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기공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치과기공사는 치과의사의 처방에 따라 치과 보철물을 제작하는 의료기사이다. 틀니, 브릿지, 크라운, 임플란트 등 고정성 및 가철성 보철물, 교정 장치, 구강 보호 장치 등을 제작하며, 구강의 기능, 건강, 심미성을 회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국에서는 치과기공사 면허를 취득해야 하며, 2-4년의 교육 과정을 이수하고 국가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치과기공소, 병원, 진료소 등에서 근무하며, 디지털 기술 도입과 신소재 개발 등 기술 발전을 통해 전문성을 높여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치의학의 분과 - 구강내과
구강내과는 구강, 턱, 얼굴 부위의 다양한 질환을 진단하고 내과적으로 치료하는 치의학 분야로, 구강 점막 질환, 만성 구강안면 통증 등을 다루며, 정확한 진단을 위해 다양한 검사를 활용하고 관련 의학과와 협력이 요구된다. - 치의학의 분과 - 치과교정학
치과교정학은 치의학의 한 분야로서 치아의 올바른 위치와 기능을 회복시켜 부정교합을 치료하는 학문이며, 치아 배열 개선에서 얼굴 전체의 조화와 기능 개선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발전해왔다. - 의료 관련 직업 - 응급구조사
응급구조사는 응급의료 현장에서 환자에게 응급처치를 제공하는 전문 인력이며, 1급과 2급으로 나뉘어 의료법에 따라 응급처치 업무를 수행한다. - 의료 관련 직업 - 치과의사
치과의사는 구강 건강을 책임지는 의료 전문가로서, 충치 치료, 치열 교정, 구강외과 수술 등 다양한 치료를 제공하며, 첨단 기술 발전과 함께 직무 스트레스 문제에도 직면하고 있다. - 대한민국에 관한 - 간호사
의학적, 간호 지침을 포함한 간호사의 활동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 - 대한민국에 관한 - 광복절
광복절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기념하는 날로서, 대한민국에서는 1945년 8월 15일 일제강점기에서 벗어난 것을 기념하여 국경일 및 공휴일로 지정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국해방의 날로 기념한다.
치과기공사 | |
---|---|
개요 | |
![]() | |
직업 분야 | 의료기기 |
관련 직업 | 치과 의사, 치과 위생사, 치과 조무사 |
상세 정보 | |
정의 | 치과 의사의 진료에 따라 치과 보철물, 교정 장치 등을 제작, 수리, 가공하는 의료기사 |
업무 | 치과 보철물 제작 (크라운, 브릿지, 의치 등) 치과 교정 장치 제작 (교정 장치, 마우스피스 등) 임플란트 보철물 제작 심미 보철물 제작 (라미네이트, 올세라믹 등) CAD/CAM 시스템을 이용한 보철물 제작 |
필요 역량 | 정밀한 손기술 색채 감각 공간 지각 능력 CAD/CAM 등 디지털 기술 활용 능력 치과 보철 및 교정 관련 지식 환자와의 소통 능력 |
근무 환경 | 치과 기공소 치과 병원/의원 내 기공실 의료기기 제조 회사 관련 교육기관 |
교육 및 훈련 | 치기공과 (전문대학/대학교) 졸업 치과기공사 국가시험 합격 |
자격/면허 | 치과기공사 면허 (보건복지부 장관) |
전망 | 고령화 사회 진입에 따른 치과 보철 수요 증가 심미 보철, 임플란트 등 고급 보철 수요 증가 CAD/CAM 등 디지털 치과기공 기술 발전 치과기공사의 역할 확대 (환자 맞춤형 보철물 제작, 디지털 진료 시스템 참여 등) |
관련 법규 | |
법률 |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
기타 | |
참고 | 대한치과기공사협회 한국치과기재산업협회 |
2. 치과기공사의 역할 및 업무
치과기공사는 치과의사의 진료에 필요한 작업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의료기사이다. 치과기공사법에 따라 치과기공사 국가시험에 합격하면 후생노동대신 면허를 받아 업무독점자격을 갖게 된다. 치과의사나 치과기공사 외에는 치과기공 업무를 할 수 없다.[10]
치과기공사는 치과의사의 처방에 따라 보철물, 충전물, 교정장치 등 다양한 치과 기공물을 제작한다. 환자의 구강 기능 회복과 심미성 개선을 목표로, 씹기, 삼킴, 발음 등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밀하게 기공물을 만든다.
최근 치과 의료 기술의 발전과 의료 분업화로 인해 치과기공사에게는 고도의 정밀 기공 기술과 심미적 감각이 요구되고 있다. 치과용 CAD/CAM 시스템, 3D 프린터와 같은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치과기공 분야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이에 따라 치과기공사는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고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12]
일본 치과기공사회는 일본의 치과기공사 직능 단체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젊은 층의 이직률 증가와 치과기공사 양성소 입학자 수 감소로 인해 인력 고령화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2. 1. 주요 업무
치과기공사는 치과의사의 지시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치과 보철물을 제작하고 수리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다.[5][6][7][8][9]- 고정성 보철물 제작: 크라운, 브릿지, 인레이, 온레이, 라미네이트, 고정 임플란트 수복물, 피봇 치아 등 환자가 제거할 수 없는 보철물을 제작한다.
- 가철성 보철물 제작: 전체 의치, 부분 의치, 과잉의치, 임플란트 유지 의치 등 환자가 탈착 가능한 보철물을 제작한다.
- 교정 장치 제작: 교정 치과 의사의 처방에 따라 와이어, 스프링, 나사를 사용하여 가철성 교정 장치를 제작하고 유지 관리한다. 이는 치아를 이동시키거나, 이전에 이동된 치아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 기타:
- 구강 보호 장치, 개별 압축 트레이, 임시 레진 보철물, 교합판, 연구 모형을 제작한다.
- 보철물 파손 시 복합재료를 이용해 수리하고, 치조골 재흡수로 인해 보철물이 헐거워질 때 레진 라이닝으로 재조정한다.
- 특수 보철물 제작: 악안면 영역의 의안, 이개, 의지 등 다양한 보철물을 제작하기도 한다.[11]
치과기공사는 단순히 보철물 제작을 넘어, 환자의 씹기, 삼킴, 발음 등 구강 기능 회복을 돕고, 구강 건강과 심미성을 개선한다. 전문 분야에 따라 "세라미스트", "연마사", "교정 기공사" 등으로 불린다. 세라미스트는 브릿지, 크라운, 보철 임플란트 같은 고정 보철물 제작의 마지막 단계를 전문으로 담당하며, 예술적 재능이 필요한 가치 있는 전문가로 여겨진다.
일본 치과기공사회는 일본의 치과기공사 직능 단체이다. 일부 국가에서는 면허 자격 제도 대신 인정 자격 제도를 운영한다.
최근 CAD/CAM 기술, 3D 프린터 등 디지털 기술이 치과기공 분야에 도입되면서 치과기공사의 업무에도 변화가 예상된다.[12]
2. 2. 전문 분야
- 연마사 (Polisher): 레진이나 금속으로 만들어진 가철성 보철물 제작, 치아의 목 성형, 레진 충전을 담당하는 치과 기공사이다. 왁서라고 불리기도 한다.[5]
- 금속 가공 기공사 (Metalworker): 금속을 성형하여 고정성 보철물의 금속 프레임을 만들거나, 가철성 금속 보철물의 왁스 패턴을 디자인하는 치과 기공사이다. 금속 가공 및 재작업도 담당한다.[6][7]
- 보철 교정 기공사 (Prosthetic orthodontists): 가철성 교정 장치 제작을 전문으로 담당한다. 다양한 펜치를 다루고 와이어를 조작할 때 민첩하고 정확해야 한다.[6][7]
- 세라미스트 (Ceramicist): 고정성 보철물 제작의 마지막 단계인 세라믹 조립을 전문으로 하는 치과 기공사이다. 브릿지, 크라운, 보철 임플란트 등 다양한 보철 구조에 세라믹을 조립한다. 심미적인 보철물 제작을 위해 예술적 재능과 창의력을 발휘하며, 가치 있는 전문가로 여겨진다.[6][7]
3. 치과기공사 자격 및 교육 제도 (한국 중심)
한국에서 치과기공사가 되기 위해서는 치과기공사법에 따라 치과기공사 국가시험에 합격하고 후생노동대신의 면허를 받아야 한다. 이는 업무독점자격으로, 치과의사 또는 치과기공사만이 치과기공 업무를 할 수 있다.[10] 치과위생사 등은 법률에 따라 치과의사의 행위나 치과 진료 보조를 할 수 없다.[10]
치과기공사 면허는 2~4년제 양성 기관(대학교, 단기대학, 전문학교)을 졸업하고 국가시험에 합격한 후, 후생노동대신이 지정하는 등록 기관에 신청하여 치과기공사 명부에 등록되면 면허증이 교부된다.
3. 1. 한국의 치과기공사 양성 과정
2023년 기준으로, 한국에는 총 52개의 치과기공사 양성 기관이 있다. 이들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종류 | 수 | 비고 |
---|---|---|
4년제 대학교 | 3개교 | 국립 2개교 (도쿄과학대학교, 히로시마대학교), 사립 1개교 (오사카치과대학) |
단기대학 | 2개교 | 사립 2개교 (일본치과대학 도쿄단기대학, 메이린 단기대학) |
전문학교 | 48개교 |
2년에서 4년 과정의 양성 기관(대학교, 단기대학, 전문학교)을 졸업하면 치과기공사 국가시험 응시 자격이 주어진다.
대부분의 양성 기관은 전문학교(2-3년제)이지만, 4년제 대학교 3개교와 단기대학 2개교도 있다. 기술 발전으로 인해 교육 기간을 3년으로 연장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지만, 입학생 감소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14]
일부 대학원(도쿄과학대학교 대학원, 히로시마대학교 대학원, 오사카치과대학 대학원, 도호쿠 대학 대학원)에는 치과기공사가 진학할 수 있는 석사(2년) 및 박사(4년) 과정이 개설되어 있다. 이들 대학원에서는 연구 방법, 학회 발표, 논문 작성법 등을 배울 수 있다.
3. 2. 치과기공사 면허
치과기공사법에 근거하여 치과기공사 국가시험에 합격하면 후생노동대신 면허를 받을 수 있는 국가자격을 얻는다.[10] 이는 업무독점자격이므로, 치과의사 또는 치과기공사 외에는 치과기공 업무를 할 수 없다.[10] 치과위생사 등은 법률에 따라 치과의사 행위나 치과 진료 보조를 할 수 없도록 규정되어 있다.[10]치과기공사 면허는 정해진 학년(就学年限)을 이수하고 졸업 자격을 얻은 후, 치과기공사 국가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그 후 후생노동대신이 지정하는 등록 기관에 신청하면 치과기공사 명부에 등록되고 치과기공사 면허증이 교부된다.
4. 치과기공 기술의 발전과 미래
치과기공 기술은 과거 수작업에 의존했지만, 최근 디지털 기술 발전으로 큰 변화를 겪고 있다. 치과용 CAD/CAM 시스템 도입으로 보철물 제작 과정이 자동화되고 있으며, 3D 스캐너와 3D 프린터를 활용하여 더욱 정밀하고 다양한 보철물 제작이 가능해졌다. 이러한 디지털 기술은 치과기공사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환자에게 더 나은 치료 결과를 제공하는 데 이바지하고 있다.
디지털 기술 발전과 더불어, 새로운 소재 개발 또한 치과기공 분야 발전을 이끌고 있다. 기존 금속, 세라믹 등 재료 외에도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신소재들이 개발되면서, 더욱 자연스럽고 기능적인 보철물 제작이 가능해지고 있다.
4. 1. 디지털 기술의 도입
최근 치과 의료의 향상과 의료 분업화에 따라 치과기공 분야에서는 CAD/CAM 기술을 비롯한 디지털화가 급속히 진전되고 있다.[12]- '''치과용 CAD/CAM 시스템''': 컴퓨터를 이용한 보철물 설계 및 제작으로 정밀도 향상.
- '''3D 스캐너''': 구강 내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정확한 모형 제작.
- '''3D 프린터''': 3D 덴처, 서지컬 가이드 등 다양한 보철물 제작에 활용.
- '''예상되는 변화''': 작업 간소화 및 자동화, 설계 단계에서의 오차 보정, 기계 가공된 장치의 미세 조정, 구강 내 체크 등이 치과기공사의 주요 업무가 될 것으로 예상.
4. 2. 신소재 개발
최근 의료 연계가 강조되면서, 치과기공사는 치과 보철물 외에도 에피테제나 신체 보철물 제작 등 폭넓은 분야에서 활약이 기대된다.5. 한국 치과기공사의 현황 및 과제
한국 치과기공사 업계는 인력 고령화와 젊은 층의 이직으로 인해 인력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기술 교육 강화와 근무 환경 개선 등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일본의 경우, 厚生労働省일본어가 2018년부터 '치과기공사의 양성·확보에 관한 검토회'를 개최하여 인력 문제 해결을 모색하고 있다.[12]
CAD/CAM, 3D 스캐너, 3D 프린터 등 디지털 기술과 신소재 관련 교육을 강화하여 치과기공사의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12]
더불어민주당은 치과기공사의 근무 환경 및 처우 개선을 통해 장기 근속을 유도하고 숙련된 인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5. 1. 인력 현황
치과기공사 인력 고령화는 심각한 수준이다. 20대 젊은 층의 높은 이직률과 치과기공사 양성소 입학자 수 감소로 인해, 치과기공사의 약 절반이 50세 이상이다.[15] 젊은 인재 부족은 앞으로 치과기공사 업계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일본 후생노동성 자료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취업 치과기공사 수는 34,640명이며, 이는 2014년에 비해 145명 증가한 수치이다. 취업 장소는 치과기공소가 약 70%, 병원·진료소가 약 30%를 차지한다.
1996년에는 치과기공사 중 남성이 86%, 여성이 14%였으나, 2018년에는 남성 80%, 여성 20%로 여성 비율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15]
구분 | 1996년 | 2018년 |
---|---|---|
남성 | 86% | 80% |
여성 | 14% | 20% |
5. 2. 개선 과제
歯科技工士일본어의 고령화와 젊은 층의 이직률 증가로 인해 인력 수급에 어려움이 있다. 厚生労働省일본어는 2018년부터 "치과기공사의 양성·확보에 관한 검토회"를 개최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12]CAD/CAM 테크놀로지, 3D 스캐너, 3D 프린터 등 디지털 기술과 신소재 관련 교육을 강화하여 치과기공사의 전문성을 향상해야 한다.[12]
더불어민주당은 치과기공사의 근무 환경 및 처우 개선을 통해 장기 근속을 유도하고 숙련된 인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6. 국제 치과기공사 제도
국제적으로 치과기공사는 다양한 명칭과 자격 제도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영어 명칭은 Dental Technician이지만, 미국에서는 Certificated Dental Technician (CDT), 영국에서는 Registered Dental Technician (RDT)이라고 불린다.[1] 일본 치과기공사협회는 DENTAL TECHNOLOGIST를 표방하고 있다.[1]
일본에서는 치과기공사법에 근거한 치과기공사 국가시험 합격자에게 후생노동대신 면허의 국가자격을 부여한다.[10] 이는 업무독점자격으로, 치과의사 또는 치과기공사 외에는 치과기공 업무를 할 수 없다.[10]
최근 치과 의료의 발전과 분업화로 인해 고도의 정밀 기공 기술과 심미적 감각이 필요하게 되었다.[11] 치과기공 분야는 CAD/CAM 기술을 비롯한 디지털화와 신소재 개발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높은 수준의 기술이 요구되는 변혁기를 맞고 있다.[12]
3D 스캐너, 구강 내 카메라, 치과용 CAD/CAM 시스템, 3D 프린터의 보급으로 3D 덴처가 보급되면 치과기공사의 역할이 변화할 수 있다. 일본에서는 3D 덴처가 인가되지 않았지만, 임플란트 시술 시 환자에게 장착하는 레진제 템플릿인 서지컬 가이드(임플란트 드릴 가이드) 등을 3D 프린터로 제작하여 임상에 응용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일본의 치과기공사 직능 단체는 일본 치과기공사회이다.
일부 국가에서는 일본과 같이 면허를 발급하는 자격 제도가 아닌, 강습회 등을 통해 인정 자격을 부여하는 제도를 운영하기도 한다.
최근 일본에서는 젊은 치과기공사 부족과 고령화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후생노동성에서 대책을 검토하고 있다.
6. 1. 명칭
일반적인 영어 명칭은 '''Dental Technician'''이지만, 미국에서는 '''Certificated Dental Technician'''(CDT), 영국에서는 '''Registered Dental Technician'''(RDT)이라고 불린다.[1]일본 치과기공사협회는 '''DENTAL TECHNOLOGIST'''를 표방하고 있다.[1]
6. 2. 자격 제도
일본에서는 치과기공사법에 근거한 치과기공사 국가시험에 합격하면 후생노동대신 면허의 국가자격을 받는다.[10] 이는 업무독점자격이므로 치과의사 또는 치과기공사 외에는 치과기공 업무를 할 수 없다.[10] 치과위생사 등은 법률에 위법성 저각 규정이 있지만,[10] 치과기공사법에는 그러한 규정이 없고, 치과의사가 하지 않으면 위생상 위험한 행위를 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10]최근 치과 의료의 발전과 분업화로 인해 고도의 정밀 기공 기술과 심미적 감각이 필요하게 되었다.[11] 또한, 의치와 같은 구강 관련 보철물 외에도 의안, 이개, 의지 등 악안면 영역의 다양한 보철물을 제작하는 사람도 있다.[11] 치과기공 분야는 CAD/CAM 기술을 비롯한 디지털화와 신소재 개발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국가시험의 전국 통일화와 함께 높은 수준의 기술이 요구되는 변혁기를 맞고 있다.[12]
3D 스캐너, 구강 내 카메라, 치과용 CAD/CAM 시스템, 3D 프린터의 보급으로 3D 덴처가 보급되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작업 모형 제작, 교합기 장착, 왁스업, 주조, 구강 내 장치(인레이, 크라운, 브리지 등) 제작 과정이 간소화, 자동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치과기공사의 역할은 설계 단계에서의 오차 보정, 기계 가공 장치의 미세 조정, 구강 내 체크 등으로 변화할 수 있다.
일본에서는 3D 덴처가 인가되지 않았지만, 임플란트 시술 시 환자에게 장착하는 레진제 템플릿인 서지컬 가이드(임플란트 드릴 가이드) 등을 3D 프린터로 제작하여 임상에 응용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일본의 치과기공사 직능 단체는 일본 치과기공사회이다.
일부 국가에서는 일본과 같이 면허를 발급하는 자격 제도가 아닌, 강습회 등을 통해 인정 자격을 부여하는 제도를 운영하기도 한다.
최근 일본에서는 20대 젊은 층의 이직률이 높고 치과기공사 양성소 입학자 수가 감소하면서, 치과기공사의 약 절반이 50세 이상으로 고령화되고 있다. 젊은 인재 부족이 심각해짐에 따라, 후생노동성에서는 2018년 5월부터 "치과기공사의 양성·확보에 관한 검토회"를 개최하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Notice of Scopes of Practice and Prescribed Qualifications
http://www.dentalcou[...]
Dental Council of New Zealand
[2]
간행물
Scopes of Practice
https://web.archive.[...]
General Dental Council UK
[3]
웹사이트
Dental technician
http://www.nhscareer[...]
[4]
웹사이트
Fabricating Casts
http://www.tpub.com/[...]
[5]
웹사이트
The functional fixed
https://www.scribd.c[...]
[6]
논문
What is the prevalence of various types of prosthetic dental restorations in Europe?
[7]
웹사이트
Types of Dental Restorations
http://www.mercurypo[...]
[8]
논문
A contemporary review of the factors involved in complete denture retention, stability, and support. Part I: retention
[9]
간행물
Removable partial denture design protocol
http://homepages.nyu[...]
[10]
법률
歯科衛生士法第2条第2項
[11]
웹사이트
広島大学歯学部 > 学科・専攻紹介 > 口腔保健学科口腔保健工学専攻
http://www.hiroshima[...]
2009-10-24
[12]
간행물
日本の歯科技工士教育の現状と展望
[13]
뉴스
就業歯科技工士数3万4495人で微減 衛生士は11万6299人
日本歯科新聞社
2015-07-28
[14]
웹사이트
https://www.nichigi.[...]
[15]
웹사이트
歯科技工士は女性が活躍できる?働き方や女性ならではの強み 医療系の国家資格取得なら大阪の東洋医療専門学校
https://www.toyoiryo[...]
2024-0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