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승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승군은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신나라 시기에 건신군으로 개칭되었다가 후한 시대에 다시 천승군으로 명칭이 회복된 행정 구역이다. 전한 무제는 기원전 110년 제나라를 제군과 천승군으로 나누었으며, 청주에 속했다. 전한 말기에는 15개의 현을 관할했으며, 왕망의 신나라 시기에는 건신군으로 개칭되었다. 후한 시대에는 장보의 점령과 유건의 천승왕 봉해짐에 따라 천승국으로 개칭되기도 했으며, 95년에는 낙안국으로 개칭되었다.
전한 초기에 천승군은 제나라에 속했다. 기원전 110년(원봉 원년) 유홍이 죽고 제나라가 폐지되자[1], 무제는 제나라를 제군과 천승군으로 나누었다.
2. 역사
《한서》 지리지 주석에서는 고제가 설치했다고 하나 왕국유는 이를 부정했으며, 《서한정구지리》에서는 남월 정복 무렵 제상 복식이 천승군의 속현인 박창도 관할하고 있음을 들어, 당시의 제왕인 회왕이 죽은 후에야 제군에서 천승군이 분할되었다고 한다.
왕망 시대에 건신군으로 개칭되었다가, 후한이 건국되자 천승군으로 명칭이 되돌아갔다.[3]
후한 초기에 천승군은 장보에게 점령되었다. 29년(건무 5년)에 장보가 후한에 항복하자, 천승군은 후한의 통치하에 들어갔다.[4] 60년(영평 3년), 유건이 천승왕이 되자 천승군은 '''천승국'''으로 개칭되었다.[5] 95년(영원 7년), 천승국은 낙안국으로 개칭되었다.[7]
2. 1. 전한
전한 초기에 천승군은 제나라에 속했다. 기원전 110년(원봉 원년) 유홍이 죽고 제나라가 폐지되자[1], 무제는 제군과 천승군으로 나누었다. 천승군은 청주에 속했으며, 15개 현을 관할했다. 《한서》에 따르면 전한 말기에 11만 6727호, 49만 720명이 있었다.[2]
《한서》 지리지 주석에서는 고제가 설치했다고 하나 왕국유는 이를 부정했으며, 《서한정구지리》에서는 남월 정복 무렵 제상 복식이 천승군의 속현인 박창도 관할하고 있음을 들어, 당시의 제왕인 회왕이 죽은 후에야 제군에서 천승군이 분할되었다고 한다.
청주자사부에 속했으며,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11만 6727호, 49만 720명이 있었다. 철관·염관·균수관을 두었다.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총 15현(10현 5후국)이다.[8] 오늘날의 쯔보 시 서북부, 빈저우 시 중부와 동부, 둥잉 시 서부 일대를 관할했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천승현 | 千乘縣 | 쯔보시 가오칭현 북동 | 철관이 있었다. |
동추현 | 東鄒縣 | 쯔보시 가오칭현 남서 | |
습옥현 | 溼沃縣 | 빈저우시 북서 | |
평안후국 | 平安侯國 | 빈저우시 보싱현 남 | |
박창현 | 博昌縣 | 빈저우시 보싱현 남동 | |
요성현 | 蓼城縣 | 둥잉시 리진현 | 도위 치소 소재지다. |
건신현 | 建信縣 | 쯔보시 가오칭현 북서 | |
적현 | 狄縣 | 쯔보시 가오칭현 남동 | |
낭회현 | 琅槐縣 | 둥잉시 광라오현 북동 | |
낙안현 | 樂安縣 | 빈저우시 보싱현 북동 | |
피양후국 | 被陽侯國 | 쯔보시 가오칭현 남동 | |
고창후국 | 高昌侯國 | 빈저우시 보싱현 서 | |
번안후국 | 繁安侯國 | ? | |
고완현 | 高宛縣 | 빈저우시 쩌우핑현 북동 | |
연향후국 | 延鄕侯國 | 빈저우시 쩌우핑현 동 |
[8][9]
왕망 시대에 건신군으로 개칭되었다. 후한이 건국되자, 천승군으로 명칭이 되돌아갔다.[3]
2. 2. 신나라
전한 | 신 |
---|---|
습옥(溼沃) | 연정(延亭) |
평안(平安) | 홍목(鴻睦) |
요성(蓼城) | 시무(施武) |
적(狄) | 이거(利居) |
번안(繁安) | 와정(瓦亭) |
고완(高宛) | 상향(常鄕) |
2. 3. 후한
전한 초기에 천승군은 제나라에 속했다. 기원전 110년(원봉 원년) 유홍이 죽고 제나라가 폐지되자[1], 무제는 제나라를 제군과 천승군으로 나누었다. 왕망 시대에는 건신군으로 개칭되었다가, 후한이 건국되자 천승군으로 명칭이 되돌아갔다.[3]후한 초기에 천승군은 장보에게 점령되었다. 29년(건무 5년) 장보가 후한에 항복하면서 천승군은 후한의 통치하에 들어갔다.[4] 60년(영평 3년), 유건이 천승왕이 되자 천승군은 '''천승국'''으로 개칭되었다.[5] 천승국은 임제, 천승, 고원, 낙안, 박창, 료성, 리, 익, 수광의 9개 현을 관할했다.[6] 95년(영원 7년), 천승국은 낙안국으로 개칭되었다.[7]
3. 행정 구역
전한 시기 제군에서 분리되어 설치되었으며, 청주자사부에 속했다. 원시 2년(2년) 기준 11만 6727호, 49만 720명이 있었다. 철관, 염관, 균수관을 두었으며, 오늘날의 쯔보 시 서북부, 빈저우 시 중부와 동부, 둥잉 시 서부 일대를 관할했다.
왕망이 신을 건국하면서 건신군(建信郡)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일부 현의 이름도 변경되었다.
후한 초, 천승군은 장보에게 점령되었다가 29년(건무 5년)에 후한에 항복하여 후한의 통치하에 들어갔다.[4] 60년(영평 3년)에 유건이 천승왕이 되면서 천승국으로 개칭되었다가,[5] 95년(영원 7년)에 낙안국으로 개칭되었다.[7]
3. 1. 전한
고제가 설치했다는 설이 《한서》 지리지 주석에 기록되어 있으나, 왕국유는 이를 부정했다. 《서한정구지리》에서는 남월 정복 무렵 제 상 복식이 천승군의 속현인 박창도 관할하고 있음을 들어, 당시의 제왕인 회왕이 죽은 후에야 제군에서 천승군이 분할되었다고 한다.[8]청주자사부에 속했으며,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11만 6727호, 49만 720명이 있었다. 철관·염관·균수관을 두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 지리지의 순서를 따르며, 일반적으로 첫 현이 군의 치소이다.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총 15현(10현 5후국)이다.[8] 오늘날의 쯔보 시 서북부, 빈저우 시 중부와 동부, 둥잉 시 서부 일대를 관할했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천승현 | 千乘縣 | 쯔보시 가오칭현 북동 | 철관이 있었다. |
동추현 | 東鄒縣 | 쯔보시 가오칭현 남서 | |
습옥현 | 溼沃縣 | 빈저우시 북서 | |
평안후국 | 平安侯國 | 빈저우시 보싱현 남 | |
박창현 | 博昌縣 | 빈저우시 보싱현 남동 | |
요성현 | 蓼城縣 | 둥잉시 리진현 | 도위 치소 소재지다. |
건신현 | 建信縣 | 쯔보시 가오칭현 북서 | |
적현 | 狄縣 | 쯔보시 가오칭현 남동 | |
낭회현 | 琅槐縣 | 둥잉시 광라오현 북동 | |
낙안현 | 樂安縣 | 빈저우시 보싱현 북동 | |
피양후국 | 被陽侯國 | 쯔보시 가오칭현 남동 | |
고창후국 | 高昌侯國 | 빈저우시 보싱현 서 | |
번안후국 | 繁安侯國 | ? | |
고완현 | 高宛縣 | 빈저우시 쩌우핑현 북동 | |
연향후국 | 延鄕侯國 | 빈저우시 쩌우핑현 동 |
[8][9]
전한 초기에 제나라에 속했다. 기원전 110년 (원봉 원년)에 제왕 유홍이 죽고 제나라가 폐지되자,[1] 무제는 이를 제군과 천승군으로 나누었다. 천승군은 청주에 속했으며, 《한서》에 따르면 전한 말기에 11만 6727호, 49만 720명이 있었다.[2]
왕망 시대에 건신군으로 개칭되었다가, 후한이 건국되자 천승군으로 명칭이 되돌아갔다.[3]
3. 2. 신나라
전한 | 신 |
---|---|
습옥(溼沃) | 연정(延亭) |
평안(平安) | 홍목(鴻睦) |
요성(蓼城) | 시무(施武) |
적(狄) | 이거(利居) |
번안(繁安) | 와정(瓦亭) |
고완(高宛) | 상향(常鄕) |
3. 3. 후한
전한 초기에 천승군은 제나라에 속했다. 기원전 110년(원봉 원년) 제왕 유홍이 죽고 제나라가 폐지되자[1], 무제는 제나라를 제군과 천승군으로 나누었다. 왕망 시대에는 건신군으로 개칭되었다가, 후한이 건국되자 천승군으로 명칭이 되돌아갔다.[3]후한 초기에 천승군은 장보에게 점령되었다. 29년(건무 5년) 장보가 후한에 항복하면서 천승군은 후한의 통치하에 들어갔다.[4] 60년(영평 3년) 유건이 천승왕이 되자 천승군은 '''천승국'''으로 개칭되었으며,[5] 95년(영원 7년) 낙안국으로 개칭되었다.[7]
4. 태수
천승군은 전한과 후한 시대에 걸쳐 존재했던 군이다. 전한 시대에는 유순(? ~ 기원전 28년)이 태수를 역임했다.[1]
이름 | 재임 기간 |
---|---|
유순 | ? ~ 기원전 28년 |
4. 1. 전한
(작성할 내용 없음)4. 2. 후한
참조
[1]
서적
漢書
[2]
서적
漢書
筑摩書房
1998
[3]
서적
漢書
筑摩書房
1998
[4]
서적
後漢書
[5]
서적
後漢書
[6]
서적
後漢書
[7]
서적
後漢書
[8]
서적
한서
[9]
서적
汉书地理志汇释
安徽教育出版社
2006-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