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최홍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홍희는 일제강점기 함경북도 명천군에서 태어난 군인이자 무술가로, 태권도의 창시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일본에서 가라테를 배우고 귀국하여 군 복무를 하며 태권도를 창안, 대한태권도협회를 창립했다. 이후 국제태권도연맹(ITF)을 창설하여 태권도를 국제적으로 보급했으나, 박정희 정권과의 갈등으로 캐나다로 망명, 북한으로 건너가 활동하며 논란을 낳았다. 그는 2002년 위암으로 사망하여 북한 애국열사릉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레이시아 주재 대한민국 대사 - 최규하
    최규하는 외무부 장관과 국무총리를 거쳐 대한민국 제10대 대통령이 되었으나, 12·12 군사 반란 등으로 신군부에 권력을 내주고 하야하였으며 재임 기간 실권이 거의 없었다.
  • 말레이시아 주재 대한민국 대사 - 최호중 (외교관)
    최호중은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와 경동고등학교를 졸업한 대한민국의 외교관으로, 노태우 정권 시절 북방외교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북방 장관'이라고 불렸으며, 대한민국-소련 수교와 남북기본합의서 채택에 기여했다.
  • 대한민국의 망명자 - 이승만
    이승만은 대한민국의 초대 대통령이자 독립운동가로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대통령을 역임하고 해방 후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독재적 통치와 부정부패에 대한 비판도 받으며 4·19 혁명 후 하와이로 망명하여 서거하였다.
  • 대한민국의 망명자 - 성혜림
    성혜림은 일제강점기 조선 출신으로 배우로 활동하다 김정일과의 관계를 통해 북한 사회에서 주목받았으며, 김정남을 낳았으나 김일성의 반대로 어려움을 겪고 모스크바에서 사망했다.
  • 태권도인 - 홍준표
    홍준표는 1954년 경상남도 창녕군에서 태어나 '모래시계 검사'로 이름을 알린 후 정계에 입문하여 국회의원, 경상남도지사, 자유한국당 대표 등을 역임하고 대선 후보로도 출마했으며, 현재는 대구광역시장으로 재임 중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태권도인 - 김운용
    김운용은 육군 장교 출신으로 대한태권도협회 회장, 세계 태권도 연맹 총재, IOC 위원 등을 역임하고 제16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스포츠 행정가이자 정치인이다.
최홍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최홍희
출생일1918년 11월 9일
출생지화대, 명천군, 간쿄쿠호쿠도(함경북도), 일본 제국, 한국
사망일2002년 6월 15일
사망지평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무술가라테, 태권도
사범후나코시 기친(가라테), 김현수 (가라테)
태권도 (ITF) 9단, 총사범, 주 창시자, 가라테 2단
이름
한글최홍희
로마자 표기Choe Honghui
일본어 표기崔 泓熙 (チェ・ホンヒ)
일본어 (로마자)Che Honhi
군사 경력
소속 국가
소속 군대
복무 기간1943년 - 1945년 (일본 육군)
1946년 - 1962년 (한국 육군)
최종 계급육군 소장 (한국 육군)
참전태평양 전쟁
한국 전쟁
제대 후국제 태권도 연맹 초대 회장
기타 정보
본관전주
군 복무대한민국 육군 (1944년 ~ 1962년)
근무 부대육군 제6군단
직책육군 제6군단 부군단장 (지휘)
최종 계급육군 소장
학력육군사관학교 3기 졸업
조선경비보병학교 졸업
활동태권도 보급 운동가

2. 생애

최홍희는 1918년 11월 9일 일제강점기 함경북도 명천군 화대면에서 태어났다. (현 명천군, 함경북도, 북한) 아버지의 지시로 한일동에게 서예를 배웠다. 일본으로 건너가 영어, 수학, 가라테를 공부했고, 교토에서 가라테 사범 김씨에게 무술을, 후나코시 기친에게서 쇼토칸 가라테를 배웠다. 1939년에 가라테 1단, 그 직후 2단을 획득했다. 학도출진으로 일본 육군 소위가 되었으나, 평양 보병 제41연대 보충대에서 반란을 계획하다 발각되어 7년형을 선고받았다.[16]

1946년 군사 영어 학교를 졸업하고 소위로 임관(군번 10044번)하여 제4연대 창설에 참여했다.[16] 이후 제2연대 대대장, 연대장, 1947년 총사령부 정보과장, 1948년 군수국장을 역임했다.[16] 1949년부터 1950년까지 포트 베닝 보병 학교에 유학했다.

1950년 7월 14일 한국 전쟁 발발 직후 제1군단 정보 참모,[16] 1951년부터 1952년까지 제1군단 참모장을 역임했다. 1953년 제1군단 부군단장, 제5사단장, 제29사단장을 역임했다.[17] 1955년 제3관구 사령관, 1960년 제6관구 사령관,[18] 제2훈련소장,[19] 1961년 제6군단장을 역임하고 1962년 예비역으로 편입했다.

1962년 주 말레이시아 대사로 임명되었다. 1966년 국제태권도연맹을 창설했고, 동베를린 사건에 휘말려 1972년 캐나다로 망명했다. 2002년 6월 14일, "생애 마지막은 고향에서 마치고 싶다"며 북한에 입국하여 다음 날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918년 ~ 1945년)

최홍희는 1918년 11월 9일 일제강점기 함경북도 명천군 화대면에서 태어났다. (현 명천군, 함경북도, 북한) 아버지의 지시로 한일동에게 서예를 배웠는데, 한일동은 택견의 달인이기도 했다. 그러나 최홍희는 후에 이 주장을 철회하고 택견을 배운 적이 없으며 태권도에 기여한 바가 없다고 말했다.

최홍희는 일본으로 건너가 영어, 수학, 가라테를 공부했다. 교토에서 가라테 사범이었던 김씨 성을 가진 한국인을 만나 무술을 배웠고, 후나코시 기친에게서 쇼토칸 가라테를 배우기도 했다. 한국을 떠나기 전, 최홍희는 '허'라는 레슬러와 언쟁을 벌였는데, 이 경험은 그에게 무술 훈련의 동기가 되었다. 최홍희는 1939년에 가라테 1단을, 그 직후 2단을 획득했다.

이후 1944년 1월, 주오 대학 법학과 1학년 재학 중 일제에 의해 징용되어 평양의 42부대에서 근무하였다.[1]

2. 1. 1. 항일 투쟁

1944년 1월, 일본 주오 대학 법학과 1학년 재학 중 일제에 의해 징용되어 평양의 42부대에서 근무하였다.[1] 조선 학병을 중심으로 전국 반일동맹 조직을 도모하다가 검거되어 6년형(7년형이라는 말도 있다)을 선고받고 평양 형무소에 수감되었다가 해방과 함께 풀려났다.[1]

2. 2. 군 복무 (1946년 ~ 1962년)

해방 이후 최홍희는 한국군 장성으로 복무하면서, 일본에서 배운 가라테를 바탕으로 한국군에게 새로운 무술을 가르치기로 결심했다. 그는 군대 내에 오도관이라는 도장을 세웠는데, 여기에는 민간 청도관 출신 인물들이 많이 참여했다. 이 오도관에서 지금의 ITF 태권도의 원형이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최홍희는 택견에서 영감을 받아 '태권도'라는 명칭을 만들었다.

1955년에는 초기 태권도 발전에 큰 영향을 준 청도관에서 손덕성 2대 관장 명의로 명예 4단증을 받았다.[21]

1946년 2월 3일, 최홍희는 군사 영어 학교를 졸업하고 소위(군번 10044번)로 임관하여 제4연대 창설에 참여했다. 이후 그는 다음과 같은 주요 보직을 거쳤다.

기간보직
1946년 5월제2연대 대대장
1946년 9월 28일제2연대장
1947년 3월 3일총사령부 정보과장
1948년 6월 28일군수국장
1949년 6월 ~ 1950년 6월포트 베닝 보병 학교 유학
1950년 7월 14일제1군단 정보 참모
1951년 3월 17일 ~ 1952년 6월 20일제1군단 참모장
1953년 1월 1일제1군단 부군단장
1953년 5월제5사단장
1953년 11월 18일제29사단장[17]
1955년제3관구 사령관
1960년 5월 20일제6관구 사령관[18]
1960년 11월제2훈련소장[19]
1961년제6군단 부군단장
1962년예비역 편입


2. 3. 태권도 창시와 발전 (1955년 ~ 1972년)

해방 후, 최홍희는 군에서 장성으로 복무하며 일본에서 배운 가라테를 바탕으로 한국군에게 새로운 무술을 가르치고자 했다. 그는 군대 내에 오도관을 설립하고(민간 청도관 출신 인물들이 많았다), 택견에서 영감을 받아 '태권도'라는 명칭을 창안하여 지금의 ITF 태권도의 원형을 만들었다.[8]

1955년 초기 태권도에 많은 기여를 한 청도관에서 손덕성 2대 관장 명의로 명예 4단증을 받았다.[21] 최홍희는 오도관을 창설했으며, 청도관에서 명예 4단을 받았으나, 부정행위 혐의로 인해 그의 지위와 계급을 박탈당했다.[3]

1959년에는 대한태권도협회를 창립하였다.[8]

1960년대에 최홍희와 남태희는 태권도 원로 사범들을 이끌고 전 세계에 이 무술을 보급했다.[9] 1965년 대하출판사에서 최초의 영어 태권도 교본인 ''Taekwon-Do''를 출판했다.[10]

1966년 3월 22일에는 국제태권도연맹(ITF)를 창립하고 총재로 취임하였다.[8] ITF는 최홍희가 전 세계에 한국인 태권도 사범을 배치함으로써 태권도를 국제적으로 퍼뜨리는 데 기여했다고 보고했으며, ITF 스타일의 태권도가 유일하게 정통 태권도 스타일이라고 지속적으로 주장해 왔다.[10]

1972년 3월, 박정희 정권과의 갈등으로 캐나다로 망명하여 유신체제 반대 운동을 펼쳤다.[8] 대한민국 정부가 그가 북한에 태권도를 소개한 것에 반대하여 망명했으며, 대한민국 정부는 1973년세계 태권도 연맹(WTF)을 창설했다.[5] (2018년 WT로 명칭 변경)

2. 4. 망명과 국제 활동 (1972년 ~ 2002년)

1972년 3월 박정희 정권과의 갈등으로 캐나다로 망명한 후 유신체제 반대 운동을 펼쳤다.[8] 대한민국 정부가 그가 북한에 태권도를 소개한 것에 반대하자 망명을 택했으며, 대한민국 정부는 1973년 세계태권도연맹(WT, 2018년 WT로 명칭 변경)을 창설했다.[5]

1979년 북한으로 건너가 망명했으며, 북한 정부는 그를 환영하고 태권도를 세계에 보급하려는 그의 프로젝트를 지원했다.[11] 1980년대 들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몇 차례 방문해 국제태권도연맹(ITF) 태권도를 보급했다. 이로 인해 오늘날 ITF 태권도가 북한 태권도라는 잘못된 속설이 퍼지기도 했다.[8] 그의 사후 ITF는 북한계/비북한계로 나뉘어 파벌 싸움이 일어나며 쪼개졌다.[8]

최홍희의 영향으로, 스위스에서는 1990년대 이전까지만 해도 ITF 태권도가 주류를 이루었다.[23] 북미나 공산권에서도 꽤 큰 조직세를 갖췄었다.[8]

2002년 6월 15일 북한과 캐나다를 오가며 위암 치료를 받다 평양에서 사망한 뒤 애국열사릉에 안장됐다.[8] 측근에게 "생애 마지막은 고향에서 마치고 싶다"라고 말했고, 2002년 6월 14일에 북한에 입국하여 다음 날 사망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90년대 다부작 영화 《민족과 운명》9부~13부는 최홍희를 모델로 했다.[24]

2. 5. 사망

2002년 6월 15일 위암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에서 사망했으며, 애국열사릉에 안장되었다.[5] 그의 장례는 국장으로 치러졌으며, 장례 위원회 명단은 다음과 같다.[12][13]

장례 위원회 위원



최홍희는 부인 최준희, 아들 최중화, 두 딸 써니와 미연, 그리고 여러 손주들을 유족으로 남겼다.[5]

3. 유산과 논란

최홍희는 태권도 창시와 발전에 기여했지만, 그의 행적은 여러 논란을 낳았다.

해방 이후 군에서 가라테를 바탕으로 새로운 무술을 가르치고, 택견에서 영감을 받아 '태권도'라는 명칭을 창안하였다. 1955년 청도관에서 명예 4단증을 받았고,[21] 1959년 대한태권도협회를 창립, 1966년 국제태권도연맹(ITF)를 창립하여 총재로 취임하였다.

1961년 육군 제6군단 부군단장을 역임하였으며 1962년에 예편, 같은 해 4월 말레이시아 대사로 발령받았다.[22]

1972년 박정희 정권과 갈등으로 캐나다로 망명하여 유신체제 반대 운동을 펼치고, 1980년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ITF 태권도를 보급하여 논란이 되었다.

2002년 6월 15일 위암으로 평양에서 사망하여 애국열사릉에 안장됐다.

3. 1. 태권도에 대한 기여

해방 후, 최홍희는 군 장성으로 복무하면서 일본에서 배운 가라테를 바탕으로 한국군에게 새로운 무술을 가르치고자 했다. 그는 군대 내에 오도관이라는 도장을 설립하여 지금의 ITF 태권도의 원형을 만들었으며, 택견에서 영감을 받아 '태권도'라는 명칭을 창안하였다.[8]

1955년 최홍희는 초기 태권도 발전에 큰 영향을 준 청도관에서 손덕성 2대 관장 명의로 명예 4단증을 받았다.[21] 1959년에는 대한태권도협회를 창립하였다.[8]

1966년 3월 22일 국제태권도연맹(ITF)를 창립하고 총재로 취임하였다.[8] 최홍희는 ITF를 통해 전 세계에 한국인 태권도 사범을 배치하여 태권도를 국제적으로 확산시키는 데 기여했다.[10] 그는 1965년 대하출판사에서 최초의 영어 태권도 교본인 ''Taekwon-Do''를 출판하기도 했다.[10]

1972년 최홍희는 박정희 정권과의 갈등으로 캐나다로 망명하였고,[8] 1980년대부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방문하여 ITF 태권도를 보급하였다.[8] 그의 사후, ITF는 북한계와 비북한계로 나뉘어 파벌 싸움이 벌어지기도 했다.[8]

3. 2. 정치적 논란

1972년 3월 박정희 정권과 갈등을 빚어 캐나다로 망명한 후 유신체제 반대 운동을 펼쳤다.[21] 1980년대 들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몇 차례 방문해 국제태권도연맹(ITF) 태권도를 보급했다. 이로 인해 오늘날 ITF 태권도가 북한 태권도라는 잘못된 속설이 퍼지게 되었다.[23]

스위스에서는 1990년대 이전까지만 해도 국제태권도연맹(ITF)태권도가 주류를 이루었다.[23] 북미나 공산권에서도 꽤 큰 조직세를 갖췄었다. 다만 최홍희 사후 내부가 북한계/비북한계로 나뉘어 파벌 싸움이 일어나며 쪼개졌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90년대 다부작 영화 《민족과 운명》9부~13부의 모델이 최홍희이다.[24]

참조

[1] 웹사이트 General Choi Hong Hi https://www.itf-tkd.[...] 2023-09-25
[2] 웹사이트 Present Day Taekwondo (WT) http://www.wtf.org/w[...] 2008-01-29
[3] 웹사이트 Letter in Seoul Shinmoon newspaper https://www.hellers.[...] 서울신문 1959-06-15
[4] 논문 The Making of a Modern Myth: Inventing a Tradition for Taekwondo https://bstf.org.uk/[...] 2016
[5] 뉴스 Choi Hong Hi, 83, Korean General Who Created Tae Kwon Do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4-03-08
[6] 웹사이트 태권도신문 http://www.tkdnews.c[...] Tkdnews.com 2012-06-19
[7] 논문 The Founder of the International Taekwon-Do Federation (ITF) Choi Hong Hi: An Exploration of Fiction and Fact https://www.tandfonl[...] 2021-11-22
[8] 논문 The Origins of Football: History, Ideology and the Making of The People's Game http://dx.doi.org/10[...] 2015
[9] 웹사이트 History of Taekwondo https://web.archive.[...] 2007-09-18
[10] 서적 Taekwon-Do and imitators International Taekwon-Do Federation 1993
[11] 간행물 The Difficult Dialogue: Communism, Nationalism, and Political Propaganda in North Korean Sport 2009
[12] 서적 A Killing Art: The Untold History of Tae Kwon Do, Updated and Revised https://books.google[...] ECW Press
[13] 웹사이트 고 최홍희선생의 장의위원회 구성 https://www.kcna.co.[...] 2019-02-12
[14] 웹사이트 Taekwondo Hall of Fame http://www.lacancha.[...] 2008-01-12
[15] 서적 朝鮮人学徒出陣 岩波書店
[16] 웹사이트 160.平壌師管区部隊 (30D関係) https://www.jacar.ar[...]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C15011216500、「昭和20年10月下旬 「マ」司令部提出 帝国陸軍部隊調査表 集成表(原簿)List2-(1) 日本陸軍省 2018-01-29
[17] 서적 군과 나
[18] 뉴스 崔泓熙 少將을 發令 http://www.busan.com[...] 2019-10-22
[19] 웹사이트 崔泓熙 少將을 任命 陸軍 二訓所長更迭 http://db.history.go[...] 国史編纂委員会 2015-12-11
[20] 웹사이트 tae kwon do (martial art) - Britannica Online Encyclopedia http://www.britannic[...]
[21] 뉴스 서울신문 1959-06-16
[22] 뉴스 崔泓熙씨任命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62-05-01
[23] 웹인용 맨주먹으로 일군 ‘태권 스위스’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사 1999-07-27
[24] 웹인용 북한상식 연작영화 「민족과 운명」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사 1996-09-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