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주걱철갑상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주걱철갑상어는 멸종된 주걱철갑상어과의 어류로, 양쯔강 유역과 동중국해 하구가 원산지였다. 몸은 흰색 배와 회색 등, 분홍빛 붉은색 말단을 특징으로 하며, 쐐기 모양의 주둥이와 작은 눈을 가지고 있었다. 최대 7m, 500kg까지 성장할 수 있었으며, 육식성으로 작은 물고기와 갑각류를 먹고 살았다. 1862년 처음 학계에 보고되었으며, 아메리카주걱철갑상어와 유전적으로 분기되었고, 전기 수용 능력을 가졌다. 남획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했으며, 2005년에서 2010년 사이에 멸종된 것으로 추정된다. 2022년 세계자연보전연맹에 의해 공식적으로 멸종된 것으로 분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걱철갑상어과 - 아메리카주걱철갑상어
아메리카주걱철갑상어는 북아메리카 미시시피강 유역에 서식하며 길고 주걱 모양의 주둥이를 가진 플랑크톤 여과 섭식 어류로, 멸종 위기에 처해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1862년 기재된 물고기 - 도화돔
- 1862년 기재된 물고기 - 실비늘치
- IUCN 적색 목록 위급종 - 루펠독수리
루펠독수리는 사헬 및 동아프리카에 서식하며 높은 고도 비행이 가능한 대형 독수리로, 썩은 고기를 먹는 생태적 특징을 가지지만 서식지 파괴와 독극물 중독으로 인해 심각한 위기종으로 분류된다. - IUCN 적색 목록 위급종 - 미국밤나무
미국밤나무는 과거 북미 동부에서 번성하며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었으나, 밤나무 줄기마름병균으로 인해 개체 수가 급감하여 현재 복원 노력이 진행 중인 낙엽성 활엽수이다.
중국주걱철갑상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Psephurus gladius |
명명자 | (von Martens, 1862) |
이명 | Polyodon gladius (von Martens, 1862) Spatularia (Polyodon) angustifolium (Kaup, 1862) Polyodon angustifolium (Kaup, 1862) |
중국어 | (바이스쉰) |
멸종 | 2022년 |
몸길이 | |
멸종 위기 평가 | |
IUCN 적색 목록 | EX (절멸) |
IUCN 참고 자료 | 참고 자료 |
2. 묘사
중국주걱철갑상어는 몸의 배는 하얗고, 등과 머리 부분은 회색이며 주둥이와 지느러미를 포함한 말단은 분홍빛을 띤 붉은 색을 띤다.[8] 몸의 측면에는 몸의 중앙에서 꼬리지느러미까지 뻗어있는 뚜렷한 흰색 융기선이 있다.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는 몸 뒤쪽에 위치한다.[82] 주둥이는 쐐기 모양으로 좁고 뾰족하며, 몸 전체 길이의 1/3에 도달할 수 있다.[82][7] 눈은 작고 둥글다.[82][8][42]
중국주걱철갑상어는 1862년 에두아르트 폰 마르텐스에 의해 처음 학계에 보고되었으며, 처음에는 아메리카주걱철갑상어(''Polyodon'')의 일종으로 분류되었다.[84][15][48] 1873년 알베르트 귄터는 중국주걱철갑상어를 별도의 단형 속으로 분류하였다.[16][49] 1862년 요한 야콥 카우프는 ''Spatularia angustifolium''이라는 학명을 부여했지만,[17][50] 이는 ''P. gladius''의 주니어 동의어로 간주된다.[7][41]
중국주걱철갑상어는 양쯔강 유역과 동중국해의 하구가 원산지였다. 역사적으로는 황하 유역(대운하로 양쯔강과 연결됨)과 황해의 하구에서도 기록되었다.[7][23][24] 주로 큰 강에 서식했지만, 때로는 큰 호수로 이동하기도 했다.[1] 회귀성 어류의 특성상, 성숙한 개체는 동중국해와 황해의 연안 해역에서 발견되었으며, 때때로 사리가 개체를 저장성의 첸탕강과 용강 하류까지 밀어 넣기도 했다.[27]
중국주걱철갑상어의 개체수 감소는 13세기부터 인지되었으며, 1960년대에는 황하 유역에서 마지막으로 관찰되었다.[23][24][30][57][58][63] 1970년대까지 양쯔강에서는 연간 25톤이 어획될 정도로 남획이 심각했다.[4][64] 1983년 중국 정부는 어획을 금지했지만,[25][59] 이미 개체수가 급감한 후였다. 1980년대에도 소수의 개체가 발견되었고 1995년까지 어린 개체가 목격되기도 했으나,[1][37] 개체수가 매우 희귀하여 인공 번식 시도는 실패했다.[25][59]
[1]
간행물
"''Psephurus gladius''"
2022-07-21
꼬리지느러미는 상어의 것처럼 윗부분이 길다.[82] 연골어류로, 몸은 매끄럽고 꼬리가 짧고 꼬리 지느러미가 작은 것을 제외하고는 비늘이 거의 없다. 다른 주걱철갑상어와 마찬가지로 골격은 대부분 연골로 이루어져 있었다.[10][44] 몸에는 미병부와 꼬리지느러미에 있는 작은 비늘을 제외하고 비늘이 없었다.[8][7][41][42]
성체들은 약 25kg의 무게이며,[83][60] 일반적으로 7세에서 8세 개체의 전형적인 신체 길이는 2m이다. 기록에 따르면 몸길이는 7m, 최대 500kg에 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최대 크기는 3m와 300kg이다.[83] 중국의 동물학자 C. Ping는 난징시의 어부들이 길이가 7m이고 무게가 907kg인 중국주걱철갑상어를 잡았다고 기록했다.[11][45][46] 피시베이스(FishBase)와 세계자연기금(World Wide Fund for Nature)은 보수적으로 최대 무게를 300kg에서 500kg으로 제시한다.[12][13][47]
3. 분류
주걱철갑상어(Polyodontidae)는 철갑상어 (Acipenseridae)와 함께 철갑상어목 (Acipenseriformes)에 속하는 현존하는 두 과 중 하나이다. 철갑상어목의 가장 오래된 기록은 1억 9천만 년 전 초기 쥐라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가장 오래된 주걱철갑상어 화석은 약 1억 2천만 년 전 중국의 초기 백악기에서 발견된 ''Protopsephurus''이다.[18][52] 아메리카 주걱철갑상어 (''Polyodon'')를 포함하는 속의 가장 오래된 대표자는 약 6500만 년 전 고신세 초에 해당한다.[19][53] 분자 시계에 의한 유전자 분기 추정치는 아메리카 주걱철갑상어와 중국 주걱철갑상어 사이의 분기에 대해 6800만 년 전,[20][54] 7200만 년 전,[21][55] 1억 년 전[22][56] 등 다양하게 제시되었으며, 모두 중기 백악기에서 후기 백악기에 해당한다.
현대 일본어로 참치를 가리키는 '鮪'나 가오리를 가리키는 '鱏'이라는 한자는 당나라 시대의 중국에서는 본종을 가리켰다고 생각된다.[51]
4. 분포 및 생태
이 종은 양쯔강 하류, 특히 하구의 기수에서 생애의 일부를 보냈지만, 강을 거슬러 주요 지류로 산란을 위해 이동했는데, 이는 3월 중순부터 4월 초까지 봄에 발생했다. 진사강의 한 산란장은 강 중앙에 위치해 있으며, 강둑에서 60m 정도 떨어져 있었고, 길이는 약 500m, 최대 수심은 10m였으며 유속이 빨랐고, 하류의 바닥 퇴적물은 조약돌, 상류는 진흙/모래였다.[27] 암컷은 수컷보다 늦게 성적으로 성숙했으며, 다른 철갑상어류와 마찬가지로 매년 산란하지 않고, 아마도 2년에 한 번 또는 그보다 약간 덜 자주 산란했을 것이다.[26] 암컷의 난소에는 10만 개 이상의 알이 있었고, 각 알은 약 2.7mm 크기였다. 발달 중인 접합자와 치어는 쓰촨성 남동부 루저우 상류의 양쯔강 유역에 국한되었지만, 1년생과 성어는 양쯔강 전역의 하류에서 상류까지 널리 분포했다.[27]
이 물고기는 대체로 단독 생활을 하며, 수주의 하층과 중층에 서식했다. 중국 주걱철갑상어는 수영을 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플랑크톤을 먹는 여과 섭식자인 아메리카 주걱철갑상어와 달리, 중국 주걱철갑상어는 주로 육식성으로, 멸치 (''Coilia)'', 잉어과 (''Coreius, Rhinogobio'')'', 망둥어과 (''Gobius)''와 같은 중소형 물고기뿐만 아니라 메기과 메기 및 넙치과 넙치를 주로 먹었다. 새우와 게도 먹었다.[27][7] 아메리카 주걱철갑상어와 달리, 주걱철갑상어와 화석 주걱철갑상어처럼 턱은 턱 돌출이 가능했는데, 이는 두개골의 나머지 부분과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형태의 두개 운동이며, 위턱은 먹이를 잡기 위해 아래로 그리고 앞으로 밀어낼 수 있었다.[9][28] 다른 철갑상어목과 다른 여러 척추동물 그룹과 마찬가지로 주걱철갑상어는 전기 수용 (외부 전기장 감지)에 관여하며, 로렌치니 기관이라고 하는 구조를 사용하며, 이는 감각 기관의 측선 시스템의 연장선이다. 전기 물고기와 같이 전기장을 감지하지만 생성하지 않는 수동적인 전기 수용은 주로 먹이가 생성하는 약한 전기장을 감지하는 데 사용된다.[29] 다른 주걱철갑상어와 마찬가지로 중국 주걱철갑상어의 머리와 주둥이는 로렌치니 기관이 밀집되어 있어 전기 수용 강화가 주둥이의 주요 기능 중 하나임을 나타낸다.[9]
5. 멸종
2000년 이후, 살아있는 중국주걱철갑상어가 확인된 것은 단 두 번뿐이었다. 2002년 난징에서 3.3m, 117kg의 암컷이,[66] 2003년에는 이빈에서 3.52m, 160kg의 암컷이 잡혔으나,[31][66] 모두 얼마 지나지 않아 죽었다.[1][32][37][67] 2006-2008년, 2017-2018년 대규모 조사에도 불구하고 중국주걱철갑상어는 발견되지 않았으며,[32][67][4][34][35][36][64][70][71][72] 2005-2010년 사이에 멸종된 것으로 추정된다.[4][34][35][36]
주요 멸종 원인은 남획과 서식지 파괴였다. 특히 거저우바 댐(1981년 담수 시작)과 싼샤 댐 건설은 개체군을 고립시키고 산란 회귀를 막았다.[1][37][73] 2022년 7월,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중국주걱철갑상어를 공식적으로 멸종(Extinct)으로 분류했다.[6][1][40][75][37]
6. 보존
참조
[2]
웹사이트
Polydontidae
http://www.fishbase.[...]
2017-05-18
[3]
웹사이트
Polydontidae
http://deeplyfish.co[...]
2017-05-18
[4]
논문
Extinction of one of the world's largest freshwater fishes: Lessons for conserving the endangered Yangtze fauna
Elsevier BV
[5]
웹사이트
The Chinese paddlefish was reevaluated to be extinct
https://www.iucn.org[...]
2019-09
[6]
뉴스
Chinese Paddlefish and wild Yangtze Sturgeon extinct - IUCN
https://www.reuters.[...]
2022-07-22
[7]
웹사이트
Species Fact Sheets: Psephurus gladius (Martens, 1862)
https://www.fao.org/[...]
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19-02-01
[8]
논문
Threatened fishes of the world: Psephurus gladius (Martens, 1862) (Acipenseriformes: polyodontidae)
2009-04
[9]
논문
Osteology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Fossil and Recent Paddlefishes (Polyodontidae) with Comments on the Interrelationships of Acipenseriformes
http://www.tandfonli[...]
1991-03-28
[10]
서적
The Ecology and Functional Morphology of Feeding of North American Sturgeon and Paddlefish
http://link.springer[...]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22-07-22
[11]
서적
Contributions from the Biological Laboratory of the Science Society of China: Zoological series
[12]
FishBase
[13]
웹사이트
River of Giants: Giant Fish of the Mekong
https://d2ouvy59p0dg[...]
WWF for Nature
[14]
문서
Age determination and growth of Chinese paddlefish ''Psephurus gladius''
[15]
논문
Über einen neuen ''Polyodon'' aus dem Yantsekiang und über die sogenannten ''Glaspolypen''
https://archive.org/[...]
2022-07-29
[16]
논문
Report on a collection of fishes from China
https://www.biodiver[...]
[17]
논문
Eine neue Art von Spatularia
https://books.google[...]
[18]
논문
Protopsephurus liui , a well-preserved primitive paddlefish (Acipenseriformes: Polyodontidae) from the Lower Cretaceous of China
http://www.tandfonli[...]
2022-07-22
[19]
논문
Paddlefish and sturgeon (Chondrostei: Acipenseriformes: Polyodontidae and Acipenseridae) from lower Paleocene deposits of Montana, U.S.A.
2020-03-03
[20]
논문
Age and biogeography of major clades in sturgeons and paddlefishes (Pisces: Acipenseriformes)
https://linkinghub.e[...]
2022-07-22
[21]
논문
Molecular Dating of Phylogeny of Sturgeons (Acipenseridae) Based on Total Evidence Analysis
http://dx.doi.org/10[...]
2022-06
[22]
논문
Phylogenetic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s and evolutionary history of the Acipenseriformes
2020-09
[23]
논문
Fish assemblage changes over half a century in the Yellow River, China
[24]
서적
Fishes of the Yellow River and Beyond
The Sueichan Press
[25]
서적
Biology, fisheries, and conservation of sturgeons and paddlefish in China
http://dx.doi.org/10[...]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22-07-24
[26]
논문
The Extinction of the Chinese Paddlefish Psephurus gladius : Transnationalism, Technology Transfer, and Timescape
2023-05-04
[27]
논문
Notes on the Chinese Paddlefish, Psephurus gladius (Martens)
1988-05-18
[28]
논문
An overview of Acipenseriformes
http://link.springer[...]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22-07-27
[29]
논문
Electroreception, electrogenesis and electric signal evolution
2019-07
[30]
논문
Extinction of one of the world's largest freshwater fishes: Lessons for conserving the endangered Yangtze fauna
[31]
웹사이트
http://www.xinhuanet[...]
2020-01-09
[32]
뉴스
Giant fish 'verges on extinction'
http://news.bbc.co.u[...]
BBC
2009-09-29
[33]
문서
"Is there evidence that the Chinese paddlefish (Psephurus gladius) still survives in the upper Yangtze River? Concerns inferred from hydroacoustic and capture surveys, 2006–2008."
[34]
웹사이트
Chinese paddlefish declared extinct
https://phys.org/new[...]
2020-01-09
[35]
웹사이트
Up to 23 feet long, the Chinese paddlefish was the giant of the Yangtze. And we killed it
https://www.cnn.com/[...]
2020-01-09
[36]
웹사이트
Chinese paddlefish, one of world's largest fish, declared extinct
https://www.national[...]
2020-01-08
[37]
간행물
"''Psephurus gladius''"
2022
[38]
웹사이트
Polydontidae
http://www.fishbase.[...]
2017-05-18
[39]
웹사이트
Polydontidae
http://deeplyfish.co[...]
2017-05-18
[40]
웹사이트
淡水魚の王「ハシナガチョウザメ」絶滅 中国・長江
https://news.tv-asah[...]
2022-08-03
[41]
웹사이트
Species Fact Sheets: Psephurus gladius (Martens, 1862)
https://www.fao.org/[...]
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19-02-01
[42]
논문
Threatened fishes of the world: Psephurus gladius (Martens, 1862) (Acipenseriformes: polyodontidae)
2009-04
[43]
논문
Osteology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Fossil and Recent Paddlefishes (Polyodontidae) with Comments on the Interrelationships of Acipenseriformes
https://doi.org/10.1[...]
1991-03-28
[44]
간행물
The Ecology and Functional Morphology of Feeding of North American Sturgeon and Paddlefish
http://link.springer[...]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05
[45]
웹사이트
zh:白鲟灭绝背后:如何更好地保护其他珍稀水生动物?
https://m.gmw.cn/bai[...]
2022-08-08
[46]
웹사이트
zh:长江白鲟被正式宣布灭绝,不能让中华鲟步入后尘
http://www.ctdsb.net[...]
2022-07-22
[47]
FishBase
[48]
논문
Über einen neuen ''Polyodon'' aus dem Yantsekiang und über die sogenannten ''Glaspolypen''
https://archive.org/[...]
1861-05-02
[49]
논문
Report on a collection of fishes from China
https://www.biodiver[...]
[50]
서적
Eine neue Art von Spatularia
https://books.google[...]
[51]
논문
日本における鮪のマグロ類への比定の歴史
https://opac-t.time.[...]
東海大学海洋学部
2013-03
[52]
논문
Protopsephurus liui , a well-preserved primitive paddlefish (Acipenseriformes: Polyodontidae) from the Lower Cretaceous of China
https://doi.org/10.1[...]
2002-07-08
[53]
논문
Paddlefish and sturgeon (Chondrostei: Acipenseriformes: Polyodontidae and Acipenseridae) from lower Paleocene deposits of Montana, U.S.A.
https://doi.org/10.1[...]
2020-03-03
[54]
논문
Age and biogeography of major clades in sturgeons and paddlefishes (Pisces: Acipenseriformes)
https://pubmed.ncbi.[...]
2007-03
[55]
논문
Molecular Dating of Phylogeny of Sturgeons (Acipenseridae) Based on Total Evidence Analysis
https://doi.org/10.1[...]
2022-06
[56]
논문
Phylogenetic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s and evolutionary history of the Acipenseriformes
https://pubmed.ncbi.[...]
2020-09
[57]
논문
Fish assemblage changes over half a century in the Yellow River, China
[58]
서적
Fishes of the Yellow River and Beyond
The Sueichan Press
[59]
간행물
Biology, fisheries, and conservation of sturgeons and paddlefish in China
https://doi.org/10.1[...]
Kluwer Academic Publishers
[60]
논문
Notes on the Chinese Paddlefish, Psephurus gladius (Martens)
1988-05-18
[61]
서적
An overview of Acipenseriformes
http://link.springer[...]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02
[62]
논문
Electroreception, electrogenesis and electric signal evolution
https://onlinelibrar[...]
2019-07
[63]
논문
Extinction of one of the world's largest freshwater fishes: Lessons for conserving the endangered Yangtze fauna
[64]
논문
Extinction of one of the world's largest freshwater fishes: Lessons for conserving the endangered Yangtze fauna
Elsevier BV
[65]
서적
ニュートン
2000-04
[66]
웹사이트
zh:"最后的长江白鲟"目击者:3.52米长 160公斤重 消失在宜宾江水中……-新华网
http://www.xinhuanet[...]
2020-01-09
[67]
뉴스
Giant fish 'verges on extinction'
http://news.bbc.co.u[...]
BBC
2009-09-29
[68]
뉴스
重慶男市場買到怪魚 有3倍長的鴨子嘴
http://www.nownews.c[...]
大陸新聞 NOWnews 今日新聞網
2011-04-04
[69]
논문
"Is there evidence that the Chinese paddlefish (Psephurus gladius) still survives in the upper Yangtze River? Concerns inferred from hydroacoustic and capture surveys, 2006-2008."
[70]
웹사이트
Chinese paddlefish declared extinct
https://phys.org/new[...]
2020-01-09
[71]
웹사이트
Up to 23 feet long, the Chinese paddlefish was the giant of the Yangtze. And we killed it
https://www.cnn.com/[...]
2020-01-09
[72]
웹사이트
Chinese paddlefish, one of world's largest fish, declared extinct
https://www.national[...]
2020-01-09
[73]
뉴스
【解説】最大級の淡水魚ハシナガチョウザメが絶滅
https://natgeo.nikke[...]
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
2020-01-10
[74]
웹사이트
The Chinese paddlefish was reevaluated to be extinct
https://web.archive.[...]
2019-09
[75]
뉴스
Chinese Paddlefish and wild Yangtze Sturgeon extinct - IUCN
https://www.reuters.[...]
2022-07-22
[76]
저널
Acinonyx jubatus
https://www.iucnredl[...]
IUCN
2015
[77]
웹인용
Chinese paddlefish declared extinct
https://phys.org/new[...]
2020-01-09
[78]
저널
Extinction of one of the world's largest freshwater fishes: Lessons for conserving the endangered Yangtze fauna
Elsevier BV
[79]
웹인용
Up to 23 feet long, the Chinese paddlefish was the giant of the Yangtze. And we killed it
https://www.cnn.com/[...]
2020-01-09
[80]
웹인용
Chinese paddlefish, one of world's largest fish, declared extinct
https://www.national[...]
2020-01-09
[81]
뉴스
Chinese Paddlefish and wild Yangtze Sturgeon extinct - IUCN
https://www.reuters.[...]
2022-07-22
[82]
저널
Threatened fishes of the world: Psephurus gladius (Martens, 1862) (Acipenseriformes: polyodontidae)
[83]
웹인용
Species Fact Sheets: Psephurus gladius (Martens, 1862)
http://www.fao.org/f[...]
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19-02-01
[84]
문서
Über einen neuen Polyodon aus dem Yantsekiang und über die sogenannten Glaspolypen. Monatsberichte der Königlichen Preuss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zu Berlin 1861 (pt. 1) (for 2 May 1861): 476-47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