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나라 (춘추시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나라는 춘추 시대에 존재했던 제후국으로, 당숙 우가 봉해지면서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당'으로 불렸으나, 진후 섭 때 '진'으로 국명을 변경했다. 주나라 성왕은 동생 당숙우를 당에 봉했고, 그의 아들 진후 섭이 국명을 진으로 바꾸었다. 이후 진나라는 익과 곡옥 간의 권력 다툼을 겪었고, 곡옥 무공이 진나라를 병합하여 통일했다. 춘추 시대에는 헌공이 주변 국가들을 병합하며 세력을 확장했고, 문공은 패권을 장악하여 오패 중 하나로 인정받았다. 이후 귀족 세력이 강화되면서 조, 위, 한 세 가문이 진나라를 분할하여 전국 시대가 시작되었고, 기원전 376년 위, 한 연합군에 의해 멸망했다. 진나라는 삼군 체제를 갖추고, 육경을 중심으로 하는 관료 체제를 운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나라 (희성) - 위 (전국)
위나라는 기원전 453년 진나라에서 분열되어 성립된 전국시대 국가로, 위 문후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이후 쇠퇴하여 기원전 225년 진나라에 의해 멸망했다. - 진나라 (희성) - 조씨고아
조씨고아는 한나라 시대의 조씨 가문 사건을 다룬 희곡으로, 유교적 도덕과 가족 복수를 주제로 하며, 지쥔샹의 희곡을 바탕으로 무대극으로 발전하여 여러 언어로 번역되고 각색되었다. - 옛 후국 - 카탈루냐 공국
카탈루냐 공국은 스페인 동북부에 위치한 역사적인 지역으로 독특한 문화와 전통을 지니고 있으며, 미술, 종교, 요리는 지역 정체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적 요소이다. - 옛 후국 - 트리어 선제후국
트리어 선제후국은 트리어 대주교가 통치하며 신성 로마 제국의 선제후 지위를 가진 국가였으나, 프랑스 혁명 전쟁으로 해체되고 제국대표자회의 결의에 따라 세속화되었다. - 산시성 (산서성)의 역사 - 북한 (십국)
북한은 오대 십국 시대에 유숭이 건국한 국가로 후한의 부흥을 표방하며 요나라의 지원을 받아 후주 및 송나라와 대립하다가 979년 송나라에 멸망했다. - 산시성 (산서성)의 역사 - 조 (전국)
조는 주나라 목왕의 신하 조보의 후손인 조씨가 건국한 국가로, 춘추 시대 말 진나라 분열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으며, 무령왕 때 국력이 신장되었으나 기원전 228년 진나라에 멸망했다.
진나라 (춘추시대) | |
---|---|
개요 | |
국명 | 진(晉) |
한자 표기 | t: 晉 s: 晋 |
로마자 표기 | p: Jìn w: Chin4 mi: gr: Jinn suz: Tsǐn j: Zeon3 y: Jeun ci: tl: Tsìn poj: Chìn mc: Tsìn oc-bs: * |
일본어 표기 | 晋 (しん) |
한국어 표기 | 진(晉) |
상세 정보 | |
시대 | 고대 |
지위 | 후(侯) (1042–678 BC) |
정치 체제 | 군주제 |
존속 기간 | 기원전 11세기 – 기원전 369년 |
수도 | 당(唐) (唐) 취워(曲沃) (曲沃) 강(絳) (絳) 신톈(新田) (新田) |
사용 언어 | 고대 중국어 |
종교 | 도교, 애니미즘, 조상 숭배 |
화폐 | 포전 |
역사 | |
건국 | 기원전 11세기 |
멸망 | 기원전 369년 |
분할 | 기원전 403년 |
지도 및 위치 | |
![]() | |
국가 변천 | |
이전 | 주나라 |
이후 | 한(韓) 조(趙) 위(魏) |
군주 | |
시조 | 당숙우 |
마지막 군주 | 진나라 효공 |
2. 역사
진나라는 주나라 성왕이 동생 당숙우를 당에 봉하면서 시작되었다.[2] 당숙우의 아들 섭 때 분수의 지류인 진수(晋水)에서 유래하여 국명을 진(晋)으로 바꾸었다.[32]
진나라는 산시 고원 펀강 하류 유역에 위치하여 주변 부족들을 정복하거나, 주변 국가들과 경쟁할 기회를 얻었다. 소후 때부터 곡옥을 분가받은 숙부 성사(환숙)와의 권력 다툼이 시작되었고, 기원전 678년 곡옥 무공이 진나라 본가를 멸망시키고 진나라를 통합했다.[1]
진 헌공은 주나라의 봉건 제도를 무너뜨리고, 산시성에서 16개 또는 17개의 작은 국가를 병합하는 등 정복 활동을 펼쳤다.[32] 헌공 사후 혼란을 겪었으나, 진 문공이 성복 전투(기원전 632년)에서 초를 격파하고 패자가 되었다.[32]
경공 때 비의 전투(기원전 597년)에서 초나라에게 패하기도 했지만,[32] 여공 때 언릉 전투(기원전 575년)에서 승리하여 패권을 되찾았다.[32] 그러나 여공 사후 도공 때는 귀족 세력이 강화되었다.[32]
진 도공 이후, 범(范), 중행(中行), 지(智), 한(韓), 조(趙), 위(魏)의 6개 가문(육경, 六卿)이 국정을 장악했다.[30] 진 정공 시대(기원전 490년)에 범씨와 중행씨가 멸망하고, 진 출공이 망명 중 사망하면서(기원전 458년) 진나라는 힘을 잃었다.
기원전 453년 진양 전투에서 지씨가 멸망하고 진나라 영토는 조, 위, 한 삼가에 의해 분할되었다. 기원전 403년, 주나라 위열왕은 한, 위, 조 세 가문을 제후로 공인하면서 진나라는 공식적으로 삼진으로 분열되었다. 기원전 376년 한, 위 연합군에 의해 멸망하고 정공은 서인이 되었다.[14][15]
2. 1. 건국과 초기 발전
주나라 성왕은 동생 당숙우와 뜰의 나뭇가지를 사용하여 "이것으로 너를 봉하겠다"라며 봉건 의식 흉내를 내며 놀았다. 성왕이 궁궐로 돌아가자 재상인 尹佚|윤일중국어이 "우 전하를 어디에 봉하시겠습니까?"라고 물었다. 성왕은 놀라 "나는 그저 놀았을 뿐이다"라고 대답했지만 재상은 "천자에게 농담은 없습니다. 왕이 발한 말은 뒤집을 수 없습니다"라고 대답했다.[32] 주공단이 반란을 일으킨 당을 정벌하여 멸망시키자, 성왕은 우를 당에 봉하여 당숙우로 삼았다. 당숙 우가 봉건될 때에는 나라 이름을 '당'(唐)이라 했다.[2] 우의 아들 섭 때 분수의 지류인 진수(晋水)에서 유래하여 국명을 진(晋)으로 바꾸었다.[32]진나라는 산시 고원의 펀강 하류 유역에 위치해 있었다. 북쪽에는 서융과 북적 민족이 있었고, 동쪽에는 타이항 산맥이, 남쪽에는 중뱌오 산맥이 있었다. 이러한 위치는 진나라에게 주변 부족들을 정복하고 흡수하거나, 주변 국가들과 경쟁할 기회를 제공했다.
2. 2. 익과 곡옥의 내분 (기원전 745년 ~ 기원전 677년)
소후 때, 소후의 숙부인 성사(成師)가 곡옥 땅을 받아 분가하여, 사후 환숙으로 불렸다. 곡옥은 비옥한 땅으로 수도 익(翼)보다 번성하였고, 이후 익의 본가와 곡옥 간의 치열한 권력 다툼이 시작되었다. 곡옥 환숙, 장백, 무공으로 이어지는 세 번의 시도 끝에, 결국 기원전 678년 곡옥 무공이 진나라 본가를 멸망시키고 진나라를 통합했다.[1] 이는 주나라의 봉건 질서가 약화되고 제후국의 자립성이 강화되는 춘추시대의 특징을 보여주는 사건이다.2. 3. 춘추 시대의 패권 장악 (기원전 676년 ~ 기원전 573년)
진 헌공은 사촌들을 제거하거나 추방하고, 다양한 사회적 배경을 가진 관리들을 임명하여 통치함으로써 주나라의 봉건 제도를 무너뜨렸다.[32] 그는 산시성에서 16개 또는 17개의 작은 국가를 병합하고, 38개의 다른 국가를 지배했으며, 많은 수의 융족 부족들을 흡수했다. 정복된 국가들 중 일부는 경(耿), 곽(霍), 옛 위(魏), 우(虞) 그리고 서곽이었다.[32] 헌공 사후, 여희의 난으로 인해 태자 신생은 자결하고, 공자인 중이와 이오는 국외로 도망치는 등 나라가 혼란에 빠졌다.[32]이후 여러 나라를 망명하던 중이가 귀국하여 '''진 문공'''이 되었고, 주실의 내란을 다스리고 성복 전투(기원전 632년)에서 초를 격파하는 등, 권세를 강화하여 중원의 패자가 되었다.[32]
경공 때 비의 전투(기원전 597년)에서 초나라에게 크게 패하여, 천하의 패권이 초나라로 넘어가기도 했다.[32] 그러나 여공 때 언릉 전투(기원전 575년)에서 승리하여 초나라로부터 천하의 패권을 되찾았다.[32] 하지만 려공의 강압적인 행동이 반발을 낳아 살해당했고(기원전 573년), 도공이 즉위했을 때는 신하에 대해 결정적인 힘을 갖지 못했다.[32]
2. 4. 귀족 세력의 강화와 삼진 분열 (기원전 572년 ~ 기원전 349년)
진 도공 이후, 진나라 공실의 힘은 약화되고 귀족 가문들의 권력이 강화되었다. 특히, 범(范), 중행(中行), 지(智), 한(韓), 조(趙), 위(魏)의 6개 가문(육경, 六卿)이 국정을 장악했다.[30] 이들 가문 간의 권력 투쟁이 심화되면서 진나라는 혼란에 빠졌다.진 정공 시대(기원전 490년)에 범씨와 중행씨가 멸망한 후, 진 출공은 제와 노와 동맹하여 남은 4씨(지, 한, 조, 위)를 제거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망명 중 사망했다(기원전 458년). 이로 인해 진나라는 완전히 힘을 잃었고, 지씨가 가장 강대해졌다.
기원전 454년, 지씨의 당주 지요는 위씨, 한씨와 함께 조씨를 공격했다. 그러나 조씨의 당주 조무휼의 설득으로 위씨와 한씨가 배신하여, 기원전 453년 진양 전투에서 지씨가 멸망하고 진나라 영토는 조, 위, 한 삼가에 의해 분할되었다. 진나라는 곡옥과 강 두 도시만을 유지한 채 삼가에 조공을 바치는 처지가 되었다.
기원전 403년, 주나라 위열왕은 한, 위, 조 세 가문을 제후로 공인하면서 진나라는 공식적으로 삼진으로 분열되었다. 이후 진나라는 곡옥과 강 두 읍만을 영토로 유지하다, 기원전 376년 한, 위 연합군에 의해 멸망하고 정공은 서인이 되었다.[14][15]
3. 정치·군제
진나라(晉)는 초기에는 주나라의 봉건 제도를 따랐으나, 점차 중앙집권적인 통치 체제로 변화했다. 진나라는 상군, 중군, 하군의 삼군(三軍) 체제를 갖추고 있었으며,[5][6] 각 군의 장군과 부장은 경(卿)이 임명되었다. 이들 여섯 명의 대신을 육경(六卿)이라고 불렀으며, 이들이 국정을 주도했다. 중군의 장(長)은 정경(正卿)으로 재상의 역할을 겸했다.[8][12]
주나라의 관례에 따르면, 진나라와 같은 대규모 제후국은 최대 3개의 군대를 가질 수 있었다.[7] 그러나 진나라는 원래 하나의 군대만 가지고 있었다. 기원전 661년, 진 헌공은 상군을 창설하고, 아들 신생에게 하군을 지휘하게 했다. 진 문공은 기원전 633년에 중군을 창설했다.[9]
당나라 학자 공영달에 따르면, 중군은 진나라 세 군대 중 가장 명망 있는 군대였다.[10] 중군의 지휘관인 ''중군장''(中軍將)은 진나라의 재상인 ''정경''(正卿)으로서 진나라를 다스리기도 했다.[8][12]
주요 군사 계급은 다음과 같았다:[12][4][13]
직위 | 설명 |
---|---|
중군장(中軍將) | 원수(元帥), 장군(將軍), 정경(正卿)으로도 불림, 진나라의 재상. |
중군좌(中軍佐) | |
중군위(中軍尉) | 전쟁이 없을 때 중앙군의 실무 담당.[10] |
상군장(上軍將) | |
상군좌(上軍佐) | |
상군위(上軍尉) | 전쟁이 없을 때 상군의 실무 담당.[10] |
하군장(下軍將) | |
하군좌(下軍佐) | |
중군사마(中軍司馬) | |
상군사마(上軍司馬) |
진나라 군대는 삼군(三軍)으로 구성되었고, 각 군의 장군과 부장은 경(卿)이 임명했다. 이들을 육경(六卿)이라 불렀으며, 각 군은 12,500명의 병력으로 구성되었다. 육경의 서열은 다음과 같았다.
서열 | 직위 |
---|---|
1 | 중군의 장 |
2 | 중군의 좌 |
3 | 상군의 장 |
4 | 상군의 좌 |
5 | 하군의 장 |
6 | 하군의 좌 |
4. 역대 군주
시호 | 이름 | 재위 햇수 | 재위 기간 | 세계 관계 | |
---|---|---|---|---|---|
1 | 우(虞) | 기원전 1033년 ~ ? | 서주 무왕의 아들 | ||
2 | 섭(燮) | 당숙 우의 아들 | |||
3 | 무후(武侯) | 녕족(寧族) | 진후 섭의 아들 | ||
4 | 성후(成侯) | 복인(服人) | 무후의 아들 | ||
5 | 여후(厲侯) | 복(福) | ? ~ 기원전 859년 | 성후의 아들 | |
6 | 정후(靖侯) | 의구(宜臼) | 18년 | 기원전 858년 ~ 기원전 841년 | 여후의 아들 |
7 | 희후(僖侯) | 사도(司徒) | 18년 | 기원전 840년 ~ 기원전 823년 | 정후의 아들 |
8 | 헌후(獻侯) | 적(籍) | 11년 | 기원전 822년 ~ 기원전 812년 | 희후의 아들 |
9 | 목후(穆侯) | 비왕(費王) | 27년 | 기원전 811년 ~ 기원전 785년 | 헌후의 아들 |
10 | 상숙(殤叔) | 4년 | 기원전 784년 ~ 기원전 781년 | 목후의 동생 | |
11 | 문후(文侯) | 구(仇) | 35년 | 기원전 780년 ~ 기원전 746년 | 목후의 아들 |
12 | 소후(昭侯) | 백(伯) | 6년 | 기원전 745년 ~ 기원전 740년 | 문후의 아들 |
13 | 효후(孝侯) | 평(平) | 16년 | 기원전 739년 ~ 기원전 724년 | 소후의 아들 |
14 | 악후(鄂侯) | 극(卻) | 6년 | 기원전 723년 ~ 기원전 718년 | 효후의 아들 |
15 | 애후(哀侯) | 광(光) | 9년 | 기원전 717년 ~ 기원전 709년 | 악후의 아들 |
16 | 소자후(小子侯) | 4년 | 기원전 708년 ~ 기원전 705년 | 애후의 아들 | |
17 | 민(緡) | 26년 | 기원전 704년 ~ 기원전 679년 | 애후의 동생 | |
colspan=7 ! 곡옥(曲沃)의 군주 | |||||
1 | 환숙(桓叔) | 성사(成師) | 14년 | 기원전 744년 ~ 기원전 731년 | 문후의 동생 |
2 | 장백(莊伯) | 선(鮮) | 15년 | 기원전 730년 ~ 기원전 716년 | 환숙의 아들 |
3 | 무공(武公) | 칭(稱) | 39년 | 기원전 715년 ~ 기원전 679년[33] | 장백의 아들 |
18 | 무공(武公) | 칭(稱) | 2년 | 기원전 678년 ~ 기원전 677년 | 장백의 아들 |
19 | 헌공(獻公) | 궤제(詭諸) | 26년 | 기원전 676년 ~ 기원전 651년 | 무공의 아들 |
20 | 해제(奚齊) | 1년 | 기원전 651년 | 헌공의 아들 | |
21 | 탁자(卓子) | 1년 | 기원전 651년 | 헌공의 아들 | |
22 | 혜공(惠公) | 이오(夷吾) | 14년 | 기원전 650년 ~ 기원전 637년 | 헌공의 아들 |
23 | 회공(懷公) | 어(圉) | 1년 | 기원전 637년 | 혜공의 아들 |
24 | 문공(文公) | 중이(重耳) | 9년 | 기원전 636년 ~ 기원전 628년 | 혜공의 형 |
25 | 양공(襄公) | 환(歡) | 7년 | 기원전 627년 ~ 기원전 621년 | 문공의 아들 |
26 | 영공(靈公) | 이고(夷皐) | 14년 | 기원전 620년 ~ 기원전 607년 | 양공의 아들 |
27 | 성공(成公) | 흑둔(黑臀) | 7년 | 기원전 606년 ~ 기원전 600년 | 양공의 동생 |
28 | 경공(景公) | 누(獳) | 19년 | 기원전 599년 ~ 기원전 581년 | 성공의 아들 |
29 | 여공(厲公) | 주포(州蒲) | 8년 | 기원전 580년 ~ 기원전 573년 | 경공의 아들 |
30 | 도공(悼公) | 주(周) | 15년 | 기원전 572년 ~ 기원전 558년 | 여공의 당질 |
31 | 평공(平公) | 표(彪) | 26년 | 기원전 557년 ~ 기원전 532년 | 도공의 아들 |
32 | 소공(昭公) | 이(夷) | 6년 | 기원전 531년 ~ 기원전 526년 | 평공의 아들 |
33 | 경공(頃公) | 기질(棄疾) | 14년 | 기원전 525년 ~ 기원전 512년 | 소공의 아들 |
34 | 정공(定公) | 오(午) | 37년 | 기원전 511년 ~ 기원전 475년 | 경공의 아들 |
35 | 출공(出公) | 착(鑿) | 23년 | 기원전 474년 ~ 기원전 452년 | 정공의 아들 |
36 | 애공(哀公) | 교(驕) | 18년 | 기원전 451년 ~ 기원전 434년 | 출공의 당형제 |
37 | 유공(幽公) | 류(柳) | 18년 | 기원전 433년 ~ 기원전 416년 | 애공의 아들 |
38 | 열공(烈公) | 지(止) | 27년 | 기원전 415년 ~ 기원전 389년 | 유공의 아들 |
39 | 효공(孝公) | 기(頎) | 20년 | 기원전 388년 ~ 기원전 357년 | 열공의 아들 |
40 | 정공(靜公) | 구주(俱酒) | 8년 | 기원전 356년 ~ 기원전 349년 | 효공의 아들 |
진나라 군주 목록은 《사기》와 《죽서기년》을 기준으로 한다.[14]
참조
[1]
문서
Zuo Zhuan
[2]
문서
near modern Qucun (曲村)
[3]
문서
in modern Houma, Shanxi
[4]
서적
中國早期國家性質
Zhishufang press
[5]
문서
Zuo Zhuan, Duke Cheng, 3rd year of
[6]
문서
Du Yu, Kong Yingda, Zuo Zhuan Zhengyi
[7]
서적
Commentaries on Rites of Zhou
Shanghai Guji Press
[8]
서적
春秋大事表
Zhonghua Book Company
[9]
서적
先秦三晉區域文化研究
五南圖書出版股份有限公司
[10]
서적
春秋左传正义
Shanghai Guji Press
[11]
서적
孫子兵法論正
[12]
서적
中国通史教程, Volume 1
Fudan University press
[13]
서적
晉文公復國定霸考
National Taiwan University publishing centre
[14]
서적
Annotated Shiji
Zhonghua Book Company
[15]
문서
Annals of Wei
[16]
문서
Book of Sui
[17]
문서
New Book of Tang
[18]
서적
Xun Xu and the Politics of Precision in Third-Century Ad China
https://books.google[...]
BRILL
[19]
서적
Bulletin
https://books.google[...]
The Museum
[20]
서적
Liu Tsung-yüan and Intellectual Change in T'ang China, 773-819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11-02
[21]
서적
"This Culture of Ours": Intellectual Transitions in T?ang and Sung China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4-08-01
[22]
서적
Asia Major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History and Philology of the Academia Sinica
[23]
서적
Wu Tse-T'len and the politics of legitimation in T'ang China
https://books.google[...]
Western Washington
1978-12-01
[24]
서적
Liu Tsung-yüan and Intellectual Change in T'ang China, 773-819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11-02
[25]
문서
《氏族志》
[26]
서적
"This Culture of Ours": Intellectual Transitions in T?ang and Sung China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4-08-01
[27]
서적
Historical Records of the Five Dynasties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4-04-05
[28]
웹사이트
Richard Hinckley Allen: Star Names — Their Lore and Meaning: Capricornus
https://penelope.uch[...]
[29]
웹사이트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6 月 24 日
http://aeea.nmns.edu[...]
2019-04-04
[30]
문서
中行氏と智氏は元々同じ荀氏から派生した家であり、魏氏と韓氏は同じ姫姓であるため、四氏六家と称される。ただし同じ姫姓といっても韓氏は公族(晋室の分家)であるのに対し、魏氏は周王朝建国の当初に周室から別れたので縁戚関係としては非常に遠縁である。
[31]
문서
代(戦国)|代は趙(戦国)|趙の亡命政権であり、秦に滅ぼされた。
[32]
간행물
橫北村과 大河口 : 최근 조사된 유적을 통해 본 西周時代 지역 정치체의 양상
동양사학회
[33]
문서
기원전 678년에 왕명을 받아 진 무공 (희진)|진 무공(晉 武公)으로 칭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