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지역사회의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역사회의학은 1968년 영국의 왕립 의학교육위원회 보고서를 통해 처음 등장한 개념으로, 의료의 비인간화, 만성질환 증가, 의료 자원 편중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해 대두되었다. 나가노현 스와 주오 병원의 지역 의료 연구회 활동을 통해 "지역 의료" 개념이 일반화되었으며, 1978년 알마아타 선언 이후 1차 보건 의료가 강조되면서 지역 의료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었다. 지역사회의학은 포괄 의료를 지역 주민에게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예방과 치료, 의료와 복지의 통합을 추구한다. 지역사회의학은 책임성, 효율성, 지역사회 참여 등을 기본 요소로 하며, 지역사회 중심성, 주민의 자주성을 원리로 한다. 최근에는 인구 감소, 의료 인력 부족, 재정 문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지역 주민과의 연계 및 협동을 통해 의료 시스템을 유지·발전시키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커뮤니티 - 사회 연결망
    사회 연결망 분석은 개인이나 집단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사회적 구조와 행동을 이해하는 학제 간 연구 방법론으로, 다양한 이론적 틀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내 위치와 정보 접근의 중요성을 분석하며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 커뮤니티 - 향토사
    향토사는 특정 지역의 역사, 지리, 문화를 연구하는 분야이며, 한국에서는 지역 공동체의 변화와 발전을 연구하는 중요한 분야로 자리 잡았고, 연구 결과의 신뢰성 문제 등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다.
  • 공중위생 - 공중보건
    공중보건은 조직적인 노력과 사회적 선택을 통해 질병을 예방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과학 기술이며, 환경보건, 역학, 보건관리 분야를 포함하여 개인과 인구 집단의 건강을 개선하고 평균 수명을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공중위생 - 건강 형평성
    건강 형평성은 사회경제적 요인, 인종, 성별, 지역 등에 의해 발생하는 건강 상태의 불공정한 차이로, 의료 접근성 향상, 사회경제적 불평등 완화, 건강 교육 강화, 차별 해소 등 다각적인 노력과 정책적 개입을 통해 해소해야 한다.
지역사회의학
지역 의료
정의특정 지역사회의 건강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제공되는 의료 서비스
목표질병 예방
건강 증진
의료 서비스 접근성 향상
특징지역사회 중심
예방 중심
포괄적 서비스 제공
다학제적 접근
관련 분야예방의학
역학
보건학
사회복지학
지역사회 의학
정의지역사회의 건강 문제와 요구를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해결하기 위한 의학 분야
목표지역사회 건강 증진
질병 예방 및 관리
건강 불평등 해소
특징인구 집단 중심
사회적 결정 요인 강조
다학제적 협력
정책 개발 및 평가
관련 분야예방의학
역학
보건행정학
사회과학
참고 문헌BMJ - What is Community Medicine?

2. 역사

1968년 영국의 왕립 의학교육위원회 보고서에서 지역사회의학 개념이 처음 등장했다.[6][7]

지역사회의학이 대두된 배경은 다음과 같다.[8]

내용
(1)기존 의학이 생의학적 모형에 입각한 병인론 중심으로 발달함에 따른 의료의 비인간화
(2)총체적이고 전인적인 의료의 요구
(3)질병 구조가 만성질환 중심으로 변화
(4)국민의 의료 요구 증대
(5)의료 자원의 편중



나가노현 스와 주오 병원이 주최한 지역 의료 연구회의 실천으로 "지역 의료"라는 개념이 일반화되었다. 스와 주오 병원의 모범은 와카츠키 슌이치가 있던 사쿠 종합 병원의 활동이었다. 와카츠키 슌이치는 자신들의 활동을 농촌 의료로 파악했으나, 농촌의 사회 구조 변화에 따라 지역 의료 활동은 농민만을 위한 것이 아니게 되었다. 1978년 알마아타 선언에서 1차 보건 의료가 정의되었고, 의료와 건강 문제를 주민 자치의 힘으로 해결하려는 생각이 제창되었다. 1970년대 후반에는 농촌 의료를 대신하여 지역 의료라는 개념이 형성되었다. 1979년 "지역 의료 연구회(가칭) 준비회"를 거쳐, 1980년 "지역 의료 연구회 '80"이 스와 주오 병원의 주관으로 개최되었다. 여기에는 각지에서 지역 의료를 행하고 있는 의사, 의대생, 자치 의과 대학 관계자 등이 모였다.

사쿠 시립 국보 아사마 종합 병원의 요시자와 쿠니오는 지역 의료를 "포괄 의료(보건 예방, 질병 치료, 후 요법 및 갱생 의료)를 지역 주민에게 사회적으로 적용하여 실천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이후 '도시에서의 지역 의료', '환자의 생명과 인권' 등으로 주제가 확대되었다. 선진적인 의료기관에서는 노인 데이 케어를 실시하거나, 병원을 중심으로 의료와 복지가 일체화된 보건 복지 거점 정비를 실시하였다.

1980년대에는 예방과 치료의 일체화, 1990년대에는 의료와 복지의 일체화가 과제였다. 최종 목표는 주민을 끌어들인 예방 의료, 환자에게 친절한 의료, 지속적인 복지를 일체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험은 지방 자치 단체의 보건 복지 계획의 모범이 되었고, 1980년대부터 1990년대에 공적 의료 기관으로 파급되었다. "지역 의료"라는 용어도 일반화되어, 현재는 국가 정책[1]에도 도입되어 후생 노동성과 대학 병원도 지역 의료 연계에 힘을 쏟고 있다. 2000년에는 도쿄 대학 의학부 부속 병원에 "지역 의료 연계부"의 전신인 "의료 사회 복지부"가 설립되었다.[2]

2. 1. 지역사회의학 개념의 등장

1968년 영국의 왕립 의학교육위원회 보고서에서 처음 개념이 대두되었다.[6][7]

지역사회의학이 대두된 배경은 다음과 같다.[8]

  • 기존 의학이 생의학적 모형에 입각한 병인론 중심으로 발달함에 따른 의료의 비인간화
  • 총체적이고 전인적인 의료의 요구
  • 질병 구조가 만성질환 중심으로 변화
  • 국민의 의료요구 증대
  • 의료자원의 편중


나가노현 스와 주오 병원이 주최한 지역 의료 연구회의 실천으로 "지역 의료"라는 개념이 일반화되었다. 스와 주오 병원의 모범은 와카츠키 슌이치가 있던 사쿠 종합 병원의 활동이었다. 와카츠키 슌이치는 자신들의 활동을 농촌 의료로 파악했다. 그러나 농촌의 사회 구조 변화에 따라, 지역에서의 의료 활동은 농민만을 위한 것이 아니게 되었다. 1978년 알마아타 선언에서 1차 보건 의료가 정의되었고, 의료와 건강 문제를 주민 자치의 힘으로 해결하려는 생각이 제창되었다. 1970년대 후반에는 농촌 의료를 대신하여 지역 의료라는 개념이 형성되었다. 1979년 "지역 의료 연구회(가칭) 준비회"를 거쳐, 1980년 "지역 의료 연구회 '80"이 스와 주오 병원의 주관으로 개최되었다. 여기에는 각지에서 지역 의료를 행하고 있는 의사, 의대생, 자치 의과 대학 관계자 등이 모였다.

사쿠 시립 국보 아사마 종합 병원의 요시자와 쿠니오는 지역 의료를 "포괄 의료(보건 예방, 질병 치료, 후 요법 및 갱생 의료)를 지역 주민에게 사회적으로 적용하여 실천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이후 '도시에서의 지역 의료', '환자의 생명과 인권' 등으로 주제가 확대되었다. 선진적인 의료기관에서는 노인 데이 케어를 실시하거나, 병원을 중심으로 의료와 복지가 일체화된 보건 복지 거점 정비를 실시하였다.

80년대에는 예방과 치료의 일체화, 90년대에는 의료와 복지의 일체화가 과제였다. 최종 목표는 주민을 끌어들인 예방 의료, 환자에게 친절한 의료, 지속적인 복지를 일체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험은 지방 자치 단체의 보건 복지 계획의 모범이 되었고, 80년대부터 90년대에 공적 의료 기관으로 파급되었다. "지역 의료"라는 용어도 일반화되어, 현재는 국가 정책[1]에도 도입되어 후생 노동성과 대학 병원도 지역 의료 연계에 힘을 쏟고 있다. 2000년에는 도쿄 대학 의학부 부속 병원에 "지역 의료 연계부"의 전신인 "의료 사회 복지부"가 설립되었다.[2]

2. 2. 지역사회의학의 발전

1968년 영국의 왕립 의학교육위원회 보고서에서 지역사회의학 개념이 처음 대두되었다.[6][7]

지역사회의학이 대두된 배경은 다음과 같다.[8]

내용
(1)기존 의학이 생의학적 모형에 입각한 병인론 중심으로 발달함에 따른 의료의 비인간화
(2)총체적이고 전인적인 의료의 요구
(3)질병 구조가 만성질환 중심으로 변화
(4)국민의 의료 요구 증대
(5)의료 자원의 편중



"지역 의료"라는 개념은 나가노현 스와 주오 병원이 주최한 지역 의료 연구회의 실천으로 일반화되었다. 스와 주오 병원의 모범은 농촌 지역 의료를 행하던 사쿠 종합 병원 등의 활동이었다. 사쿠 종합 병원의 와카츠키 슌이치는 자신들의 활동을 농촌 의료로 파악했다. 그러나 농촌의 사회 구조 변화에 따라, 지역에서의 의료 활동은 농민만을 위한 것이 아니게 되었다. 1978년 알마아타 선언에서 1차 보건 의료가 정의되었고, 의료와 건강 문제를 주민 자치의 힘으로 해결하려는 생각이 제창되었다. 1970년대 후반, 농촌 의료를 대신하는 지역 의료라는 개념이 형성되었다. 1979년 "지역 의료 연구회(가칭) 준비회"가 소규모로 개최되었고, 1980년 "지역 의료 연구회 '80"이 스와 주오 병원의 주관으로 개최되었다. 여기에는 각지에서 지역 의료를 행하는 의사, 의대생, 자치 의과 대학 관계자 등이 모였다.

사쿠 시립 국보 아사마 종합 병원의 요시자와 쿠니오는 지역 의료를 "포괄 의료(보건 예방, 질병 치료, 요양 및 갱생 의료)를 지역 주민에게 사회적으로 적용하여 실천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이후 '도시에서의 지역 의료', '환자의 생명과 인권' 등으로 주제가 확대되었다. 선진적인 의료기관에서는 노인 데이 케어를 실시하거나, 병원을 중핵으로 의료와 복지가 일체화된 보건 복지 거점 정비를 실시하는 등의 실천을 거듭했다.

80년대에는 예방과 치료의 일체화가, 90년대에는 의료와 복지의 일체화가 과제가 되었다. 최종 목표는 주민을 끌어들인 예방 의료, 환자에게 친절한 의료, 지속적으로 제공되는 복지를 일체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지역 의료에 선진적인 의료기관의 경험은 지방 자치 단체의 보건 복지 계획의 모범이 되었고, 80년대부터 90년대에 공적 의료 기관으로 파급되었다. "지역 의료"라는 용어도 일반화되어 사용되게 되었다. 현재에는 국가 정책[1]에도 도입되어, 후생 노동성과 대학 병원도 지역 의료 연계에 힘을 쏟고 있다. 2000년에는 도쿄 대학 의학부 부속 병원에 "지역 의료 연계부"의 전신인 "의료 사회 복지부"가 설립되었다[2]

2. 3. 한국의 지역사회의학

1970년대 후반, 스와 주오 병원을 중심으로 지역 의료 연구회 활동을 통해 "지역 의료"라는 개념이 대한민국에 널리 알려지기 시작했다.[6][7] 이는 농촌 의료를 실천하던 사쿠 종합 병원의 활동에 영향을 받은 것이다. 사쿠 종합 병원의 와카츠키 슌이치는 농촌의 사회 구조 변화에 따라, 지역에서의 의료 활동은 농민뿐만 아니라 모든 지역 주민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고 생각했다.[8]

1979년 "지역 의료 연구회(가칭) 준비회"가 소규모로 개최되었고, 1980년 "지역 의료 연구회 '80"이 스와 주오 병원 주관으로 개최되었다. 여기에는 대학 의국을 벗어나 각지에서 지역 의료를 실천하는 의사, 지역 의료를 지향하는 의대생, 자치 의과 대학 관계자 등이 모였다.

사쿠 시립 국보 아사마 종합 병원의 요시자와 쿠니오는 지역 의료를 "포괄 의료(보건 예방, 질병 치료, 후 요법 및 갱생 의료)를 지역 주민에게 사회적으로 적용하여 실천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1980년대에는 예방과 치료의 통합, 1990년대에는 의료와 복지의 통합이 주요 과제로 여겨졌다. 선진적인 의료기관들은 노인 데이 케어를 실시하고, 병원을 중심으로 의료와 복지가 통합된 보건 복지 거점 정비를 추진했다. 이러한 경험은 지방 자치 단체의 보건 복지 계획 모범이 되었고, 1980년대부터 1990년대에 국공립 병원 등으로 확산되었다.

2000년에는 도쿄 대학 의학부 부속 병원에 "지역 의료 연계부"의 전신인 "의료 사회 복지부"가 설립되었다.[2] 현재는 후생 노동성과 대학 병원도 지역 의료 연계에 힘을 쏟고 있다.[1]

3. 기본 요소 및 원리

지역사회의학은 다음의 기본 요소를 갖는다.[9]


  • '''책임성''': 필수적인 보건의료서비스를 전체 인구집단에 제공해야 한다.
  • '''효율성''': 한정된 자원을 잘 활용하며 극대화한다.
  • '''포괄적 보건의료 제공'''
  • '''질''': 서비스의 질을 유지해야 한다.
  • '''의료전달체계 확립'''
  • '''지역사회 참여'''
  • '''지역사회 개발'''
  • '''부문간 협조'''


지역사회보건의 기본 원리는 다음과 같다.

  • '''지역사회 중심성'''
  • '''주민의 자주성'''
  • '''효율성'''
  • '''종합성'''


지역 의료에서 의사 및 의료 종사자는 지역 주민 전체의 행복을 항상 생각하며 의료 활동을 수행해야 한다. 질병의 치료와 예방 활동은 동등하게 중요하게 여겨진다. 의사나 의료 종사자는 지역 주민에게 질병 예방, 건강 유지 및 증진을 위한 활동을 권장한다. 질병 치료뿐만 아니라 재활, 재택 요양 지원, 지역 사회에 거주하는 고령자, 장애인 지원 등의 사업도 수행한다. 임산부의 보건 지도 및 상담, 육아 지원 등도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재택 은둔형 외톨이 아동부터 성인까지의 지원 등도 그 활동 범위에 포함된다. 이러한 활동은 의료기관이 단독으로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 행정 및 주민 조직과 협력하여 추진하는 것이 특징이다. 지역 의료에서는 의사 및 의료 종사자의 활동과 더불어 지역 주민의 건강을 보호하는 활동이 중요하게 여겨진다. 지역 의료는 의료를 통해 사회의 민주화, 주민 자치를 추진하며, 의사와 지역 주민이 협력하여 더 나은 지역 사회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나가노현에 있는 사쿠 종합 병원의 와카츠키 슌이치는 "의료는 마땅히 지역 의료여야 하며, 지역을 제외한 의료는 있을 수 없다. 굳이 지역 의료라고 말하는 것은 얼마나 지역이 소홀히 취급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반증이다"라고 말했다. 이처럼 지역 의료라는 개념 자체가 현대 병원 중심의 의료에 대한 비판이 되고 있다.

4. 목표

치료를 중심으로 하는 임상의학과 대비되어 지역사회가 자발적으로 질병 예방 및 건강증진이라는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추구한다.[7] 지역 의료에서 의사 및 의료 종사자는 지역 주민 전체의 행복을 항상 생각하며 의료 활동을 수행해야 한다. 예방 활동은 질병의 치료와 동등하게 중요하게 여겨진다. 의사나 의료 종사자가 지역 주민에게 질병 예방, 건강 유지 및 증진을 위한 활동을 권장하는 것이다. 질병 치료에 그치지 않고 재활, 재택 요양 지원, 지역 사회에 거주하는 고령자, 장애인 지원 등의 사업을 수행한다. 임산부의 보건 지도 및 상담, 육아 지원 등도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재택 은둔형 외톨이 아동부터 성인까지의 지원 등도 그 활동 범위가 된다. 이러한 활동을 의료기관이 단독으로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 행정 및 주민 조직과 협력하여 추진하는 것이 특징이다. 지역 의료에서는 의사 및 의료 종사자의 활동과 더불어 지역 주민의 건강을 보호하는 활동이 중요하게 여겨진다. 지역 의료는 의료를 통해 사회의 민주화, 주민 자치를 추진하며, 의사와 지역 주민이 협력하여 더 나은 지역 사회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활동이다.

5. 과제

2000년 전후부터 인구 감소가 심한 시정촌의 자치단체 병원이나 벽지진료소의 경영난이 표면화되고 있다. 이는 삼위일체의 개혁으로 지방교부세가 삭감된 자치단체가 적자 공립 의료기관을 더 이상 지원할 수 없게 되었고, 진료 보수 개정으로 의료기관의 수입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또한 임상 연수 제도 시행에 따른 의사 부족도 심각한 문제이다. 지역 의료에 대한 보도는 여러 맥락으로 이야기되고 있는데, 대부분 "특정 지역의 의료"나 "가까운 의료"를 의미하지만, "(의료) 시스템", "종합의", "개업 의/병원의 의료/제도 및 행정을 포함한 의료" 등을 의미하는 경우도 있다.[4]

5. 1. 의료 인력 부족 및 편중 문제

2000년 전후부터 인구 감소가 심한 시정촌(市町村)의 자치단체 병원이나 벽지진료소의 경영난이 표면화되고 있다. 이는 삼위일체의 개혁으로 지방교부세가 삭감된 자치단체가 적자 공립 의료기관을 더 이상 지원할 수 없게 되었기 때문이다.[4] 진료 보수 개정으로 의료기관의 수입이 감소한 것도 이러한 경향에 영향을 주었다.[4] 또한 임상 연수 제도 시행에 따른 의사 부족도 심각하여, 산부인과학이나 소아과학 등에서는 진료과 폐쇄가 잇따르고 있다.[4] 지역 의료의 중심이 되는 공적 의료기관의 체력은 최근 몇 년간 급격히 소모되었으며, 지역 의료 제공 체제에 틈이 생길 수 있는 상황이 되었다.[4] 지역의 의료 공급 체제를 유지·발전시키기 위해, 다시금 지역 주민과의 연계 및 협동이 필요하게 되었다.[4]

5. 2. 공공의료 시스템 미비

1970년대 후반 나가노현 스와 주오 병원을 중심으로 지역 의료 연구회 활동을 통해 "지역 의료"라는 개념이 일반화되었다. 1978년 알마아타 선언에서 1차 보건 의료 개념이 나오면서, 의료와 건강 문제를 주민 자치의 힘으로 해결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지역 의료는 발전하였고, 선진 의료기관은 노인 데이 케어를 실시하는 등 의료와 복지가 일체화된 보건 복지 거점 정비를 추진했다. 이러한 경험은 지방자치단체의 보건 복지 계획 모범이 되었고, 80년대부터 90년대에 걸쳐 국공립 병원 등으로 파급되면서 "지역 의료"라는 용어가 일반화되었다.[1] 2000년에는 도쿄 대학 의학부 부속 병원에 "지역 의료 연계부"의 전신인 "의료 사회 복지부"가 설립되면서,[2] 국가 정책에도 도입되어 후생 노동성과 대학 병원도 지역 의료 연계에 힘을 쏟고 있다.

그러나 2000년 전후부터 인구 감소 지역을 중심으로 시정촌의 자치단체 병원이나 벽지진료소의 경영난이 심화되었다. 삼위일체의 개혁으로 지방교부세가 삭감되면서 적자 공립 의료기관에 대한 지원이 어려워졌고, 진료 보수 개정으로 의료기관 수입이 감소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임상 연수 제도 시행에 따른 의사 부족 문제도 심각하여, 산부인과학이나 소아과학 등에서 진료과 폐쇄가 잇따르고 있다. 이로 인해 지역 의료의 중심이 되는 공적 의료기관의 체력이 급격히 소모되어, 지역 의료 제공 체제에 틈이 생길 수 있는 상황이 되었다.[4]

5. 3. 지역 간 의료 격차

2000년 전후부터 인구 감소가 심한 시정촌의 자치단체 병원이나 벽지진료소의 경영난이 표면화되고 있다. 이는 삼위일체의 개혁으로 지방교부세가 삭감된 자치단체가 적자 공립 의료기관을 더 이상 지원할 수 없게 되었기 때문이다.[4] 진료 보수 개정으로 의료기관의 수입이 감소하고, 임상 연수 제도 시행에 따른 의사 부족도 심각하여 산부인과학이나 소아과학 등 진료과 폐쇄가 잇따르는 것도 이러한 경향을 가속화했다. 지역 의료의 중심이 되는 공적 의료기관의 체력은 최근 몇 년간 급격히 소모되었으며, 지역 의료 제공 체제에 틈이 생길 수 있는 상황이 되었다. 지역의 의료 공급 체제를 유지·발전시키기 위해, 다시금 지역 주민과의 연계 및 협동이 필요하게 되었다.[4]

5. 4. 재정 문제

2000년 전후부터 인구 감소가 심한 시정촌의 자치단체 병원이나 벽지진료소의 경영난이 표면화되고 있다. 이는 이른바 삼위일체의 개혁으로 지방교부세가 삭감된 자치단체가 적자 공립 의료기관을 더 이상 지원할 수 없게 되었기 때문이다. 진료 보수 개정으로 의료기관의 수입이 감소한 것도 이러한 경향에 박차를 가했다. 또한 임상 연수 제도 시행에 따른 의사 부족도 심각하여, 산부인과학이나 소아과학 등에서는 진료과 폐쇄가 잇따르고 있다. 지역 의료의 중심이 되는 공적 의료기관의 체력은 최근 몇 년간 급격히 소모되었으며, 지역 의료 제공 체제에 틈이 생길 수 있는 상황이 되었다. 지역의 의료 공급 체제를 유지·발전시키기 위해, 다시금 지역 주민과의 연계 및 협동이 필요하게 되었다.[4]

6. 교육

새로운 의사 임상 연수 제도(슈퍼 로테이트)에서는 한 달 이상의 지역 의료 연수가 필수가 되었다.[3]

참조

[1] 문서 1985年の医療法改正で、はじめて「地域医療計画」の策定が義務づけられた。
[2] 웹사이트 東京大学医学部附属病院 地域医療連携部 http://mssw.umin.jp/
[3] 간행물 의사 임상 연수 제도의 재검토에 대해 https://www.mhlw.go.[...] 후생노동성 2009-08-04
[4] 웹사이트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의료 만들기 - 자치의과대학 https://web.archive.[...] 2018-12-30
[5] 논문 What is Community Medicine? 2019-09-16
[6] 논문 What is Community Medicine? 2019-09-16
[7] 웹인용 지역사회의학과 일차보건의료 http://www.snu-dhpm.[...] 2019-09-16
[8] 서적 예방의학과 공중보건학 계축문화사
[9] 서적 예방의학과 공중보건학 계축문화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