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만나는 자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처음 만나는 자유'는 1960년대 뉴잉글랜드를 배경으로, 자살 시도로 정신병원에 입원한 18세 소녀 수잔나 케이슨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이다. 경계선 인격 장애 진단을 받은 수잔나는 다양한 정신 질환을 가진 소녀들을 만나고, 특히 반항적인 리사 로우와 가까워진다. 영화는 정신 질환을 겪는 여성들의 모습, 강제 입원의 문제점, 사회 부적응과 정신 질환에 대한 혼동 등을 주제로 다루며, 위노나 라이더, 안젤리나 졸리 등이 출연했다.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지만, 안젤리나 졸리는 이 영화로 아카데미 여우조연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임스 맨골드 감독 영화 - 더 울버린
2013년 개봉한 《더 울버린》은 휴 잭맨 주연의 슈퍼히어로 영화로, 트라우마에 시달리던 울버린이 일본에서 야쿠자와 실버 사무라이와의 대결을 통해 과거를 극복하고 새로운 삶을 찾아 나서는 이야기이다. - 제임스 맨골드 감독 영화 - 3:10 투 유마
2007년 제임스 맨골드 감독이 연출하고 러셀 크로와 크리스찬 베일이 주연을 맡은 영화 3:10 투 유마는, 남북 전쟁 참전 용사이자 가난한 목장주인 댄 에반스가 악명 높은 강도 벤 웨이드를 유마 교도소로 호송하는 이야기를 그린 서부극이다. - 회고록을 바탕으로 한 영화 - 보이 이레이즈드
보이 이레이즈드는 게이 전환 치료 프로그램을 다룬 2018년 미국의 드라마 영화로, 회고록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동성애 혐오와 종교적 압력 속에서 전환 치료의 비윤리성을 비판한다. - 회고록을 바탕으로 한 영화 - 노예 12년
1841년 납치되어 12년간 노예 생활을 한 자유 흑인 솔로몬 노섭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 노예 12년은 노예제도의 잔혹함과 인간 존엄성 훼손을 묘사하며, 자유를 되찾기 위한 그의 투쟁을 그린 스티브 매퀸 감독 연출의 작품으로 아카데미 작품상을 수상했다. - 1967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킹메이커 (2022년 영화)
《킹메이커》는 1970년대 대통령 선거를 배경으로 이상주의 정치인 김운범과 선거 전략가 서창대의 이야기를 다룬 2022년 개봉한 대한민국의 정치 영화이다. - 1967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슬리퍼스
로렌조 카르카테라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슬리퍼스》는 1960년대 뉴욕 헬스 키친에서 끔찍한 아동 학대를 경험한 네 친구가 성인이 되어 복수를 계획하는 이야기로, 브래드 피트, 로버트 드 니로 등이 출연하여 아동 학대의 잔혹함과 복수의 비극적 결과를 묘사하며 논란 속에서도 흥행에 성공했지만 후반부 집중력 저하에 대한 비판을 받았다.
처음 만나는 자유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감독 | 제임스 맨골드 |
제작자 | 더글러스 윅 캐시 콘래드 |
원작 | 수재나 케이슨의 걸, 인터럽티드 |
각본 | 제임스 맨골드 리사 루머 애나 해밀턴 펠런 |
출연 | 위노나 라이더 안젤리나 졸리 클레어 듀발 브리트니 머피 엘리자베스 모스 자레드 레토 제프리 탬버 바네사 레드그레이브 우피 골드버그 |
음악 | 마이클 대나 |
촬영 | 잭 N. 그린 |
편집 | 케빈 텐트 |
제작사 | 컬럼비아 픽처스 레드 왜건 엔터테인먼트 |
배급사 | 컬럼비아 픽처스 (소니 픽처스 릴리싱을 통해) |
개봉일 | 1999년 12월 21일 (미국) |
상영 시간 | 127분 |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제작비 | 4천만 달러 |
흥행 수익 | 4830만 달러 |
일본 정보 | |
일본 제목 | 17세의 카르테 |
일본 개봉일 | 2000년 9월 2일 |
일본 배급사 | 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 |
제작 국가 (일본어 문서) | 미국 독일 |
한국 정보 | |
한국 제목 | 처음 만나는 자유 |
한국 개봉일 | 2000년 6월 24일 |
2. 줄거리
1967년, 뉴잉글랜드에서 살아가던 18세 수잔나 케이슨은 신경쇠약을 겪고 아스피린과 알코올을 과다 복용해 자살을 시도한다. 이후 지역 정신 병원인 클레이모어에 입원한다. 정신 병동에서 수잔나는 정신 분열증을 앓는 폴리 "토치" 클라크, 신시아 크롤리, 자해를 하고 강박 장애를 앓는 데이지 랜든, 병적 거짓말쟁이이자 룸메이트인 조지나 터스킨, 냉소적인 거식증 환자 재닛 웨버 등 다양한 정신 질환을 가진 소녀들을 만난다.
영화에 등장하는 인물은 다음과 같다.
수잔나는 특히 반항적이지만 매력적인 소시오패스 리사 로우에게 끌린다. 리사는 소녀들이 밤에 병원 지하 터널을 몰래 다니도록 돕고, 수간호사 발레리 오웬스를 포함한 직원들과 계속 싸움을 건다. 멜빈 포츠 박사와의 정기적인 치료를 통해 수잔나는 자신이 경계선 인격 장애를 앓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데이지의 퇴원을 기념하는 외출에서 수잔나는 자신이 바람을 피웠던 영어 강사 바바라 길크리스트와 그녀의 딸 보니를 만난다. 바바라는 수잔나를 공개적으로 비난하고, 리사는 바바라를 모욕하며 맞선다. 이후 수잔나는 베트남 전쟁에 징집된 토비와 관계를 맺고, 토비는 수잔나에게 캐나다로 도망가자고 제안하지만, 수잔나는 거절한다.
어느 날 밤, 폴리가 발작을 일으키자 수잔나와 리사는 폴리를 위로하려 한다. 이 일로 인해 리사는 전기 충격 요법을 받고 독방에 갇히게 된다. 리사는 탈출하여 수잔나와 함께 데이지의 아파트로 도망친다. 리사는 데이지가 근친상간적인 성적 학대를 당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그녀를 조롱한다. 다음 날 아침, 수잔나는 데이지가 자살한 것을 발견한다.
수잔나는 리사에게 환멸을 느끼고 클레이모어로 돌아온다. 병원에서 수잔나는 치료에 협조하며, 퇴원 전 리사가 체포되어 돌아온다. 리사는 수잔나의 일기를 훔쳐 읽으며 수잔나를 공격하지만, 수잔나는 리사에게 맞서며 그녀의 약점을 지적한다. 리사는 무너져 자살을 생각하지만, 조지나가 그녀를 설득한다. 수잔나는 퇴원 전 리사와 화해하고, 다른 환자들에게 작별 인사를 한 후 병원을 떠난다.
3. 등장인물
배역 배우 일본어 더빙 수재나 케이슨 위노나 라이더 다카하시 리에코 리사 로 안젤리나 졸리 유야 아츠코 조지나 터스킨 클레어 듀발 혼다 타카코 데이지 랜던 브리타니 머피 코지마 사치코 폴리 클라크 엘리자베스 모스 오가사와라 아리사 재닛 웨버 안젤라 베티스 스기모토 유우 신시아 크롤리 질리안 아르메난테 존 트래비스 파인 크럼블 의사 커트우드 스미스 사사키 토시 멜빈 포츠 의사 제프리 탬버 나카노 히로시 아네트 케이슨 조앤나 카른스 칼 케이슨 레이 베이커 토비 제이콥스 자레드 레토 사토 쥰 소니아 윅 의사 바네사 레드그레이브 후지나미 쿄코 발레리 오언스 우피 골드버그 코미야 카즈에 길크레스트 교수 브루스 알트만 바바라 길크레스트 메리 케이 플레이스 보니 길크레스트 케이디 스트릭랜드 테레사 매컬리언 로빈 렉 토니 미샤 콜린스 사토 하루오 그레타 앨리슨 클레어 다나카 아츠코
그 외에 타노 메구미, 키쿠치 이즈미, 다나카 아키오, 노자와 유카리, 코다마 타카코, 나가타 히로타케, 아이다 사야카가 목소리 출연을 했다.
일본어판 제작진은 다음과 같다.3. 1. 주요 인물
배역 | 배우 | 일본어 더빙 |
---|---|---|
수잔나 케이슨 | 위노나 라이더 | 다카하시 리에코 |
리사 로우 | 안젤리나 졸리 | 유야 아츠코 |
조지나 타스킨 | 클레어 듀발 | 혼다 타카코 |
데이지 랜던 | 브리타니 머피 | 코지마 사치코 |
폴리 클라크 | 엘리자베스 모스 | 오가사와라 아리사 |
자넷 웨버 | 안젤라 베티스 | 스기모토 유우 |
신시아 크롤리 | 질리안 알메난테 | |
존 | 트래비스 파인 | |
크럼블 의사 | 커트우드 스미스 | 사사키 토시 |
멜빈 포츠 의사 | 제프리 탬버 | 나카노 히로시 |
아네트 케이슨 | 조앤나 카른스 | |
칼 케이슨 | 레이 베이커 | |
토비 제이콥스 | 자레드 레토 | 사토 쥰 |
소니아 윅 의사 | 바네사 레드그레이브 | 후지나미 쿄코 |
발레리 오웬스 | 우피 골드버그 | 코미야 카즈에 |
길크레스트 교수 | 브루스 알트만 | |
바바라 길크레스트 | 메리 케이 플레이스 | |
보니 길크레스트 | 케이디 스트릭랜드 | |
테레사 마카리안 | 로빈 렉 | |
토니 | 미샤 콜린스 | 사토 하루오 |
그레타 | 앨리슨 클레어 | 다나카 아츠코 |
기타 목소리 출연: 타노 메구미, 키쿠치 이즈미, 다나카 아키오, 노자와 유카리, 코다마 타카코, 나가타 히로타케, 아이다 사야카
3. 2. 주변 인물
배역 | 배우 | 일본어 더빙 |
---|---|---|
수잔나 케이슨 | 위노나 라이더 | 다카하시 리에코 |
리사 로우 | 안젤리나 졸리 | 유야 아츠코 |
조지나 터스킨 | 클레어 듀발 | 혼다 타카코 |
데이지 랜던 | 브리타니 머피 | 코지마 사치코 |
폴리 클라크 | 엘리자베스 모스 | 오가사와라 아리사 |
재닛 웨버 | 안젤라 베티스 | 스기모토 유우 |
신시아 크롤리 | 질리안 아르메난테 | |
존 | 트래비스 파인 | |
크럼블 의사 | 커트우드 스미스 | 사사키 토시 |
멜빈 포츠 의사 | 제프리 탬버 | 나카노 히로시 |
아네트 케이슨 | 조앤나 카른스 | |
칼 케이슨 | 레이 베이커 | |
토비 제이콥스 | 자레드 레토 | 사토 쥰 |
소니아 윅 의사 | 바네사 레드그레이브 | 후지나미 쿄코 |
발레리 오웬스 | 우피 골드버그 | 코미야 카즈에 |
길크레스트 교수 | 브루스 알트만 | |
바바라 길크레스트 | 메리 케이 플레이스 | |
보니 길크레스트 | 케이디 스트릭랜드 | |
테레사 매컬리언 | 로빈 렉 | |
토니 | 미샤 콜린스 | 사토 하루오 |
그레타 | 앨리슨 클레어 | 다나카 아츠코 |
- 위노나 라이더 - 수잔나 케이슨 역, 주인공. 경계성 인격 장애 진단을 받았을 때 18세였다.
- 안젤리나 졸리 - 리사 로우 역, 반사회적 인격 장애로 진단받은 인물. 카리스마 넘치고, 조작적이며, 반항적이고 학대적인 그녀는 12살 때부터 이 정신 병원에 있었으며, 지난 8년 동안 여러 번 탈출했지만 항상 붙잡혀 다시 돌아왔다. 다른 환자들의 존경을 받으며 수잔나와 가까운 관계를 형성한다.
- 클레아 듀발 - 조지나 터스킨 역, 병적 거짓말쟁이. 수잔나의 17세 룸메이트이자 이 병원에서 리사 다음으로 가장 친한 친구이다. 수잔나는 삶에 대해 그녀에게 털어놓고 조지나는 수잔나에게 다른 소녀들에 대해 알려준다.
- 브리타니 머피 - 데이지 랜던 역, 아동 성학대를 겪은 18세 소녀로, 강박 장애를 앓고 있으며 자해를 하고 하제에 중독되어 있다. 아버지가 방에 가져다주는 조리된 닭고기의 뼈를 보관하고 숨긴다.
- 엘리자베스 모스 - 폴리 "토치" 클락 역, 화상을 입은 정신 분열증 환자. 16세이며 매우 어린아이 같고 쉽게 흥분한다. 조지나는 수잔나에게 폴리가 강아지 알레르기 때문에 강아지를 포기해야 한다는 부모의 말에 반응하여 해당 부위에 휘발유를 붓고 불을 질러 얼굴에 끔찍한 흉터가 남았다고 알려준다. 나중에 폴리의 파일에서 그녀가 집 화재의 피해자였다는 것이 밝혀진다.
- 자레드 레토 - 토비아스 제이콥스 역, 군대에 징집된 후 캐나다로 도망치려 하는 수잔나의 전 남자친구.
- 제프리 탬버 - 멜빈 포츠 박사 역
- 트래비스 파인 - 존 역, 수잔나에게 반한 간호 조무사. 나중에 수잔나와 키스하고 함께 잠들자 남자 병동으로 가게 된다.
- 질리안 아르메난테 - 신시아 크롤리 역. 리사처럼 사회 부적응자라고 주장하지만 리사는 이를 부인하며 그녀를 "레즈비언"이라고 말한다. 22세이며 쉽게 웃음을 보인다.
- 안젤라 베티스 - 재닛 웨버 역, 신경성 식욕 부진증 환자. 리사처럼 거칠고 냉담해 보이지만 쉽게 짜증을 내거나 흥분한다. 20세이다.
- 바네사 레드그레이브 - 소니아 윅 박사 역, 병원의 수석 심리학자.
- 우피 골드버그 - 발레리 오웬스 역, 병원을 감독하는 엄격하지만 자상한 수간호사.
- 브루스 알트만 - 길크레스트 교수 역
- 메리 케이 플레이스 - 길크레스트 부인 역
- 레이 베이커 - 칼 케이슨 역 (수잔나의 아버지)
- 조앤나 카른스 - 아네트 케이슨 역 (수잔나의 어머니)
이 영화에 등장하는 강한 여성 캐릭터의 비중이 높아 많은 젊은 여배우들이 배역을 얻기 위해 노력했다. 리즈 위더스푼, 크리스티나 리치, 케이티 홈즈, 그레첸 몰, 케이트 허드슨, 앨리시아 위트, 사라 폴리, 로즈 맥고완 등이 배역을 얻기 위해 오디션을 봤다. 맥고완은 1998년에 "옷을 벗는 것과 관련이 없는 유일한 괜찮은 작품"이라고 말했다.[6] 망골드는 또한 코트니 러브를 만나 리사 역에 대해 논의했고, 앨라니스 모리셋도 배역을 제안받았다.[7] 파커 포지는 리사 역을 거절했고,[8][9] 릴리 소비에스키는 데이지 역으로 계약했지만, ''잔 다르크''에 출연 제의를 받은 후 촬영 몇 주 전에 하차했다.[10][11]
기타 목소리 출연: 타노 메구미, 키쿠치 이즈미, 다나카 아키오, 노자와 유카리, 코다마 타카코, 나가타 히로타케, 아이다 사야카
일본어판 제작 스태프: 연출: 나카노 히로시, 번역: 하라구치 마유미, 조정: 다카하시 요시미, 제작: AC 크리에이트 주식회사
4. 제작 과정
영화 촬영은 1999년 초 주로 펜실베이니아주 메카닉스버그와 해리스버그 주립 병원에서 진행되었다.[12] 메카닉스버그는 낡은 외관과 "Drugs"라는 단순한 이름의 옛 스타일 약국이 있어 시대적 배경을 표현하기에 적합했기 때문에 선택되었다. 예고편의 한 장면에서는 밴이 펜실베이니아주 해리스버그 시내를 향해 주립 도로교를 건너는 모습이 나오는데, 주청사 건물이 뚜렷하게 보인다.[13] 삭제된 장면은 펜실베이니아주 리딩의 공공 박물관에서도 촬영되었다.
출연진은 다음과 같다.
배역 | 배우 | 일본어 더빙 |
---|---|---|
수잔나 케이슨 | 위노나 라이더 | 다카하시 리에코 |
리사 로우 | 안젤리나 졸리 | 유야 아츠코 |
조지나 타스킨 | 클레어 듀발 | 혼다 타카코 |
데이지 랜던 | 브리타니 머피 | 코지마 사치코 |
폴리 클라크 | 엘리자베스 모스 | 오가사와라 아리사 |
자넷 웨버 | 안젤라 베티스 | 스기모토 유우 |
신시아 크롤리 | 질리안 알메난테 | |
존 | 트래비스 파인 | |
크럼블 의사 | 커트우드 스미스 | 사사키 토시 |
멜빈 포츠 의사 | 제프리 탬버 | 나카노 히로시 |
아네트 케이슨 | 조앤나 카른스 | |
칼 케이슨 | 레이 베이커 | |
토비 제이콥스 | 자레드 레토 | 사토 쥰 |
소니아 윅 의사 | 바네사 레드그레이브 | 후지나미 쿄코 |
발레리 오웬스 | 우피 골드버그 | 코미야 카즈에 |
길크레스트 교수 | 브루스 알트만 | |
바바라 길크레스트 | 메리 케이 플레이스 | |
보니 길크레스트 | 케이디 스트릭랜드 | |
테레사 마카리안 | 로빈 렉 | |
토니 | 미샤 콜린스 | 사토 하루오 |
그레타 | 앨리슨 클레어 | 다나카 아츠코 |
기타 목소리 출연 | 타노 메구미, 키쿠치 이즈미, 다나카 아키오, 노자와 유카리, 코다마 타카코, 나가타 히로타케, 아이다 사야카 | |
일본어판 제작 스태프 | 연출: 나카노 히로시, 번역: 하라구치 마유미, 조정: 다카하시 요시미, 제작: AC 크리에이트 주식회사 |
안젤리나 졸리는 리사 로우 역으로 아카데미 여우조연상을 수상했다.[19]
4. 1. 개발
1999년 초, 영화 촬영은 주로 펜실베이니아주 메카닉스버그와 해리스버그 주립 병원에서 진행되었다.[12] 메카닉스버그는 낡은 외관과 "Drugs"라는 단순한 이름의 옛 스타일 약국이 있어 시대적 배경을 표현하기에 적합했기 때문에 선택되었다. 예고편의 한 장면에서는 밴이 펜실베이니아주 해리스버그 시내를 향해 주립 도로교를 건너는 모습이 나오는데, 주청사 건물이 뚜렷하게 보인다.[13] 삭제된 장면은 펜실베이니아주 리딩의 공공 박물관에서도 촬영되었다.4. 2. 캐스팅
배역 | 배우 | 일본어 더빙 |
---|---|---|
수잔나 케이슨 | 위노나 라이더 | 다카하시 리에코 |
리사 로우 | 안젤리나 졸리 | 유야 아츠코 |
조지나 타스킨 | 클레어 듀발 | 혼다 타카코 |
데이지 랜던 | 브리타니 머피 | 코지마 사치코 |
폴리 클라크 | 엘리자베스 모스 | 오가사와라 아리사 |
자넷 웨버 | 안젤라 베티스 | 스기모토 유우 |
신시아 크롤리 | 질리안 알메난테 | |
존 | 트래비스 파인 | |
크럼블 의사 | 커트우드 스미스 | 사사키 토시 |
멜빈 포츠 의사 | 제프리 탬버 | 나카노 히로시 |
아네트 케이슨 | 조앤나 카른스 | |
칼 케이슨 | 레이 베이커 | |
토비 제이콥스 | 자레드 레토 | 사토 쥰 |
소니아 윅 의사 | 바네사 레드그레이브 | 후지나미 쿄코 |
발레리 오웬스 | 우피 골드버그 | 코미야 카즈에 |
길크레스트 교수 | 브루스 알트만 | |
바바라 길크레스트 | 메리 케이 플레이스 | |
보니 길크레스트 | 케이디 스트릭랜드 | |
테레사 마카리안 | 로빈 렉 | |
토니 | 미샤 콜린스 | 사토 하루오 |
그레타 | 앨리슨 클레어 | 다나카 아츠코 |
기타 목소리 출연 | 타노 메구미, 키쿠치 이즈미, 다나카 아키오, 노자와 유카리, 코다마 타카코, 나가타 히로타케, 아이다 사야카 | |
일본어판 제작 스태프 | 연출: 나카노 히로시, 번역: 하라구치 마유미, 조정: 다카하시 요시미, 제작: AC 크리에이트 주식회사 |
안젤리나 졸리는 리사 로우 역으로 아카데미 여우조연상을 수상했다.[19] 이 영화에는 위노나 라이더, 클레어 듀발, 브리타니 머피, 엘리자베스 모스 등 여러 배우들이 출연했다.
4. 3. 촬영
1999년 초 펜실베이니아주 메카닉스버그와 해리스버그 주립 병원(펜실베이니아주 해리스버그)에서 주로 촬영이 이루어졌다.[12] 메카닉스버그는 낡은 모습과 "Drugs"라는 단순한 이름의 옛 스타일 약국 때문에 촬영지로 선택되었으며, 이는 영화에 시대적인 모습을 부여했다. 예고편의 한 장면에서는 밴이 펜실베이니아주 해리스버그 시내를 향해 주립 도로교를 건너는 모습이 나오며, 주청사 건물이 뚜렷하게 보인다.[13] 삭제된 장면은 펜실베이니아주 리딩의 공공 박물관에서도 촬영되었다.
5. 평가
영화는 원작의 힘을 제대로 담아내지 못했다는 비평을 받기도 했지만, 안젤리나 졸리의 연기는 호평을 받았다.[26]
5. 1. 비평가 반응
영화는 원작의 힘을 제대로 담아내지 못했다는 비평을 받았다. 그러나 안젤리나 졸리의 연기는 호평을 받았다.[26]5. 2. 수상 내역
- 아카데미 여우조연상 (앤젤리나 졸리)
- 골든 글로브상 여우조연상 (앤젤리나 졸리)
- 전미 영화 비평가 협회상 신인상 (앤젤리나 졸리)
6. 주제
이 영화는 1960년대 여성에게 적용되었던 사회적 통념과 정신 질환 진단의 문제점을 다룬다. 주인공 수잔나 케이슨은 경계선 인격 장애 진단을 받고 정신병원에 입원하면서, 당시 사회가 여성에게 요구했던 기준에 맞지 않는 행동을 정신 질환으로 규정짓는 현실을 보여준다.[28]
영화는 정신병원을 감옥과 유사한 공간으로 묘사하며, 환자들이 사회로부터 격리되고 고립되는 현실을 보여준다. 클레이모어의 창문은 쇠창살로 가려져 있고, 정기적인 방 검사가 이루어지며, 소녀들은 항상 감시하는 직원들의 자비에 놓여 있다.[30]
동시에, 정신병원은 외부의 위험으로부터 환자들을 보호하는 방패 역할도 한다. 리사는 "밖에 나가면 너를 돌봐줄 사람이 없다"고 불평하고, 토치와 같은 사람들은 학대받는 가정과 마약 거래 환경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는다.[30] 이처럼 고립은 양면적인 의미를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6. 1. 사회 부적응과 정신 질환의 혼동
영화의 배경이 되는 1960년대는 여성 해방 운동이 등장했던 시기로, 남성과 여성에게 적용되는 권리와 기준이 매우 달랐다. 멜빈 박사는 처음에 수잔나에게 경계선 인격 장애라는 진단명을 알리지 않았는데, 이는 수잔나가 알 필요가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28] 이는 당시 사회가 여성에게 요구했던 사회적 통념에 맞지 않는 행동을 정신 질환으로 규정짓는 문제점을 보여준다. 1960년대와 1970년대 이후 성별과 정신 건강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더 광범위한 질환을 포함하여 전반적인 정신 건강 수준에서 더 균형 잡힌 성별 균형이 확인되었다.[29]6. 2. 강제 입원
1967년, 뉴잉글랜드에서 아스피린과 알코올을 과다 복용하여 정신 병원인 클레이모어에 입원한 18세 수잔나 케이슨은 신경쇠약을 겪고 있었다.[28]수잔나는 병동에서 정신 분열증을 앓는 폴리, 자해와 강박 장애를 앓는 데이지, 거짓말쟁이 조지나, 거식증 환자 재닛 등 다양한 정신 질환을 가진 소녀들과 친구가 된다. 특히 반항적이고 카리스마 넘치는 소시오패스 리사 로우에게 매료된다.
수잔나는 멜빈 포츠 박사와의 치료를 통해 자신이 경계선 인격 장애를 앓고 있음을 알게 된다. 박사는 처음에는 이 사실을 숨겼으나, 결국 그녀에게 알리면서 이 질환이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흔하다고 언급했다.[28]
어느 날, 퇴원한 환자 데이지의 아파트에서 리사는 데이지가 아버지로부터 근친상간적인 성적 학대를 당해왔음을 폭로하고, 다음 날 데이지는 자살한 채 발견된다. 수잔나는 충격을 받고 리사처럼 되고 싶지 않다는 생각에 병원으로 돌아간다.
수잔나는 치료에 협조하며 퇴원을 준비한다. 퇴원 전, 리사가 다시 병원으로 돌아오고, 수잔나의 일기장을 훔쳐 읽으며 갈등이 발생한다. 격분한 수잔나는 리사에게 맞서 싸우며 그녀의 약점을 지적한다. 이 사건을 통해 수잔나는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리사와의 관계를 정리하며 퇴원한다.
6. 3. 정신 질환을 가진 여성의 묘사
1960년대 여성 해방 운동의 등장은 케이슨의 회고록이 설정된 시대적 배경으로 중요하다. 당시 권리와 기준은 남성과 여성에게 매우 다르게 적용되었다. 멜빈 박사는 수잔나가 알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여 처음에 그녀에게 진단을 알리지 않았다.[28] 결국 그는 그녀에게 진단을 알리면서, 이 질환이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흔하다고 언급했다. 1960년대와 1970년대 이후 성별과 정신 건강의 연관성에 대한 이해에 대한 후속 연구를 통해 더 광범위한 질환을 포함하면서 전반적인 정신 건강 수준에서 더 균형 잡힌 성별 균형이 확인되었다.[29]6. 4. 고립
영화는 정신병원을 감옥과 유사한 공간으로 묘사하며, 환자들이 사회로부터 격리되고 고립되는 현실을 보여준다. 클레이모어의 창문은 쇠창살로 가려져 있고, 정기적인 방 검사가 이루어지며, 소녀들은 항상 감시하는 직원들의 자비에 놓여 있다.[30] 이는 환자들이 사회로부터 격리되어 있음을 보여준다.격리라는 주제는 수잔나의 삶에서 나타나는데, 그녀의 부모와 남자친구는 시설에 그녀를 찾아오지 않는다.[30]
동시에, 정신병원은 외부의 위험으로부터 환자들을 보호하는 방패 역할도 한다. 리사는 "밖에 나가면 너를 돌봐줄 사람이 없다"고 불평하고, 토치와 같은 사람들은 학대받는 가정과 마약 거래 환경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는다.[30] 이처럼 고립은 양면적인 의미를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7. 한국어 더빙 (SBS, 2005년)
'''은영선'''한국어 - 수잔나(위노나 라이더)
'''김아영'''한국어 - 리사(안젤리나 졸리)
'''성선녀'''한국어 - 발레리(우피 골드버그)
'''임은정'''한국어 - 데이지(브리트니 머피)
'''최성우'''한국어 - 수잔나 어머니(조애나 컨스)
'''설영범'''한국어 - 수잔나 아버지(레이 베이커)
'''이성'''한국어
'''이미자'''한국어
'''임성표'''한국어
'''황윤걸'''한국어
'''김수진'''한국어
'''김기철'''한국어
'''송준석'''한국어
'''김지혜'''한국어
'''채의진'''한국어
'''정명준'''한국어
8. 기타
일본어 제목은 "17세의 카르테"로 번역되었는데, 이는 2000년에 일본에서 17세 소년 범죄가 잇따라 발생하여 언론이 "'''분노하는 17세'''"라는 말을 유행시킨 영향으로 보인다.[1] 원작자인 수잔나 케이슨은 17세 때 아스피린을 과다 복용하여 자살을 시도하고 정신과에 입원했다.[1] 영화의 원제 "Girl, Interrupted"는 요하네스 페르메이르의 그림 "음악 수업을 방해받는 소녀"에서 유래했다.[2] 이 영화는 위노나 라이더가 원작에 반해 영화화 판권을 사들여 제작 총지휘도 겸임한 작품이지만, 당시 신인이었던 안젤리나 졸리가 그 에센트릭한 배역으로 주목받았고, 위노나 라이더 자신은 전혀 주목받지 못했다.[3]
참조
[1]
웹사이트
Girl, Interrupted (1999)
https://catalog.afi.[...]
2021-01-09
[2]
웹사이트
Girl, Interrupted (1999)
https://boxofficemoj[...]
2010-06-20
[3]
웹사이트
Wick, Col nab rights to 'Girl' bio
https://variety.com/[...]
1993-06-28
[4]
웹사이트
Winona Ryder: Mining Her Memories to Play a Troubled Soul
https://archive.nyti[...]
1999-11-14
[5]
웹사이트
Ryder toplines 'Souls' for Ryan's Prufrock
https://variety.com/[...]
1998-07-10
[6]
간행물
Behind the scenes of 'Girl, Interrupted'
https://ew.com/artic[...]
1998-10-23
[7]
웹사이트
An oral history of Girl, Interrupted
https://theface.com/[...]
2019-12-24
[8]
웹사이트
Parker Posey: 'I didn't think I would work again – so I wrote a book'
https://www.theguard[...]
2018-07-31
[9]
웹사이트
Parker Posey: Fearless woman, not girl interrupted
https://www.cnn.com/[...]
2012-11-02
[10]
웹사이트
CBS skeds 'Arc'; 'Friends' in salary huddles
https://variety.com/[...]
Variety
1998-11-09
[11]
웹사이트
Players
https://variety.com/[...]
1998-11-16
[12]
웹사이트
The filming of 'Girl, Interrupted' in central Pa. in 1999
https://www.pennlive[...]
[13]
웹사이트
Harrisburg State Hospital (Historic Asylums)
http://sites.rootswe[...]
2011-01-27
[14]
웹사이트
Girl, Interrupted Movie Reviews, Pictures
https://www.rottento[...]
2022-04-07
[15]
웹사이트
Girl, Interrupted
https://www.metacrit[...]
2020-05-30
[16]
웹사이트
Home
https://www.cinemasc[...]
2022-02-28
[17]
웹사이트
'Girl, Interrupted': Stop Your Whining, Little Girl
https://archive.nyti[...]
1999-12-21
[18]
웹사이트
Girl, Interrupted
https://www.bbc.co.u[...]
BBC
2001-06-28
[19]
웹사이트
Following 'Cuckoo's' Flight Path
https://www.latimes.[...]
1999-12-21
[20]
웹사이트
Review: 'Girl, Interrupted' – Committed drama
https://www.cnn.com/[...]
1999-12-28
[21]
웹사이트
Girl, Interrupted movie review
https://www.rogerebe[...]
2000-01-14
[22]
웹사이트
Girl, Interrupted
https://www.timeout.[...]
[23]
웹사이트
Sappy 'Girl' Lacks Character Development
https://www.sfgate.c[...]
2000-01-14
[24]
웹사이트
'Girl'–it's one long interruption
https://www.newspape[...]
1999-12-21
[25]
웹사이트
Susanna Kaysen, without interruptions
https://www.thejusti[...]
2003-02-04
[26]
논문
Women declared insane: A follow-up study
http://dx.doi.org/10[...]
1986-01
[27]
간행물
Involuntary Commitment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2
[28]
논문
Placing the 'mad woman': troubling cultural representations of being a woman with mental illness in Girl Interrupted
http://www.tandfonli[...]
2009-11
[29]
서적
Gender and Mental Health
Palgrave Macmillan, London
2010
[30]
논문
Depathologising the Traumatised Self in Susanna Kaysen's ''Girl, Interrupted''
http://dx.doi.org/10[...]
2019-12
[31]
웹사이트
The 72nd Academy Awards (2000): Winners and Nominees
http://www.oscars.or[...]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2015-04-22
[32]
웹사이트
The 16th Artios Awards (2000): Winners and Nominees
http://theenvelope.l[...]
[33]
웹사이트
The 6th Blockbuster Entertainment Awards (1999): Winners and Nominees
http://theenvelope.l[...]
[34]
웹사이트
The 12th Chicago Film Critics Association Awards (2000): Winners and Nominees
http://theenvelope.l[...]
[35]
웹사이트
The BFCA Critics' Choice Awards: 1999
http://www.bfca.org/[...]
Critics Choice Association
[36]
웹사이트
The 6th Empire Awards (2000): Winners and Nominees
http://theenvelope.l[...]
2022-09-13
[37]
웹사이트
"'Girl, Interrupted' – Golden Globes"
https://www.goldengl[...]
Hollywood Foreign Press Association
2022-09-13
[38]
웹사이트
The 4th San Diego Film Critics Society Awards (2000): Winners and Nominees
http://theenvelope.l[...]
2022-09-13
[39]
웹사이트
The 6th Annual Screen Actors Guild Awards (2000): Winners and Nominees
https://www.sagaward[...]
SAG-AFTRA
2022-09-13
[40]
웹사이트
Fox To Reveal Teen Choice Winners Tonight
http://articles.sun-[...]
2000-08-22
[41]
웹사이트
The 21st Young Artist Awards (2000): Winners and Nominees
http://www.youngarti[...]
Young Artist Association
2022-09-13
[42]
웹사이트
Girl, Interrupted OriginaL Soundtrack
https://www.allmusic[...]
AllMusic
2020-05-30
[43]
웹사이트
Girl, Interrupted (1999)
https://www.boxoffic[...]
2009-1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