촉진).
# 뼈에서 혈중으로 칼슘 방출을 촉진한다 (파골세포 수를 늘려 골흡수를 촉진).[1]
이러한 작용은 혈청 칼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뼈 형성에 필요한 칼슘과 인 수준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다.[1] 비타민 D는 강력한 골흡수 자극제로서 골 재형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14]
또한 비타민 D는 면역계에도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선천 면역계를 활성화하고 적응 면역계를 억제하며, 항균, 항바이러스 및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0][91] 단핵구, 활성화된 T세포 및 B세포를 포함한 여러 백혈구에서 VDR이 발현된다.[15] 활성 비타민 D는 대식세포에서 생성되는 항균 펩타이드인 카텔리시딘의 생성을 증가시킨다.[265][266][267] 비타민 D 수용체 결합체는 자연살해세포(NK cell) 활동과 대식세포의 식작용을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264]
VDR은 세포 증식과 세포 분화 조절에도 관여한다.[1] 시험관 내 연구에서는 비타민 D가 부신 수질 세포에서 티로신 수산화효소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고, 신경영양인자, 산화 질소 합성효소, 글루타티온 합성에 영향을 미쳐 스트레스 반응 조절에 관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16]
이처럼 다양한 작용 기전과 기능 때문에 비타민 D는 비타민 A와 함께 호르몬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한편, 비타민 D 보충제가 뇌졸중, 뇌혈관 질환, 심근 경색 또는 허혈성 심장 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킨다는 증거는 없다.[83][84][85] 또한 일반 인구에서 혈압을 낮추는 효과도 확인되지 않았다.[86][87][88] 한 메타 분석에서는 칼슘과 비타민 D 보충제를 함께 복용했을 때 뇌졸중 위험이 약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89] 면역 질환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예를 들어, 낮은 비타민 D 수치는 결핵 위험 요소로 보이지만,[92] 보충제의 효과는 입증되지 않았다.[93][94] 저용량 보충제는 급성 호흡기 감염 위험을 약간 줄일 수 있으나,[95] 고용량에서는 효과가 없었다.[95] 염증성 장 질환(IBD)의 경우, 비타민 D 결핍과 질병 중증도 간의 관련성이 보고되었으나 인과관계는 불명확하며,[96][97] 보충제가 증상 개선 및 재발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98][97] 다발성 경화증과의 관련성도 연구되고 있지만 명확한 결론은 나지 않았다.[269] 비타민 D 연구자인 헥터 델루카(Hector DeLuca)는 비타민 D가 다발성 경화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다.[275] 알레르기 질환과의 관계는 복잡하며, 유아기 보충제 섭취와 아토피 및 알레르기성 비염 위험 증가 간의 연관성[273], 임신 중 결핍과 알레르기 발병 간의 상관관계[274] 등 상반된 연구 결과가 존재한다.
4. 생합성
4. 1. 피부에서의 생성
비타민 D3(콜레칼시페롤)는 인간을 포함한 대부분의 척추동물 피부에서 7-데히드로콜레스테롤로부터 광화학적으로 생성된다.[165][207] 피부는 크게 안쪽의 진피와 바깥쪽의 얇은 표피로 구성되는데, 표피는 다시 5개의 층으로 나뉜다. 비타민 D는 주로 표피의 가장 안쪽 두 층인 기저층과 유극층의 각질세포에서 생성된다.[164] 이 세포들은 칼시트리올을 생성하고 비타민 D 수용체를 발현할 수도 있다.[164]
피부에서 7-데히드로콜레스테롤이 비타민 D₃로 전환되는 과정은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7-데히드로콜레스테롤은 태양의 자외선 중 특정 파장(UVB, 290~315nm)에 의해 광분해(photolysis)되어 프리비타민 D₃(previtamin D₃)를 형성한다.[161][162][166] 이어서 프리비타민 D₃는 자발적으로 이성질화(isomerizes)되어 최종적으로 비타민 D₃(콜레칼시페롤)가 된다.[161][162] 비타민 D 생성에 효과적인 이 UVB 파장은 "돌노선"이라고도 불린다.
비타민 D 합성에 필요한 UVB는 햇빛뿐만 아니라 선탠 기계(태닝 베드)의 자외선 램프에서도 방출된다. (태닝 램프는 주로 UVA를 생성하지만, 총 자외선 방출량의 4~10% 정도는 UVB이다.)[166] 그러나 유리창은 UVB 광선을 거의 완전히 차단하기 때문에 창문을 통한 햇빛 노출로는 비타민 D를 충분히 합성하기 어렵다.[167]
충분한 비타민 D 합성을 위해 필요한 햇빛 노출 시간은 피부의 멜라닌 양(즉, 피부색), 햇빛의 강도(계절, 시간대, 위도 등)에 따라 달라진다. 피부 멜라닌이 적어 피부색이 밝은 사람(피츠패트릭 스케일 기준)의 경우,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지 않고 얼굴, 팔, 다리 등에 일주일에 두 번, 하루 5분에서 30분 정도 햇빛을 쬐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양의 비타민 D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최소한의 햇볕화상(sunburn)을 유발하는 시간의 약 25%에 해당한다.[168][208][209] 피부색이 어둡거나 햇빛이 약할수록 더 긴 노출 시간이 필요하다.[168] 예를 들어, 일본인의 일반적인 피부색(스킨 타입 III)을 기준으로 여름철(7월) 홋카이도 삿포로시, 이바라키현 쓰쿠바시, 오키나와현 나하시에서 얼굴과 손등 노출만으로 10µg의 비타민 D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시간은 약 10~20분이지만, 겨울철(12월)에는 각각 139분, 41분, 14분으로 크게 늘어난다.[210]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는 것이 비타민 D 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으나,[331] 일반적으로 자외선 차단제는 UVB를 차단하여 비타민 D 합성을 저해할 수 있다.
햇빛 노출을 통해 비타민 D가 과도하게 생성되어 중독을 일으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피부는 비타민 D가 생성되는 속도만큼 분해되는 평형 상태에 도달하기 때문이다.[38]
역사적으로 1923년, 알프레드 파비안 헤스는 7-데히드로콜레스테롤에 자외선을 쬐어 지용성 비타민을 생성할 수 있음을 보이며 "빛은 비타민 D와 동등하다"고 밝혔다.[205] 이후 독일 괴팅겐 대학교의 아돌프 빈다우스는 스테롤과 관련 비타민의 구조를 해명한 공로로 1928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206]
일부 동물, 예를 들어 털이나 깃털이 있는 조류나 포유류는 자외선이 피부에 직접 닿기 어렵기 때문에, 피부에서 분비된 피지를 털이나 깃털에 묻힌 뒤 털손질을 통해 비타민 D를 섭취한다.[211] 반면, 완전한 지하 생활을 하는 벌거숭이두더지쥐는 혈중에서 비타민 D가 거의 검출되지 않아, 비타민 D 생성 능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인다.[212] 흥미롭게도 이 동물은 노화에 대한 저항성이 높고 설치류 중에서 수명이 매우 길다.[213][214]
4. 2. 생합성 메커니즘 (비타민 D3)
비타민 D3(콜레칼시페롤)는 주로 피부에서 자외선 B(UVB)에 의해 콜레스테롤의 전구체인 7-데히드로콜레스테롤로부터 합성된다. 이후 간과 신장에서 추가적인 수산화 과정을 거쳐 생물학적으로 활성 형태인 칼시트리올로 전환된다.[150][160][184]
=== 피부에서의 합성 ===
피부에서의 비타민 D3 합성은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
# '''프리비타민 D3 생성''': 피부의 표피 안쪽 층(기저층, 유극층)에 존재하는 7-데히드로콜레스테롤(프로비타민 D3)이 파장 290~315nm의 UVB에 노출되면 광분해(photolysis)되어 스테로이드 핵의 B 고리가 열리면서 프리비타민 D3가 생성된다. 이는 6개의 전자가 관여하는 공회전(conrotatory) 고리열림 전기고리화 반응(electrocyclic reaction)이다.[161][162][166][207]
# '''비타민 D3(콜레칼시페롤) 생성''': 생성된 프리비타민 D3는 체온에서 자발적으로 이성질체화(isomerization)하여 비타민 D3(콜레칼시페롤)로 전환된다. 이 과정은 [1,7] 수소 원자가 이동하는 반대면(antarafacial) 시그마트로픽 이동(sigmatropic shift)이며, 실온에서 약 12일이 소요된다.[161][162][215]
피부에서 UVB 노출을 통해 생성되는 비타민 D의 양은 피부색, 노출 시간, 계절, 위도 등에 따라 달라진다.[168][210] 과도한 자외선 노출은 비타민 D 과다를 유발하지 않는데, 이는 피부에서 비타민 D가 생성되는 속도와 분해되는 속도가 평형을 이루기 때문이다.[38]
=== 간에서의 전환 ===
피부에서 합성되거나 음식을 통해 섭취된 비타민 D3(콜레칼시페롤)는 혈액을 통해 간으로 운반된다. 간에서는 미소체 효소인 비타민 D 25-하이드록실라제(CYP2R1 유전자 산물)에 의해 콜레칼시페롤 분자의 25번 탄소 위치가 수산화되어 칼시페디올(calcifediol, 25-하이드록시콜레칼시페롤, 25(OH)D)을 형성한다.[3][185][216] 칼시페디올은 비타민 D의 주요 혈중 순환 형태로, 비타민 D 결합 단백질이라는 α-글로불린 운반 단백질에 결합하여 혈장을 통해 이동하며 간세포에 저장되기도 한다.[186]
=== 신장에서의 활성화 ===
혈중 칼시페디올은 신장의 근위세뇨관 세포로 운반되어 25-하이드록시비타민 D3 1-알파-하이드록실라제(CYP27B1 유전자 산물) 효소에 의해 1번 탄소 위치(1α 위치)에서 다시 한번 수산화된다. 이 과정을 통해 비타민 D의 생물학적 활성 형태인 칼시트리올(calcitriol, 1,25-디하이드록시콜레칼시페롤, 1,25(OH)2D)이 생성된다.[1][184][216]
1-알파-하이드록실라제 효소의 활성은 부갑상선 호르몬(PTH)과 낮은 혈중 칼슘 또는 인 농도에 의해 증가한다.[1] 생성된 칼시트리올은 다시 비타민 D 결합 단백질에 결합하여 혈액 순환을 통해 표적 기관(주로 소장, 신장, 뼈)으로 이동하여 비타민 D 수용체에 결합함으로써 칼슘 및 인 대사 조절 등 다양한 생리적 작용을 수행한다.[10][184] 신장 외에도 면역계의 단핵구-대식세포 등 일부 세포에서도 칼시트리올이 합성되어 국소적인 면역 조절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184]
=== 불활성화 ===
체내 비타민 D 농도를 조절하기 위해 불활성화 경로도 존재한다. 칼시디올은 24번 탄소 위치에서 수산화되어 비활성 형태인 24,25-디하이드록시콜레칼시페롤로 전환될 수 있다.[216] 또한, 활성형인 칼시트리올은 24-하이드록실라제 효소에 의해 추가적으로 대사되어 최종적으로 수용성 물질인 칼시트론산으로 전환된 후 소변으로 배설된다.[216]
4. 3. 작용 메커니즘
활성 비타민 D 대사체인 칼시트리올은 주로 표적 세포의 세포핵에 위치한 비타민 D 수용체(VDR)에 결합하여 생물학적 효과를 나타낸다.[1][10][217] 칼시트리올이 VDR에 결합하면, 이 복합체는 핵으로 들어가 유전자 상의 특정 DNA 서열인 비타민 D 반응 요소(VDRE)에 결합한다.[1] 이를 통해 수용체는 전사 인자 역할을 하여, 장에서의 칼슘 흡수에 관여하는 수송 단백질(예: TRPV6 및 칼빈딘(calbindin))과 같은 특정 단백질의 유전자 발현을 조절한다.[12][3][217]
VDR은 스테로이드 호르몬 수용체의 핵 수용체(nuclear receptor) 슈퍼패밀리에 속하며, 뇌, 심장, 피부, 생식선, 전립선, 유방을 포함한 대부분 장기의 세포에서 발현된다.[218] 특히 장, 뼈, 신장 및 부갑상선 세포에서 VDR이 활성화되는 것은 혈중 칼슘과 인 수준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며, 이는 부갑상선 호르몬과 칼시토닌에 의해 지원되는 과정으로, 뼈 건강 유지에 기여한다.[1][13][218]
비타민 D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이러한 작용들을 통해 골격의 칼슘 균형을 유지하고, 골 형성에 필요한 칼슘과 인 수준을 유지하며, 혈청 칼슘 수준 유지를 위한 부갑상선 호르몬의 적절한 기능을 돕는다.[1]
또한, VDR은 세포 증식과 분화도 조절한다.[1][219] 비타민 D는 면역계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단핵구와 활성화된 T 세포 및 B 세포를 포함한 여러 백혈구에서 VDR이 발현된다.[15][219] 일반적으로 비타민 D는 선천 면역계를 활성화하고 적응 면역계를 억제하며, 항균, 항바이러스 및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0][91] 시험관 내 연구에서는 비타민 D가 부신 수질 세포에서 티로신 수산화효소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고 신경 영양 인자, 산화질소 합성효소, 글루타티온 합성에 영향을 미쳐 스트레스 반응 조절에 관여할 가능성도 제시되었다.[16] VDR 발현은 나이가 들면서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1]
한편, 칼시트리올에 대한 세포의 일부 반응은 고전적인 VDRE 전사 경로보다 빠르게 나타나는데, 이는 비타민 D의 비유전체적 작용 기전이 존재함을 시사한다. 막 결합 단백질인 PDIA3가 이 경로에서 대체 수용체 역할을 할 수 있으며,[189] 고전적인 VDR 역시 관여할 가능성이 있다.[190] 또한, 형태 형성에 관여하는 호르몬 등 신호 전달 경로의 천연 효소 저해제로서 작용하는 등 다양한 메커니즘이 연구되고 있다.[220][221]
작용 기전 및 기능의 다양성으로 인해 비타민 D는 비타민 A와 함께 호르몬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5. 결핍
전 세계적으로 10억 명이 넘는 사람들(유아, 어린이, 성인, 노인 포함)[17][19]이 비타민 D 결핍 상태일 수 있으며, 보고되는 비율은 '결핍'을 정의하는 측정 방법에 따라 달라진다.[18] 비타민 D 결핍은 중동,[19] 아시아, 아프리카[21] 및 남아메리카[22]에서 흔하게 나타나지만, 북미와 유럽에서도 존재한다.[158][19][23][24] 특히 북미, 유럽, 호주에 거주하는 유색 인종 이민자들은 피부색이 밝은 유럽계 주민들에 비해 결핍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난다.[25][26][27]
혈청 25(OH)D 농도는 비타민 D 상태를 평가하는 생체 지표로 사용된다. 측정 단위는 ng/mL 또는 nmol/L이며, 1 ng/mL는 2.5 nmol/L와 같다. 건강의 모든 측면에서 비타민 D 결핍, 불충분, 충분 또는 최적 상태를 정의하는 기준에 대한 통일된 합의는 아직 없다.[18] 미국 의학 연구소의 식이 참고 섭취량 위원회에 따르면, 혈청 25(OH)D 농도가 30 nmol/L 미만이면 유아 및 어린이의 구루병 위험이 증가하고, 식이 칼슘 흡수율이 정상 범위(60~80%)에서 15%까지 감소할 수 있다. 40 nmol/L 이상은 노인의 골연화증 및 골 손실 예방에 필요하며, 모든 건강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50 nmol/L 이상이 필요하다고 본다.[53] 다른 연구에서는 25 nmol/L 미만을 결핍, 30-50 nmol/L을 불충분[28], 75 nmol/L 초과를 최적 상태로 정의하기도 한다.[29][30] 이러한 기준 설정의 어려움은 인종 집단 간 혈청 25(OH)D 수치 차이가 보고되고 있으며, 이러한 차이에 유전적 및 환경적 요인이 작용한다는 연구 결과 때문이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계 미국인은 같은 나이의 백인에 비해 혈청 25(OH)D 수치가 낮지만, 모든 연령대에서 칼슘 흡수 효율이 더 높고 골밀도가 더 높으며, 노년기 골다공증 및 골절 위험은 더 낮다.[53] 따라서 이러한 집단에게 '표준' 농도를 맞추기 위해 무조건 보충제를 권장하는 것은 이론적으로 혈관 석회화와 같은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33]
일반적으로 건강한 인구 전체를 대상으로 25(OH)D 검사를 시행하여 결핍자를 찾아 치료하는 것보다, 정부 차원에서 식품 강화 프로그램을 의무화하는 것이 비용 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검사는 비타민 D 결핍 증상을 보이거나 결핍을 유발할 수 있는 특정 건강 상태를 가진 사람들에게 제한하는 것이 권장된다.[24]
비타민 D 결핍의 주요 원인은 피부에서의 비타민 D 합성이 불충분하기 때문이다. 이는 주로 햇빛 속 자외선 B(UV-B) 노출 부족으로 발생하며,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23]
- 고위도 지역 거주 (적도에서 멀어질수록 일조 시간 감소)
- 대기 오염[31]
- 도시 생활 및 실내 활동 증가
- 장기간 병원 입원 또는 요양 시설 거주
- 햇빛을 차단하는 의복 착용 (문화적, 종교적 이유 포함)
- 피부암 예방을 위한 자외선 차단제 사용 또는 햇빛 차단 의류 착용 권장 (자외선 차단제 사용이 비타민 D 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331])
- 검은 피부의 멜라닌 색소로 인한 자외선 B 차단 효과[23][32]
특히 온대 기후에 사는 피부색이 어두운 사람들은 피부의 멜라닌이 비타민 D 합성을 방해하여 비타민 D 수치가 낮을 가능성이 더 높다.[32] 미국에서는 히스패닉계와 아프리카계 미국인 인구에서 비타민 D 결핍이 특히 흔하다.[28] 그러나 혈청 농도가 낮다고 해서 반드시 '결핍 질환'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33][34]
자연적으로 비타민 D를 함유한 식품만으로는 피부 합성이 부족할 경우 권장 혈청 농도를 유지하기 어렵다. 일부 국가에서는 이러한 부족분을 해소하기 위해 의무적 또는 자발적 식품 강화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155] 미국은 의무 강화 국가 중 하나로, 1930년대 초 우유 강화를 시작하여 유아 및 아동 구루병 감소에 큰 효과를 보았다. 2016년에는 두유, 아몬드 우유 등 식물성 우유 음료에 비타민 D 첨가를 승인했다.[156] 개인적으로는 종합 비타민/미네랄 제품이나 비타민 D 전용 보충제를 섭취할 수도 있다.[45]
특정 질병 상태나 치료, 약물 복용도 비타민 D 결핍 위험을 높인다.
- 만성 질환: 신장 및 간 기능 부전, 크론병, 염증성 장 질환, 낭포성 섬유증과 같은 흡수 장애 증후군, 고칼슘혈증 또는 저칼슘혈증[23]
- 비만: 지방 조직에 비타민 D가 축적되어 혈청 수치가 낮아질 수 있으며[127], 비만 치료를 위한 수술은 식이 비타민 D 흡수를 방해하여 결핍을 유발할 수 있다.[128]
- 약물: 항레트로바이러스제, 항경련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케토코나졸과 같은 전신 항진균제, 콜레스티라민, 리팜피신 등[23]
- 장기 이식 수혜자: 면역 억제 요법으로 인해 피부암 위험이 증가하므로 햇빛 노출을 피하고 비타민 D 보충제를 복용하도록 권장된다.[35]
결핍 관련 질병

구루병은 주로 유아기에 발생하는 질환으로, 뼈가 부드럽고 약해져 성장 장애와 뼈 변형을 일으킨다. 특히 아이가 걷기 시작하면서 체중 부하로 인해 다리뼈가 휘는 증상이 나타난다. 임신 중 산모의 비타민 D 결핍은 태아의 골격 형성에 영향을 미쳐 출생 후 뼈의 질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59][60] 구루병은 보통 생후 3개월에서 18개월 사이에 나타나며[61], 비타민 D, 칼슘 또는 인의 결핍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62] 모유에는 비타민 D 함량이 낮고, 피부색이 어둡거나 사회적 관습, 기후 조건 등으로 햇빛 노출이 부족한 경우 비타민 D 결핍이 영유아 구루병의 주요 원인이 된다. 고기, 생선, 계란, 비타민 D 강화 우유 등을 포함한 서구식 이유식은 예방 효과가 있지만, 곡물 위주의 식단은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13][63][64][65] 구루병이 발생한 경우, 비타민 D와 칼슘을 함께 보충하는 것이 비타민 D 단독 보충보다 뼈 치유에 더 효과적이다.[66][67]

골연화증은 뼈가 연화되어 척추 변형, 골절 위험 증가, 뼈의 취약성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1] 일반적으로 혈청 25(OH)D 수치가 약 10 ng/mL 미만일 때 나타날 수 있다.[68] 골연화증은 골다공증으로 진행될 수 있는데, 골다공증은 골밀도 감소와 뼈 구조 약화로 골절 위험이 증가하는 상태이다. 골다공증은 장기간의 칼슘 및/또는 비타민 D 부족의 결과일 수 있으며, 비타민 D 부족은 칼슘 흡수 감소에 기여한다.[2] 비타민 D 결핍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 비타민 D 보충제 단독 복용이 골연화증에서 골다공증으로의 진행을 늦추거나 멈추게 한다는 명확한 증거는 부족하다.[69] 골다공증이 있는 고령자의 경우, 칼슘과 함께 비타민 D를 복용하면 고관절 골절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위장 및 신장 문제의 위험을 약간 증가시킬 수 있다.[70][71] 건강하게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에게서는 골절 위험 감소 효과가 뚜렷하게 관찰되지 않는다.[83][72][73] 낮은 혈청 비타민 D 수치는 낙상과 관련이 있지만,[74] 비타민 D 보충이 낙상 위험 자체를 줄인다는 증거는 아직 부족하다.[75]
- 기타 질병
- 스트레스 골절: 비타민 D가 결핍된 운동선수, 특히 구기 종목 선수는 스트레스 골절 및 심각한 골절 위험이 증가한다. 혈청 25(OH)D 농도가 높아질수록 위험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며, 50 ng/mL 수준에서 정체되어 그 이상에서는 추가적인 이점이 나타나지 않는다.[76]
- 인지 장애: 낮은 비타민 D 수치와 인지 장애 및 알츠하이머병 발병 위험 증가 사이에 연관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그러나 낮은 비타민 D 농도는 영양 부족이나 야외 활동 시간 감소와도 관련이 있으므로, 비타민 D 수치와 인지 기능 사이의 직접적인 인과 관계는 아직 명확히 확립되지 않았다.[119]
- 기타 관련 가능성: 비타민 D 부족은 고혈압, 결핵, 암, 치주 질환, 다발성 경화증, 계절성 정서 장애, 말초 동맥 질환, 1형 당뇨병 등 자가면역 질환의 발생률 증가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251][252][253][254][255] 또한 발기부전[256][257][258] 및 파킨슨병과의 관련성도 지적되지만[259], 인과 관계는 아직 불분명하다.
채식주의자 중 유제품을 섭취하지 않는 경우[250], 햇빛 노출 부족, 비타민 D 흡수 장애, 간 또는 신장 질환으로 인한 활성형 전환 장애 등은 비타민 D 결핍을 유발하여 칼슘과 인 흡수 장애를 일으키고, 결과적으로 구루병, 골연화증, 골다공증 등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
6. 과잉
비타민 D를 과다 섭취할 경우 간에 축적되어 고칼슘혈증, 식욕 부진 등의 여러 가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비타민 D 과잉으로 나타날 수 있는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인체에 저장된 비타민 D는 칼시디올(25-hydroxy-vitamin D) 형태로 존재하며, 그 반감기는 20일에서 29일이다. 일반적으로 활성형 비타민 D의 생합성은 엄격하게 조절되므로, 과량의 비타민 D를 섭취한 경우에만 독성이 나타난다. 식품이나 비타민 D 제제에 함유된 양은 성인에게 독성을 유발하는 수준보다 훨씬 낮다.
일광욕으로 인해 비타민 D 독성이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다. 자외선 노출 시 피부에서 합성되는 비타민 D 전구체의 농도는 일정 시간(피부색에 따라 20분~2시간)이 지나면 평형 상태에 도달하여 더 이상 비타민 D가 과도하게 생성되지 않기 때문이다. 전신을 태양광에 노출했을 때 체내에서 최대로 생성될 수 있는 양은 하루 250µg (10,000 IU) 정도이다.
비타민 D의 장기간 안전 섭취량은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건강한 성인의 경우 하루 250µg (10,000 IU)까지는 안전한 것으로 여겨진다. 고칼슘혈증을 동반한 비타민 D 독성이 보고된 사례는 모두 하루 1000µg (40,000 IU) 이상을 섭취한 경우였다. 성인이 지속적으로 하루 2500µg (100,000 IU)를 섭취하면 2~3개월 이내에 독성이 나타날 수 있다. 미국의 "The Nutrition Desk Reference"에 따르면 독성 발현 역치는 500µg/kg~600µg/kg/일이며, 미국 환경보호청(The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은 암컷 랫드에 대한 비타민 D의 LD50을 619mg/kg으로 발표했다.
7. 건강에 미치는 영향
비타민 D 보충제가 골격계 이외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불확실하다.[49][50] 한 검토 논문에서는 고령자의 사망률 감소 외에는 골격계 이외의 질병 발생률에 대한 보충제의 효과를 발견하지 못했다.[51] 비타민 D 보충제는 심근 경색, 뇌졸중 또는 뇌혈관 질환, 암, 골절 또는 무릎 골관절염의 결과를 바꾸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83][52]
미국 의학협회(IOM) 보고서는 "암, 심혈관 질환 및 고혈압, 그리고 당뇨병 및 대사 증후군, 낙상 및 신체 기능, 면역 기능 및 자가면역 질환, 감염, 신경심리 기능 및 자간전증과 관련된 결과는 칼슘 또는 비타민 D 섭취와 신뢰할 수 있게 연관될 수 없었으며, 종종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고 밝혔다.[53] 일부 연구자들은 IOM이 권고 사항에 대해 너무 단정적이었고, 골 건강과 관련된 비타민 D 혈중 농도를 계산할 때 수학적 실수를 저질렀다고 주장하기도 한다.[54] 이에 대해 IOM 패널 회원들은 표준적인 식이 권장 절차를 사용했으며 보고서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견고하게 작성되었다고 반박한다.[54]
'''사망률'''
비타민 D3 보충제가 고령자의 사망 위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초기 연구 결과가 있지만,[55][51] 그 효과가 두드러지거나 보충제 섭취를 권장할 만큼 확실하지는 않다.[83] 다른 형태의 비타민 D(비타민 D2, 알파칼시돌, 칼시트리올)는 사망 위험과 관련하여 유익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55] 높은 혈중 비타민 D 수치는 사망 위험 감소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보충제 섭취가 이러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지는 불확실하다.[56] 비타민 D 과잉과 결핍 모두 비정상적인 기능과 조기 노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57][58] 혈청 25-하이드록시비타민 D 농도와 모든 원인 사망률 간의 관계는 "U자형"으로, 중간 수준에 비해 고농도 및 저농도에서 사망률이 높아진다.[53]
'''뼈 건강'''
- '''구루병''': 유아기에 발생하는 질환으로, 성장 장애와 함께 뼈가 부드럽고 약해져 변형되며, 체중 부하 시 뼈가 휘는 것이 특징이다. 임신부의 비타민 D 결핍은 태아의 골격 결손 및 출생 후 뼈의 질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59][60] 구루병은 주로 생후 3개월에서 18개월 사이에 나타나며,[61] 비타민 D, 칼슘 또는 인의 결핍으로 발생할 수 있다.[62] 모유 수유, 어두운 피부색, 햇빛 노출 부족 등이 주요 원인이며, 비타민 D 결핍이 가장 흔한 원인이다. 비타민 D 강화 우유, 고기, 생선, 계란 등을 포함한 서구식 이유식은 예방 효과가 있는 반면, 곡물 위주의 식단은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13][63][64][65] 구루병 치료 시 비타민 D와 칼슘을 함께 보충하는 것이 비타민 D만 보충하는 것보다 효과적이다.[66][67] 비타민 D 보충제는 구루병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인 방법이다.[49]
- '''골연화증 및 골다공증''': 골연화증은 뼈가 연화되어 척추 변형, 골절 위험 증가 등을 유발하는 질환이다.[1] 이는 일반적으로 25-하이드록시비타민 D 수치가 약 10 ng/mL 미만일 때 나타난다.[68] 골연화증은 골밀도 감소와 골 취약성 증가를 특징으로 하는 골다공증으로 진행될 수 있다. 골다공증은 장기적인 칼슘 및/또는 비타민 D 부족의 결과일 수 있으며, 비타민 D 부족은 칼슘 흡수 감소에 기여한다.[2] 확인된 비타민 D 결핍이 없는 경우, 칼슘과 함께 복용하지 않는 비타민 D 보충제가 골연화증에서 골다공증으로의 진행을 늦추거나 멈추게 한다는 증거는 없다.[69] 골다공증이 있는 고령자의 경우, 칼슘과 함께 비타민 D를 복용하면 고관절 골절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위장 및 신장 문제의 위험을 약간 증가시킬 수도 있다.[70][71] 건강한 지역 거주 노인에게서는 골절 위험 감소가 관찰되지 않는다.[83][72][73] 낮은 혈청 비타민 D 수치는 낙상과 관련이 있지만,[74] 추가적인 비타민 D 섭취가 그 위험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나지는 않는다.[75]
- '''운동선수 스트레스 골절''': 비타민 D가 결핍된 운동선수는 스트레스 골절 및/또는 심각한 골절의 위험이 증가하며, 특히 구기 종목 선수에게서 두드러진다. 혈청 25(OH)D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위험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며, 50 ng/mL에서 정체되어 그 이상의 수치에서는 추가적인 이점이 나타나지 않는다.[76]
'''암'''
혈청 25-하이드록시비타민 D 수치가 낮은 것이 관찰 연구에서 더 높은 암 위험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었지만,[77][78][79] 비타민 D 보충제가 암 위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충분한 증거는 없다는 것이 일반적인 결론이다.[2][80][81] 그러나 암 사망률 감소에 대한 일부 증거는 있다.[77][82]
'''심혈관 질환'''
비타민 D 보충제는 뇌졸중, 뇌혈관 질환, 심근 경색 또는 허혈성 심장 질환의 위험 감소와 관련이 없다.[83][84][85] 보충제는 일반 인구의 혈압을 낮추지 않는다.[86][87][88] 한 메타 분석에 따르면 칼슘과 비타민 D 보충제를 함께 복용했을 때 뇌졸중 위험이 약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89]
'''면역계 및 감염성 질환'''
일반적으로 비타민 D는 선천 면역계를 활성화하고 적응 면역계를 억제하며 항균, 항바이러스 및 항염증 효과를 나타낸다.[90][91] 혈청 내 비타민 D 수치가 낮으면 결핵의 위험 요소가 되는 것으로 보이지만,[92] 보충제 실험에서는 이점이 발견되지 않았다.[93][94] 저용량 비타민 D 보충제는 급성 호흡기 감염의 전반적인 위험을 약간 감소시킬 수 있으며,[95] 이러한 효과는 어린이와 청소년에게서 나타났고 고용량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95]
'''염증성 장 질환 (IBD)'''
비타민 D 결핍은 염증성 장 질환(IBD)의 중증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96] 이것이 IBD의 원인인지 결과인지는 명확하지 않다.[97] 보충제는 임상적 염증성 장 질환 활동 및 생화학적 지표의 점수 향상[98][97]과 IBD에서 증상 재발 빈도 감소로 이어진다.[97]
'''COVID-19'''
2022년 9월 기준으로 미국 국립보건원(NIH)은 COVID-19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해 비타민 D 보충제 사용을 권장하거나 반대할 만한 충분한 증거가 없다고 밝혔다.[99] 영국 국립보건임상우수연구소(NICE) 역시 COVID-19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비타민 D 보충제 제공을 권장하지 않는다.[100][101] 두 기관 모두 뼈와 근육 건강 등 다른 이유로 기존의 비타민 D 보충 권장 사항을 유지할 것을 권고했으며, 팬데믹 기간 동안 햇빛 노출 감소로 더 많은 사람이 보충제를 필요로 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99][100]
비타민 D 결핍과 부족은 COVID-19의 부정적인 결과와 관련이 있다.[102][103][104][105][106][107] 보충제 임상 시험에 대한 검토 결과, 보충제를 복용하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중환자실(ICU) 입원율이 낮았지만 사망률에는 변화가 없었다는 것을 나타냈다.[108] 그러나 다른 검토에서는 COVID-19 치료에 대한 증거가 매우 불확실하다고 판단했다.[109] 또 다른 메타 분석에서는 COVID-19 환자에게 고용량의 비타민 D를 사용하는 것이 확실한 근거에 기반하지 않지만 칼시페디올 보충제는 중환자실 입원에 대한 예방 효과가 있을 수 있다고 밝혔다.[105]
'''기타 질환'''
- '''만성 폐쇄성 폐질환 (COPD)''': 비타민 D 보충제는 COPD의 중등도 또는 중증 악화율을 상당히 감소시켰다.[110]
- '''천식''': 비타민 D 보충제는 천식 발작 예방이나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111]
- '''당뇨병''': 한 메타 분석에 따르면 비타민 D 보충제는 비만이 아닌 2형 당뇨병 전 단계 환자의 2형 당뇨병 위험을 유의미하게 감소시켰다고 보고되었다.[112] 또 다른 메타 분석에서는 비타민 D 보충제가 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HOMA-IR), 헤모글로빈 A1C(HbA1C) 및 공복 혈당(FBG)을 유의미하게 개선했다고 보고되었다.[113] 전향적 연구에서 비타민 D 수치가 높은 그룹은 낮은 그룹에 비해 2형 당뇨병, 2형 당뇨병과 당뇨병 전 단계의 합병증, 그리고 당뇨병 전 단계의 위험이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114] 2011년 코크란의 체계적 문헌 고찰에서는 비타민 D와 인슐린을 함께 사용하면 인슐린 단독 사용보다 12개월 후 공복 C-펩타이드 수치를 더 잘 유지한다는 한 연구 결과를 검토했으나, 해당 연구들의 질과 설계에 결함이 있음을 지적했다.[115]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관찰 연구의 메타 분석 결과, ADHD를 가진 어린이의 비타민 D 수치가 낮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출생 당시 비타민 D 수치가 낮은 것과 ADHD의 후기 발병 사이에 약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16] 비타민 D 보충제를 사용한 소규모 무작위 대조 시험에서 충동성과 과잉 행동과 같은 ADHD 증상이 개선되었다는 결과가 보고되었다.[117]
- '''우울증''': 비타민 D 보충제를 이용한 우울증상 치료 임상시험은 전반적으로 질이 낮았으며 전반적인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하위 집단 분석 결과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우울증상 또는 주요 우울 장애가 있는 참가자에게는 보충제가 중등도 효과를 보였다.[118]
- '''인지 기능''': 체계적 문헌 고찰 결과, 비타민 D 수치가 낮은 것과 인지 장애 및 알츠하이머병 발병 위험 증가 사이의 연관성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낮은 비타민 D 농도는 영양 부족 및 야외 활동 시간 감소와도 관련이 있어 직접적인 인과 관계는 확립되지 않았다.[119]
- '''정신분열증''': 정신분열증 진단을 받은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혈청 비타민 D 농도가 낮은 경향이 있지만, 이는 질병의 원인이라기보다는 결과(예: 섭취량 부족, 햇볕 노출 감소)일 가능성이 높다.[120][121] 보충제 시험 결과는 결론적이지 않았다.[120]
- '''임신''': 임신 중 비타민 D 수치가 낮으면 임신성 당뇨병, 자간전증, 작은 신생아와 관련이 있다.[122] 임신 중 비타민 D 보충은 임신 말기 어머니의 혈중 비타민 D 수치를 증가시키지만,[123] 어머니나 아기에게 미치는 이점의 전반적인 범위는 불분명하다.[122][123][124][125] 임산부는 종종 권장량만큼 비타민 D를 섭취하지 않지만,[126] 임신 중 보충제의 이점과 위험은 아직 잘 연구되지 않았다.[125]
- '''비만''': 비만은 혈청 비타민 D 수치가 낮을 위험을 증가시킨다. 보충제가 체중 감량으로 이어지지는 않지만, 체중 감량은 혈청 비타민 D 수치를 증가시킨다. 지방 조직이 비타민 D를 저장한다는 이론이 있다.[127] 비만 치료를 위한 비만 수술은 비타민 D 결핍을 포함한 비타민 결핍으로 이어질 수 있다.[128]
- '''자궁근종''': 자궁근종 발병 기전이 낮은 혈청 비타민 D 수치와 관련이 있으며, 비타민 D 보충제가 근종 크기를 줄이는 것으로 나타나는 증거가 있다.[129][130]
8. 허용된 건강 강조 표시
정부 규제 기관은 식품 및 건강기능식품 산업에서 포장에 허용되는 특정 건강 관련 표시를 규정한다.
- '''유럽식품안전청 (EFSA)'''[131]
- * 면역 체계의 정상적인 기능
- * 정상적인 염증 반응
- * 정상적인 근육 기능
- * 60세 이상 고령자의 낙상 위험 감소[132]
- '''미국 식품의약국 (FDA)'''
- * "균형 잡힌 식단의 일환으로 칼슘과 비타민 D를 충분히 섭취하고 규칙적인 신체 활동을 하면 골다공증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133]
- '''캐나다 보건부 (Health Canada)'''
- * "충분한 칼슘 섭취와 규칙적인 운동은 어린이와 청소년의 뼈 건강에 도움이 되며, 노년층의 골다공증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비타민 D의 적절한 섭취도 필요합니다."[134]
- '''일본: 영양 기능 표시 식품 (FNFC)'''
- * "비타민 D는 장에서 칼슘 흡수를 촉진하고 뼈의 발달을 돕는 영양소입니다."[135]
9. 섭취
비타민 D 결핍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체내에 비타민 D를 충분히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타민 D를 얻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햇빛을 직접 쬐어 피부에서 합성하는 것이다. 주기적으로 야외 활동을 통해 햇빛에 신체를 노출시키는 것이 음식 섭취보다 여러 면에서 유용하다. 다만,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면 비타민 D 합성 효과가 상대적으로 떨어질 수 있으며, 피부가 따갑거나 발진 등 피부 트러블을 일으키지 않는 선에서 적절히 햇빛을 쬐는 것이 좋다.
햇빛 노출이 충분하지 않다면 음식을 통해 비타민 D를 섭취해야 한다. 햇볕에 말린 표고버섯이나 목이버섯, 등푸른생선, 계란 노른자 등이 좋은 공급원이다. 비타민 D는 대부분의 식물성 식품에는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다.[223] 이 외에도 비타민 D가 강화된 식품이나 건강기능식품 형태의 보충제를 통해 섭취할 수도 있다.
대한민국의 경우, 2004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당시 한국인의 1일 평균 비타민 D 섭취량은 남성 8.3µg, 여성 7.5µg으로, 당시 설정된 필요량을 충족하는 수준이었다.[222]
비타민 D의 1일 권장 섭취량은 연령, 임신 또는 수유 여부, 햇빛 노출 정도 등에 따라 국가별, 기관별로 다르게 제시되고 있다.[2][53][141][4][140][144] 자세한 국가별 권장 수준과 주요 식품 공급원, 강화식품 및 보충제에 대한 내용은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9. 1. 권장 수준
여러 정부 기관에서는 비타민 D의 일일 섭취량에 대해 서로 다른 권장량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정확한 정의, 연령, 임신 또는 수유 여부, 그리고 피부에서의 비타민 D 합성에 대한 가정의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2][53][141][4][140][144] 단위 환산은 1 μg(마이크로그램) = 40 IU(국제 단위)이다.[4]영국[4] | ||
연령대 | 섭취량 (μg/일) | 최대 섭취량 (μg/일) |
---|---|---|
모유 수유 유아 (0~12개월) | 8.5 – 10 | 25 |
분유 수유 유아 (<500 mL/일) | 10 | 25 |
어린이 (1~10세) | 10 | 50 |
10세 이상 어린이 및 성인 | 10 | 100 |
영국 국민보건서비스(NHS)는 비타민 D 결핍 위험이 있는 사람, 모유 수유를 하는 영아, 하루 500ml 미만의 분유를 먹는 영아, 그리고 6개월에서 4세 사이의 어린이는 충분한 섭취를 위해 일년 내내 매일 비타민 D 보충제를 복용해야 한다고 권장한다.[136] 여기에는 비타민 D의 피부 합성이 제한적인 사람(자주 야외 활동을 하지 않거나, 허약하거나, 집에 갇혀 있거나, 요양원에 거주하거나, 대부분의 피부를 가리는 옷을 착용하는 사람) 또는 피부색이 어두운 사람(아프리카계, 아프리카-카리브해계 또는 남아시아계 배경)이 포함된다. 다른 사람들은 4월부터 9월까지의 햇볕 노출을 통해 충분한 비타민 D를 생성할 수 있다. NHS와 영국 공중보건청은 임산부와 수유부를 포함한 모든 사람이 비타민 D 합성에 충분한 햇빛이 부족한 가을과 겨울 동안 10 μg (400 IU)의 비타민 D가 함유된 보충제를 매일 복용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고 권장한다.[137]
2010년 미국 의학연구소(Institute of Medicine, IoM, 현 미국 국립의학원)는 비타민 D의 권장섭취량(RDA)을 발표하여 이전의 적절 섭취량(AI) 기준을 대체했다. 이 권장량은 태양 노출이 부족하여 피부에서 비타민 D가 합성되지 않는다는 가정하에 설정되었으며, 음식, 음료 및 보충제를 통한 총 섭취량을 나타낸다. 또한 칼슘 요구량이 충족된다는 가정을 전제로 한다.[53] 내약성 상한 섭취량(UL)은 "거의 모든 일반인에게 유해한 건강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없는 영양소의 가장 높은 평균 일일 섭취량"으로 정의된다.[53] UL은 안전하다고 여겨지지만, 장기적인 영향에 대한 정보는 불완전하며, 이러한 수준의 섭취는 장기간 권장되지 않는다.[53] 미국 식품 및 식이 보충제 라벨링에서는 1회 제공량이 1일 영양소 기준치(%DV)의 몇 퍼센트인지 표시한다. 비타민 D의 1일 영양소 기준치 100%는 400 IU (10 μg)였으나, 2016년 5월 RDA와 일치하도록 800 IU (20 μg)로 개정되었다.[138][139]
캐나다 보건부(Health Canada)는 미국 의학연구소의 2010년 보고서를 바탕으로 비타민 D의 권장 섭취량(DRIs)과 상한 섭취량(ULs)을 발표했다.[53][140]
호주 및 뉴질랜드[141] | ||
연령대 | 적정 섭취량 (AI) (μg) | 상한 섭취량 (UL) (μg) |
---|---|---|
유아 (0~12개월) | 5* | 25 |
어린이 (1~18세) | 5* | 80 |
성인 (19~50세) | 5* | 80 |
성인 (51~70세) | 10* | 80 |
70세 이상 성인 | 15* | 80 |
* 적정 섭취량(AI), RDA/RDI는 설정되지 않음 |
호주와 뉴질랜드는 2006년에 식이 비타민 D 섭취에 대한 지침을 포함한 영양소 기준치를 발표했다.[141] 호주인 약 3분의 1이 비타민 D 결핍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2][143]
유럽식품안전청 (EFSA) | ||
연령대 | 적정 섭취량 (AI) (μg)[144] | 상한 섭취량 (UL) (μg)[145] |
---|---|---|
유아 (0~12개월) | 10 | 25 |
어린이 (1~10세) | 15 | 50 |
어린이 (11~17세) | 15 | 100 |
성인 | 15 | 100 |
임신 및 수유부 | 15 | 100 |
유럽식품안전청(EFSA)은 2016년 검토를 통해 혈청 25(OH)D 농도와 근골격계 건강 결과 간의 관계가 매우 다양하여 평균 요구량과 인구 기준 섭취량을 유도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 대신 혈청 25(OH)D 농도 50 nmol/L를 적절한 목표 값으로 설정하고, 1세 이상 모든 사람(임신 또는 수유 중인 여성 포함)에 대해 하루 15 μg (600 IU)의 적절한 섭취량(AI)을 설정했다.[144] EFSA는 2012년 안전 섭취 수준 검토에서 성인의 상한 섭취량(UL)을 100 μg/day (4000 IU)로 설정했는데, 이는 미국 IoM과 유사한 결론이다.[145]
스웨덴 국립식품청은 75세 미만의 어린이와 성인에게는 비타민 D₃를 하루 10 μg (400 IU), 75세 이상 성인에게는 20 μg (800 IU) 섭취를 권장한다.[146]
유럽의 비정부기구들도 자체 권고안을 제시했다. 독일 영양학회는 20 μg을 권장하며,[147] 유럽 폐경 및 남성 갱년기 학회는 폐경 후 여성의 경우 70세까지는 15 μg (600 IU), 71세부터는 20 μg (800 IU)를 권장한다. 비타민 D 수치가 매우 낮거나 동반 질환이 있는 일부 환자에게는 이 용량을 100 μg (4,000 IU)로 늘려야 할 수도 있다.[148]
구분 | 권장 섭취량 (RDA) | 내성 상한량 (UL) | 무독성량 (NOAEL) |
---|---|---|---|
성인(남녀) | 600 IU/일 | 4,000 IU/일 | 10,000 IU/일 |
노인 (70세 이상) | 800 IU/일 |
9. 2. 식품 공급원
일반적으로 비타민 D는 동물성 식품과 균류를 통해 섭취할 수 있다. 비타민 D는 크게 두 가지 형태, 즉 균류에서 발견되는 비타민 D2(에르고칼시페롤)와 주로 동물성 식품에서 발견되는 비타민 D3(콜레칼시페롤)로 나뉜다.[149][150]동물성 식품비타민 D3는 특히 생선, 육류, 내장, 달걀, 유제품과 같은 동물성 식품에 풍부하다.[149] 특히 지방이 많은 생선과 생선 간유에 함량이 높다.
식품 | 비타민 D 함량 (IU/g) |
---|---|
생선 간유 (예: 코드 간유) | 100 |
연어 (핑크, 건열 조리) | 5.2 |
고등어 (태평양 및 잭, 혼합 종, 건열 조리) | 4.6 |
참치 (기름 통조림) | 2.7 |
정어리 (기름 통조림, 물기 제거) | 1.9 |
달걀 노른자 (조리된) | 0.7 |
소 간 (조리된, 끓인) | 0.5 |
균류비타민 D2는 균류, 특히 버섯에서 발견된다. 버섯에 함유된 에르고스테롤이 자외선에 노출되면 비타민 D2로 전환되기 때문에,[150] 햇볕에 말린 표고버섯이나 목이버섯 등은 좋은 비타민 D 공급원이 될 수 있다. 버섯의 비타민 D2 함량은 자외선 노출 정도에 따라 크게 증가하며,[151] 일부러 자외선 램프를 쬐어 함량을 높이기도 한다.[150] 미국 농무부는 식품 내 D2와 D3 함량을 합산하여 보고하기도 한다.
식품 (양송이 버섯 계열) | 비타민 D 함량 (μg/g) | 비타민 D 함량 (IU/g) | |
---|---|---|---|
포르토벨로 | 생것 | 0.003 | 0.1 |
자외선 노출된 것 | 0.11 | 4.46 | |
크리미니 | 생것 | 0.001 | 0.03 |
자외선 노출된 것 | 0.32 | 12.8 |
한국인이 쉽게 접하는 고함량 식품한국 식단에서 비교적 쉽게 접할 수 있는 비타민 D 함량이 높은 식품은 다음과 같다.
식품명 | 100g당 함유량 (µg) |
---|---|
멸치 젓갈 | 46-61 |
구운 연어 | 38.4 |
정어리 (캔) | 17-20 |
구운 고등어 | 15.9 |
고등어 (물에 삶은 통조림) | 11 |
조리 과정의 영향일반적으로 식품을 삶거나, 튀기거나, 구울 경우 원래 가지고 있던 비타민 D의 69%에서 89% 정도가 유지된다.[153]
기타대부분의 식물성 식품에는 비타민 D가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다.[223] 따라서 비타민 D 섭취를 위해서는 주로 동물성 식품이나 균류, 또는 비타민 D 강화식품을 고려해야 한다.
9. 3. 강화
비타민 D 결핍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식품에 인위적으로 비타민 D를 첨가하는 비타민 D 강화가 있다.1930년대 초 미국과 북유럽 국가들은 당시 심각한 문제였던 구루병을 근절하기 위해 우유에 비타민 D를 강화하기 시작했다. 유아들에게 햇빛을 쬐도록 권장하는 의학적 조언과 함께 이러한 식품 강화 정책은 구루병 발병률을 크게 낮추는 데 기여했다.[154] 이후 비타민 D의 여러 건강상 이점이 알려지면서 다양한 식품에 강화가 시도되었으나, 1950년대에는 과도한 섭취로 인한 고칼슘혈증 및 선천적 결함 사례들이 보고되면서 비타민 D 강화에 대한 규제가 이루어졌고 일부 국가에서는 강화 정책을 중단하기도 했다.[154]
2024년 현재, 전 세계적으로 15개국에서는 의무적으로, 10개국에서는 자발적으로 식품 강화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국민들의 비타민 D 결핍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155] 국가별 정책에 따라[155] 강화 대상 식품은 다양하다. 대표적으로 유제품,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영양보충식품 바, 대두 단백질 기반 음료, 밀가루 또는 옥수수 가루 제품, 유아용 조제분유, 시리얼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식물성 우유[156][157][158](대두, 아몬드, 쌀, 귀리 등 식물성 원료로 만든 유제품 대체 음료[159])에도 비타민 D가 강화되는 경우가 많다.
식품 강화에는 주로 비타민 D₂(균류에서 발견되며, 에르고스테롤에 자외선을 쬐어 생성[150]) 또는 비타민 D₃(동물성 식품에서 주로 발견[149])가 사용된다. 특히 버섯은 자외선 노출을 통해 비타민 D₂ 함량을 높일 수 있으며,[151] 산업적으로는 자외선 램프를 이용하여 비타민 D 함량을 인위적으로 높여 강화 식품 원료로 사용하기도 한다.[150]
한국의 경우, 2004년 시행된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당시 한국인의 1일 평균 비타민 D 섭취량은 남성 8.3µg, 여성 7.5µg으로, 당시 설정된 필요량을 충족하는 수준이었다.[222]
9. 4. 보충제
비타민 D 결핍을 예방하려면 체내에 충분한 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타민 D를 보충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햇빛을 직접 쬐어 피부에서 합성하는 것이다. 주기적으로 야외 활동을 통해 햇빛에 신체를 노출시키는 것이 음식 섭취보다 여러 면에서 유용하다. 다만,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면 비타민 D 합성 효과가 상대적으로 떨어질 수 있으며, 피부가 따갑거나 발진 등 피부 트러블을 일으키지 않는 선에서 적절히 햇빛을 쬐는 것이 좋다.음식으로 섭취할 경우, 햇빛에 말린 표고버섯이나 목이버섯, 등푸른생선, 계란 노른자 등이 좋은 공급원이다. 또한, 비타민 D 강화 우유 제품, 지방이 많은 생선, 건어물 등도 비타민 D가 풍부하다.[229]
햇빛 노출이 어려운 환경에서는 권장량만큼 식품이나 보충제를 섭취해도 부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수함 승무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하루 400 IU를 섭취해도 혈중 비타민 D 농도를 적절히 유지하기 어려웠다는 보고가 있다.[230] 다른 연구에서는 하루 800 IU를 6개월간 섭취해도 참가자의 절반만이 이상적인 혈중 농도에 도달했다.[231] 또한, 당뇨병 환자에게 하루 2,000 IU를 18개월간 투여했음에도 22%는 여전히 비타민 D 부족 상태였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232] 따라서 건강기능식품 형태의 보충제 섭취와 함께 일광욕을 병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유럽 등지에서는 비타민 D가 첨가된 오일이나 건강기능식품을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정부나 의사들도 이를 권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하루 600~800 IU 정도면 충분하며, 의사의 특별한 권고가 없는 한 안전 상한선으로 여겨지는 하루 4,000 IU를 초과하여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가능하다면 건강기능식품보다는 식품을 통해 비타민 D를 섭취하는 것이 좋다.[229] 비타민 D를 과다 섭취하면 간에 축적되어 고칼슘혈증, 식욕 부진 등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 국가별 비타민 D 섭취 권장량 및 상한선 ===
영국 | ||
---|---|---|
연령대 | 섭취량 (μg/일) | 최대 섭취량 (μg/일)[4] |
모유 수유 유아 (0~12개월) | 8.5 – 10 | 25 |
분유 수유 유아 (<500 mL/일) | 10 | 25 |
어린이 (1~10세) | 10 | 50 |
10세 이상 어린이 및 성인 | 10 | 100 |
미국 | ||
연령대 | 권장 섭취량 (RDA) (IU/일) | (μg/일) |
유아 (0~6개월) | 400* | 10 |
유아 (6~12개월) | 400* | 10 |
1~70세 | 600 | 15 |
70세 이상 성인 | 800 | 20 |
임산부/수유부 | 600 | 15 |
연령대 | 상한 섭취량 (IU/일) | (μg/일) |
유아 (0~6개월) | 1,000 | 25 |
유아 (6~12개월) | 1,500 | 37.5 |
1~3세 | 2,500 | 62.5 |
4~8세 | 3,000 | 75 |
9세 이상 | 4,000 | 100 |
임산부/수유부 | 4,000 | 100[53] |
캐나다 | ||
연령대 | 권장 섭취량 (RDA) (IU)[140] | 상한 섭취량 (IU)[140] |
유아 (0~6개월) | 400* | 1,000 |
유아 (7~12개월) | 400* | 1,500 |
어린이 (1~3세) | 600 | 2,500 |
어린이 (4~8세) | 600 | 3,000 |
어린이 및 성인 (9~70세) | 600 | 4,000 |
70세 이상 성인 | 800 | 4,000 |
임신 및 수유부 | 600 | 4,000 |
호주 및 뉴질랜드 | ||
연령대 | 적정 섭취량 (μg)[141] | 상한 섭취량 (μg)[141] |
유아 (0~12개월) | 5* | 25 |
어린이 (1~18세) | 5* | 80 |
성인 (19~50세) | 5* | 80 |
성인 (51~70세) | 10* | 80 |
70세 이상 성인 | 15* | 80 |
유럽 식품 안전청 (EFSA) | ||
연령대 | 적정 섭취량 (μg)[144] | 상한 섭취량 (μg)[145] |
유아 (0~12개월) | 10 | 25 |
어린이 (1~10세) | 15 | 50 |
어린이 (11~17세) | 15 | 100 |
성인 | 15 | 100 |
임신 및 수유부 | 15 | 100 |
* 적정 섭취량, RDA/RDI 아직 설정되지 않음 |
9. 5. D2와 D3
비타민 D는 여러 형태(비타머)가 존재하며, 주요 두 형태는 비타민 D2 또는 에르고칼시페롤과 비타민 D3 또는 콜레칼시페롤이다.[1] 일반적으로 '비타민 D'라는 용어는 D2 또는 D3, 또는 둘 모두를 가리키며, 이들을 통칭하여 칼시페롤이라고 부른다. 비타민 D2는 1931년에, 비타민 D3는 1935년에 각각 화학적 구조가 밝혀졌다.[9][3]화학적으로 비타민 D2와 D3는 모두 세코스테로이드이며, 이는 스테로이드 고리의 결합 중 하나가 끊어진 구조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10] 두 형태의 구조적 차이는 주로 측쇄에 있다. 비타민 D2는 탄소 22번과 23번 사이에 이중 결합이 있고, 탄소 24번에 메틸기가 있다는 점에서 D3와 다르다.[3]
비타민 D2와 D3는 유사한 작용 기전을 공유하지만[3] 몇 가지 차이점이 존재한다. 비타민 D2에서 생성된 대사산물은 D3 기반 대사산물과 구분하기 위해 이름 앞에 ''er-'' 또는 ''ergo-'' 접두사를 붙인다.[9]
- 비타민 D2에서 생성된 대사산물은 비타민 D 결합 단백질에 상대적으로 약하게 결합하는 경향이 있다.[3]
- 비타민 D3는 스테롤 27-하이드록실라제(CYP27A1) 효소에 의해 칼시페디올로 전환될 수 있지만, 비타민 D2는 이 경로를 거치지 않는다.[3]
- 에르고칼시페롤(D2)은 CYP27A1에 의해 24번 위치에서 직접 하이드록실화될 수 있으며, 이는 비활성화를 더 크게 유발한다.[3] 예를 들어, 24-하이드록실화 후 칼시트리올의 활성은 원래의 60%로 감소하지만,[187] 에르칼시트리올은 에르칼시테트롤로 전환될 때 활성이 10배나 감소한다.[188]
이러한 생화학적 차이가 실제 효능에서 측정 가능한 차이로 이어지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사람의 경우, 비타민 D2와 D3의 효과에 차이가 없다는 연구 결과[233]와 D3가 더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234]가 공존한다. 반면, 랫드와 같은 일부 동물 종에서는 D2가 D3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보고도 있다.[235] 해외에서는 D2와 D3 두 종류의 비타민 D 보충제가 모두 판매되고 있다.
9. 6. 혈중 비타민 D 농도 측정
혈중 칼시디올(25-히드록시비타민 D, 25(OH)D) 농도는 일광욕과 음식 섭취를 통해 얻은 비타민 D의 총량을 결정하는 적절한 방법으로 사용된다.[236] 하지만 혈중 25(OH)D 농도가 혈액 외 조직에 축적된 비타민 D의 총량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237] 혈중 25(OH)D의 반감기는 약 15일이다.[238] 반면, 순환하는 1,25-디히드록시비타민 D(1,25(OH)₂D)는 일반적으로 비타민 D 상태의 좋은 지표가 되지 못하는데, 이는 반감기가 15시간으로 짧고 부갑상선 호르몬, 칼슘, 인산에 의해 엄격하게 조절되기 때문이다.[238] 비타민 D 결핍이 아주 심각하지 않다면 1,25(OH)₂D 농도는 보통 감소하지 않는다.혈청 25(OH)D 농도는 비타민 D 결핍의 생체 지표로 사용되며, 측정 단위는 ng/mL 또는 nmol/L이다 (1 ng/mL는 2.5 nmol/L과 같다). 그러나 건강의 모든 측면에서 비타민 D 결핍, 불충분, 충분 또는 최적 상태를 정의하는 데 대한 완전한 합의는 없다.[18] 미국 의학 연구소(IOM)의 식이 참고 섭취량 위원회에 따르면, 30 nmol/L 미만은 유아 및 어린이의 구루병 위험을 증가시키고 식이 칼슘 흡수를 감소시키며, 40 nmol/L 이상은 노인의 골연화증 및 골 손실 예방에 필요하고, 50 nmol/L 이상이 모든 건강상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데 필요하다고 본다.[53] 다른 출처에서는 25 nmol/L 미만을 결핍으로, 30-50 nmol/L을 불충분으로[28], 75 nmol/L 초과를 최적으로 정의하기도 한다.[29][30]
이러한 기준 설정의 어려움은 연구에서 인종 집단 간 25(OH)D 혈청 수치 차이가 보고되고, 이러한 차이에 유전적 및 환경적 요인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계 미국인은 같은 나이의 백인에 비해 혈청 25(OH)D 수치가 낮지만, 모든 연령대에서 칼슘 흡수 효율이 더 높고 골밀도가 높으며, 노년기 골다공증 및 골절 위험은 더 낮다.[53] 따라서 특정 인종 집단에게 '표준' 농도를 맞추기 위한 일률적인 보충제 사용은 이론적으로 혈관 석회화와 같은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33]
또한, 비만인 경우 체지방량 증가와 25(OH)D 농도 사이에 반비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39][240] 순환하는 25(OH)D 농도가 전신에 축적된 총량을 반영하지 않기 때문에[241], 이 관계가 비만인의 실제 비타민 D 상태를 정확히 나타내지 못할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242]
일반적으로 25(OH)D 농도는 15 ng/ml (37.5 nmol/L) 이상이 바람직하며, 30 ng/ml (75 nmol/L) 이상의 높은 농도가 건강 유지에 더 좋다는 주장도 있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명확한 증거는 아직 부족하다.[243][244][245][246] 충분한 일조량을 받는 하와이의 건강한 젊은 스케이트보더 및 서퍼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51%가 바람직한 기준으로 제시되는 30 ng/ml을 밑돌았으며, 가장 높은 농도는 60 ng/ml (150 nmol/L)였다.[247] 같은 데이터를 이용한 다른 연구에서는 하와이 주민(11-71 ng/mL)과 비타민 D 보충제를 섭취한 위스콘신 거주 수유 중인 어머니(12-77 ng/mL)를 비교했는데, 보충제를 섭취한 그룹의 농도가 햇빛 노출이 많은 그룹보다 오히려 더 높을 수 있음을 시사했다.[248]
비타민 D의 유해성은 주로 보충제를 과다 섭취할 경우 나타나며, 25(OH)D 혈중 농도가 150 ng/mL (375 nmol/L)를 초과하면 유해성의 징후가 나타날 수 있다.[249]
일반적으로 건강한 인구를 대상으로 25(OH)D 검사를 선별적으로 시행하는 것은 비용 효율성이 낮다는 지적이 있다. 따라서 비타민 D 결핍 증상을 보이거나 결핍을 유발할 수 있는 특정 건강 상태를 가진 사람으로 검사 대상을 제한하는 것이 권장된다.[24]
10. 역사
북유럽 국가에서는 간유가 관절염과 통풍 치료제로 피부에 바르거나 먹는 등 민간 요법으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191][192] 간유 추출 과정은 여러 가지였다. 신선한 간을 잘게 잘라 끓는 물 위에 매달아 얻는 방식으로는 약한 생선 냄새와 맛이 나는 연한 기름을 얻을 수 있었다. 반면, 산업용으로는 대구 간을 통에 넣어 썩히고 수개월에 걸쳐 기름을 걷어냈는데, 이 기름은 연갈색에서 짙은 갈색을 띠고 냄새와 맛이 매우 강했다. 1800년대에는 간유가 하루 한 티스푼씩 먹는 의약품으로 인기를 얻었으며, 연한 기름과 갈색 기름 모두 사용되었다.[191] 특히 1820년대 여러 유럽 국가에서 간유를 먹인 아이들에게 구루병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관찰 결과가 나오면서 경구 복용이 크게 늘었다.[192] 이는 특정 음식이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는 개념이 그 예방 물질이 확인되기 100년 전에 이미 존재했음을 보여준다.[192] 북유럽과 미국에서는 구루병 예방을 위해 어린이에게 간유를 먹이는 관행이 1950년대까지 이어졌는데,[191] 이는 1930년대 초 시작된 우유의 비타민 D 강화 정책과 시기적으로 겹친다.[154]
비타민 D는 1922년에 확인되고 이름 붙여졌다.[193] 1914년 미국의 연구자 엘머 맥콜럼과 마가릿 데이비스는 간유에서 나중에 "비타민 A"로 명명된 물질을 발견했다.[7] 영국의 연구자 에드워드 멜런비는 간유를 먹인 개에게 구루병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보고, 비타민 A가 구루병을 예방한다고 잘못 결론 내렸다. 1922년 맥콜럼은 비타민 A를 파괴시킨 변형 간유로 실험하여, 이 기름이 여전히 병든 개를 치료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를 통해 그는 간유 속 구루병 치료 요소가 비타민 A와는 다른 물질임을 밝혀내고, 네 번째로 명명된 비타민이라는 의미에서 비타민 D라고 불렀다.[7][194][195]
1925년에는 7-데하이드로콜레스테롤에 빛을 쬐면 지용성 물질인 비타민 D₃가 생성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7] 독일 괴팅겐 대학교의 아돌프 빈다우스는 "스테롤의 구성과 비타민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공로"로 1928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196] 그의 연구 조교였던 알프레드 파비안 헤스는 "빛은 비타민 D와 같다"고 언급하기도 했다.[197] 1932년 오토 로젠하임과 해롤드 킹은 스테롤과 담즙산의 구조를 제시하는 논문을 발표했고,[198] 곧이어 케네스 캘로 등과 협력하여 비타민 D의 분리와 특성 규명에 기여했다.[199] 빈다우스는 이후 비타민 D의 화학 구조를 더욱 명확히 규명했다.[200]
1969년에는 비타민 D가 결합하는 특정 단백질인 비타민 D 수용체가 확인되었다.[201] 그 직후 비타민 D가 칼시페디올로, 그리고 다시 생물학적 활성 형태인 칼시트리올로 전환되는 대사 과정이 밝혀졌다.[202] 피부에서 프리비타민 D₃를 거쳐 비타민 D₃가 만들어지는 광합성 과정과 그 이후의 대사 작용은 1980년에 완전히 설명되었다.[203]
11. 진화
최소 12억 년 전부터 진핵생물(eukaryotes)은 7-데히드로콜레스테롤을 합성하는 능력을 가졌다. 이 분자가 태양의 자외선 B(UV-B)에 노출되면 에너지를 흡수하여 비타민 D로 전환되는데, 초기 기능은 DNA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었고 비타민 분자 자체는 기능이 없는 최종 생성물이었다. 현재도 해양 식물성 플랑크톤이나 일부 조류, 지의류, 균류, 식물 등은 칼슘 조절 기능 없이 비타민 D를 광합성한다.[169][170][171]
자연에서 비타민 D 합성은 자외선(UV) 노출과 이후 간 및 신장에서의 활성화 과정을 거친다. 많은 동물은 피부의 7-데히드로콜레스테롤로부터 비타민 D₃(콜레칼시페롤)를 합성하며, 많은 균류는 에르고스테롤로부터 비타민 D₂(에르고칼시페롤)를 합성한다.[150][160] 동물 피부에서 7-데히드로콜레스테롤은 자외선(특히 파장 290~315nm의 UVB[166])에 의해 광분해되어 프리비타민 D₃(previtamin D₃)를 생성하고, 이는 자발적으로 이성질화되어 비타민 D₃(콜레칼시페롤)가 된다.[161][162] 균류에서 에르고스테롤이 비타민 D₂로 전환되는 과정도 유사하다.[163][150]
약 5억 년 전, 동물이 육지로 진출하면서 비타민 D는 칼슘 조절을 촉진하는 호르몬 기능을 갖게 되었다. 이를 위해 활성 비타민 D 대사산물과 결합하는 비타민 D 수용체(VDR), 혈장 수송 단백질, 비타민 D 대사 효소(CYP450)가 발달했는데, 이 세 요소는 척추동물(vertebrate)에서만 발견된다.[172][181][180] 초기에는 선천적 및 적응적 면역 관련 유전자를 조절하는 기능으로 진화했으나, 이후 육상 척추동물의 칼슘화된 골격 유지를 위한 칼슘 공급 조절자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양서류부터 뼈는 부갑상선 호르몬과 활성 비타민 D₃의 작용을 통해 파골세포의 조절 하에 내부 칼슘 저장소로 기능하게 되었다. 즉, 비타민 D는 불활성 분자에서 시작하여 육상 동물이 중력과 칼슘 부족 환경에 적응하면서 칼슘과 뼈 항상성에 필수적인 역할을 맡도록 진화했다.[172][181][180]
대부분의 초식동물은 햇빛 노출을 통해 비타민 D를 생성한다. 고지대에서 서식하는 라마와 알파카는 저지대에서 비타민 D 결핍에 취약할 수 있다.[173] 반면, 집에서 기르는 개와 고양이는 피부의 7-데히드로콜레스테롤 환원효소 활성이 높아 7-데히드로콜레스테롤이 자외선에 의해 변형되기 전에 콜레스테롤로 전환되므로, 비타민 D를 거의 합성하지 못하고 식단을 통해 섭취한다.[174] 완전한 지하 생활을 하는 벌거숭이두더지쥐는 태양광을 받지 않으며, 혈중에서 25-하이드록시비타민 D가 검출되지 않아 비타민 D 시스템 자체가 결여된 것으로 보인다.[212] 흥미롭게도 이들은 노화 저항성이 높고 건강한 혈관 기능을 유지하며 설치류 중 수명이 현저히 길다.[213][214]
인류의 진화 과정에서 약 100만 년에서 300만 년 전 사이, 호미닌을 포함한 호모 사피엔스의 조상들은 건조한 기후 변화에 적응하며 숲에서 개방된 지형으로 이동했다. 이는 직립보행, 육식 증가로 이어졌고,[176] 활동적인 생활 방식으로 인해 땀을 통한 체온 조절의 필요성이 커지면서 털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진화했다.[175] 동시에 자외선 노출 증가에 대응하여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피부 색소인 멜라닌이 많은 어두운 피부색이 진화했다.[176] 멜라닌은 자외선을 흡수하여 소산시킴으로써[177] 광노화나 악성 흑색종 같은 피부 손상을 막고,[178] 피부의 엽산 광분해를 방지하며 눈 건강 유지에도 기여한다.[176]
약 5만 년에서 8만 년 전, 아프리카에서 기원한 인류가 세계 각지로 이주하면서[179] 자외선 양이 적은 아시아와 유럽 등지에 정착하게 되었다. 이 지역에서는 강한 자외선 차단의 필요성이 줄어든 반면, 효율적인 비타민 D 합성이 생존에 더 중요해졌다. 이에 따라 멜라닌 색소가 적은 밝은 피부색이 나타나는 방향으로 자연선택이 이루어졌다.[180][181][176]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는 의복 착용, 실내 생활 증가, 자외선 차단제 사용, 그리고 어두운 피부색을 가진 사람들의 고위도 지역 이주 등 문화적 요인으로 인해 햇빛 노출을 통한 비타민 D 합성이 부족해지는 경향이 있다. 이는 비타민 D 부족 및 결핍 문제로 이어져 식품 강화나 식이 보충제의 필요성을 높이고 있다.[176]
인간의 피부는 안쪽의 진피와 바깥쪽의 얇은 표피로 나뉜다. 비타민 D는 표피의 가장 안쪽 두 층인 기저층과 유극층의 각질세포에서 주로 생성된다.[164] 피부색이 밝은 사람의 경우,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지 않고 얼굴, 팔, 다리에 일주일에 두 번, 평균 5~30분 정도(최소 햇볕화상 유발 시간의 약 25%) 햇빛을 쬐면 충분한 비타민 D를 합성할 수 있다. 피부색이 어둡거나 햇빛이 약할수록 더 긴 노출 시간이 필요하다.[168] 창문 유리는 UVB를 대부분 차단하므로 실내에서의 햇빛 노출은 비타민 D 합성에 효과적이지 않다.[167] 피부는 비타민 D 생성과 분해가 평형을 이루므로, 햇빛 노출만으로 비타민 D가 과다하게 생성되지는 않는다.[38]
12. 산업적 합성
비타민 D3(콜레칼시페롤)는 7-데히드로콜레스테롤을 UVB와 UVC 광선에 노출시킨 후 정제하여 산업적으로 생산된다. 7-데히드로콜레스테롤은 양털의 왁스성 피지 분비물인 라놀린에서 추출하여 얻는다.[182] 비타민 D2(에르고칼시페롤)는 효모에서 얻은 에르고스테롤을 원료로 사용하여 유사한 방법으로 생산된다.[182][183]
13. 각종 질병과의 관련성
활성 비타민 D 대사체인 칼시트리올은 주로 표적 세포의 세포핵에 위치한 비타민 D 수용체(VDR)에 결합하여 생물학적 효과를 나타낸다.[1][10] 칼시트리올이 VDR에 결합하면 수용체는 전사 인자 역할을 하여 장에서의 칼슘 흡수에 관여하는 수송 단백질(예: TRPV6 및 칼빈딘)의 유전자 발현을 조절한다.[12] VDR은 장, 뼈, 신장, 부갑상선 세포 등 대부분 장기의 세포에서 발현되며, 혈중 칼슘과 인 수준을 유지하고 뼈 건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1][13]
비타민 D는 골격 칼슘 균형 유지에 필수적이다. 장에서의 칼슘 흡수를 촉진하고, 파골세포 수를 늘려 골흡수를 촉진하며, 골 형성에 필요한 칼슘과 인 수준을 유지하고, 부갑상선 호르몬의 기능을 도와 혈청 칼슘 수준을 유지한다.[1] 비타민 D 결핍은 골밀도 감소, 골다공증, 골절 위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14] 그러나 2024년 메타 분석에 따르면, 건강한 노인에게 비타민 D를 투여해도 골절 예방 효과는 없으며, 오히려 여성 고령자의 고관절 골절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보고가 있어, 건강한 60세 이상 고령자는 골절 예방 목적으로 비타민 D를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는 권고가 있다.[263]
비타민 D는 면역계에도 영향을 미친다. VDR은 단핵구, 활성화된 T세포 및 B세포 등 여러 백혈구에서 발현된다.[15] 비타민 D 수용체 결합체는 자연살해세포 활동과 대식세포의 식작용을 활성화시킨다.[264] 또한, 활성 비타민 D 호르몬은 박테리아, 바이러스, 진균에 의해 활성화되는 대식세포에서 생성되는 항균 펩타이드인 카텔리시딘을 증가시킨다.[265][266][267]
비타민 D 부족은 고혈압, 결핵, 암, 치주 질환, 다발성 경화증, 계절성 정동 장애, 말초동맥질환, 1형 당뇨병을 포함한 자가면역질환 등의 질병 발생률 증가와 관련될 가능성이 제기된다.[251][252][253][254][255] 또한, 발기부전과의 관련성도 제기되었다.[256][257][258] 파킨슨병과 낮은 비타민 D 수치 사이에도 관련성이 있지만, 인과 관계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259]
=== 면역 관련 질환 ===
비타민 D와 다발성 경화증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비타민 D의 면역 반응 억제 특성[268]과 다발성 경화증 발병에 유전적으로 취약한 개인의 특정 조직 적합성 유전자 (HLA-DRB1) 프로모터에 비타민 D 반응 배열(VDRE)이 존재하여 유전자 발현에 비타민 D가 필요하다는 점이 관련 가능성으로 제시된다.[269] 임신 중 비타민 D 보충이 자녀의 다발성 경화증 발병 가능성을 낮추는지는 아직 불분명하며,[270][271] 일부 연구자는 비타민 D가 다발성 경화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275]
비타민 D의 생체 방어 기전이 알레르기 질환의 만연을 유발할 수 있다는 의심도 있다.[272] 유아기 비타민 D 보충제 섭취와 성장 후 아토피 및 알레르기성 비염 위험 증가 사이의 관계가 발견되었다.[273] 그러나 임신 중 비타민 D 결핍과 아이의 알레르기 발병 사이의 상관관계, 그리고 제대혈 비타민 D 농도와 아이의 알레르기 사이에 U자형 상관관계가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어, 후성유전학적 기전이 관여할 가능성도 제기된다.[274]
=== 호흡기 질환 ===
비타민 D 보충제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의 중등도 또는 중증 악화율을 상당히 감소시켰다.[110] 그러나 천식 발작 예방이나 증상 완화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111]
겨울철 인플루엔자(독감) 유행의 원인 중 하나로 비타민 D 생합성 감소가 거론되지만, 건조함, 저온, 일광 살균 감소 등 다른 가설도 존재한다.[276] 2010년 한 연구에서는 겨울철 매일 1,200 IU의 비타민 D3를 섭취한 학생들이 위약 그룹에 비해 계절성 인플루엔자에 걸릴 확률이 42% 낮았다고 보고했다.[277][278]
=== 암 ===
비타민 D는 암세포에서 발견되는 비타민 D 수용체(VDR)를 통해 암 예방에 잠재적으로 관여할 수 있다.[280] VDR 유전자의 다형성은 유방암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으며,[281][282] 활성형 비타민 D는 악성 흑색종 세포와 백혈병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16]
미국 등 일부 국가에서는 일조량이 적은 고위도 지역에서 대장암, 유방암, 난소암 등의 발생률이 높다는 지적이 있다.[283] 일부 연구에서는 일조량 부족 및 낮은 비타민 D 농도와 특정 암 위험 증가 사이의 상관관계를 제시하며, 비타민 D 보충이 대장암, 유방암, 난소암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284][285][286][287] 혈청 내 낮은 비타민 D 농도는 유방암 진행 및 뼈 전이와 관련이 있다는 보고도 있다.[281]
그러나 주민의 비타민 D 농도가 반드시 일조량에 의존하지는 않으며,[288][289][290][291] 고위도 지역 암 발생률에는 유전적 요인도 관여한다는 보고가 있다.[292][293] 비타민 D 섭취와 췌장암 위험 감소를 보고한 연구도 있지만,[294][295] 남성 흡연자의 경우 높은 비타민 D 농도가 오히려 췌장암 위험을 높인다는 상반된 결과도 있다.[296]
비타민 D 보충이 암 발생률을 감소시킨다는 임상 시험 결과도 발표되었으나,[297][298] 연구 설계 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299][300] 미국 국립 암 연구소(NCI)는 비타민 D 섭취의 암 예방 효과에 대한 증거가 제한적이거나 불충분하다며, 암 예방을 위한 비타민 D 보충제 섭취를 권장하지 않는다.[305] 일부에서는 칼슘과 비타민 D를 함께 섭취하는 것이 대장암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한다.[306][307]
=== 순환기 질환 ===
낮은 비타민 D 농도는 동맥 질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253] 낮은 농도의 비타민 D는 고혈압 및 심혈관 질환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가 다수 존재하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유용성이 확인되지 않거나 약한 증거만 확인되었다.[309][310][311] 여름철 콜레스테롤 수치 감소가 관찰된 연구도 있다.[308]
비타민 D는 지단백질에 의해 동맥벽과 죽상경화반으로 운반되어 활성화될 수 있으며,[312][313] 이는 비타민 D가 죽상경화증의 석회화 및 심혈관 질환 발병에 관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특히 비백인 집단에서 이러한 연관성이 더 뚜렷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314][315][316] 예를 들어,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경우 비타민 D 혈중 농도가 동맥경화반 석회화와 관련이 있다는 연구가 있다.[314][289][290][316][317] 반면, 남인도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89 ng/mL 이상의 높은 비타민 D 농도가 허혈성 심질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고 보고했다.[315]
=== 대사 질환 ===
한 메타 분석에 따르면 비타민 D 보충제는 비만이 아닌 2형 당뇨병 전 단계 환자의 2형 당뇨병 위험을 유의미하게 감소시켰다.[112] 다른 메타 분석에서는 비타민 D 보충제가 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 지표(인슐린 저항성(HOMA-IR), 당화혈색소(HbA1C), 공복혈당(FBG))를 유의미하게 개선했다고 보고했다.[113] 전향적 연구에서도 비타민 D 수치가 높은 그룹은 낮은 그룹에 비해 2형 당뇨병 및 당뇨병 전 단계 발병 위험이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14] 그러나 2011년 코크란의 체계적 문헌 고찰에서는 비타민 D와 인슐린 병용 효과를 다룬 연구의 질과 설계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했다.[115]
비만은 혈청 비타민 D 수치가 낮을 위험을 증가시킨다. 비타민 D 보충제가 체중 감량으로 이어지지는 않지만, 체중 감량은 혈청 비타민 D 수치를 증가시킨다. 이는 지방 조직이 비타민 D를 저장하기 때문이라는 가설이 있다.[127] 비만 수술은 비타민 결핍, 특히 비타민 D 결핍을 유발할 수 있다.[128]
=== 정신 건강 ===
관찰 연구의 메타 분석 결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를 가진 어린이의 비타민 D 수치가 낮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출생 시 비타민 D 수치가 낮은 것과 ADHD의 후기 발병 사이에 약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16] 소규모 무작위 대조 시험에서는 비타민 D 보충제가 충동성, 과잉 행동과 같은 ADHD 증상을 개선했다는 결과가 보고되었다.[117]
비타민 D 보충제를 이용한 우울증 증상 치료 임상시험은 전반적으로 질이 낮았으며 뚜렷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우울 증상이나 주요 우울 장애가 있는 참가자에게는 중등도 효과를 보였다는 하위 집단 분석 결과가 있다.[118] 비타민 D 결핍은 우울증[328], 조현병[329], 자살 등 다른 정신 건강 문제와도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지만,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체계적 문헌 고찰 결과, 비타민 D 수치가 낮은 것과 인지 장애 및 알츠하이머병 발병 위험 증가 사이의 연관성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낮은 비타민 D 농도는 영양 부족 및 야외 활동 시간 감소와도 관련이 있어, 직접적인 인과 관계는 아직 확립되지 않았다.[119] 정신분열증 환자들은 비타민 D 농도가 낮은 경향이 있지만, 이는 질병의 결과일 가능성이 높으며, 보충제 시험 결과는 결론적이지 않았다.[120][121]
=== 임신 및 여성 건강 ===
임신 중 비타민 D 수치가 낮으면 임신성 당뇨병, 자간전증, 그리고 재태 기간에 비해 작은 신생아 출산과 관련이 있다.[122] 임신 중 비타민 D 보충제를 복용하면 임신 말기에 어머니의 혈중 비타민 D 수치가 증가하지만,[123] 어머니나 아기에게 미치는 전반적인 이점은 불분명하다.[122][123][124][125] 임산부들은 종종 권장량만큼 비타민 D를 섭취하지 않지만,[126] 임신 중 비타민 D 보충제의 이점과 위험은 아직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다.[125]
자궁근종의 발병 기전이 낮은 혈청 비타민 D 수치와 관련이 있으며, 비타민 D 보충제가 근종 크기를 줄이는 데 효과가 있을 수 있다는 증거가 제시되고 있다.[129][130]
=== 사망률 및 노화 ===
미국 국민건강영양조사(NHANES) 자료를 이용한 연구에서는 일반인의 경우 혈중 비타민 D 농도가 17.8 ng/ml 이하로 낮은 것이 전반적인 사망률 증가와는 관련이 없다고 결론지었다.[323]
백혈구의 텔로미어 길이는 노화 및 노화 관련 질환의 지표인데, 비타민 D는 염증 반응을 억제하고 백혈구의 대사 회전율을 늦춰 텔로미어 길이를 유지하는 데 역할을 할 수 있다.[324] 그러나 일부 연구에서는 비타민 D 농도가 너무 높거나 낮으면 오히려 사망률이 증가하는 U자형 관계를 보인다고 제안하며, 최적의 혈관 기능을 위해서는 비타민 D 농도가 특정 범위 내에 있어야 함을 시사한다.[325][326][327][328]
14. 적응
활성 비타민 D(칼시트리올) 및 기타 활성 비타민 D3 유도체 등은 의학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활성형 비타민 D3는 혈중 칼슘 농도를 높이는 작용을 이용하여 부갑상선 기능 저하증 치료에 사용된다.[260] 또한, 비타민 D3 외용약은 건선이나 수장농포증 치료에 쓰이기도 한다. 이타이이타이병의 경우, 비타민 D를 대량으로 투여하면 증상이 어느 정도 완화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261]
14. 1. 부작용
비타민 D3 외용제 사용으로 인해 고칼슘혈증에서 급성 신부전을 동반하는 사례가 보고되었다.[262]참조
[1]
웹사이트
Vitamin D
https://lpi.oregonst[...]
Micronutrient Information Center, Linus Pauling Institute, Oregon State University, Corvallis
2021-02-11
[2]
웹사이트
Vitamin D: Fact Sheet for Health Professionals
https://ods.od.nih.g[...]
Office of Dietary Supplements, U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22-08-12
[3]
논문
Vitamin D metabolism, mechanism of action, and clinical applications
2014-03
[4]
논문
Efficacy of fish intake on vitamin D status: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2015-10
[5]
논문
From vitamin D to hormone D: fundamentals of the vitamin D endocrine system essential for good health
2008-08
[6]
논문
Assessment of vitamin D nutritional and hormonal status: what to measure and how to do it
1996-01
[7]
논문
The discovery of vitamin D: the contribution of Adolf Windaus
2004-06
[8]
웹사이트
The Lancet Diabetes & Endocrinology: Vitamin D supplementation in adults does not prevent fractures, falls or improve bone mineral density
https://www.eurekale[...]
[9]
논문
IUPAC-IUB Joint Commission on Biochemical Nomenclature (JCBN): Nomenclature of vitamin D. Recommendations 1981
1982-05
[10]
서적
Present Knowledge in Nutrition, Eleventh Edition
Academic Press (Elsevier)
[11]
서적
Medical Physiology E-Book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6-03-29
[12]
논문
Intestinal calcium absorption: Molecular vitamin D mediated mechanisms
2003-02
[13]
논문
Sunlight and vitamin D for bone health and prevention of autoimmune diseases, cancers, and cardiovascular disease
2004-12
[14]
논문
The biology and pathology of vitamin D control in bone
2010-09
[15]
논문
An update on the association of vitamin D deficiency with common infectious diseases
2015-05
[16]
논문
Vitamin D increases expression of the tyrosine hydroxylase gene in adrenal medullary cells
1996-02
[17]
논문
Vitamin D deficiency: a worldwide problem with health consequences
2008-04
[18]
웹사이트
Vitamin D: What's the "right" level?
https://www.health.h[...]
2020-04-16
[19]
논문
Is vitamin D deficiency a major global public health problem?
2014-10
[20]
논문
High prevalence of vitamin D deficiency in As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3
[21]
논문
Prevalence of vitamin D deficiency in Afric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0-01
[22]
논문
Prevalence of vitamin D deficiency in South Americ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3-09
[23]
논문
Vitamin D deficiency 2.0: an update on the current status worldwide
2020-11
[24]
논문
Optimisation of vitamin D status in global populations
2024-08
[25]
논문
Vitamin D deficiency in Europe: pandemic?
2016-04
[26]
논문
The prevalence of vitamin D deficiency among dark-skinned populations according to their stage of migration and region of birth: A meta-analysis
2016-01
[27]
논문
Special considerations for vitamin D in the south Asian population in the UK
2017-06
[28]
논문
Evaluation, treatment, and prevention of vitamin D deficiency: an Endocrine Society clinical practice guideline
2011-07
[29]
Review
Sunlight, Vitamin D and Skin Cancer
Springer
2008
[30]
Review
Plausible ergogenic effects of vitamin D on athletic performance and recovery
[31]
논문
The impact of air pollutants, UV exposure and geographic location on vitamin D deficiency
2018-03
[32]
논문
Utility of sun-reactive skin typing and melanin index for discerning vitamin D deficiency
2017-09
[33]
논문
Effect of race and genetics on vitamin D metabolism, bone and vascular health
2012-06
[34]
논문
The uncertain significance of low vitamin D levels in African descent populations: a review of the bone and cardiometabolic literature
[35]
논문
Update: Solar UV Radiation, Vitamin D, and Skin Cancer Surveillance in Organ Transplant Recipients (OTRs)
2020
[36]
논문
Changing Incidence of Serum 25-Hydroxyvitamin D Values Above 50 ng/mL: A 10-Year Population-Based Study
2015-05-01
[37]
MerckManual
Vitamin D
[38]
논문
Vitamin D deficiency
2007-07-01
[39]
서적
Nutrition Through the Life Cycle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7-04-09
[40]
서적
Discovering Nutrition
https://books.google[...]
Jones & Bartlett Publishers
2017-04-09
[41]
논문
The 2011 report on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calcium and vitamin D from the Institute of Medicine: what clinicians need to know
2011-01-01
[42]
논문
Risk assessment for vitamin D
2007-01-01
[43]
논문
Vitamin D toxicity, policy, and science
2007-12-01
[44]
논문
Environment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cutaneous production of vitamin D
http://www.ajcn.org/[...]
1995-03-01
[45]
논문
Trends in Use of High-Dose Vitamin D Supplements Exceeding 1000 or 4000 International Units Daily, 1999–2014
2017-06-01
[46]
논문
Vitamin D supplementation, 25-hydroxyvitamin D concentrations, and safety
http://www.ajcn.org/[...]
1999-05-01
[47]
논문
CYP24A1 and SLC34A1 genetic defects associated with idiopathic infantile hypercalcemia: from genotype to phenotype
2019-10-01
[48]
논문
Vitamin D-Mediated Hypercalcemia: Mechanisms, Diagnosis, and Treatment
2016-10-01
[49]
논문
Vitamin D and calcium: a systematic review of health outcomes
2009-08-01
[50]
논문
Vitamin D and multiple health outcomes: umbrella review of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of observational studies and randomised trials
2014-04-01
[51]
논문
Vitamin D status and ill health: a systematic review
2014-01-01
[52]
논문
Vitamin D supplementation for the management of knee osteoarthritis: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2017-09-01
[53]
서적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Calcium and Vitamin D
https://www.ncbi.nlm[...]
National Academies Press
2017-09-17
[54]
논문
Nutrition advice: the vitamin D-lemma
http://www.nature.co[...]
2011-11-17
[55]
Systematic review
Vitamin D supplementation for prevention of mortality in adults
2014-01-01
[56]
논문
Vitamin D and mortality: meta-analysis of individual participant data from a large consortium of cohort studies from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2014-06-01
[57]
논문
Vitamin D and aging
2009-03-01
[58]
논문
Vitamin D, nervous system and aging
2009-12-01
[59]
Review
The Return of Congenital Rickets, Are We Missing Occult Cases?
2016-09-01
[60]
Review
Congenital rickets due to vitamin D deficiency in the mothers
2015-10-01
[61]
논문
Prevention of rickets and vitamin D deficiency in infants, children, and adolescents
2008-11-01
[62]
논문
Interventions for the prevention of nutritional rickets in term born children
2007-10-01
[63]
논문
The problem of rickets in UK Asians
[64]
논문
Nutritional rickets: deficiency of vitamin D, calcium, or both?
2004-12-01
[65]
서적
Nature's Perfect Food: How Milk Became America's Drink
https://books.google[...]
NYU Press
2017-04-09
[66]
논문
Vitamin D, calcium or a combination of vitamin D and calcium for the treatment of nutritional rickets in children
2020-04-01
[67]
논문
Global Consensus Recommendations on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Nutritional Rickets
2016-02-01
[68]
논문
High prevalence of vitamin D inadequacy and implications for health
2006-03-01
[69]
논문
Effects of vitamin D supplements on bone mineral dens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4-01-01
[70]
논문
Vitamin D and vitamin D analogues for preventing fractures in post-menopausal women and older men
2014-04-01
[71]
논문
A pooled analysis of vitamin D dose requirements for fracture prevention
https://research.vu.[...]
2012-07-00
[72]
논문
Vitamin D with or without calcium supplementation for prevention of cancer and fractures: an updated meta-analysis for the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2011-12-00
[73]
논문
Association Between Calcium or Vitamin D Supplementation and Fracture Incidence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7-12-00
[74]
논문
Effectiveness and safety of vitamin D in relation to bone health
2007-08-00
[75]
논문
Vitamin D supplementation and falls: a trial sequential meta-analysis
2014-07-00
[76]
논문
Sports health benefits of vitamin D
2012-11-00
[77]
논문
Vitamin D and Clinical Cancer Outcomes: A Review of Meta-Analyses
2021-01-00
[78]
논문
Comparative efficacy of vitamin D status in reducing the risk of bladder cancer: A systematic review and network meta-analysis
2016-05-00
[79]
논문
Circulating vitamin D levels and colorectal cancer risk: A meta-analysis and systematic review of case-control and prospective cohort studies
2021-07-00
[80]
웹사이트
Vitamin D and cancer prevention
https://www.cancer.g[...]
National Cancer Institute, U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13-10-21
[81]
논문
Cancer and vitamin D supplement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82]
논문
Vitamin D supplementation and total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2019-05-00
[83]
Meta-analysis
The effect of vitamin D supplementation on skeletal, vascular, or cancer outcomes: a trial sequential meta-analysis
2014-04-00
[84]
논문
Vitamin D Supplementat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s in More Than 83 000 Individuals in 21 Randomized Clinical Trials: A Meta-analysis
2019-08-00
[85]
논문
Vitamin D supplementation, cardiac events and strok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regression analysis
[86]
논문
Effect of Vitamin D Supplementation on Blood Pressur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ncorporating Individual Patient Data
2015-05-00
[87]
논문
Effect of Vitamin D on Blood Pressure and Hypertension in the General Population: An Update Meta-Analysis of Cohort Studies a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88]
논문
Vitamin D status and blood pressur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systematic review of observational studies
[89]
논문
Effects of Nutritional Supplements and Dietary Interventions on Cardiovascular Outcomes: An Umbrella Review and Evidence Map
2019-08-00
[90]
서적
Vitamins and the Immune System
Academic Press
[91]
논문
Vitamin D and immune regulation: antibacterial, antiviral, anti-inflammatory
2020-08-00
[92]
논문
Low serum vitamin D levels and tuberculos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08-02-00
[93]
논문
Efficacy and safety of vitamin D in tuberculosis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2-07-00
[94]
논문
Vitamin D and the risk of 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2-01-00
[95]
웹사이트
SACN rapid review: Vitamin D and acute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https://www.gov.uk/g[...]
[96]
논문
Association Between Inflammatory Bowel Disease and Vitamin D Deficienc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5-11-00
[97]
논문
Vitamin D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2023-10-00
[98]
논문
Vitamin D Therapy in Adul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0-05-00
[99]
웹사이트
Vitamin D
https://www.covid19t[...]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
2022-09-26
[100]
기술보고서
COVID-19 rapid guideline: vitamin D
https://www.nice.org[...]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 (NICE)
2020-12-00
[101]
보고서
Evidence reviews for the use of vitamin D supplementation as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OVID-19
https://www.nice.org[...]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 (NICE)
2020-12-00
[102]
논문
Low vitamin D status is associated with coronavirus disease 2019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1-03-00
[103]
논문
Association of Vitamin D Status with SARS-CoV-2 Infection or COVID-19 Sever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1-10-00
[104]
논문
Therapeutic and prognostic role of vitamin D for COVID-19 infec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43 observational studies
2021-07-00
[105]
Systematic review
The link between COVID-19 and VItamin D (VIVID):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1-06-00
[106]
논문
Addendum to vitamin D deficiency aggravates COVID-19: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1-08-01
[107]
논문
Prognostic and Therapeutic Role of Vitamin D in COVID-19: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2-04-01
[108]
논문
Vitamin D supplementation, COVID-19 & Disease Severity: A meta-analysis
2021-01-01
[109]
논문
Vitamin D supplementation for the treatment of COVID-19: a living systematic review
2021-05-01
[110]
논문
Vitamin D to prevent exacerbations of COP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individual participant data from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2019-04-01
[111]
논문
Vitamin D for the management of asthma
2023-02-01
[112]
논문
Effects of Vitamin D Supplementation on Prevention of Type 2 Diabetes in Patients With Prediabet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0-07-01
[113]
논문
The effects of vitamin D supplementation on indices of glycemic control in Iranian diabetic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9-02-01
[114]
논문
Serum vitamin D levels in relation to type-2 diabetes and prediabetes in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dose-response meta-analysis of epidemiologic studies
2021-06-01
[115]
논문
Interventions for latent autoimmune diabetes (LADA) in adults
2011-09-01
[116]
논문
Vitamin D Status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2018-01-01
[117]
논문
The Effect of Vitamin D Supplementation o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2019-11-01
[118]
논문
Vitamin D supplementation for depressive symptom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2014-04-01
[119]
논문
Vitamin D, cognition, and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2-09-01
[120]
논문
Vitamin D and schizophrenia: 20 years on
2021-07-01
[121]
논문
Vitamin D deficiency and Schizophrenia in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2020-06-01
[122]
논문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serum 25-hydroxyvitamin D level and pregnancy and neonatal outcome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2013-03-01
[123]
논문
Vitamin D supplementation during pregnancy: Updated meta-analysis on maternal outcomes
2016-11-01
[124]
논문
Vitamin D supplementation during pregnancy: state of the evidence from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sed trials
2017-11-01
[125]
논문
Vitamin D supplementation for women during pregnancy
2024-07-01
[126]
논문
Vitamin D and its role during pregnancy in attaining optimal health of mother and fetus
2012-03-01
[127]
논문
Vitamin D status and weight los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and nonrandomized controlled weight-loss trials
2016-10-01
[128]
논문
Long-term prevalence of vitamin deficiencies after bariatric surgery: a meta-analysis
2024-07-01
[129]
논문
Effect of Oral Consumption of Vitamin D on Uterine Fibroid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linical Trials
2024-01-01
[130]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Vitamin D and Fibroids: Pathophysiology, Prevention, and Treatment
2023-04-01
[131]
논문
Scientific opinion on the substantiation of health claims related to vitamin D and normal function of the immune system and inflammatory response (ID 154, 159), maintenance of normal muscle function (ID 155) and maintenance of normal cardiovascular function (ID 159) pursuant to Article 13(1) of Regulation (EC) No 1924/2006
[132]
논문
Scientific opinion on the substantiation of a health claim related to vitamin D and risk of falling pursuant to Article 14 of Regulation (EC) No 1924/2006
http://orbit.dtu.dk/[...]
2019-08-20
[133]
웹사이트
Guidance for Industry: Food Labeling Guide
https://www.fda.gov/[...]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3-01-01
[134]
웹사이트
Health Canada Scientific Summary on the U. S. Health Claim Regarding Calcium and Osteoporosis
http://www.hc-sc.gc.[...]
Bureau of Nutritional Sciences Food Directorate, Health Products and Food Branch Health Canada
2000-05-01
[135]
논문
Newly established regulation in Japan: foods with health claims
2002-01-01
[136]
웹사이트
Vitamins and minerals – Vitamin D
http://www.nhs.uk/Co[...]
2020-08-03
[137]
웹사이트
PHE publishes new advice on vitamin D
https://www.gov.uk/g[...]
Public Health England
2016-07-21
[138]
웹사이트
Federal Register May 27, 2016 Food Labeling: Revision of the Nutrition and Supplement Facts Labels. FR page 33982.
https://www.gpo.gov/[...]
[139]
웹사이트
Daily Value Reference of the Dietary Supplement Label Database (DSLD)
https://www.dsld.nlm[...]
[140]
웹사이트
Vitamin D and Calcium: Updated Dietary Reference Intakes
https://www.canada.c[...]
Health Canada
2008-12-05
[141]
서적
Nutrient Reference Values for Australia and New Zealand Including Recommended Dietary Intakes
https://www.nhmrc.go[...]
National Health and Medical Research Council
2023-03-19
[142]
웹사이트
Vitamin D food fortification on the table
http://www.abc.net.a[...]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2-06-12
[143]
웹사이트
Australian Health Survey: Biomedical Results for Nutrients, 2011–12
https://www.abs.gov.[...]
2011-12-21
[144]
논문
Dietary reference values for vitamin D
2016-06-29
[145]
Submitted manuscript
Scientific Opinion on the Tolerable Upper Intake Level of vitamin D
[146]
웹사이트
Vitamin D (translated)
https://www.livsmede[...]
Swedish National Food Agency
[147]
간행물
Vitamin-D-Bedarf bei fehlender endogener Synthese
//www.dge.de/modules[...]
Deutsche Gesellschaft für Ernährung
2012-01
[148]
논문
EMAS position statement: Vitamin D and postmenopausal health
2012-01
[149]
논문
Natural vitamin D content in animal products
2013-07
[150]
논문
Photobiology of vitamin D in mushrooms and its bioavailability in humans
2013-01
[151]
웹사이트
Vitamin D in mushrooms
https://www.ars.usda[...]
Nutrient Data Laboratory,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09
[152]
웹사이트
Search, National Nutrient Database for Standard Reference Release 27
https://web.archiv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2014
[153]
논문
Stability of vitamin D in foodstuffs during cooking
2014-04
[154]
논문
Sunlight and Vitamin D: A global perspective for health
2013-01
[155]
웹사이트
Map: Count of Nutrients In Fortification Standards
https://fortificatio[...]
2024
[156]
웹사이트
Vitamin D for Milk and Milk Alternatives
https://www.fda.gov/[...]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6-07-15
[157]
논문
Vitamin food fortification today
[158]
논문
Vitamin D: An overview of vitamin D status and intake in Europe
2014-12
[159]
웹사이트
Alternative to dairy milk
https://osoblanco.or[...]
2020-01-16
[160]
논문
Evolutionary biology and pathology of vitamin D
1992
[161]
논문
Photosynthesis of vitamin D in the skin: effect of environmental and life-style variables
1987-04
[162]
논문
History of the discovery of vitamin D and its active metabolites
2014-01
[163]
논문
Photolytic production of vitamin D. The preparative value of a photo-sensitiser
1975
[164]
논문
Vitamin D and the skin
2010-03
[165]
논문
Serum concentrations of lipids, vitamin d metabolites, retinol, retinyl esters, tocopherols and selected carotenoids in twelve captive wild felid species at four zoos
2003-01
[166]
서적
Vitamin D: Volume 1: Biochemistry, Physiology and Diagnostics
Academic Press
2018
[167]
서적
Sunlight, Vitamin D and Skin Cancer
Springer
2020
[168]
논문
A revised action spectrum for vitamin D synthesis by suberythemal UV radiation exposure in humans in vivo
2021-10
[169]
논문
Vitamin D in plants: a review of occurrence, analysis, and biosynthesis
2013-05
[170]
논문
Vitamin D in Nature: A Product of Synthesis and/or Degradation of Cell Membrane Components
2018-11
[171]
논문
Vitamin D in an ecological context
2000-01
[172]
논문
Vitamin D: calcium and bone homeostasis during evolution
2014-01
[173]
논문
The pathology of vitamin D deficiency in domesticated animals: An evolutionary and comparative overview
2018-12
[174]
논문
Vitamin D metabolism in dogs and cats and its relation to diseases not associated with bone metabolism
2020-01
[175]
뉴스
Why Humans and Their Fur Parted Ways
https://www.nytimes.[...]
2003-08-19
[176]
논문
Evolution, Prehistory and Vitamin D
2020-01
[177]
논문
Radiative relaxation quantum yields for synthetic eumelanin
[178]
논문
The protective role of melanin against UV damage in human skin
[179]
뉴스
A Single Migration From Africa Populated the World, Studies Find
https://www.nytimes.[...]
2017-03-02
[180]
논문
Vitamin D in the Context of Evolution
2022-07
[181]
논문
Vitamin D and evolution: Pharmacologic implications
2020-03
[182]
논문
The vitamin D epidemic and its health consequences
http://jn.nutrition.[...]
2005-11
[183]
서적
Vitamin D: Two-Volume Set
Academic Press
2011-05-12
[184]
논문
Update in vitamin D
2010-02
[185]
논문
Genetic evidence that the human CYP2R1 enzyme is a key vitamin D 25-hydroxylase
2004-05
[186]
서적
Vitamin D
Academic Press
2017-04-09
[187]
논문
Photosynthesis of previtamin D3 in human skin and the physiologic consequences
1973-10
[188]
논문
24-Hydroxylation of 1,25-dihydroxyergocalciferol. An unambiguous deactivation process
1986-07
[189]
논문
Membrane-mediated actions of 1,25-dihydroxy vitamin D3: a review of the roles of phospholipase A2 activating protein and Ca(2+)/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II
2015-03
[190]
논문
The Non-Genomic Actions of Vitamin D
2016-03
[191]
웹사이트
Cod Liver Oil: History
https://www.rositaus[...]
2024-12-05
[192]
논문
Vitamin D: part II; cod liver oil, ultraviolet radiation, and eradication of rickets
2019-03
[193]
논문
100 YEARS OF VITAMIN D: Historical aspects of vitamin D
2022-04
[194]
뉴스
Age-old children's disease back in force
https://www.thestar.[...]
2010-08-24
[195]
서적
Vitamins and Hormones
Academic Press
2023-03-19
[196]
웹사이트
Adolf Windaus – Biography
http://nobelprize.or[...]
Nobelprize.org
2010-03-25
[197]
웹사이트
History of Vitamin D
http://vitamind.ucr.[...]
University of California at Riverside
2014-05-09
[198]
논문
The Ring-system of sterols and bile acids. Part II
[199]
논문
Crystalline Vitamin D
[200]
서적
Vitamin D
Academic Press
2023-03-19
[201]
논문
Chromosomal receptor for a vitamin D metabolite
1969-01
[202]
논문
1,25-dihydroxycholecalciferol: identification of the proposed active form of vitamin D3 in the intestine
1971-07
[203]
논문
Photosynthesis of previtamin D3 in human skin and the physiologic consequences
1980-10
[204]
서적
Biochemistry. Volume one. Biomolecules, mechanisms of enzyme action, and metabolism
John Wiley & Sons
[205]
웹사이트
UNRAVELING THE ENIGMA OF VITAMIN D
http://www.beyonddis[...]
U.S.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06]
웹사이트
Windaus biography at
https://www.nobelpri[...]
Nobelprize.org
2010-03-25
[207]
논문
Serum concentrations of lipids, vitamin d metabolites, retinol, retinyl esters, tocopherols and selected carotenoids in twelve captive wild felid species at four zoos
[208]
논문
Vitamin D deficiency
[209]
논문
Vitamin D: the underappreciated D-lightful hormone that is important for skeletal and cellular health
[210]
논문
ビタミンD生成に必要な日光照射に伴う皮膚への有害性に関する推定評価
2014-07
[211]
서적
Bone loss and osteoporosis: an anthropological perspective
Kluwer Academic/Plenum Publishers
[212]
학술지
Cholecalciferol supplementation alters gut function and improves digestibility in an underground inhabitant, the naked mole rat (Heterocephalus glaber), when fed on a carrot diet
[213]
학술지
Vascular aging in the longest-living rodent, the naked mole rat
[214]
학술지
Negligible senescence in the longest living rodent, the naked mole-rat: insights from a successfully aging species
[215]
학술지
Vitamin D: importance in the prevention of cancers, type 1 diabetes, heart disease, and osteoporosis
[216]
학술지
1.カルシウム代謝調節因子:最近の進歩
[217]
웹사이트
About Vitamin D
http://vitamind.ucr.[...]
[218]
학술지
Sunlight and vitamin D for bone health and prevention of autoimmune diseases, cancers, and cardiovascular disease
[219]
웹사이트
Vitamin D
http://www.pdrhealth[...]
The Physicians Desk Reference
[220]
학술지
Repression of smoothened by patched-dependent (pro-)vitamin D3 secretion
[221]
웹사이트
Hedgehog signaling and Vitamin D
http://www.medscape.[...]
Medscape
2009-12-18
[222]
문서
비타민D해설
[223]
웹사이트
動物用医薬品・飼料添加物・対象外物質※評価書 カルシフェロール及び25-ヒドロキシコレカルシフェロール
https://www.mhlw.go.[...]
2018-05-17
[224]
웹사이트
日本人の食事摂取基準(2015年版)の概要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17-10-31
[225]
잡지
New Recommended Daily Amounts of Calcium and Vitamin D
https://medlineplus.[...]
2017-10-31
[226]
보고서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Calcium and Vitamin D
https://www.ncbi.nlm[...]
National Academies Press
[227]
웹사이트
Vitamin D
https://ods.od.nih.g[...]
[228]
웹사이트
食品成分データベース
http://fooddb.jp
[229]
웹사이트
Taking too much vitamin D can cloud its benefits and create health risks
https://www.health.h[...]
2017-11-01
[230]
학술지
Vitamin D Supplementation in Underway Submariners
http://www.ingentaco[...]
2005-06
[231]
학술지
Vitamin D status and impact of vitamin D3 and/or calcium supplementation in a randomized pilot study 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232]
학술지
Vitamin D supplementation as an adjuvant therapy for patients with T2DM: an 18-month prospective interventional study
[233]
학술지
Vitamin D2 is as effective as vitamin D3 in maintaining circulating concentrations of 25-hydroxyvitamin D
[234]
보고서
Dietary Reference Intakes Research Synthesis: Workshop Summary
http://books.nap.edu[...]
National Academies Press
[235]
학술지
Requirements of different species for vitamins
http://docstore.inge[...]
[236]
서적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Calcium, Phosphorus, Magnesium, Vitamin D, and Fluoride
http://www.nap.edu/c[...]
Food and Nutrition Board, Institute of Medicine
[237]
학술지
Pharmacokinetics of vitamin D toxicity
[238]
웹사이트
Vitamin D - Health Professional Fact Sheet
http://ods.od.nih.go[...]
[239]
학술지
Determinants of vitamin D status in older women living in a subtropical climate.
[240]
학술지
Determinants of vitamin D status in older men living in a subtropical climate.
[241]
학술지
Decreased bioavailability of vitamin D in obesity.
[242]
학술지
Impact of overweight on the risk of developing common chronic diseases during a 10-year period.
[243]
보고서
Update on Vitamin D Position Statement by the Scientific Advisory Committee on Nutrition 2007
Scientific Advisory Committee on Nutrition
[244]
웹사이트
Dietary Supplement Fact Sheet: Vitamin D
http://dietary-suppl[...]
[245]
학술지
Systematic review: Vitamin D and cardiometabolic outcomes
[246]
논문
Systematic review: Vitamin D and calcium supplementation in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events
[247]
논문
Low vitamin D status despite abundant sun exposure
[248]
논문
Circulating vitamin D3 and 25-hydroxyvitamin D in humans: An important tool to define adequate nutritional vitamin D status.
[249]
웹사이트
Vitamin D
http://www.merck.com[...]
[250]
웹사이트
Office of Dietary Supplements - Vitamin D
https://ods.od.nih.g[...]
미국 국립보건원
2018-05-17
[251]
웹사이트
Vitamin D
http://www.mayoclini[...]
Mayo Clinic
2008-03-01
[252]
논문
Vitamin D vs broad spectrum phototherapy in the treatment of seasonal affective disorder.
http://www.ncbi.nlm.[...]
[253]
논문
Serum 25-Hydroxyvitamin D Levels and the Prevalence of Peripheral Arterial Disease. Results from NHANES 2001 to 2004
[254]
논문
Sunlight and vitamin D for bone health and prevention of autoimmune diseases, cancers, and cardiovascular disease
http://www.ajcn.org/[...]
[255]
간행물
Cell Defenses and the Sunshine Vitamin
2007-11
[256]
웹사이트
New study suggests low vitamin D levels linked to erectile dysfunction
http://www.vitamindc[...]
[257]
뉴스
ビタミン D の不足は勃起不全のための重要な危険率であるかもしれません
http://www.news-medi[...]
News-Medical.net
2012-06-07
[258]
웹사이트
勃起障害(ED)患者ではビタミンD不足が多い
http://www.dhcblog.c[...]
[259]
뉴스
Parkinson's linked to vitamin D
http://news.bbc.co.u[...]
BBC News
2008-10-13
[260]
웹사이트
偽性副甲状腺機能低下症
https://www.nanbyou.[...]
財団法人 難病医学研究財団/難病情報センター
[261]
웹사이트
Vitamin D là gì ? Tác dụng và cách bổ sung Vitamin D
https://ykhoablog.co[...]
2021-09-04
[262]
뉴스
ビタミンD3外用薬で腎不全 腎障害患者は必ずクレアチニンやCaの確認を
https://medical.nikk[...]
日経メディカルオンライン
2012-10-01
[263]
논문
Vitamin D Supplementation and the Incidence of Fractures in the Elderly Healthy Population: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2024-07
[264]
웹사이트
Vitamin D
http://www.pdrhealth[...]
Thompson Healthcare
[265]
간행물
The Antibiotic Vitamin
https://web.archive.[...]
2006-11-11
[266]
논문
A single dose of vitamin D enhances immunity to mycobacteria.
[267]
논문
Case-control study of the role of nutritional rickets in the risk of developing pneumonia in Ethiopian children.
[268]
논문
Serum 25-hydroxyvitamin D levels and risk of multiple sclerosis.
[269]
웹사이트
Science News / Molecular Link Between Vitamin D Deficiency And MS
http://www.sciencene[...]
[270]
뉴스
Vitamin D helps control MS gene
http://news.bbc.co.u[...]
BBC News
2009-02-05
[271]
웹사이트
Genetic Study Supports Vitamin D Deficiency as an Environmental Factor in MS Susceptibility. Multiple Sclerosis Society of Canada. 5 February 2009
http://www.mssociety[...]
Mssociety.ca
[272]
논문
Introduction of oral vitamin D supplementation and the rise of the allergy pandemic.
[273]
논문
Infant vitamin d supplementation and allergic conditions in adulthood: northern Finland birth cohort 1966
[274]
논문
Is vitamin D supplementation responsible for the allergy pandemic?
[275]
논문
UV radiation suppresses 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independent of vitamin D production
[276]
논문
Influenza virus transmission is dependent on relative humidity and temperature
http://pathogens.plo[...]
[277]
웹사이트
http://www.ajcn.org/[...]
[278]
논문
Randomized trial of vitamin D supplementation to prevent seasonal influenza A in schoolchildren
[279]
웹사이트
WHO Disease and injury country estimates
http://www.who.int/h[...]
[280]
논문
Molecular basis of the potential of vitamin D to prevent cancer
[281]
논문
Vitamin D receptor gene polymorphisms in breast cancer
[282]
논문
Associations Between Polymorphisms in the Vitamin D Receptor and Breast Cancer Risk
[283]
웹사이트
Sunlight, Nutrition And Health Research Center
http://www.sunarc.or[...]
[284]
논문
The role of vitamin D in cancer prevention
[285]
뉴스
Vitamin D 'can lower cancer risk'
http://news.bbc.co.u[...]
2005-12-28
[286]
논문
Optimal vitamin D status for colorectal cancer prevention: a quantitative meta analysis
[287]
논문
Role of ultraviolet B irradiance and vitamin D in prevention of ovarian cancer
[288]
논문
Global vitamin D levels in relation to age, gender, skin pigmentation and latitude: an ecologic meta-regression analysis.
[289]
논문
Genetic and environmental determinants of 25-hydroxyvitamin D and 1,25-dihydroxyvitamin D levels in Hispanic and African Americans.
[290]
논문
Full-length characterization of proteins in human populations.
[291]
논문
Predictors of serum 25-hydroxyvitamin D concentrations among postmenopausal women: the Women's Health Initiative Calcium plus Vitamin D Clinical Trial
[292]
논문
The common Scandinavian human leucocyte antigen ancestral haplotype 62.1 as prognostic factor in patients with advanced malignant melanoma.
[293]
논문
Correlation between HLA-A2 gene frequency, latitude, ovarian and prostate cancer mortality rates.
[294]
논문
Vitamin D intake and the risk for pancreatic cancer in two cohort studies
[295]
뉴스
Health | Vitamin D 'slashes cancer risk'
http://news.bbc.co.u[...]
BBC News
2006-09-15
[296]
논문
A Prospective Nested Case-Control Study of Vitamin D Status and Pancreatic Cancer Risk in Male Smokers
[297]
뉴스
Vitamin D casts cancer prevention in new light
http://www.theglobea[...]
2007-04-28
[298]
논문
Vitamin D and calcium supplementation reduces cancer risk: results of a randomized trial
[299]
논문
Vitamin D intake and breast cancer risk in postmenopausal women: the Iowa Women's Health Study
[300]
논문
Vitamin D for cancer prevention: valid assertion or premature anointment?
[301]
웹사이트
Canadian Cancer Society announces Vitamin D recommendation, 08 June 2007
http://www.cancer.ca[...]
Cancer.ca
[302]
웹사이트
Canadian Cancer Society recommends vitamin D. CTV.ca News Staff
http://montreal.ctv.[...]
Montreal.ctv.ca
[303]
논문
Prospective study of serum vitamin D and cancer mortality in the United States
[304]
논문
Study Finds No Connection between Vitamin D and Overall Cancer Deaths
[305]
웹사이트
Vitamin D and Cancer Prevention: Strengths and Limits of the Evidence
http://www.cancer.go[...]
National Cancer Institute Fact Sheets
2009-09-23
[306]
간행물
カルシウムとビタミンDの大腸がん予防効果
http://www.nyusankin[...]
全国発酵乳乳酸菌飲料協会
[307]
웹사이트
カルシウム、ビタミンD摂取と大腸がん罹患との関連について
http://epi.ncc.go.jp[...]
独立行政法人 国立がん研究センター がん予防・検診研究センター 予防研究部
[308]
논문
Sunlight, cholesterol and coronary heart disease.
[309]
논문
Systematic review: Vitamin D and cardiometabolic outcomes.
[310]
논문
Systematic review: Vitamin D and calcium supplementation in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events.
[311]
논문
Vitamin D and cardiovascular disease.
[312]
논문
Investigation of the potential association of vitamin D binding protein with lipoproteins
[313]
논문
Vitamin D and osteogenic differentiation in the artery wall
[314]
논문
Controversies in Vitamin D Supplementation
http://escholarship.[...]
[315]
논문
Serum 25-hydroxyvitamin D3 levels are elevated in South Indian patients with ischemic heart disease.
[316]
논문
Vitamin D, Adiposity, and Calcified Atherosclerotic Plaque in African-Americans
[317]
논문
DBP (vitamin D binding protein) and BF (properdin factor B) allele distribution in Namibian San and Khoi and in other South African populations.
[318]
논문
Vitamin D status in India--its implications and remedial measures
[319]
논문
Presence of 25(OH) D deficiency in a rural North Indian village despite abundant sunshine
[320]
논문
Worldwide status of vitamin D nutrition
[321]
논문
Abundant sunshine and vitamin D deficiency
[322]
논문
25-hydroxyvitamin D levels and the risk of mortality in the general population
[323]
논문
Higher serum vitamin D concentrations are associated with longer leukocyte telomere length in women
http://www.ajcn.org/[...]
[324]
논문
Vitamin D and osteogenic differentiation in the artery wall
[325]
논문
Vitamin D and aging
[326]
논문
Premature aging in vitamin D receptor mutant mice
[327]
논문
Vitamin D, nervous system and aging
[328]
웹사이트
Depression and Diet
https://www.webmd.co[...]
[329]
웹사이트
骨だけじゃない ビタミンDは心の健康にも重要
http://www.qlifepro.[...]
2014-08-14
[330]
논문
Vitamin D supplementation for women during pregnancy
2024-07
[331]
웹사이트
자외선과 비타민 D, 자외선 차단제의 삼각 관계
https://terms.naver.[...]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사구체여과율’ 경고 놓치면…‘콩팥의 무너짐’ 갑자기 다가온다 [건강한겨레]
바디텍메드 1분기 매출 전년 대비 18% 증가
멍냥이가 기가 막혀!…상당수 반려동물 영양제 ‘함량 부족’
“욕실 청소는 남편이나 아들에게 맡기라”
겨울철 ‘면역력 늘리는 12가지 비법’…“섹스, 부부싸움, 애완동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