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추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추판은 몽골 제국 건국 공신 칠라운의 후손으로, 일 칸국 시대의 군인이자 정치가였다. 1289년 금장 칸국과의 전투에 참여하며 처음 등장했고, 가잔 칸, 올제이투 칸 치하에서 군사적, 정치적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특히 올제이투의 딸 다울란디 카툰과 결혼하고, 최고 군사 지휘관인 아미르에 임명되어 국정을 장악했다. 이후 아부 사이드 칸의 누이 사티 베그와 결혼하며 권력을 더욱 강화했으나, 아부 사이드와의 갈등으로 인해 1327년 헤라트에서 교살당했다. 그의 사후 일 칸국은 쇠퇴했으며, 그의 딸 바그다드 카툰은 아부 사이드를 독살했다는 의혹을 받았다. 추판은 용감하고 정의로운 무슬림으로 묘사되었으며, 여러 자녀를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추판 왕조 - 추판 왕국
    추판 왕국은 14세기 아제르바이잔 지역에서 존재했던 몽골계 왕조로, 아미르 추판의 후손들이 세력을 확장했으나 내부 갈등과 킵차크 칸국의 침략으로 멸망했다.
추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초판
출생일기원후 1262년경
사망일1327년
사망 장소헤라트
매장지알-바키
종교이슬람교
군사 경력
계급일-칸국 최고 사령관 (1307년)
배우자
배우자사티 베그
쿠르두진 하툰
Dowlandi Khatun

2. 가문 배경 및 초기 생애

추판의 가문은 몽골 제국 건국 공신인 칠라운의 후손으로, 술두스 부족 출신이다.[7] 그의 할아버지 투다운은 훌라구 칸과 함께 킵차크 칸국 원정에 참여했고, 디야르 바크르 총독을 역임하다 엘비스탄 전투에서 사망했다.[2] 아버지 말렉은 1258년 바그다드 공방전에 참전했다.[2]

추판은 20대 시절인 1289년 노가이 칸이 이끄는 금장 칸국과의 전투에 참여하며 처음으로 역사에 등장한다.[2] 가이하투를 지지하여 일 칸국 왕위 계승에 기여했고, 1295년 가잔의 편에 서서 바이두와의 왕위 쟁탈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2]

가계도는 다음과 같다.

이름한자 음차페르시아어 표기
솔칸 시라鎖児罕失剌Sūrghān Shīra
칠라온 바아르赤老温Chīlāūghān bahādur
수돈 노얀宿敦Sudūn Nūyān
토단Tūdān
말리크Malik
추판出班Jūbān
알라칸阿剌罕
나드르 비치크치納図児
침바이沈伯


3. 군사적 경력

1299년 맘루크 왕조와의 제3차 훔스 전투에 참전하여 일 칸국이 승리했다.[2] 1303년 마르즈 아유운 전투에 참전했지만, 맘루크 왕조가 승리하여 시리아를 잃었다. 그러나 추판은 가잔의 신임을 잃지 않았고, 쿠틀루그 샤와 함께 처벌을 받았지만 비교적 관대한 처분을 받았다.[3] 가잔의 시리아 원정에 고위 지휘관으로 참전했다.

1307년 올제이투 치하에서 길란 지역 반란 진압에 참여하여 아스타라와 가스카르 통치자들을 항복시키는 등 외교적 능력도 발휘했다.[2]

1319년 외즈베크 칸의 침입을 막는 과정에서 아부 사이드를 지원하여 큰 피해를 입혔다. 1325년 외즈베크 칸의 군대를 격파하고 악 오르다를 공격했다. 1326년에는 차가타이 칸 타르마시린의 침입을 막는 과정에서 그의 아들 하산이 가즈나 근처에서 패배하기도 했다.

4. 올제이투 치하의 정치적 영향력

올제이투는 1305년 3월 19일 자신의 딸 다울란디 카툰과 추판을 약혼시켰다. 1307년, 추판은 길란 지역의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파견된 4개의 군대 중 하나를 지휘했다. 아르다빌에서 출발한 그는 아스타라와 가스카르의 통치자들을 설득하여 평화적으로 항복하게 한 후 올제이투와 합류했다. 그러나 쿠틀루그 샤의 군대는 길라키에게 살해당했다. 쿠틀루그 샤가 사망하자, 올제이투는 추판을 울루스(국가)의 최고 군사 지휘관, 즉 아미르로 임명했다. 같은 해 9월 30일, 추판은 다울란디 카툰과 결혼했다.[7] 추판은 왕좌 뒤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지만, 궁정의 재상들과 경쟁해야 했다. 1314년 다울란디가 사망했고, 1316년 올제이투가 사망한 후, 그의 아들 아부 사이드는 아미르 세빈치의 시도에도 불구하고 추판의 울루스 아미르 지위를 확정했다. 1317년, 추판은 올제이투의 또 다른 딸인 사티 베그와 약혼하며 왕실과의 유대를 더욱 강화했다.[7]

5. 아부 사이드 치하의 권력 상승과 몰락

추판은 재상들의 영향력을 견제하고자 했다. 1318년, 실각한 재상 라시드 알딘 하마다니를 복귀시키려 노력했으나, 라시드는 복귀 직후 처형되었다.[4]

1319년, 청장군의 외즈베크가 침입했을 때, 차가타이의 야사우르의 약탈을 막기 위해 대호라산으로 향하던 추판은 쿠르 강 너머의 아부 사이드를 지원하여 그의 신임을 얻었다. 이후 추판은 아들들을 요직에 임명하고, 사티 베그와 결혼하며 권력의 정점에 올랐다. 그의 아들 티무르타쉬, 셰이크 마흐무드, 하산, 데마스크 카자는 각각 아나톨리아, 조지아, 호라산, 아제르바이잔의 총독직을 받았다.[4] 1324년, 원나라 태정제로부터 개부의동삼사, 익국공으로 임명되고 은인, 금부를 하사받았다.[8][9]

1325년, 아부 사이드가 자신의 딸 바그다드 카툰에게 흑심을 품자, 이를 막으려다 갈등이 심화되었다. 아들 데마스크 카자의 방탕한 생활과 재상들의 모함으로 인해 아부 사이드와의 관계는 더욱 악화되었다. 1327년, 아부 사이드는 데마스크 카자를 살해하고 추판을 토벌하려 했다. 추판은 헤라트로 피신했으나, 카르티드의 기야스 웃딘에게 교살당했다. 그의 시신은 메디나의 바키 묘지에 안장되었고, 그의 죽음 이후 일 칸국은 급격히 쇠퇴했다.

5. 1. 아부 사이드와의 갈등

아부 사이드가 추판의 딸 바그다드 카툰에게 흑심을 품으면서 갈등이 시작되었다.[4] 추판은 바그다드 카툰과 그녀의 남편 하산 부즈르그를 아프가니스탄으로 멀리 보내는 등 아부 사이드를 견제하려 했으나, 이는 오히려 관계를 악화시켰다.[5]

1327년, 아부 사이드는 추판의 아들 데마스크 카자를 올제이투의 전 첩과의 행적을 이유로 살해했다.[5] 데마스크 카자의 죽음 이후, 추판은 복수를 위해 아부 사이드를 공격했지만 실패했다. 그는 옛 친구인 쿠르트 왕조의 기야스 웃딘이 있는 헤라트로 도망쳤지만, 아부 사이드의 압력을 두려워한 기야스에 의해 교살당했다.[7] 그의 손가락은 아부 사이드에게 보내져 시장에 매달려 전시되었다.

6. 사후

추판 사후, 일 칸국은 급격히 쇠퇴하여 혼란에 빠졌다. 그의 딸 바그다드 카툰은 아부 사이드의 후궁이 되었으나, 1335년에 그를 독살했다는 의혹을 받았다.[5] 그의 유해는 바그다드 카툰의 주선으로 성대한 장례를 거쳐 메디나우스만 묘소 근처에 매장되었다. 한편, 그의 손자 셰이크 하산은 추판 왕조를 세워 일 칸국의 일부 지역을 통치했다.

7. 성격 및 종교

추판은 경건한 무슬림으로 묘사되었으며, 올제이투의 시아파 개종에 반대하는 아미르 중 한 명이었다.[3] 여러 자료에서 용감하고 정의로운 인물로 묘사되었으며, 1325년에는 메카로 가는 물길을 후원하기도 했다. 열렬한 무슬림이었던 그는 타브리즈의 모스크 재건과 교회의 파괴를 감독하기도 했지만, 마르 야발라하 3세를 보호하는 등 종교적 관용을 보이기도 했다.[6]

8. 가족 관계

Čubanmn은 최소 4명의 아내를 두었으며, 그들로부터 추판 왕조가 파생되었다. 그의 자녀 대부분은 알려지지 않은 배우자에게서 태어났다. 그는 또한 그의 조상인 칠라운과 솔칸 시라의 이름을 따서 두 아들의 이름을 지었다.

부인자녀
알려지지 않은 아내
다울란디 카툰 (약혼 - 1305년 3월 19일, 결혼 - 1307년 9월 30일, 사망 - 1314년) — 올제이투의 딸
쿠르두진 카툰 — 쉬라즈 및 케르만의 통치자, 멩구 티무르와 아비쉬 카툰의 딸
사티 베그 (1316–1345) — 올제이투의 딸, 나중의 일 칸국의 통치자


참조

[1] 논문 Four Seals in 'Phags-pa and Arabic Scripts on Amīr Čoban's Decree of 726 AH/1326 CE https://www.jstage.j[...] 2015
[2] 웹사이트 ČOBĀN – Encyclopaedia Iranica http://www.iranicaon[...] 2020-04-06
[3] 논문 ""Wolf of Shepherd? Amir Chupan's attitude to government"" https://www.academia[...]
[4] 서적 Culture and Conquest in Mongol Eurasia
[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University Press 1968–1991
[6] 서적 Histoire de Mar Jabalaha III, patriarche des Nestoriens (1281-1317), et du moine Rabban Çauma, Ambassadeur du roi Argoun en Occident (1287); https://archive.org/[...] Paris, Leroux 1895
[7] 문서 志茂2013,676-678頁
[8] 문서 『元史』巻29泰定帝本紀1,「[泰定元年十一月]癸巳……諸王不賽因言其臣'''出班'''有功請官之、以出班為開府儀同三司・翊国公、給銀印・金符」
[9] 문서 四日市2012,320-322/352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