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진주 청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주 청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은 1657년(조선 효종 8년)에 조성된 불상들이다. 지장보살좌상을 중심으로 지장보살삼존상, 시왕상 및 권속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둥근 얼굴, 긴 눈꼬리, 작은 입술 등 특징적인 조형미를 보인다. 17세기에 활동한 다른 조각승의 불상과는 다른 독특한 조각 형식을 보여주며, 뛰어난 조형미와 우수한 조각 수법으로 당시 불교 조각의 높은 수준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범천상과 제석천상은 보물 제1232호로, 금강역사상은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48호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57년 작품 - 세종 비암사 영산회괘불탱
    세종 비암사 영산회괘불탱은 17세기 대형 불교 그림 괘불로서 석가여래를 중심으로 여러 불, 보살, 신중 등이 묘사되어 뛰어난 예술성을 지니며, 17세기 괘불 및 불화 양식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고 신겸, 응상 등 여러 화가들이 제작에 참여했다.
  • 해제된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 함양 남계서원
    함양 남계서원은 조선시대 정여창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건립되어 사액서원으로 승격되었고, 정유재란 때 소실 후 재건되었으며, 서원 철폐령에도 존속하여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정여창을 비롯한 여러 인물을 배향하고 있다.
  • 해제된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 울산 동헌 및 내아
    울산 동헌 및 내아는 조선 시대 울산읍성의 관아 건물로, 수령이 공무를 처리하던 동헌과 살림집인 내아로 구성되며, 1681년에 건립되어 일제강점기에는 회의실로 사용되다가 1981년에 복원되었다.
  • 시왕상 - 서울 안양암 지장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서울 안양암 지장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은 1941년에 제작된 목지장보살상을 중심으로 도명존자상, 무독귀왕상과 시왕, 판관, 인왕, 동자, 동녀상으로 구성되어 20세기 초 시왕상의 완전한 형태를 보여주는 문화재자료이다.
  • 시왕상 - 고창 문수사 목조지장보살좌상 및 시왕상 일괄
    1654년에 조성된 고창 문수사 목조지장보살좌상 및 시왕상 일괄은 벽암각성의 문도들이 불사를 주도하고 조각승 해심을 비롯한 15명의 장인이 참여하여 제작되었으며, 조각적 완성도와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보물로 지정되었다.
진주 청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개요
진주 청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진주 청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명칭진주 청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晉州靑谷寺木造地藏菩薩三尊像 및 十王像一括)
지정 종류보물
지정 번호1689
지정일2010년 12월 21일
소재지경상남도 진주시 금산면 월아산로1440번길 138
시대조선시대
소유자청곡사
수량23구
추가 정보
문화재청 ID12,16890000,38
진주청곡사금강역사상 (지정 해제)
지정 종류 (과거)유형문화재
지정 번호 (과거)348
지정일 (과거)2000년 1월 31일
해제일 (과거)2011년 4월 28일
문화재청 ID (과거)21,03480000,38

2. 제작 시기

청곡사 업경전 불상은 1657년(조선 효종 8년)에 조성되었다. 이는 지장보살좌상에서 발견된 발원문을 통해 확인되었다.[1]

3. 세부 모습

청곡사 지장보살좌상은 다른 권속들과 비슷한 크기로 조성되어 주존불로서의 일반적인 위용은 덜하다. 모든 존상의 얼굴은 둥글고 눈꼬리가 길게 빠졌으며, 코는 높고 반듯하고 입술은 작아 아이 같은 인상을 준다. 신체 비례는 머리가 크고, 특히 무독귀왕, 시왕 등은 관모가 높아 3등신이다.[1]

3. 1. 지장보살삼존상

청곡사 지장보살좌상은 무릎이 높고 폭이 넓어 앉은 자세가 안정감이 있으며, 의자상의 시왕과 범천·제석 천상 등도 의자에 허리를 기대고 무릎을 내려뜨린 자세가 다양하고 자연스럽다. 지장보살좌상은 이중으로 대의를 걸쳤으며, 드러낸 가슴 아래에는 승각기가 가로지르고 있다.[1] 옷주름은 상체의 대의자락은 간략하게 직선으로 양감있게 처리한 반면 하체의 옷주름은 곡선을 살려 장식적이면서 볼륨감을 살려 두텁게 표현하였다. 장식적인 곡선의 옷주름 표현은 도명존자의 가사나 시왕의 무릎 옷주름 등에서도 찾을 수 있다. 어린아이와 같은 상호와 신체비례와 달리 두 손은 여성스럽게 가늘고 길게 조각하였다.[1]

3. 2. 시왕상 및 권속

시왕과 범천·제석천상 등은 의자에 허리를 기대고 무릎을 내려뜨린 다양한 자세를 하고 있다.[1] 모든 존상의 얼굴은 둥근 형태에 눈꼬리가 길게 뻗은 두 눈을 가지고 있으며, 코는 높고 콧등이 반듯하며 입술은 작아 아이같은 인상을 준다. 각 존상의 비례를 보면, 전체적으로 신체에 비해 머리 부분을 크게 제작하였다. 특히 무독귀왕, 시왕 및 권속 등은 쓰고 있는 관모가 높아 3등신의 신체 비례를 보인다. 신체는 어깨가 둥글고 좁지만 상체와 하체를 양감있게 처리하였다.[1]

4. 조각승

이 불상을 조성한 조각승은 인영(印迎), 탄준(誕隼), 지변(智邊), 학염(學廉), 서명(瑞明), 법률(法律), 종탄(宗誕), 선우(善祐)이다.[1] 이 조각승들이 조성한 다른 불상은 현재까지 알려진 바 없다.[1]

5. 평가

청곡사 불상은 17세기 다른 조각승의 불상과 연결되는 요소가 없는 독특한 조각 형식을 보여주며, 전체적인 조형미와 조각 수법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는다.[1]

5. 1. 문화재 지정

범천상과 제석천상은 뛰어난 조각성과 조선 시대에 현존하는 유일한 범천·제석천상이라는 점에서 보물 제1232호로 지정되었다. 금강역사상은 사실적이고 우수한 조각 수법을 인정받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48호로 지정되었다.[1] 이처럼 이미 지정된 목조 제석천상과 대범천상을 포함하여 일괄 국가문화재로 지정해 보존하고 연구할 만한 가치가 충분하다고 평가되었다.[1]

6. 사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