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종합터미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양종합터미널은 2007년 착공되었으나, 불법저축은행 사건으로 인해 개장이 지연되어 2012년 6월 18일에 완공 및 개장했다. 2014년 5월 26일 화재 사고로 8명이 사망하고 58명이 부상당했으며, 이후 터미널 운영이 정상화되었다. 현재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노선이 운행 중이며, 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호남권, 영남권 등 다양한 지역으로의 운행 노선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산동구 - 일산신도시
일산신도시는 서울 과밀화 해소를 위해 경기도 고양시에 조성된 대규모 택지개발 신도시로, 1기 신도시 중 인구밀도가 가장 낮으며 고양호수공원을 중심으로 상업시설과 녹지가 풍부하고 서울 접근성이 높아 독립적인 도시 기능을 수행하지만 난개발 및 교육 격차 문제도 안고 있다. - 일산동구 - 원당야구장
- KD운송그룹 - 세명고등학교 (충북)
1987년 충현고등학교로 개교하여 1994년 세명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한 세명고등학교는 대원교육재단이 운영하는 충청북도의 사립 고등학교로, 꾸준한 시설 확장을 통해 다양한 학습 및 편의 시설을 갖추고 2023년 2월 기준 11,207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 KD운송그룹 - 권영우 (정치인)
권영우는 대원여객과 경기고속 인수를 통해 운수사업을 발전시키고, 국회의원과 민송학원 및 대원교육재단 설립을 통해 교육 발전에 기여한 기업인이자 정치인, 교육인이다. - 고양시의 건축물 - 원릉역
원릉역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역으로, 1961년 영업을 시작했으나 2004년 여객 영업이 중지되었고 2025년 재개될 예정이며, 주변에 아파트 단지, 학교 등이 위치하고 영화에도 등장했다. - 고양시의 건축물 - 방화대교
방화대교는 2000년 11월 21일 개통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의 일부이자 한강의 26번째 다리이다.
고양종합터미널 |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고양종합터미널 |
종류 | 터미널 |
주소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앙로 1036 (백석동) |
개장 | 2012년 6월 18일 |
운영 기관 | KD운송그룹 |
터미널 코드 | 116 |
표기 | 고양 (백석동) |
고속버스 운행 여부 | 운행 |
시외버스 운행 여부 | 운행 |
시내버스 운행 여부 | 미운행 |
웹사이트 | 고양종합터미널 웹사이트 |
2. 역사
2014년 5월 26일 고양종합터미널 화재가 발생하여, 터미널 운영이 일시 중단되었다. 이후 같은 해 11월 25일 터미널 운영이 정상화되었다.[9]
2. 1. 건설 및 개장
2007년에 터미널을 착공하였으나, 불법저축은행 사건으로 인해 완공과 개장이 지연되었다. 2012년 6월 18일에 터미널이 완공 및 개장되었다.[5]2. 2. 운영 지연 및 노선 확장
불법저축은행 사건으로 인해 완공 및 개장이 지연되었다.[5] 2013년 9월 12일 순천, 여수행 노선이 신설되었고,[5] 10월 23일 충주행 고속버스 노선이 신설되었다. 2014년 4월 1일 순천, 여수행 노선이 안산을 추가 경유하게 되었으며,[7] 4월 21일 동해, 삼척행 노선이 신설되었다.[8] 12월 11일 대소, 음성행 노선이 신설되었다.[10]2015년 4월 7일 대전청사, 유성행 노선이 신설되었고,[12] 9월 11일 동송행 노선이 신설되었다.[13] 12월 22일 동대구행 시외버스 노선이 고속버스 노선으로 승격되었다. 2016년 4월 16일 상주, 점촌행 노선이 신설되었고,[14] 8월 1일 광주, 전주, 진주, 강릉행 고속버스 노선이 신설되었다.[15]
2017년 5월 10일 울산행 시외버스 노선이 하남 경유에서 의정부 경유로 변경되었고,[18] 6월 15일 안산 경유 부안행 시외버스 노선이 정읍으로 연장 운행되었다.[19] 7월 1일 안성행 시외버스 노선이 변경되어 지제역에 추가 정차하게 되었다.[20] 2018년 7월 1일 진주혁신도시를 경유하는 진주행 고속버스 노선이 신설되었다.
2. 3. 노선 변경 및 중단
- 2014년 3월 29일: 울산행 노선 의정부 미경유로 변경.[6]
- 2014년 12월 20일: 울산행 노선 하남 추가 경유로 변경.[11]
- 2016년 10월 20일: 고양-성남,광주,이천,여주행 시외버스 노선이 이천 경유 여주행으로 변경되면서 성남, 광주 방면 운행 중지.[16]
- 2016년 12월 8일: 순천, 여수행 노선이 안산 미경유로 변경.[17]
- 2017년 5월 10일: 안산, 전주혁신도시 경유 정읍행 시외버스 노선 폐선.[18]
- 2017년 7월 15일: 동대구행 고속버스 노선이 부천 추가 경유.[21]
- 2017년 11월 20일: 북대구행 시외버스 노선 운행 중단.[22]
2. 4. 2014년 화재 사고 및 복구
2014년 5월 26일 오전 9시경 고양종합터미널 화재가 발생하였다. 소방당국은 용접 작업 중 튄 불꽃이 건축자재 등에 옮겨붙으면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 화재는 20여분만에 진화되었는데, 사상자는 주로 지하 1층 공사 현장 화장실에서 발견되었다.[29] 초기에는 6명이 사망하고 42명이 부상당한 것으로 알려졌으나,[28] 소방당국의 심폐소생술로 1명의 생명을 살려 한때 사망자가 7명에서 6명으로 축소되기도 하였다.[30] 이후 부상자가 추가 확인되고 중상자가 사망하면서 5월 28일 기준 8명이 사망하고 58명이 부상당하였다.[31]이 사고로 인해 터미널 근처 일산선 백석역에 연기가 유입되어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 한때 무정차 통과하기도 하였다.[32] 또한, 터미널로 운행하던 모든 시외버스는 인근 화정시외버스터미널로 이동하여 시·종착하였다. 5월 29일부터 임시매표소 및 승·하차장을 설치하여 운영하였다.[33]
10월 14일부터 메가박스, 롯데아울렛 등 터미널 내부 시설과 함께 1층을 개방하여 임시로 운행을 재개하였고,[34] 11월 25일부터 2층 매표소 및 승차장 영업이 정상화되었다.[35]
3. 운행 노선
고양종합터미널에서 운행하는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노선은 다음과 같다.
'''고속버스'''
운행 노선 | 운행 업체 | 주요 경유지 | 배차 간격 |
---|---|---|---|
강릉 | 동부고속, 중앙고속 | 고양화정, 횡성휴게소 | 6회 |
광주 | 금호고속, 중앙고속 | 고양화정, 정안휴게소 | 80분 |
동대구 | 코리아와이드경북 | 부천 | 5회 |
전주 | 금호고속, 중앙고속 | 고양화정, 정안휴게소 | 9회 |
진주[24] | 동양고속, 중앙고속 | 고양화정, 인삼랜드휴게소, 개양 / 진주혁신도시 | 4회 |
충주 | 서울고속, 중앙고속 | 고양화정 | 8회 |
'''시외버스'''
권역 | 운행 노선 | 운행 업체 | 주요 경유지 | 배차 간격 |
---|---|---|---|---|
수도권 | 수원 | 용남고속 | 관악역, 비산동, 호계동 | 30~40분 |
안산 | 경기고속, 대원고속 | 무정차 | 3회 | |
안성 | 대원고속 | 고양화정, 김포공항, 동탄, 오산, 송탄, 평택지제역, 평택, 공도 | 9회 | |
에버랜드 | 경남여객 | 부천, 광교중앙역, 신갈 | 4회 | |
여주[25] | 대원고속 | 광주(경기), 이천 | 2회 | |
용인 | 경남여객 | 부천, 광교중앙역, 용인신갈 | 1회 | |
강원권 | 삼척 | 대원고속, 동해상사고속 | 동해 / 하남, 동해 | 5회 |
속초 | 금강고속 | 무정차 / 원통, 백담사입구 / 홍천, 원통, 백담사입구 | 10회 | |
영월 | 경기고속 | 원주, 제천 | 2회 | |
원주 | 경기고속 | 무정차 | 1회 | |
동송 | 경기고속 | 장암, 의정부, 대진대, 포천, 운천 | 3회 | |
춘천 | 강원고속, 진흥고속 | 구리, 청평, 가평, 강촌 | 4회 + 60~120분 | |
태백 | 화성고속 | 원주, 고한 / 제천, 영월 | 6회 | |
홍천 | 금강고속 | 무정차 | 2회 | |
충청권 | 논산 | 대원고속 | 공주 | 3회 |
대전 | 대원고속, 중부고속, 금남고속, 한양고속 | 무정차 / 세종청사, 세종 | 12회 | |
보령 | 대원고속, 충남고속 | 부천, 안양역 | 7회 | |
부여 | 대원고속, 충남고속 | 안산, 공주 | 3회 | |
유성 | 대원고속 | 세종청사, 세종시, 대전청사 | 3회 | |
제천 | 화성고속 | 원주 | 1회 | |
천안 / 청주 / 태안 | 대원고속 / 경기고속 / 충남고속, 한양고속 | 무정차 | 30~80분 | |
호남권 | 군산 | 대원고속, 호남고속 | 안산 | 7회 |
목포 | 금호고속, 대원고속 | 향남, 영광 | 3회 | |
여수 | 경기고속, 금호고속 | 순천 | 2회 | |
정읍 | 대원고속 | 안산, 부안 / 부천, 안양 | 4회 | |
영남권 | 구미 | 코리아와이드경북 | 부천 | 3회 |
부산 | 경남고속 | 부천 | 1회 | |
상주 | 대원고속 | 점촌 | 3회 | |
안동[26] | 경기고속 | 의정부, 풍기, 영주 | 4회 | |
울산[27] | 대원고속 | 의정부, 신복 | 2회 | |
창원 | 경남고속, 코리아와이드경북, 고려여객, 천일여객 | 부천, 마산 | 6회 | |
포항 / 해운대 | 대원고속 / 경남고속 | 경주 / 부천, 부산 | 12회 |
3. 1. 고속버스
중앙고속중앙고속
막차: 19:20 (고양 기준)
중앙고속
중앙고속
중앙고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