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마아타 선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마아타 선언은 1978년 소련의 알마아타에서 열린 국제 회의에서 채택된 선언으로, 전 세계인의 건강 보호와 증진을 목표로 한다. 선언은 건강을 기본적인 인권으로 정의하고, 일차보건의료를 핵심 전략으로 제시하며, 건강 불평등 해소를 위해 국가 및 국제사회의 역할을 강조했다. 알마아타 선언은 일차보건의료의 개념을 확산시키고, 시민의 건강권 보장을 위한 노력을 촉구했지만, 1994년 세계보건기구는 목표 달성에 실패했음을 인정했다. 비판과 한계에도 불구하고, 알마아타 선언은 건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일차보건의료 모델을 제시하여 국제 보건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8년 소련 - 대한항공 902편 격추 사건
    대한항공 902편 격추 사건은 1978년 소련 영공을 침범한 대한항공 여객기가 소련 전투기에 격추되어 사상자가 발생하고 기체가 비상 착륙한 사건이다.
  • 1978년 소련 - 소유스 28호
    소유스 28호는 1978년 알렉세이 구바레프와 블라디미르 레메크를 태우고 살류트 6호 우주 정거장을 방문하여 과학 실험을 수행한 유인 우주선이다.
  • 일차의료 - 일차보건의료
    일차보건의료는 더 나은 건강 서비스 달성을 목표로 WHO가 제시한 5가지 핵심 요소와 공정한 분배, 지역 사회 참여 등의 원칙을 기반으로 하는 보건의료 접근 방식이다.
  • 일차의료 - 가정의학과
    가정의학은 일차 진료를 담당하며 환자의 포괄적인 건강 관리를 목표로 하는 의학 분야로, 여러 국가에서 제도를 운영하며 각 국가의 의료 시스템에 따라 발전해왔다.
  • 공중위생 - 공중보건
    공중보건은 조직적인 노력과 사회적 선택을 통해 질병을 예방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과학 기술이며, 환경보건, 역학, 보건관리 분야를 포함하여 개인과 인구 집단의 건강을 개선하고 평균 수명을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공중위생 - 건강 형평성
    건강 형평성은 사회경제적 요인, 인종, 성별, 지역 등에 의해 발생하는 건강 상태의 불공정한 차이로, 의료 접근성 향상, 사회경제적 불평등 완화, 건강 교육 강화, 차별 해소 등 다각적인 노력과 정책적 개입을 통해 해소해야 한다.
알마아타 선언
선언 정보
명칭알마아타 선언
원어 명칭Declaration of Alma-Ata
선언일1978년
위치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알마아타
주최세계 보건 기구(WHO)
공동 주최유니세프(UNICEF)
목표모든 인류의 건강을 보호하는 것
주요 내용1차 의료의 중요성 강조
건강 불평등 해소
지역사회 참여 장려
예방 중심의 보건 시스템 구축
국가 간 협력 강화
서명국국제연합 가맹국
관련 문서알마아타 선언 재확인

2. 배경

1978년 9월 6일부터 12일까지 WHO와 UNICEF가 공동 주최한 최초의 일차보건의료 국제 회의가 소련 알마아타에서 열렸다.[20] 회의 장소 유치를 위해 중국, 소련, 이란, 이집트, 코스타리카 등이 경쟁했으며, 200만달러를 지원한 소련이 개최지로 선정되었다. 134개국 정부 대표단과 67개 국제기구 관계자 등 3000명이 참석했으나, 소련과 정치적 갈등을 겪던 중국은 불참했다.[19] 회의 결과 전 세계인의 건강 보호와 증진을 위한 알마아타 선언이 채택되었다. 1979년 세계보건총회에서 알마아타 선언이 주요 안건으로 다뤄지면서 일차보건의료 개념이 궤도에 올랐다.[21]

2. 1. 1960-70년대 개발도상국의 보건 사업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걸쳐 많은 개발도상국이 낙후 지역을 대상으로 지역보건사업을 시작하였다. 맨발의 의사로 불린 의료보조원을 도입한 중국과, 라틴 아메리카를 중심으로 일어난 보건개혁운동이 대표적이다.[13][14]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 비해 효과는 미미했다.[15] 이에 따라 보건 문제의 하향식 접근(Top-Down approach)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고, 자연스럽게 일차보건의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16]

2. 2. 일차보건의료에 대한 국제적 관심 증대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걸쳐 많은 개발도상국이 낙후 지역을 대상으로 지역보건사업을 시작하였다. 맨발의 의사로 불린 의료보조원을 도입한 중국과, 라틴 아메리카를 중심으로 일어난 보건개혁운동이 대표적이다.[13][14]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 비해 효과는 미미했다.[15] 이에 따라 보건 문제의 하향식 접근(Top-Down approach)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고, 자연스럽게 일차보건의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16] 1973년부터 1978년까지 중국소련 및 일부 아프리카 국가들과 함께 WHO를 상대로 보건에 대한 상향식 접근방법("Grassroots" approach)의 도입을 촉구했다.[17] 캐나다의 보건복지부 장관 마크 라론드는 1974년 《''A new perspective on the health of Canadians''》, 통칭 라론드 보고서를 통하여 포괄적인 의료와 건강증진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뒤이어 WHO의 사무총장 할프단 말레르의 지휘 아래 보건에 대한 대안적 접근이 시도되었고, 1976년부터 1978년까지 지역 단위의 회의가 소집되어 일차보건의료의 쟁점들이 논의되었다.[18][19]

2. 3. 알마아타 회의 개최

알마아타 선언은 기술 협력 정신과 신국제경제질서에 따라 전 세계, 특히 개발도상국에서 1차 보건 의료를 개발하고 구현하기 위한 시급하고 효과적인 국가 및 국제적 조치를 요구했다. 선언의 정서는 중국의 맨발의 의사 제도에 부분적으로 영감을 받았으며, 이는 중국 농촌 지역의 1차 의료의 현 상태에 혁명을 일으켰다.[2] 선언은 각국 정부, 세계 보건 기구(WHO), 유니세프(UNICEF) 및 기타 국제기구, 다자간 및 양자간 기구, 비정부 기구, 자금 지원 기관, 모든 보건 인력 및 세계 공동체에 1차 보건 의료에 대한 국가적 및 국제적 약속을 지원하고, 특히 개발도상국에 대한 기술 및 재정 지원을 확대할 것을 촉구했다.

3. 알마아타 선언의 내용

알마아타 선언은 세계인의 건강 보호와 증진, 건강 불평등 해소를 위해 다양한 층위에서 일차보건의료 전략이 적용되어야 함을 주장하는 선언문으로, 총 10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선언은 신국제경제질서와 기술 협력 정신에 따라 전 세계, 특히 개발 도상국에서 1차 보건 의료를 개발하고 구현하기 위한 긴급하고 효과적인 국가 및 국제적 조치를 요구했다. 이러한 정서는 중국의 맨발의 의사 제도에서 부분적으로 영감을 받아, 중국 농촌 지역의 1차 의료에 큰 영향을 주었다.[2]

선언은 각국 정부, 세계 보건 기구(WHO), 유니세프(UNICEF) 및 기타 국제기구, 다자간 및 양자간 기구, 비정부 기구, 자금 지원 기관, 모든 보건 인력 및 세계 공동체에 1차 보건 의료에 대한 국가적 및 국제적 약속을 지원하고, 특히 개발도상국에 대한 기술 및 재정 지원을 확대할 것을 촉구했다. 또한, 이러한 기관들이 선언의 정신과 내용에 따라 1차 보건 의료를 도입, 개발 및 유지하는 데 협력할 것을 촉구했다. 선언은 10가지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회원국에 구속력이 있지는 않다.

선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건강의 정의와 건강권: WHO 헌장에 제시된 건강의 정의를 언급하며 인권으로서의 건강권을 강조한다.
  • 건강 불평등: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의 건강 불평등 상태를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으로 용납할 수 없는 것으로 규정했다.
  • 일차보건의료의 정의와 구성 요소: 일차보건의료는 실용적이고 과학적으로 타당하며 사회적으로 수용 가능한 방법과 기술에 기반한 필수적인 보건의료로 정의된다.
  • 국가와 국제사회의 역할: 국가는 국민의 건강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하며, 만인을 위한 건강을 주요 목표로 설정했다.
  • 적정 기술과 지역사회 참여: 할프단 말레르는 사회적 맥락을 고려하지 않은 보건의료기술을 비판했으며, 알마아타 선언은 적정 기술에 관한 내용을 언급한다.
  • 사회경제적 발전과 건강: 건강권 보장을 위해 경제적, 사회적 발전이 필요하며, 시민의 건강 보호가 지속가능한 사회경제적 발전과 세계 평화에 기여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3. 1. 건강의 정의와 건강권

알마아타 선언의 1번 항목은 1948년 WHO 헌장에 제시된 건강의 정의를 언급하며 인권으로서의 건강권을 강조한다.[23] WHO는 건강을 "단순한 질병이나 허약함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완전한 안녕 상태"로 정의한다.[3] 이는 건강 달성의 범위에 사회 및 경제 부문을 포함시키고 건강을 인권으로 재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선언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의 건강 불평등 상태를 강조하고 이를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으로 용납할 수 없는 것으로 규정했다.

3. 2. 일차보건의료의 정의와 구성 요소

알마아타 선언에서 일차보건의료는 실용적이고 과학적으로 타당하며 사회적으로 수용 가능한 방법과 기술에 기반한 필수적인 보건의료로 정의된다.[22] 이는 지역사회의 전면적인 참여와 자기 결정권을 강조하며, 국가 보건 시스템의 핵심 기능이자 주요 구성 요소이다.[22]

일차보건의료는 지역사회의 보건 문제를 다루는 예방, 치료, 재활 및 건강 증진 서비스를 포괄한다.[28] 기존의 질병 중심, 병원 중심 전략과는 달리, 공중 보건 개념을 적극 도입하여 지역사회와 가족 단위의 보건 전략을 제시하였다.[28]

선언문에서는 일차보건의료가 포괄해야 할 최소한의 범위로 다음 8가지를 제시하고 있다.[22]

번호내용
1보건 교육
2영양
3물과 위생
4재생산건강(모자보건)
5예방 접종
6풍토병 관리
7흔한 질병 및 외상의 치료
8약물 접근성



이러한 요소들은 지역사회의 주요 건강 문제를 대상으로 하며, 건강 증진, 예방, 치료, 사회 복귀 서비스를 적절히 제공한다.

알마아타 선언은 일차보건의료의 실현을 위해 주민의 자주적인 참가가 필수적이며, 행정기관과 지역주민, 보건의료종사자가 모두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한다.[22] 특히, 지역사회의 자발적 참여를 통해 의료 취약계층이 지역사회의 일원으로서 보건 문제에 직접 기여하도록 하는 혁신적인 전략을 제시하였다.[28]

3. 3. 국가와 국제사회의 역할

국가는 적절한 보건 및 사회 정책을 통해 국민의 건강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2] 2000년까지 전 세계 모든 사람이 사회적, 경제적으로 생산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건강 수준을 달성하는 것(만인을 위한 건강)이 주요 목표였다.[2] 이를 위해 세계 보건 기구(WHO), 유니세프(UNICEF)를 포함한 국제기구, 비정부기구, 보건의료 종사자, 국제사회가 일차보건의료에 대한 국가적, 국제적 약속을 지원하고, 개발도상국에 대한 기술 및 재정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2] 특히, 신국제경제질서에 따라 개발도상국에서 일차보건의료를 발전시키고 실시하기 위한 긴급하고 효과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3. 4. 적정 기술과 지역사회 참여

알마아타 선언 6번 항목에서는 적정 기술에 관한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25] 할프단 말레르는 사회적 맥락을 고려하지 않은 보건의료기술을 비판한 바 있다.[19] 특히 병원 등의 의료시설이 도시에 집중되는 현상, 의료비 부담을 지우는 특정 기술 등이 지목되었다.[26][27]

알마아타 선언의 7-2번 항목은 일차보건의료지역사회의 보건 문제를 다루는 예방, 치료, 재활 및 건강 증진 서비스로 정의한다. 기존의 질병 중심, 병원 중심 전략과는 다르게 공중 보건의 개념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지역사회와 가족 단위의 보건 전략을 제시하였다.[28] 이는 치료와 예방 프로그램의 균형을 맞추어 비용 효과적으로 경제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하였다.[16] 선언의 7-5번 항목은 일차보건의료에 대한 지역사회의 자발적 참여를 요구한다. 이는 4번 항목에 명시된 개인의 참여 의무와 연계된다. 이러한 시도는 의료 취약계층이 일방적인 혜택만 받는 것에서 벗어나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보건 문제에 직접 기여하도록 하는,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전략이었다.[28] 특히 이러한 접근은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지역보건의료인력의 형태로 지역사회의 보건 문제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29] 이를 통해 보건의료계획에 사회 정의 개념이 흡수될 수 있었다.[28]

3. 5. 사회경제적 발전과 건강

건강권 보장을 위해 경제적, 사회적 발전이 필요하며, 동시에 시민의 건강 보호가 지속가능한 사회경제적 발전과 세계 평화에 기여한다는 점을 역설하였다. 이는 1974년 UN 제6회 특별총회에서 통과된 신국제경제질서와 같은 비전을 공유하며, 실제로 선언문에서도 신국제경제질서에 기초한 담론임을 명시하고 있다.[30] 건강을 단순한 생의학적 결과물로 치부하던 기존 담론과 달리 사회적 맥락에서 건강을 표방하였다는 의의가 있다.[28] 할프단 말레르는 "발전의 도구로서의 건강"을 주장했는데, 이 항목은 그의 주장을 잘 나타낸다. 일차보건의료가 제시한 건강 증진 목표들을 민간 영역과 공공 영역의 합동으로 달성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전반적인 삶의 질이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이다.[19]

4. 알마아타 선언의 영향과 의의

알마아타 선언은 기본적인 보건·건강서비스를 누리는 것이 인간의 기본적 인권임을 확인하고, 일차보건의료를 핵심 모델로 제시하여 국제 보건 정책과 실천에 큰 영향을 미쳤다.[16][31] 일차보건의료 개념은 NGO들의 활동에도 영향을 주어, 구호 및 개발 사업에 일차보건의료 원리가 수용되도록 하였다.[33]

선언은 신국제경제질서와 기술 협력 정신에 따라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1차 보건 의료를 발전시키기 위한 국가적, 국제적 조치를 촉구했다. 특히 중국의 맨발의 의사 제도는 선언의 정신에 부분적으로 영감을 주었다.[2]

선언은 각국 정부, 세계 보건 기구(WHO), 유니세프(UNICEF) 및 기타 국제기구, 비정부 기구, 자금 지원 기관, 모든 보건 인력과 세계 공동체가 1차 보건 의료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개발도상국에 대한 기술 및 재정 지원을 늘릴 것을 촉구했다. 또한, 관련 기관들이 선언의 정신에 따라 1차 보건 의료를 도입, 개발, 유지하는 데 협력할 것을 강조했다. 선언은 10가지 조항으로 구성되었지만, 회원국에 구속력을 가지지는 않는다.

4. 1. 기본적 인권으로서의 건강권 확립

알마아타 선언의 1번 항목은 1948년 WHO 헌장에 제시된 건강의 정의를 언급하며 인권으로서의 건강권에 대해 강조한다. 이어 2번 항목에서 건강 불평등이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는 개념임을 언급한다. 이 선언은 이후에 논의되는 보편적 인권으로서의 건강권 확보에 큰 이정표가 된다.[23] WHO의 사무총장 할프단 말레르는 이에 대해 "가진 자와 못 가진 자가 이뤄낸 숭고한 합의"라는 평을 하였다.[24]

알마아타 선언의 의의는 기본적인 보건·건강서비스를 누리는 것이 인간에게 주어진 기본적 인권이라는 것을 확인한 점이다.[16][31] 알마아타 선언에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공식적으로 채택된 모델은 일차보건의료였으며, 이는 지역사회의 참여가 동반된 지역사회 기반의 예방치료 서비스의 보편적 적용을 의미하였다.[16][32]

4. 2. 일차보건의료 모델의 확산

알마아타 선언은 기본적인 보건·건강 서비스를 누리는 것이 인간의 기본적 인권임을 확인하였다.[16][31] 알마아타 선언에서 의료 서비스 제공을 위해 공식적으로 채택된 모델은 일차보건의료였으며, 이는 지역사회의 참여가 동반된 지역사회 기반의 예방치료 서비스의 보편적 적용을 의미하였다.[16][32] 1980년대 이후 NGO들은 기존의 구호나 개발사업에서 벗어나 알마아타 선언을 기초로 한 일차보건의료의 원리를 수용하여 다양한 활동을 펼칠 수 있었다.[33]

4. 3. 아스타나 선언 (2018)

세계보건기구유니세프, 카자흐스탄 정부는 2018년 10월 25일과 26일 양일간 아스타나에서 알마아타 선언 40주년 기념행사를 열고, 보편적 건강보장을 위해 강력한 일차보건의료가 필수적이라는 사실을 재확인하였다.[34] 이 회의에서 알마아타 선언을 재확인하고 확대한 아스타나 일차 의료 선언이 채택되었다.[7]

5. 비판과 한계

WHO가 1994년에 알마아타 선언의 "2000년까지 모든 사람에게 건강을"이라는 목표가 실패했음을 인정하면서, 많은 비판이 제기되었다.[22] 특히, 선언의 내용이 너무 광범위하고 비현실적이며, 명확한 목표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마르코스 쿠에토는 그의 논문에서 알마아타 선언이 비현실적이고 이상적이며, 너무 광범위하다는 비판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비판에 따라, 1979년 록펠러 재단이탈리아 벨라지오에서 회의를 후원하여 일차보건의료의 목표를 구체화하고 더 효과적인 전략을 수립하고자 했다. 그 결과, 특정 질병에 대한 저비용 해결책에 집중하는 선택적 일차 보건 의료가 도입되었다.

알마아타 선언은 또한 보건 재정 문제, 지속가능성, 환경보건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았다.[30][17] 일부에서는 시민들의 목소리를 더욱 반영하고, 의료중심주의일차보건의료의 한계를 넘어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을 해결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45]

5. 1. 목표 달성 실패와 원인 분석

1994년 WHO는 "2000년까지 모든 사람에게 건강을"이라는 알마아타 선언의 목표가 실패했음을 인정하였다.[22] 많은 전문가들이 알마아타 선언 실행 단계에서의 문제점과 선언 자체의 근본적인 한계를 비판했다. 민중건강운동은 《민중건강헌장》에서 알마아타 선언의 실패와 건강 불평등 심화를 언급하며, 정부국제기구의 무능을 원인으로 지적하였다.[35][36]

국제기구정부, 민간 영역에 퍼져있던 성과우선주의와 비관주의는 일차보건의료 확충이라는 알마아타 선언의 본질을 추구하는데 큰 장애물이었다.[37][38] 페루보건부 장관이자 세계보건기구 심의관을 역임한 데이비드 테하다는 '"모든 사람에게 건강을"이라는 슬로건이 사회적, 정치적 의도를 내포하고 있었지만, 현장에서는 관료주의적이고 기술적인 의미로 받아들여졌다'고 회고하였다.[17][37]

할프단 말레르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세계보건기구는 1980년대 세계은행의 영향으로 보건·건강서비스의 영리화를 막지 못했다.[38][39] 1988년 나카지마 히로시 사무총장 선출 이후 세계보건기구는 재정 불안, 강대국들의 입김, HIV/AIDS 등의 공중보건 위기, 관료주의 구조에 의한 비효율성 등의 문제점을 보이며 알마아타 선언의 목표를 달성할 수 없었다.[38]

워싱턴 컨센서스신자유주의 경제체제가 알마아타 선언의 실현 가능성을 저해했다는 분석도 있다. 1982년 멕시코 외채위기를 시작으로 IMF가 주도하는 신자유주의적 국제질서가 세계를 강타하였다.[40] 선택적 1차 보건관리 운동과 UNICEF의 정책은 일정한 성과를 거두었지만, 세계은행의 가성비 논리를 피할 수 없었다.[41] GOBI-FFF 프로그램으로 대표되는 유니세프의 보건사업은 아동 건강 및 예방접종에 큰 개선을 가져왔지만, 보건의료체계 강화를 무시하여 지속가능성에서 문제를 드러냈다.[42]

1990년대 세계은행은 보건 투자를 늘리면서도, 1993년 《''World Development Report 1993: Investing in Health''》를 통해 가성비와 경제학적인 분석 기반이 보건 분야의 우선순위 결정에서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41] 이는 경제논리가 건강 자체보다 우선시되는 문제를 야기했고, 건강 형평성을 가치로 한 알마아타 선언과 반대되는 결과를 낳았다.[16][43][44]

알마아타 선언의 근본적 한계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알마아타 선언이 보건 재정 문제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지적,[30] 지속가능성과 환경보건을 다루지 못했다는 비판,[17] 건강 문제에 시민들의 목소리를 더 반영하고 의료중심주의일차보건의료의 한계를 넘어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을 해결해야 한다는 비판도 있다.[45]

5. 2. 선택적 일차보건의료 (Selective Primary Health Care)

1978년 알마아타 선언의 광범위함과 비현실성에 대한 비판으로, 특정 질병에 대한 저비용 해결책에 집중하는 선택적 일차보건의료(Selective Primary Health Care)가 등장했다.[5] 록펠러 재단은 1979년 이탈리아 벨라지오에서 회의를 열어 일차보건의료의 목표를 구체화하고 더 효과적인 전략을 모색했다.

선택적 일차보건의료는 주요 사망 원인에 대한 저비용 해결책을 제시하며, 명확하고 측정 가능한 목표를 가졌다. 이는 GOBI(성장 모니터링, 경구 수분 보충 요법, 모유 수유, 예방 접종)로 알려졌으며, 이후 GOBI-FFF(식품 보충, 여성 문맹 퇴치, 가족 계획 추가)로 발전했다.[5]

UNICEF의 GOBI-FFF 프로그램은 아동 건강과 예방접종에 큰 개선을 가져왔지만, 보건의료체계 강화를 무시하여 지속가능성에 문제를 드러냈다.[42]

하지만 선택적 일차보건의료는 건강에 대한 제한적인 접근 방식이며, 통합적 치료에 기여하지 않고, 질병의 근본 원인인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을 다루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았다.[5]

5. 3. 기타 비판

알마아타 선언은 보건 재정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지 못해 실패의 원인을 제공했다는 비판을 받는다.[30] 일부 학자들은 선언이 지속가능성과 환경보건 문제를 충분히 다루지 못했다고 지적한다.[17] 또한, 시민들의 목소리를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의료중심주의일차보건의료의 한계를 넘어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을 해결해야 한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45]

6. 한국 사회에의 적용과 과제

알마아타 선언의 정신은 한국 사회에 여러 방면으로 적용되었지만,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남아 있다.

참조

[1] 간행물 Declaration from the website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https://www.who.int/[...] WHO
[2] 웹사이트 "WHO {{!}} China's village doctors take great strides" https://web.archive.[...] 2019-10-23
[3] 간행물 Definition of health from WHO Constitution. The same is reaffirmed by the Alma Ata Declaration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6
[4] 웹사이트 "WHO | Keynote address at the International Seminar on Primary Health Care in Rural China" http://www.who.int/d[...] 2007-12-12
[5] 논문 "The Origins of Primary Health Care and Selective Primary Health Care" Am J Public Health 2004
[6] 웹사이트 Countries Around the World Just Pledged to Provide Decent Primary Health Care to All Their Citizens https://www.undispat[...] 2018-10-30
[7] 보고서 Declaration of Astana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4-01-08
[8] 웹사이트 Alma-Ata Declaration (Alma-Ata, 21 December 1991) http://www.cvce.eu/o[...] CVCE Centre for European Studies 2013-08-09
[9] 웹사이트 Declaration of Alma-Ata(アルマ・アタ宣言原文) http://www.who.int/h[...] WHO 2009-10-14
[10] 간행물 WHO憲章における健康の定義。同定義がアルマ・アタ宣言においても再確認された。 http://www.who.int/g[...]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6
[11] 문서 2007年11月、中国農村地域で開かれたPHCに関する国際セミナーにおけるマーガレット・チャン博士の基調講演 http://www.who.int/d[...]
[12] 서적 いのち・開発・NGO 子供の健康が地球社会を変える David Werner 著 池住 義憲訳 新評論
[13] 저널 China's barefoot doctor: Past, present, and future
[14] 서적 Social Policy Expansion in Latin America 2019-09-05
[15] 저널 Health care in developing countries https://archive.org/[...] 2019-09-05
[16] 저널 Health for all beyond 2000: the demise of the Alma-Ata Declaration and primary health care in developing countries https://archive.org/[...] 2019-09-05
[17] 저널 Health for All Now! Reviving the spirit of Alma Ata in the twenty-first century: An Introduction to the Alma Ata Declaration https://socialmedici[...] 2019-09-05
[18] 저널 Halfdan Mahler 2019-09-05
[19] 저널 The ORIGINS of Primary Health Care and SELECTIVE Primary Health Care 2019-09-05
[20] 웹인용 라론드 보고서 (Lalonde's report) http://www.snu-dhpm.[...] 2019-09-05
[21] 웹인용 THE WORK OF WHO 1978-1979 https://apps.who.int[...] 2019-09-05
[22] 저널 Return to Alma-Ata 2019-09-05
[23] 웹인용 ALMA-ATA at 40: A Milestone in the Evolution of the Right to Health and an Enduring Legacy for Human Rights in Global Health https://www.hhrjourn[...] 2019-09-05
[24] 저널 Health financing to promote access in low income settings—how much do we know? 2019-09-05
[25] 저널 Supporting the delivery of cost-effective interventions in primary health-care systems in low-income and middle-income countries: an overview of systematic reviews 2019-09-05
[26] 저널 Reflections on Alma-Ata http://www.indiaenvi[...] 2019-09-05
[27] 웹인용 Primary Health Care: Where Are We 40 Years After Alma-Ata? https://www.isglobal[...] 2019-09-05
[28] 저널 Alma-Ata 30 years on: revolutionary, relevant, and time to revitalise 2019-09-05
[29] 웹인용 Global strategy for health for all by the year 2000 https://apps.who.int[...] 2019-09-05
[30] 저널 From health for all to universal health coverage: Alma Ata is still relevant 2019-09-05
[31] 저널 Alma Ata after 40 years: Primary Health Care and Health for All—from consensus to complexity https://www.research[...] 2019-11-20
[32] 저널 Is the declaration of Alma Ata still relevant to primary health care? 2019-11-20
[33] 저널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health delivery in sub-Saharan Africa http://documents.wor[...] 2019-11-20
[34] 웹인용 Countries Around the World Just Pledged to Provide Decent Primary Health Care to All Their Citizens https://www.undispat[...]
[35] 웹인용 People’s Charter for Health https://phmovement.o[...] 2019-11-20
[36] 웹인용 민중건강헌장 People's Charter For Health https://archive.phmo[...] 2019-11-20
[37] 웹인용 Alma-Ata Revisited http://www1.paho.org[...] 2019-11-20
[38] 저널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and the Transition From “International” to “Global” Public Health 2019-11-20
[39] 저널 Halfdan Mahler: Architect and Defender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Health for All by 2000” Declaration of 1978 2019-11-20
[40] 뉴스 신자유주의는 왜 문제인가? http://www.pressian.[...] 2019-11-20
[41] 서적 Reimagining Global Health: An Introduction 생각과 사람들 2019-11-20
[42] 서적 Evaluating International Public Health Issues: Critical Reflections on Diseases and Disasters, Policies and Practices Springer Singapore 2019-11-20
[43] 서적 Reimagining Global Health: An Introduction 생각과 사람들 2019-11-20
[44] 저널 The enduring legacy of Alma Ata: 30 years on 2019-11-20
[45] 웹인용 일차’의료’를 넘어서 지역건강체계 개편으로 2019-1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