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최장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장집은 대한민국의 정치학자로, 민주주의, 정당 정치, 사회 비평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와 비판적 시각을 제시해왔다. 1998년부터 1999년까지 월간조선이 그의 한국전쟁 관련 논문을 왜곡 보도하며 사상 검증 공세를 펼친 사건인 '최장집 사상논쟁'이 발생했다. 그는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민주주의의 민주화' 등 저서를 통해 한국 민주주의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정당 정치의 쇠퇴와 노동의 제도화 실패를 지적했다. 또한, 노무현 정부와 촛불시위에 대한 평가를 내놓으며, 한국 사회와 정치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제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릉 최씨 - 최규하
    최규하는 외무부 장관과 국무총리를 거쳐 대한민국 제10대 대통령이 되었으나, 12·12 군사 반란 등으로 신군부에 권력을 내주고 하야하였으며 재임 기간 실권이 거의 없었다.
  • 강릉 최씨 - 최호중 (외교관)
    최호중은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와 경동고등학교를 졸업한 대한민국의 외교관으로, 노태우 정권 시절 북방외교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북방 장관'이라고 불렸으며, 대한민국-소련 수교와 남북기본합의서 채택에 기여했다.
  • 대한민국의 정치학자 - 박봉식 (정치학자)
    박봉식은 대한민국의 정치학자이자 교육자로, 서울대학교 교수 및 총장, 부산외국어대학교와 금강대학교 총장을 역임하며 국가보위입법회의 위원 활동, 총선 무소속 출마, 토지매입 알선 사기 사건 연루, 서울대학교 본부 점거 사태 관련 발언 등으로 논란이 있었다.
  • 대한민국의 정치학자 - 박승재
    박승재는 대한민국의 정치학자이자 민주정의당 소속으로 제13대 국회의원을 지낸 정치인으로,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한양대학교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한양대학교 교수 및 한국정치학회 이사,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 시카고 대학교 동문 - 허버트 사이먼
    허버트 사이먼은 제한된 합리성 개념을 제시하고 조직 내 의사결정 과정을 연구하여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경제학자, 인지심리학자, 컴퓨터 과학자이자 철학자이며, 인공지능 분야 초기 연구에 기여했고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인지과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시카고 대학교 동문 -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은 캐나다의 최장수 총리로서 세 차례에 걸쳐 총리직을 역임하며 관세 인하, 자치권 확대, 노인 연금 도입,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캐나다 복지 국가의 기틀을 마련했다.
최장집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최장집
그림
출생일1943년 5월 24일
출생지일제 강점기 조선 강원도 강릉
국적대한민국
직업교수, 정치학자, 작가
학력
학력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 학·석사
학력시카고 대학교 정치학 석·박사
경력
경력고려대학교 명예교수
경력민주주의교육연구센터 소장
기타
원어 이름崔章集

2. 최장집 사상논쟁

1998년 김대중 정부 시절, 최장집 교수가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장으로 재직하면서 월간조선과 사상 논쟁을 벌였다. 이 사건은 '최장집 사상논쟁'으로 불리며, 월간조선이 최 교수의 6.25 전쟁관을 문제 삼으면서 시작되었다. 월간조선은 최 교수가 1996년에 출간한 '한국민주주의의 조건과 전망' 속 한국전쟁 관련 논문 내용을 지적하며 그의 대북관을 공격했다.

이에 최 교수는 논문 내용이 왜곡되었고, 문맥과 분리하여 인용되었다며 반박했다. 그는 월간조선에 법적으로 대응했고, 재판부는 월간조선 11월호의 발행 및 배포금지 가처분신청을 받아들였다.[2]

이후 조선일보는 최 교수와 합의해 그의 반론문과 논문을 게재했고, 최 교수는 소송을 취하했다.[2] 이 사건은 안티조선운동을 격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2]

2. 1. 사건 개요

1998년 4월부터 1999년 4월까지 김대중 정부 시절, 최장집 교수가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장을 역임할 당시에 월간조선으로부터 시작된 사상검증 사건이다. '최장집 사상논쟁'으로 일컬어지는 이 사건은 1998년 월간조선 11월호 <'대통령 자문 정책기획위원장' 최장집 교수의 충격적 6·25전쟁관 연구>라는 기사를 통해 "결론적으로 최 위원장은 6·25전쟁을 평가함에 있어 대한민국에게 불리하게, 북한에 대해서는 유리하게 논리를 전개하고 있음을 확연히 드러냈다"며 최 교수에 대해 매카시즘적 사상공세를 펼치며 불거졌다. 기사를 집필한 우종창 기자는 정책기획위원장이 된 최교수와 ‘제2의 건국’에 관한 인터뷰를 2시간 동안 진행했었는데, 당시 상황에 대하여 최 교수는 “우기자는 그러나 당초 약속한 제2 건국 관련 질문보다는 한국현대사인식과 한국전쟁관에 대해 중점적으로 질문했으며, 마치 사상검증을 받는 것 같았다”고 밝혔다.[1]

월간조선은 최 교수가 1996년 출간한 '한국민주주의의 조건과 전망'에 실린 한국전쟁 관련 논문의 표현을 문제삼았다. "6·25는 김일성의 역사적 결단", "한국전쟁의 최대 희생자는 북한의 민중”,“개전 초반은 민족해방전쟁”등의 표현을 지적하며 최교수의 대북관을 공격했다. 이에 대해 최 교수는 논문 내용을 사실과 다르게 왜곡하고, 논문에서 사용된 어휘들과 문장을 의도적으로 문맥과 분리하여 인용함으로써 필자의 사상에 문제가 있는 것처럼 왜곡한 것으로 사실과 다르다며 반박문 및 명예훼손 소송을 통해 적극적인 대응에 나섰다.

2. 2. 최장집 교수의 반박

월간조선 기사 제목 표현 “6.25는 김일성의 역사적 결단” 부분은, 김일성이 지나친 과신으로 전쟁을 개시하게 되는 ‘오판’ 상황을 설명한 것으로 ‘김일성의 오판’이라고 적시하고 있으며, "한국 전쟁의 최대 희생자는 북한의 민중" 부분은, 남한 민중의 희생이 더 적다는 점을 강조하려는 것이 아니라, 김일성이 전쟁의 최대 수혜자임을 강조하기 위한 표현이었으며, “중공군의 개입을 변호했다”는 부분은, 객관적인 묘사를 필자의 주관적인 판단으로 왜곡한 것이고, “6.25전쟁을 평가함에 있어 대한민국에 불리하게, 북한에 대해서는 유리하게 논리를 전개하고 있다”는 부분은, 논문의 전체 논지를 완전히 거꾸로 해석하고 있는 것이라고 밝혔다.[1]

2. 3. 법정 대응 및 결과

최장집 교수는 월간조선 11월호에 대한 배포금지가처분신청, 언론중재위원회에 정정보도 신청, 명예훼손 혐의로 조선일보와 취재기자를 상대로 5억 원의 손해배상 소송 제기 등 법적 대응에 나섰다.[2] 재판부는 월간조선 11월호 발행 판매 배포금지 가처분신청을 받아들여 "문제가 된 내용을 삭제하지 않고는 월간조선 11월호를 발행, 판매 또는 배포해서는 안 된다"고 결정했다.[2]

조선일보는 재판부의 판결에 대해 "사회적 논쟁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일부 쟁점 사항에 대한 조선일보의 추가 보도를 금지하고 일부 결정 내용에서는 사실 관계조차 부정확하다"고 반발했다.[2] 또한 조선일보는 재판부가 증거자료를 제대로 검토하지 않았고, 장래의 논쟁을 금지시켰다며 반발했는데, 이에 대해 사건을 담당한 판사는 법원 내부 컴퓨터통신에 올린 글을 통해 조선일보사의 왜곡된 주장을 비판했다.[2]

이후 조선일보는 가처분신청은 물론 최 교수가 조선일보를 상대로 제기한 5억 원의 손해배상 청구소송과 반론보도청구소송에서도 패소 가능성이 높아지고 청와대와도 마찰이 일자, 1999년 초 당시 강천석 편집국장이 최 교수를 개인적으로 만나 조선일보와 월간조선에 최 교수의 반론문과 논문을 게재하는 것으로 합의를 이끌어냈다.[2]

최장집 교수는 합의 이후 조선일보를 상대로 제기한 소송과 배포금지가처분신청 등 일체의 소송을 취하했다.[2] 조선일보는 1999년 1월 18일 자에 최 교수의 반론문 '화해와 상생(相生)의 통일시대로'를 특별기고 형식으로 게재했고, 같은 날 발행된 월간조선 2월호에는 최 교수가 1996년 출간한 '한국민주주의의 조건과 전망'에 실린 논문을 일부 수정한 '통일의 조건과 전망-탈냉전기의 두 가지 선택'이라는 글이 실렸다.[2] 당시 조선일보와 최 교수의 합의 배경에는 청와대 고위 관계자가 직접 중재에 나섰으며, 조선일보는 내부의 격렬한 논쟁을 거쳐 편집국장 교체 등 인사 조치를 취한 바 있다.[2]

최 교수는 소송 취하 이유에 대해, 당시 공직자 신분으로서 정부에 대한 고려 문제와 승소하더라도 해결되기 힘든 헤게모니 문제 등을 들었다.[2] 특히 6.25 전쟁의 수많은 희생자와 민중적 시각을 견지하며 현실 비판적인 학문을 해온 학자의 입장에서, 6.25 전쟁 참전 군인 및 유가족으로부터의 비판을 받았을 때 조선일보의 공격과는 다른 차원의 곤혹을 느꼈다고 밝혔다.[2]

2. 4. 기타 논란

최장집은 1999년 4월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장직을 사임하였다.

2005년 서울중앙지검 공안1부는 보수단체로부터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고소, 고발된 최장집에 대해 7년 만에 무혐의 처분을 결정하였다.[1]

월간 '말'은 1998년 12월호를 통해 사상논쟁을 제기한 월간조선 우종창 기자에 대해 사상적 편향성을 지적하는 기사를 냈다. 이에 반발하여 우종창 기자는 "'우 기자에게서 사디즘적 병리현상이 느껴지며 우 기자의 글에서 살의가 느껴진다'라는 기사의 표현을 문제삼아 소송을 냈으나 1심에서 패소했고, 항소한 재심에서 다시 패소했다. 법원은 월간 '말'의 조선일보에 대한 사상적 편향성 지적은 공익성이 인정된다고 판결했다.[2]

최장집 사상논쟁은 2000년 초 '조선일보여 나를 고소하라'는 운동을 통해 시민단체와 네티즌들의 안티조선운동을 격화시키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2]

3. 최장집의 학문적 관점과 정치, 사회 비평

최장집은 대한민국의 정치학자로, 민주주의 이론과 한국 정치에 대한 비판적 분석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의 학문적 관점은 주로 민주주의, 정당 정치, 그리고 한국 사회의 정치적 현상에 대한 비평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3. 1. 민주주의 이론

그는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에서 한국의 민주주의가 민주화 이후에 쇠퇴하고 있다고 하면서 보수독점의 정당체제가 그 원인이라고 주장하였다. 또한 《민주주의의 민주화》라는 책을 통해 한국 정치에서 노동이 정당체제로 수렴되지 못한 문제를 지적하며 "제도적 실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3. 2. 정당 정치 비판

Choi Jang-jip영어은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에서 한국의 민주주의가 민주화 이후에 쇠퇴하고 있다고 하면서 보수독점의 정당체제가 그 원인이라고 주장하였다.[1] 또한 《민주주의의 민주화》를 통해 한국 정치에서 노동이 정당체제로 수렴되지 못한 문제를 지적하며 "제도적 실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1]

3. 3. 노무현 정부 평가

최장집은 노무현 정권의 실패 원인이 정책 이념 및 방향, 그리고 실제 정책 수행 과정과 결과 등에서 민주정부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한 데 크게 기인하며, 스스로 어떤 가치와 생각으로 민주주의를 운영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의식을 제대로 견지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비판했다. 이러한 견해는 17대 대통령 선거 과정에서도 논란을 야기했다.

3. 4. 촛불시위 평가

2008 candlelight vigil|2008 촛불시위영어에 대해 최장집 교수는 양면적인 평가를 내렸다. 정부의 권위주의적인 의사결정 방식에 맞서 시민들이 민주주의에 대한 열정을 보여주었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1] 그러나 야당 정치인들이 대의민주주의라는 제도적 해결책을 찾지 않고 거리로 나와 시위에 합류한 것은 비판했다.[1] 이는 운동에 의존하는 정치가 군사정권을 무너뜨리는 데는 효과적이었지만, 제도적 민주주의를 이룬 오늘날에는 역량 있는 정당이 사회에 뿌리내려 구체적인 대안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그의 관점을 반영한 것이다.[1]

4. 주요 저작 및 학력

학력



경력


4. 1. 주요 저작

출판 연도제목출판사비고
1983Interest Conflict and Political Control in South Korea : A Study of the Labor Unions in Manufacturing Industries 1961-1980미국 시카고대학교 정치학 박사학위(Ph.D) 논문
1984그람씨의 헤게모니 개념한국정치학회보 18
1984A Comparative Control of the Labor Union in South KoreaKorea Social Science Journal 11
1985The Strong State and Weak Labor Relations in South Korea: Their Historical Determinants and Bureaucratic StructureThe Institute of Seoul Scienc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conference on The Dependency Issue in Korean Development: Comparative Perspectives
1985한국현대사 1945-1948한국어 (편저)열음사한국어
1986The State and Political Regime in South KoreaWorkshop on Political Economy of the Asian NICs under the auspices of the United Nations University, Japan
1987자유민주주의냐, 관료적 권위주의냐민족지성한국어 16
1988한국의 초기 국가수립의 성격과 구조, 1945-1948: 정치 및 사회단체의 발생, 변화, 소멸을 중심으로고려대학교 사회과학논집 14
1988한국의 노동운동과 국가한국어열음사한국어
1989한반도 평화와 통일의 의미와 방향민족통일한국어 1, 2
1989이탈리아 공산당의 노선분석: 사회주의의 한 대안적 모색경제와 사회 2호
1989한국현대정치의 구조와 변화한국어까치한국어
1990한국전쟁연구한국어 (편저)태암한국어
1990마르크스한국어 (편저)고려대출판부
1990평화강좌한국어 (편저)한길사한국어
1991한국사회 민주변혁의 새로운 모색을 위하여사회와 사상 26
1991지역감정연구한국어 (공저)학민사한국어
1993한국민주주의의 이론한국어한길사한국어
1993시민사회의 도전한국어 (공저)나남한국어
1994한국 민주주의와 언론언론과 사회한국어
1994민주개혁과 언론나라의 길한국어
1994제2차대전 이후의 동아시아의 가능성: 남한으로부터의 시각神學思想한국어
1994Kim Young Sam's Reforms and the Conditions for the Consolidation of Democracy in South KoreaThe American University(Washington D.C)
1994South Korean Labor Unions under the New DemocracyGeorgetown Conference on Korean Society Capitalism and Corporatism in Korea: Comparative Perspectives
1995변형주의와 한국의 민주주의사회비평 13호
1995Sustainable Democracy (co-authored)Przeworski et. al.,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현대 한일관계와 한국 민족주의세계의 문학한국어
1996민주주의와 노사관계 개혁노사관계 개혁과 사회발전, 한국산업사회학회 추계학술대회
1996한국민주주의의 조건과 전망한국어나남한국어
1996The Characteristic Feature of Koreas Social Movements in a Comparison with JapansRikkyo University (Japan)
1997일본의 헌법개정과 미일안보조약의 신체제世界한국어 641호
1997유럽의 민주주의와 노동정치한국어 (편저)법문사한국어
1997한국의 노동운동과 국가한국어 (개정판)나남한국어
1997한국사회와 민주주의한국어 (공저)나남한국어
1997A Comparative Study of Civil Society and Democracy in Japan and KoreaVisiting Research Fellow Monograph Series, No. 295, アジア経済研究所일본어
1997現代韓國の 政治變動 : 現代化と民主主義の歷史的條件일본어中村福治일본어 번역, 木鐸社일본어
1997Power Transfer and Reforms in Korea - On the Advent of the Kim Dae Jung GovernmentJapan
1997Power Transfer and Reforms in Korea - On the Advent of the Kim Dae Jung GovernmentKyushu University, Japan
1998민주적 시장경제의 한국적 조건과 함의당대비평 3 (봄호)삼인출판사한국어
19981997년 대선과 새정부의 개혁과제사회비평한국어 18호
1998새 시대의 새 지도자상: 민주화개혁과 민족통일을 위하여교회와 세계한국어 160
1998한국 정치경제의 위기와 대안 모색: 민주적 시장경제를 중심으로사상 총권 37호
1998한국 정치경제의 위기와 대안모색: 민주적 시장경제를 중심으로한국정치특별학술회의Ⅱ, 한국 정치경제의 위기와 대응: 김영삼정부의 평가와 김대중정부의 과제, 한국정치학회
1998한국정치경제의 위기와 대안 모색 -민주적 시장경제를 중심으로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1998김대중정부의 개혁방향과 전략에 관한 소고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국제학술회의
1999경제위기시의 노동운동: 한국과 일본의 비교아세아연구 통권 101호
1999박정희정권의 평가계간 대화한국어 5호
1999시민권과 참여적 복지사회: 한국사회에서 시장경제와 사회정책은 양립할 수 없나노동아카데미 학술세미나
1999The Political and Economic Reforms under the Kim Dae Jung GovernmentThe Institute for East Asian Studies, Columbia University(New York)
1999Constraints and Dilemma in the Kim Dae Jung Government's Reformssponsored by East Asian Program
1999韓國現代政治の 條件일본어中村福治일본어 번역, 法政大學出版局일본어
2000한국의 민주화, 시민사회, 시민운동: '2000년 총선 시민연대 시민운동의 의의한국정치학회 기획학술회의, 21세기 한국정치학회의 쟁점과 전망 -한국 시민사회와 민주주의
2000세계화, 민주화, 시민사회 - 새로운 사회적 가치와 사회구성원리를 위한 탐색으로서 국가-시민사회 병행모델개혁과 대안을 위한 전문지식인회의 춘계심포지엄
2000운동의 전통과 민주주의 모델한국정치학회, 한국의 정치변동과 민주주의 기획학술회의
2000운동의 전통과 민주주의의 모델아세아연구한국어 제43권 1호
2000냉전해체기 평화와 공존의 철학황해문화한국어 통권 29호(겨울호)
2000한국 민주주의 반성과 과제최장집 외 공저, 한국민주주의 회고와 전망한국어, 한가람한국어
2000Democratization, Civil Society, and the Civil Social Movement: The Significance of the Citizens' Alliance for the 2000 General ElectionsKorea Journal Vol. 40, No. 3
2000Fighting Globalization, Using GlobalizationSeoul International Forum for Literature: Writing across Boundaries: Literature on the Multicultural World, 대산문화재단
2001민주주의와 정치개혁: 김대중 정부를 중심으로민준기 편, 21세기 한국의 정치한국어, 박영사한국어
2001김대중 정부의 선택과 한국 민주주의씨알의 소리한국어 5․6월호 통권 160호
2001South Korean Democracy and the Kim Dae Jung AdministrationJournal of Asian-Pacific Studies, No. 4
2002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한국 민주주의의 발전방향과 과제민주주의사회연구소 편, 민주주의한국어, 백산서당한국어, 제1집
2002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한국 민주주의의 보수적 기원과 위기한국어후마니타스한국어
2003한국민주주의와 좋은 정부의 조건에 관하여시민과 세계한국어, 당대 통권 3호
2003한미관계의 미래: 반미감정에 대한 단상아세아연구한국어 46권 1호
2003르네상스 시기 이탈리아 도시국가의 국제관계와 마키아벨리: 한 연구노트우암평화연구원 편, 정치적 현실주의의 역사와 이론한국어, 화평사한국어
2003한국 민주주의의 제도디자인 서설아세아연구한국어 46권 4호
2003노동 없는 민주주의: 일본사회당의 실패에 관한 한 해석변동기의 한일정치 비교한국어, 아연출판부한국어
2003한국의 민주주의와 노무현 정부: 열망․실망의 악순환을 끊을 수 있나?「참여정부 100일, 현재와 미래」,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2003Post-Cold War and Peace: Experiences, Conditions and Choices (edt.)Asiatic Research Center
2004총론: 한국 민주주의의 취약한 사회경제적 기반아세아연구한국어 47권 3호
2004한국어판서문, 민주주의와 헌정주의: 미국과 한국로버트 달 저, 박상훈․박수형 역, 미국헌법과 민주주의한국어, 후마니타스한국어)
2004동아시아 공동체의 이념적 기초: 공존과 평화를 위한 공동의 의미지평아세아연구한국어 47권 4호
2004Is Korea's Path to Democracy with Labor Possible?IPSA, Japan
200587년 체제의 극복을 위하여: 헌법과 사회구조의 비판적 성찰창비․시민행동
2005한반도 평화의 조건: 칸트의 영구평화론의 퍼스펙티브에서제2회 서울국제문학포럼 ‘평화를 위한 글쓰기’
2005민주주의와 한국의 노동한국노동사회연구소 심포지엄, 한국의 노동, 과거 현재 미래한국어
2005사회적 시민권 없는 한국 민주주의최장집 편, 위기의 노동한국어, 후마니타스한국어
2005위기의 노동한국어 (편저)후마니타스한국어
2005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한국어(개정판)후마니타스한국어
2006해방 60년에 대한 하나의 해석: 민주주의자의 퍼스펙티브에서시민과 세계한국어 제8호
2006노동 없는 민주주의로의 전환: 일본사회당의 실패에 관한 한 해석아세안연구한국어 49권 2호
2006(서평) 노동 없이 민주주의 발전 어렵다아세아연구한국어 49권 3호
2006제도적 실천으로서의 민주주의기억과 전망한국어 통권 15호(가을호)
2006민주주의의 민주화한국어후마니타스한국어
2006노동, 복지 그리고 민주주의한국어 (책임연구자)정책기획 과제 보고서, 정책기획위원회
2007정치적 민주화: 한국 민주주의, 무엇이 문제인가비평한국어 14호
2007한국 민족주의의 특성최상용 외 지음, 민족주의, 평화, 중용한국어, 까치한국어
2007한국 민주주의와 광주항쟁의 세 가지 의미아세아연구한국어 128호
2007岐路...立...韓國勞動運動(上)중국어生活經濟政策한국어 126호
2007How Korea's Democratic Governments Have Adopted Neo-Liberal Globalization in So Drastic a Way?The Asiatic Research Center's 50th Anniversarial International Conference, “Labor, the Welfare State, and Democracy“, Korea University
2007어떤 민주주의인가한국어 (공저)후마니타스한국어
2007동반성장을 위한 대안적 산업정책 연구한국어 (총괄책임자)한국산업기술재단
2008민중과 시민-민주주의를 이해하는 두 가지 다른 방법황해문화한국어 58호(봄호)
2008이명박 정부에 대해 우리는 무엇을 생각하게 되나.비평한국어 19호(여름호)
2008전환의 모색: 우리는 어디에 있으며, 무엇을 할 것인가한국어 (공저)생각의 나무한국어
2008한국민주주의 무엇이 문제인가한국어생각의 나무한국어
2008민중에서 시민으로한국어「석학과 함께 하는 인문강좌 시리즈 04」, 학술진흥재단
2008한국민주주의와 사법부의 좌표한국어「사법부에 관한 국민의 인식과 사법부의 향후 과제」연구 용역, 대법원행정처
2012노동 없는 민주주의의 인간적 상처들한국어폴리테이아한국어


4. 2. 학력 및 경력


  • 경동고등학교 졸업
  • 1965년 2월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정치외교학과 (학사)
  • 1969년 2월 고려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석사)
  • 1983년 8월 미국 시카고 대학교 정치학과 (정치학 박사, Ph.D)
  • 1971년 ~ 1973년: 대통령비서실 공보비서실 행정관
  • 1983년 9월 ~ 2008년 8월: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정치외교학과 교수 (조교수, 부교수 역임)
  • 1986년 ~ 1988년: 한국산업사회연구회 회장
  • 1988년 ~ 1992년: 학술단체협의회 공동의장
  • 1988년 3월 ~ 1990년 12월: 미국 사회과학협의회(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한국분과위원
  • 1989년: 미국 워싱턴 주립 대학교 잭슨스쿨 초빙교수 (한국정치론 강의)
  • 1990년 ~ 1991년: 한국정치연구회 회장
  • 1995년 8월 ~ 1995년 12월: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방문교수
  • 1996년 1월 ~ 1996년 8월: 일본 동경 아시아경제연구소 연구원
  • 1997년 1월 ~ 1999년 6월: 노동아카데미 회장
  • 1998년 4월 ~ 1999년 4월: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장
  • 1999년 8월 ~ 1999년 12월: 미국 코넬 대학교 정치학과 방문교수 (한국정치 강의)
  • 2000년 4월 ~ 2006년 8월: 한일공동연구포럼 한국 측 대표
  • 2000년 4월 ~ 2008년 8월: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소장
  • 2008년 9월 ~ :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 2009년 3월 ~ 2009년 6월: 미국 스탠퍼드 대학교 사회학과 방문교수
  • 2013년 5월 ~ 2013년 8월: 정책네트워크 내일 이사장
  • 2018년 11월 ~ :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자문위원

참조

[1] 웹사이트 (제목 없음) http://www.mediatoda[...]
[2] 웹사이트 조선일보의 최장집 사상 검증 사건 관련 질문에 대하여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