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군은 중국의 옛 행정 구역으로, 기원전 221년 진나라가 제나라를 멸망시킨 후 설치되었다. 이후 전한, 후한, 서진, 유송, 북위, 수나라, 당나라 시대를 거치며 여러 차례 존속과 폐지를 반복했다. 전한 시대에는 청주에 속했으며, 임치 등을 포함한 12현을 관할했다. 후한 시대에는 제국으로 승격되기도 했으며, 서진 시대에는 5현을 관할했다. 북위 시대에는 9현을 관할했으며, 수나라 때 폐지되었다가 당나라에서 제주로 개칭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쑤성의 군 - 회계군
    회계군은 중국 고대 월나라의 중요 지역으로, 우와 관련이 깊으며 진시황에 의해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경제, 군사, 문화적으로 번영을 누렸던 행정 구역이다.
  • 장쑤성의 군 - 오군
    오군은 129년 후한 순제 시대에 설치되어 여러 왕조의 통치를 받았으며, 손책이 장악하여 오나라의 기반이 되었고, 경제적 번영과 군사적 중요성을 지녔으나, 당나라 때 소주로 개명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 산둥성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 산둥성의 군 - 제북군
    제북군은 진나라가 제나라를 멸망시킨 후 설치된 군으로, 전한 시대에는 제북나라로 바뀌었으며, 유흥거의 반란으로 폐지되었다가 제북군과 제남군으로 분리되기도 했다.
  • 진나라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 진나라의 군 - 회계군
    회계군은 중국 고대 월나라의 중요 지역으로, 우와 관련이 깊으며 진시황에 의해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경제, 군사, 문화적으로 번영을 누렸던 행정 구역이다.
제군
지도
정보
국가중국
위치산둥
상태폐지됨
역사
연도기원전 221년 ~ 서진
설명진나라에 의해 설립되었고, 서진 시대에 폐지됨
행정
제나라
청주

2. 역사적 배경

기원전 221년(시황 26년), 진이 를 멸망시키자, 임치에 제군이 설치되었다.[8] 기원전 206년, 항우가 제후들을 분봉하면서 전도가 제왕이 되어 '''제나라'''가 설치되었다.[9]

기원전 203년 (전한 고제 4년), 한신이 제왕이 되면서 제나라가 설치되었다.[10] 기원전 202년 (고제 5년), 한신이 초왕으로 옮겨 봉해지자, 제나라는 임치군, 제북군, 교동군, 낭야군으로 분할되었다. 기원전 201년 (고제 6년), 황자 유비가 제왕이 되어 임치군, 박양군, 제북군, 교동군, 교서군, 낭야군, 성양군의 7군 73현을 관할하는 제나라가 설치되었다.[11] 기원전 165년 (문제 15년), 유비의 손자인 제왕 유칙이 사망하자 제나라는 폐지되고 임치군이 설치되었다. 기원전 164년 (문제 16년), 유비의 아들인 양허후 유장려가 제왕이 되면서 제나라가 설치되었다. 기원전 127년 (원삭 2년), 유장려의 손자인 제왕 유차창이 자살하자, 제나라는 폐지되고 제군이 설치되었다.[12] 기원전 117년 (원수 6년), 무제의 아들인 유굉이 제왕이 되어 제나라가 설치되었다. 기원전 110년 (원봉 원년), 제왕 유굉이 사망하자, 제나라는 폐지되고 제군이 설치되었다.[13] 제군은 청주에 속했으며, 임치, 서안, 창국, 리, 임구, 광, 광라오, 거정, 소남, 북향, 평광, 태향의 12현을 관할했다. 『한서』에 따르면, 전한 말에 15만 4826호, 55만 4444명이 있었다.[14]

'''전한 제나라 연혁표'''
기원전 206년기원전 202년기원전 201년기원전 187년기원전 181년기원전 178년기원전 165년기원전 164년기원전 154년기원전 153년기원전 122년기원전 106년기원전 48년
제북국제나라제북군제나라제북군제나라제북군제나라제북군제북국제북군제북국제북국제북국제북국연주제북국태산군
태산군태산군
평원군청주평원군평원군
박양군려국제천국제남군제남국제남군제남군제남군제남군제남군
교동국교동군교동군제나라교동군제나라교동군제나라교동군교동군교동국교동군교동국교동국교동국교동국
동래군동래군동래군동래군
제나라임치군임치군임치군임치군임치군임치군제나라제나라제나라제군제군제군
천승군천승군
자천국자천군자천국자천국자천국자천국
낭야군교서군교서군교서군교서군교서군교서국교서군교서국교서국교서군고밀국
북해군북해군북해군북해군
낭야군낭야군낭야국낭야군낭야군낭야군낭야군낭야군낭야군서주낭야군낭야군
성양군성양군성양군성양국성양군성양국성양국성양국성양국연주성양국성양국



왕망 때 제남군으로 개칭되었다.[15]

후한 초년에 제군은 장보에게 점령되었다. 29년 (건무 5년), 장보가 후한에 항복했다.[16] 37년 (건무 13년), 태원왕 유장이 제공으로 옮겨 봉해져 제나라가 설치되었다.[17] 제나라는 임치, 서안, 창국, 임구, 광, 반양의 6현을 관할했다.[18]

265년 (서진 태시 원년), 사마유가 제왕이 되자, 제나라가 설치되었다. 제나라는 임치, 서안, 동안평, 광요, 창국의 5현을 관할했다.[19]

남조 송나라 때, 제군은 임치, 서안, 안평, 반양, 광요, 창국, 익도의 7현을 관할했다.[20] 469년 (태시 5년), 북위의 모용백요가 동양을 점령하자, 제군은 북위의 통치하에 들어갔다.[21]

북위 때, 제군은 임치, 서안, 안평, 반양, 평창, 광요, 창국, 익도, 광천의 9현을 관할했다.[22]

583년 (개황 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자, 제군은 폐지되고 청주에 편입되었다. 607년 (대업 3년)에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자, 제주가 제군으로 개칭되었다. 제군은 력성, 주아, 임읍, 임제, 추평, 장추, 장산, 고원, 정산, 자천의 10현을 관할했다.[23]

618년 (무덕 원년), 당나라가 건국되자, 제군은 제주로 개칭되었고, 제군의 호칭은 사라졌다.[24]

3. 주요 특징

(이전 단계에서 결과물이 없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빈칸으로 출력합니다.)

4. 행정 구역

제군은 시대에 따라 그 영역과 소속 현이 변천해왔다.

### 전한

왕망은 제군의 이름을 제남군으로 고치고, 현의 이름을 아래와 같이 변경했다.[15]

전한
임치제릉(齊陵)
이치(利治)
서안동녕(東寧)
임구감구(監胊)
북향우취(禺聚)



### 후한

후한 초기에 제군은 장보에게 점령되었다가, 29년(건무 5년) 장보가 후한에 항복하면서 후한의 영역이 되었다.[16] 37년(건무 13년), 태원왕 유장이 제공으로 옮겨 봉해지면서 제나라가 설치되었고,[17] 임치, 서안, 창국, 임구, 광, 반양의 6현을 관할했다.[18]

### 서진

239년(위 명제 경초 3년), 관구검요동군공손연을 격파한 이후 동답현, 문현, 북풍현 주민들을 강제 이주시켰고, 신답, 신문, 남풍의 3개 현이 신설되었다. 서진 건국 후, 광현이 동관군으로 이속되었고 반양, 익도, 신문, 남풍, 신답의 5개 현이 폐지되었다. 280년(서진 무제 태강 원년) 이후 제국은 5현 14,000호를 거느렸다. 영가의 난 무렵에는 군벌 왕미의 세력권에 편입되었다가, 석륵에게 정복당하면서 후조의 땅이 되었다.[33]

265년 (서진 태시 원년), 사마유가 제왕이 되자 제나라가 설치되었으며, 임치, 서안, 동안평, 광요, 창국의 5현을 관할했다.[19]

### 유송

410년(진 안제 의희 6년), 유유남연을 멸망시키면서 제군은 남조의 땅이 되었다. 그러나 명제 시기 북위의 침공으로 회수 이북 지방을 상실하면서 제군은 북조의 땅으로 편입되었다. 유송 대 제군은 7현 7,346호 14,889명을 거느렸다.[35] 469년 (태시 5년), 북위의 모용백요가 동양을 점령하면서 북위의 통치하에 들어갔다.[21]

### 북위 ~ 북제

유송 명제 시기 회수 이북의 여러 군현을 점령하면서 북위의 땅이 되었다. 북위 때 제군은 9현 30,848호 82,100명을 거느렸다. 태수의 치소는 본래 임치현에 두었으나, 북제 시기인 556년(북제 문선제 천보 7년) 익도현의 치소가 광고성이 있던 지금의 칭저우시로 옮겨졌다.[37][36]

4. 1. 전한

기원전 202년 한신이 제나라에서 초나라로 옮겨 봉해지고 제나라가 폐지되면서, 제나라의 서울 지역은 임치군(臨淄郡)이 되었다. 기원전 201년 고제의 서장자 유비가 제왕으로 봉해지면서 제나라의 내사지가 되었다. 제문왕 유칙이 기원전 165년에 후사 없이 죽어 제나라가 폐지되면서 제나라의 내사지는 다시 임치군이 되었다. 기원전 164년 제나라를 분할 부활하면서 임치군을 둘로 나누어 동부는 치천국으로 분리되었고 서부만이 제나라가 되었으며 옛 제나라의 지군들은 모두 독립 왕국이 되었다. 기원전 127년 제여왕 유차창이 죄를 짓고 자결해 제나라를 폐지하고 제군을 설치하면서 임치군이 아닌 제군이라는 군 명칭이 이후에도 계속되었다. 기원전 117년 제회왕 유굉이 봉해지면서 다시 제나라가 되었고 기원전 110년에 죽으면서 제군이 되었다.[25][26]

청주에 속하였으며,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154,826호, 554,444명이 거주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지리지의 내용이다.[27]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총 12현(6현 6후국)이다. 일반적으로 첫 현이 치소로 여겨진다.

이름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임치현臨淄縣쯔보시 린쯔구 제도진(齊都鎭) 동쪽 임치고성사상보(師尙父)가 봉해진 곳으로 영구(營丘)이다. 여수(如水)가 북서에서 양추(梁鄒)에 이르러 제수(泲水)로 들어간다. 복관(服官)과 철관(鐵官)이 있었다.
창국현昌國縣쯔보시 쯔촨구 쌍양진(雙楊鎭) 동남덕회수(德會水)가 북서로 서안(西安)에 이르러 여수로 들어간다.
이현利縣빈저우시 보싱현 동
서안현西安縣쯔보시 린쯔구 북고양촌(北高陽村)
거정현鉅定縣둥잉시 광라오현 북마차독수(馬車瀆水)가 거정수에서 갈려나와서 북동으로 낭괴(琅槐)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간다.
광후국廣侯國웨이팡시 칭저우시위산(爲山)에서 탁수(濁水)가 나와 북동으로 광요(廣饒)에 이르러 거정수(鉅定水)로 들어간다.
광요후국廣饒侯國둥잉시 광라오현과 웨이팡시 서우광시 교외 일대
소남현昭南縣?
임구후국臨朐侯國웨이팡시 린추현봉산사(逢山祠)가 있고, 석고산(石膏山)에서 상수(洋水)가 나와 북동으로 광요에 이르러 거정수로 들어간다.
북향후국北鄕侯國쯔보시 북동과 둥잉시 광라오현 남 일대
평광후국平廣侯國?
대향후국臺鄕侯國웨이팡시 서우광시 북동?

[28][29]

왕망 때 군의 이름을 제남군으로 고쳤으며,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15]

전한
임치제릉(齊陵)
이치(利治)
서안동녕(東寧)
임구감구(監胊)
북향우취(禺聚)


4. 2. 후한

43년(후한 광무제 건무 19년), 제무왕 유인의 아들 유장(劉章)이 제왕으로 책봉되면서 다시 제국(齊國)으로 승격되었다.[30][31] 후한대 제국은 140년(영화 5년) 기준 6현 64,415호 491,765명을 거느렸다.[32]

후한 시대 제국의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임치현臨菑縣쯔보시 린쯔구 제도진(齊都鎭) 동쪽 임치고성청주자사의 치소가 있었다.
서안현西安縣쯔보시 린쯔구 북고양촌(北高陽村)현 동쪽에 극리정(棘里亭)이 있었다. 그리고 현 내에 거구리(蘧丘里), 고거구(古渠丘)가 있었다.
창국현昌國縣쯔보시 쯔촨구 쌍양진(雙楊鎭) 동남
임구현臨朐縣웨이팡시 린추현현내에 삼정(三亭)과 병나라(郱)의 옛 읍이 있었다. 두예는 병나라의 읍은 현 동남쪽에 있다고 했고, 응소는 백씨(伯氏)의 읍이 있었다고 기록했다.
광현廣縣웨이팡시 칭저우시
반양현般陽縣쯔보시 쯔촨구본래 제남군에 속했다.



후한 초년, 제군은 장보에게 점령되었다. 29년 (건무 5년), 장보가 후한에 항복했다.[16] 37년 (건무 13년), 태원왕 유장이 제공으로 옮겨 봉해져 제나라가 설치되었다.[17] 제나라는 임치, 서안, 창국, 임구, 광, 반양의 6현을 관할했다.[18]

4. 3. 서진

239년(위 명제 경초 3년), 관구검요동군공손연을 격파한 이후 동답현, 문현, 북풍현의 주민들이 본군으로 강제 이주되면서 신답, 신문, 남풍의 3개 현이 신설되기도 했다. 서진이 세워진 이후, 광현이 동관군으로 이속되었고, 반양, 익도, 신문, 남풍, 신답의 5개 현이 폐지되었다. 280년(서진 무제 태강 원년) 이후의 제국은 5현 14,000호를 거느렸다. 영가의 난 무렵에는 군벌 왕미의 세력권으로 편입되었다가, 그가 석륵에게 정복당하면서 후조의 땅으로 편입되었다.[33]

서진 시대 제국의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임치현臨淄縣쯔보시 린쯔구 제도진(齊都鎭) 동쪽 임치고성청주자사의 치소가 있었다. 그러나 청주 일대를 점령한 후조가 본현에 있던 자사부를 311년(진 회제 영가 5년), 왕미의 부관이자 청주자사를 자칭했던 조억(曹嶷)이 세운 광고성(廣固城)으로 옮겼다.[33][34]
서안현西安縣쯔보시 린쯔구 북고양촌(北高陽村)현 경내에 극리정(棘裏亭)이 있었다.
동안평현東安平縣쯔보시 린쯔구 황성진(皇城鎭)위나라제남군에서 본군으로 내속되었다.[35] 여수(汝水)가 현내에서 동북쪽으로 흐른다.
광요현廣饒縣둥잉시 광라오현 임가대영촌(任家大營村) 동남
창국현昌國縣쯔보시 쯔촨구 쌍양진(雙楊鎭) 동남악의가 봉읍으로 받은 곳이다.



265년 (서진 태시 원년), 사마유가 제왕이 되자, 제나라가 설치되었다. 제나라는 임치, 서안, 동안평, 광요, 창국의 5현을 관할했다.[19]

4. 4. 유송

410년(진 안제 의희 6년), 유유남연을 멸망시키면서 제군은 남조의 땅이 되었다. 그러나 명제 시기 북위의 침공으로 회수 이북 지방을 상실하면서 제군은 북조의 땅으로 편입되었다. 유송 대 제군은 7현 7,346호 14,889명을 거느렸다.[35]

유송 시기 제군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민정비고
임치현臨淄縣쯔보시 린쯔구 제도진(齊都鎭) 동쪽 임치고성령(令)남연을 정복한 남조는 오호 십육국시대 때 청주의 치소가 있었던 광고성에 남청주(南青州), 동양성(東陽城)에 북청주(北青州)를 두었으나, 이 2개 주를 합한 뒤 임치에 자사부를 두었다. 그러나 455년(유송 효무제 효건 2년) 자사부의 치소가 역성(歷城)으로 옮겨지면서 청주의 중심지에서 벗어났다.
서안현西安縣쯔보시 린쯔구 북고양촌(北高陽村)
안평현安平縣쯔보시 린쯔구 황성진(皇城鎭)345년(후조 무제 건무 11년, 혹은 동진 목제 영화 원년) 동안평현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반양현般陽縣웨이팡시 린추현 동도화촌(東桃花村) 서남 일대424년(유송 문제 원가 원년) 치소가 쯔촨구 일대에서 웨이팡시 린추현 동남쪽 일대로 옮겨졌다.
광요현廣饒縣둥잉시 광라오현 임가대영촌(任家大營村) 동남
창국현昌國縣웨이팡시 린추현421년(유송 무제 영초 2년) 쯔보시 쯔촨구 서남쪽에 있던 치소가 린추현으로 옮겨졌다.[36]
익도현益都縣웨이팡시 서우광시 익성촌(益城村)



469년 (태시 5년), 북위의 모용백요가 동양을 점령하자, 제군은 북위의 통치하에 들어갔다.[21]

4. 5. 북위 ~ 북제

유송 명제 시기 회수 이북의 여러 군현을 점령하면서 북위의 땅으로 편입되었다. 북위 때 제군은 9현 30,848호 82,100명을 거느렸다. 태수의 치소는 본래 임치현에 두었으나, 북제 시기인 556년(북제 문선제 천보 7년) 익도현의 치소가 광고성이 있던 지금의 칭저우시로 옮겨졌다.[37][36]

북위 ~ 북제 시기 제군 소속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임치현臨淄縣쯔보시 린쯔구 제도진(齊都鎭) 동쪽 임치고성현내에 공손씨 일가의 무덤(公孫接冢), 안영의 무덤(晏嬰冢), 제 장공의 무덤(齊莊公冢), 영구(營丘), 제대(臺), 요산사(堯山祠)가 있었다. 556년에 폐지되었다.
창국현昌國縣웨이팡시 린추현현내에 기신총(紀信冢)이 있었다.
익도현益都縣웨이팡시 서우광시 익성촌(益城村) → 웨이팡시 칭저우시현내에 조실(釣室)이 있었다. 556년 치소가 서우광시에서 청주자사부가 있던 동양성 일대(現 칭저우시)로 옮겨졌다.
반양현般陽縣웨이팡시 린추현 동도화촌(東桃花村) 서남 일대현내에 주허성(朱虛城), 대현산(大峴山), 증산(甑山), 거평산(鉅平山), 태산사(太山祠)가 있었다.
평창현平昌縣473년(북위 효문제 연흥 3년) 성양군에서 본군으로 편입되었다.
광요현廣饒縣둥잉시 광라오현 임가대영촌(任家大營村) 동남현내에 오두산(吳頭山)이 있었다.
서안현西安縣쯔보시 린쯔구 북고양촌(北高陽村)현내에 봉산(逢山), 팔사산(八士山)이 있었다. 556년에 폐지되었다.
안평현安平縣쯔보시 린쯔구 황성진(皇城鎭)현내에 부부산(覆釜山)이 있었다. 556년에 폐지되었다.
광천현廣川縣현내에 우산(牛山), 중부총(仲父冢), 흑산(黑山), 석연산(石硯山), 제환공의 묘(齊桓公冢), 4호총(四豪冢)이 있었다.


참조

[1] 서적 Book of Han
[2] 서적 Book of Han
[3] 서적 Book of Later Han
[4] 서적 Book of Later Han
[5] 서적 Book of Jin
[6] 서적 Book of Wei
[7] 서적 New Book of Tang
[8] 서적 史記集解
[9] 서적 史記
[10] 서적 史記
[11] 서적 漢書
[12] 서적 史記
[13] 서적 漢書
[14] 서적 漢書 筑摩書房 1998
[15] 서적 漢書 筑摩書房 1998
[16] 서적 後漢書
[17] 서적 後漢書
[18] 서적 後漢書
[19] 서적 晋書
[20] 서적 宋書
[21] 서적 魏書
[22] 서적 魏書
[23] 서적 隋書
[24] 서적 旧唐書
[25] 서적 한서 https://zh.wikisourc[...]
[26] 서적 한서 https://zh.wikisourc[...]
[27] 서적 한서 https://zh.wikisourc[...]
[28] 서적 한서
[29] 서적 汉书地理志汇释 安徽教育出版社 2006-06
[30] 서적 후한서 https://zh.wikisourc[...]
[31] 서적 후한서 https://zh.wikisourc[...]
[32] 서적 후한서 https://zh.wikisourc[...]
[33] 서적 진서 https://zh.wikisourc[...]
[34] 서적 원화군현도지 https://zh.wikisourc[...]
[35] 서적 송서 https://zh.wikisourc[...]
[36] 서적 《수서》 30권 지 제25 지리지 中 청주 북해군 https://zh.wikisourc[...]
[37] 서적 《위서》106권 지 제2 지형지 中 청주 제군 https://zh.wikisourc[...]
[38] 서적 《수서》 30권 지 제25 지리지 中 청주 제군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