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넓적사슴벌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참넓적사슴벌레는 딱정벌레목 사슴벌레과에 속하는 곤충으로, 수컷은 24.3~62.5mm, 암컷은 20~29mm 크기이다. 넓적사슴벌레에 비해 몸이 가늘고, 큰턱의 바깥쪽이 둥글며, 딱지날개도 둥근 특징을 보인다. 저지대 활엽수 숲에 서식하며, 6월부터 9월까지 활동하며 수액을 먹는다. 유충은 부엽토나 썩은 나무를 먹고 자라며, 약 1년의 유충 기간을 거쳐 성충이 된다. 한반도, 제주도, 진도, 쓰시마섬, 중국 등지에 분포하며, Dorcus consentaneus consentaneus와 D. c. akahorii 두 아종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슴벌레아과 - 넓적사슴벌레
넓적사슴벌레는 납작하고 폭이 넓은 체형을 가진 사슴벌레과의 곤충으로, 수컷은 최대 115mm, 암컷은 최대 55mm까지 자라며 검은색 또는 흑갈색을 띠고, 활엽수림에 서식하는 야행성 곤충으로 수액을 먹으며, 24개의 아종으로 분류되지만 학자마다 의견이 다르고, 자웅동체 개체가 발견되어 학계의 관심을 받고 있다. - 사슴벌레아과 - 넓적사슴벌레속
몸이 납작하고 다리가 짧은 사슴벌레의 한 속인 넓적사슴벌레속(Dorcus)은 흑색 또는 갈색을 띠며 수컷은 종에 따라 안쪽 가시 형태가 다르고 암컷은 앞날개에 세로 줄무늬가 없는 경우가 많으며 한국, 일본, 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 한국의 곤충 - 말벌
말벌은 사회성 곤충으로 종이 펄프로 둥지를 만들고 애벌레에게 먹이를 주며, 붉은 주황색 날개와 갈색, 노란색 줄무늬 배를 가지고 암컷만 독침이 있으며, 유라시아 원산으로 북미 등에도 유입되어 꿀벌을 사냥하고 일부 지역에서는 멸종 위기로 보호받는다. - 한국의 곤충 - 사마귀
참사마귀는 사마귀목 곤충으로 몸이 가늘고 길며 앞가슴등판이 길고 날개가 짧고 좁은 특징을 가지며 한국, 중국, 일본, 미국 등지에 분포한다.
| 참넓적사슴벌레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학명 | Serrognathus consentaneus (Albers, 1886) |
| 이명 | Dorcus consentaneus |
| 한국어 이름 | 참넓적사슴벌레 |
| 분류 | |
| 계 | 동물계 |
| 문 | 절지동물문 |
| 강 | 곤충강 |
| 목 | 딱정벌레목 |
| 과 | 사슴벌레과 |
| 아과 | 사슴벌레아과 |
| 속 | 넓적사슴벌레속 |
| 종 | 참넓적사슴벌레 |
| 아종 | |
| 아종 목록 | D. c. consentaneus (Albers, 1886) D. c. akahorii Tsukawaki, 1998 |
2. 형태
참넓적사슴벌레는 수컷의 체장이 24.3mm에서 62.5mm, 암컷은 20mm에서 29mm 정도이다.
넓적사슴벌레와 비교했을 때 큰턱의 바깥쪽 가장자리와 딱지날개가 더 둥근 형태를 띠는 것이 특징이다. 몸은 비교적 가늘고 작은 편이며, 체색은 광택이 약간 강한 흑색이다. 머리 중앙부는 넓적사슴벌레만큼 움푹 들어가지 않았다. 앞다리 종아리마디는 안쪽으로 강하게 굽어 있으며, 발목마디는 짧다. 암컷의 경우 눈 주위가 완전히 돌기로 둘러싸여 있다.
대륙에 분포하는 개체가 더 큰 경향이 있지만, 쓰시마에서는 25mm에서 35mm 정도의 크기가 일반적이다.
2. 1. 수컷
수컷의 체장은 24.3mm ~ 62.5mm이며, 아종에 따라 크기 차이가 나타난다.| 아종 | 분포 지역 | 수컷 체장 (큰턱 포함) |
|---|---|---|
| Dorcus consentaneus consentaneus | 한반도 전역, 제주도, 대마도 | 24.3mm ~ 53.9mm |
| D. c. akahorii | 중국 쓰촨성, 후베이성, 후난성 | 29mm ~ 62.5mm |
넓적사슴벌레와 비교하면 큰턱의 바깥쪽 가장자리와 딱지날개가 더 둥근 형태를 띤다. 몸이 가늘고 작은 편이며, 체색은 광택이 약간 강한 흑색이다. 머리 중앙부는 넓적사슴벌레만큼 움푹 들어가지 않았다. 앞다리 경절은 안쪽으로 강하게 굽어 있고 부절은 짧다.
대륙에 분포하는 개체가 더 큰 경향이 있으나, 쓰시마에서는 25mm ~ 35mm 크기가 많다.
2. 2. 암컷
암컷의 체장은 20mm에서 29mm이다. 아종에 따라 크기가 다른데, 한반도 전역, 제주도, 대마도에 서식하는 Dorcus consentaneus consentaneus 아종 암컷은 20mm~26mm이고, 중국 일부 지역에 서식하는 D. c. akahorii 아종 암컷은 21.5mm~29mm이다.넓적사슴벌레 암컷과 비교했을 때 딱지날개가 더 둥근 형태를 띤다. 또한 눈 주위가 완전히 돌기로 둘러싸여 있는 것이 특징이다.
3. 생태
저지대에서 평지까지의 활엽수 숲에 서식하지만, 서식하는 개체 수는 적다. 성충은 6월부터 9월까지 활동하며, 활엽수의 수액 등을 먹이로 삼는다. 주로 땅 근처에서 활동하며 걸어 다니는 것이 일반적이고 거의 날지 않는다. 등불과 같은 불빛에는 날아오지 않는 특성이 있다.
암컷은 비교적 습도가 높은 부엽토나 썩은 나무 근처의 땅속에 알을 낳는다(산란). 사육 환경에서는 주로 4월부터 6월 사이에 산란하며, 우화한 해에는 산란하지 않고 월동을 거친 개체가 산란하는 경우가 많다. 성충의 수명은 보통 반년에서 2년 정도이다.
산란 후 약 1개월이 지나면 알에서 유충이 부화한다. 유충은 땅속의 부엽토나 주변의 썩은 나무를 먹으며 자라고, 유충 기간은 약 1년이다. 유충은 봄이 되면 번데기가 되기 위해 번데기방(용실)을 만들고, 약 1개월에 걸쳐 번데기가 된다. 번데기 상태로 약 1개월을 보낸 후 우화하여 성충이 된다. 막 우화한 성충은 바로 활동하지 않고, 약 2개월 정도 더 번데기방 안에서 머무르다가 밖으로 나와 활동을 시작한다.
3. 1. 쓰시마넓적사슴벌레와의 관계
쓰시마에서는 좋은 환경은 몸집이 더 큰 쓰시마넓적사슴벌레에게 점유되기 쉬워, 참넓적사슴벌레는 주로 해안 부근의 빈약한 숲에 서식하며 분포도 국지적이다. 반면 쓰시마넓적사슴벌레는 내륙의 삼림 지대에 많이 서식하며 수목 위에서 활동하는 경향을 보인다. 참넓적사슴벌레와 쓰시마넓적사슴벌레 사이의 잡종 개체는 2건 보고된 바 있다.4. 분포
참넓적사슴벌레는 아종에 따라 분포 지역이 다르다.
- ''Dorcus consentaneus consentaneus'' (Albers, 1886): 한반도 전역, 제주도, 진도, 일본의 쓰시마섬에 분포한다.
- ''D. c. akahorii'' Tsukawaki, 1998: 중국의 쓰촨성, 후베이성, 후난성 등지에 분포한다.
이 종의 분포는 중국 대륙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정된다. 과거 빙하기 동안 한반도와 주변 지역이 육지로 연결되었을 때, 한반도를 거쳐 쓰시마섬까지 서식지를 넓힌 것으로 보인다.
5. 분류
넓적사슴벌레는 2개의 아종으로 분류된다.
;''Dorcus consentaneus consentaneus'' (Albers, 1886): 원명아종
;''D. c. akahorii'' Tsukawaki, 1998
5. 1. ''Dorcus consentaneus consentaneus'' (Albers, 1886) (원명 아종)
한반도 전역, 제주도, 진도, 쓰시마섬에 분포한다.수컷의 크기는 24.3mm에서 53.9mm(큰턱 포함)이며, 암컷의 크기는 20mm에서 26mm이다.
5. 2. ''D. c. akahorii'' Tsukawaki, 1998
중국 쓰촨성, 후베이성, 후난성에 분포한다. 수컷 크기는 큰턱을 포함하여 29mm에서 62.5mm 사이이며, 암컷은 21.5mm에서 29mm 사이이다. 원명아종 (''D. c. consentaneus'')과 비교했을 때, 큰 턱이 더 둥근 모양이며 중앙 부분이 더 넓다는 특징이 있다.참조
[1]
웹사이트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
https://www.nibr.go.[...]
[2]
웹사이트
국립중앙과학관 - 곤충정보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