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청평터미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평터미널은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에 위치한 시외버스터미널이다. 강원권, 수도권, 충청권 방면으로 운행하는 시외버스 노선이 있으며, 시내버스는 가평군 농어촌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청평역에서 922m 떨어져 있으며, 시외버스 승강장은 터미널 건물과 떨어져 있고, 강원도 및 수도권 방면이 구분되지 않아 혼잡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평군의 건축물 - 가평종합운동장
  • 가평군의 건축물 - 청평댐
    청평댐은 대륙성 기후 지역에 위치하며, 연평균 기온 10°C, 연평균 강수량 1581mm를 보이고, 8월이 가장 덥고 1월이 가장 추우며 7월에 강수량이 가장 많고 1월에 가장 적다.
  • 가평군의 교통 -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7호선은 경상남도 거창군에서 경기도 파주시까지 총 연장 405km에 걸쳐 6개 도를 연결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지만, 노선 변경에 따른 주민 불편과 일부 구간의 교통 혼잡 문제도 안고 있는 일반국도이다.
  • 가평군의 교통 - 서울양양고속도로
    서울양양고속도로는 서울 강동구에서 강원 양양군을 잇는 약 151km의 고속도로로, 1997년 타당성 조사 후 2017년 전 구간 개통되었으며, 민자 및 국고 구간으로 나뉘고 대한민국 최장 터널인 인제양양터널을 포함하여 원톨링 시스템 도입 등 개선 사업이 진행 중이다.
  • 1965년 설립 - 로디지아
    로디지아는 1965년 백인 소수 정권이 일방적 독립 선언 후 1979년까지 사용한 남부 로디지아의 공식 명칭이었으나, 랭커스터 하우스 협정으로 종식되고 1980년 짐바브웨 공화국으로 독립하였다.
  • 1965년 설립 - 백상예술대상
    백상예술대상은 대한민국 영화 및 텔레비전 분야의 시상식으로, 매년 봄에 개최되어 영화, TV, 연극 부문에서 다양한 상을 시상하며, 1965년 영화 부문을 시작으로 현재는 JTBC에서 중계 방송을 진행한다.
청평터미널
청평터미널 정보
이름청평터미널
공식 명칭청평버스터미널
종류터미널
주소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청평중앙로 54
개장1965년 11월 26일
이전2004년 7월 28일
운영 기관가평교통
표기청평
고속버스 운행 여부미운행
시외버스 운행 여부운행
시내버스 운행 여부운행

2. 운행 노선

2. 1. 시외버스

wikitext

방면행선지
강원권 방면강촌, 강포리, 경강, 당림리, 문혜리, 서천리, 안보리, 지포리, 춘천
수도권 방면가평, 고양, 고양화정, 교문리, 금곡, 김포공항, 대성리, 도농, 동서울, 마석, 범계, 부천, 비산동, 송탄, 안산, 안양, 오산, 인천, 인천국제공항, 잠실(7000번), 평내, 평택, 호계동
충청권 방면천안


2. 1. 1. 강원권 방면

wikitable

방면행선지
강원권 방면강촌, 강포리, 경강, 당림리, 문혜리, 서천리, 안보리, 지포리, 춘천


2. 1. 2. 수도권 방면

wikitable

방면행선지
수도권 방면가평, 고양, 고양화정, 교문리, 금곡, 김포공항, 대성리, 도농, 동서울, 마석, 범계, 부천, 비산동, 송탄, 안산, 안양, 오산, 인천, 인천국제공항, 잠실(7000번), 평내, 평택, 호계동


2. 1. 3. 충청권 방면

wikitable

방면행선지
충청권 방면천안


2. 2. 시내버스

가평군의 농어촌버스 문서를 참고하라.

3. 위치

청평역에서 922m 떨어져 있다.[2]

4. 특이 사항

청평터미널은 특이하게 터미널 건물 앞 승강장에서는 시외버스를 승차할 수 없고, 터미널 입구 쪽에 혼자 떨어져 있는 승강장에서 시외버스를 이용해야 한다. 시외버스 전용 승강장은 한 번에 한 대의 버스만 정차할 수 있을 정도로 길이가 짧으며, 강원도 방면과 수도권 방면이 구분되어 있지 않아 혼잡하다. 시내버스는 터미널 앞 승강장에서 승차한다.

참조

[1] 간행물 버스터미널 현황 https://www.gg.go.kr[...] 경기도청 2019-02-19
[2]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