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왕 (제나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왕은 제나라에서 왕으로 봉해진 인물들을 가리킨다. 제나라는 주나라, 초한전쟁, 한나라, 위진 남북조 시대, 수나라, 당나라, 오대 십국 시대, 송나라, 원나라, 명나라 등 다양한 시기에 존재했으며, 각 시대의 제왕들은 정치적 상황에 따라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제왕 (제나라) | |
---|---|
기본 정보 | |
![]() | |
존속 기간 | 기원전 1046년 ~ 기원전 221년 |
수도 | 영구 (營丘, 현재의 산둥성) 임치 (臨淄, 기원전 685년 이후) |
정치 체제 | 군주제 |
주요 사건 | 기원전 1046년: 강태공에 의해 건국 기원전 685년: 제 환공 즉위 및 관중 등용 기원전 221년: 진나라에 의해 멸망 |
역대 제후 | |
강성 | 강태공 (姜姓) |
전제 | 전상자 (田常) |
역사 | |
건국 | 기원전 1046년 |
멸망 | 기원전 221년 |
멸망 원인 | 진나라에 의한 멸망 |
인구 | |
춘추 시대 | 상당한 인구 보유 |
경제 | |
주요 산업 | 농업 어업 소금 생산 광업 |
경제 특징 | 관중의 개혁을 통해 경제 발전 해안 지역의 이점을 활용한 어업 및 소금 생산 |
사회 | |
사회 특징 | 관중의 개혁을 통해 사회 안정 다양한 사상과 문화 발전 |
문화 | |
문화 특징 | 제자백가의 학문 발전 직하학궁을 통한 학술 진흥 다양한 문화 예술 발전 |
기타 정보 | |
언어 | 고대 중국어 |
2. 주나라
주나라 시대 제나라에서는 왕을 칭하였다. 대표적인 왕으로는 제 위왕, 제 선왕, 제 민왕 등이 있다.
2. 1. 동주
동주 시대 제나라의 왕들은 다음과 같다.이름 | 재위 기간 |
---|---|
제 위왕 | 기원전 356년 ~ 기원전 320년 |
제 선왕 | 기원전 319년 ~ 기원전 301년 |
제 민왕 | 기원전 300년 ~ 기원전 284년 |
제 양왕 | 기원전 283년 ~ 기원전 265년 |
제왕 건 | 기원전 264년 ~ 기원전 221년 |
2. 1. 1. 제 위왕
기원전 356년부터 기원전 320년까지 제나라의 왕으로 재위하였다.2. 1. 2. 제 선왕
기원전 319년 ~ 기원전 301년 제나라의 왕을 지냈다.2. 1. 3. 제 민왕
기원전 300년부터 기원전 283년까지 재위한 제나라의 왕이다.
2. 1. 4. 제 양왕
기원전 283년부터 기원전 265년까지 제나라의 왕으로 재위하였다.2. 1. 5. 왕 전건
기원전 264년부터 기원전 221년까지 제나라의 마지막 왕으로 재위하였다.3. 초한전쟁
초한전쟁 시기 제나라에는 여러 왕들이 있었다. 전담은 기원전 209년부터 기원전 208년까지 재위했고, 전가는 기원전 208년에 잠시 왕위에 있었다. 전시는 기원전 208년부터 기원전 206년까지, 전도는 기원전 206년에 잠시 왕위에 있었다. 전영은 기원전 206년부터 기원전 205년까지, 전광은 기원전 204년에 잠시 왕위에 있었다. 전횡은 항우 사후 제나라를 다스렸다.
한신은 기원전 203년부터 기원전 202년까지 유방 휘하에서 군사 지휘관으로 복무했다. 유비는 한 고조의 장남으로 기원전 202년부터 기원전 189년까지 재위했다. 유상은 기원전 189년부터 기원전 179년까지 재위했으며, 여씨의 난 당시 중요한 인물이었다.
3. 1. 전담
기원전 209년부터 기원전 208년까지 제나라의 왕이었다.3. 2. 전가
기원전 208년, 잠시 제나라 왕위에 있었다.3. 3. 전시 (진)
기원전 208년부터 기원전 206년까지 제나라의 왕을 지냈다.3. 4. 전도 (제왕)
전도(田都)는 기원전 206년에 잠시 제나라 왕위에 있었다.이름 | 재위 기간 |
---|---|
전도 | 기원전 206년 |
3. 5. 전영 (제왕)
기원전 206년부터 기원전 205년까지 제나라의 왕으로 재위하였다.3. 6. 전광
기원전 204년, 전광은 잠시 제나라 왕위에 있었다.3. 7. 전횡
항우 사후 제나라를 다스린 인물이다.4. 한나라
왕국의 역사는 제 (전한) 문서를 참고하라.
한신 (기원전 203년 ~ 기원전 202년)은 유방 휘하에서 복무한 군사 지휘관으로, 제나라 왕위에 오른 후 초나라로 옮겨갔다. 유비 (기원전 201년 ~ 기원전 189년)는 한고조의 장남으로 제나라 왕을 지냈다. 유양 (기원전 188년 ~ 기원전 179년)은 여씨의 난 당시 중요한 인물이었다. 유칙 (기원전 179년 ~ 기원전 165년), 유장려 (기원전 164년 ~ 기원전 154년), 유수 (기원전 154년 ~ 기원전 132년), 유차창 (기원전 132년 ~ 기원전 127년), 유굉 (기원전 117년 ~ 기원전 110년)은 순서대로 제나라 왕위를 이었다.
4. 1. 전한
이름 | 재위 기간 | 비고 |
---|---|---|
한신 | 기원전 203년 ~ 기원전 202년 | 초나라로 옮김 |
유비 | 기원전 201년 ~ 기원전 189년 | 한고조의 장남 |
유양 | 기원전 188년 ~ 기원전 179년 | |
유칙 | 기원전 179년 ~ 기원전 165년 | |
유장려 | 기원전 164년 ~ 기원전 154년 | |
유수 | 기원전 154년 ~ 기원전 132년 | |
유차창 | 기원전 132년 ~ 기원전 127년 | |
유굉 | 기원전 117년 ~ 기원전 110년 |
4. 1. 1. 한신
한신은 기원전 203년부터 기원전 202년까지 제나라 왕이었으며, 이후 초나라 왕으로 옮겨갔다. 유방 휘하에서 뛰어난 군사적 능력을 발휘했으나, 훗날 모반 혐의로 처형당했다.4. 1. 2. 유비 (제도혜왕)
기원전 201년부터 기원전 189년까지 제나라 왕을 지냈으며, 한 고조 유방의 장남이다.이름 | 재위 기간 |
---|---|
유비 | 기원전 201년 ~ 기원전 189년 |
4. 1. 3. 유양 (제애왕)
기원전 188년부터 기원전 179년까지 재위한 제나라 왕이다.이름 | 재위 기간 |
---|---|
유양 | 기원전 188년 ~ 기원전 179년 |
4. 1. 4. 유칙
기원전 179년부터 기원전 165년까지 제나라의 왕으로 재위했다.4. 1. 5. 유장려
기원전 164년부터 기원전 154년까지 제나라 왕을 지냈다.4. 1. 6. 유수 (제의왕)
유수(劉遂)는 기원전 154년부터 기원전 132년까지 재위한 전한의 제나라 왕이다.4. 1. 7. 유차창
유차창은 기원전 132년부터 기원전 127년까지 제나라 왕을 지냈다.4. 1. 8. 유굉 (제회왕)
기원전 117년부터 기원전 110년까지 제나라 왕을 지냈다.4. 2. 양한교체기
양한교체기 제나라의 통치자는 장보였다.4. 2. 1. 장보 (문공)
장보는 27년부터 29년까지 제나라를 다스렸다.4. 3. 후한
유인은 후한 시대 제나라 왕으로 추존되었다.4. 3. 1. 유인 (제무왕)
유인은 추존된 제나라 왕이다.5. 위진 남북조 시대
위진 남북조 시대에는 여러 인물들이 제왕 칭호를 받았다. 조방은 황제 칭호를 잃고 제왕으로 강등되었고, 사마소의 차남 사마유, 팔왕의 난에 참여한 서진의 황족 사마경이 제왕이었다. 북제의 초대 황제 북제 문선제와 남제의 초대 황제 남제 고제는 황제가 되기 전에 제왕 칭호를 받았다. 우문태의 다섯째 아들 우문헌도 제왕이었다.
5. 1. 조방
조방은 황제 칭호를 잃고 제왕으로 강등되었다.5. 2. 사마유
사마소의 차남이다.5. 3. 사마경
사마경은 팔왕의 난에 참여한 서진의 황족이다.5. 4. 북제 문선제
북제 문선제는 북제의 초대 황제로, 황제가 되기 전에 제왕 칭호를 받았다.5. 5. 우문헌
우문태의 다섯째 아들이다.5. 6. 남제 고제
남제의 초대 황제로, 황제가 되기 전 제왕 칭호를 받았다.6. 수나라
6. 1. 양견 (수나라)
양견은 수나라 양제의 둘째 아들이다.7. 당나라
당 고조 이연의 막내 아들 이원길은 현무문의 변 때 사망했고, 당 태종의 다섯째 아들은 이우(李祐|이우중국어)이다.
7. 1. 이원길
당 고조 이연의 막내 아들로, 현무문의 변 때 사망했다.7. 2. 이우
당 태종의 다섯째 아들이다. 李祐|이우중국어8. 오대 십국 시대
오대 십국 시대에는 여러 인물들이 제왕의 칭호를 사용하였다. 남당 원종과 석중귀는 황제가 되기 전에 제왕이었으며, 요나라의 재상이었던 한덕양(韓德讓|한덕양중국어)도 제왕으로 불렸다.
8. 1. 남당 원종
남당 원종은 황제가 되기 전 제왕이었다.8. 2. 후진 출제 석중귀
석중귀는 황제가 되기 전에는 제왕이었다.8. 3. 한덕양
한덕양(韓德讓|한덕양중국어)은 요나라의 재상이었다.9. 송나라
9. 1. 조정미
송 태조의 넷째 동생이다.10. 원나라
이름 | 기간 | 비고 |
---|---|---|
시레문 | ? ~ 1258년 | 오고타이 칸의 아들 |
바부샤 | ? ~ 1307년 4월 5일 | 하사르의 후손 |
유롱 테무르 | 1316년 ~ 1326년 | 바부샤의 아들, 하사르의 후손 |
유에루테무르 | 1326년 8월 25일 ~ 1329년 2월 5일 | 유롱 테무르의 아들 |
쾨케 테무르 | ? | 바야드 몽골 장군, 우카아투 칸 휘하에서 복무, 바야드 몽골의 영주 사이인치 다후의 아들 |
10. 1. 시레문
오고타이 칸의 아들로, 1258년에 사망했다.10. 2. 바부샤 (제왕)
바부샤는 하사르의 후손으로, 1307년 4월 5일에 제왕에 봉해졌다.10. 3. 유롱 테무르
바부샤의 아들이자 하사르의 후손으로, 1316년부터 1326년까지 제왕을 지냈다.10. 4. 유에루테무르
유에루테무르는 유롱 테무르의 아들로, 1326년부터 1329년까지 제왕의 자리에 있었다.이름 | 기간 |
---|---|
유에루테무르 | 1326년 8월 25일 ~ 1329년 2월 5일 |
10. 5. 쾨케 테무르
바야드 몽골 출신의 장군으로, 우카아투 칸을 섬겼다. 그는 바야드 몽골의 영주 사이인치 다후의 아들이었다.11. 명나라
홍무제의 일곱 번째 아들 주부(朱榑)가 제나라를 다스렸다.
11. 1. 주부
홍무제의 일곱 번째 아들이다. 朱榑|주부중국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