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치과의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치과의사는 치아, 턱, 구강 조직의 질병을 예방, 진단, 치료하는 의료 전문가이다. 고대 이집트에서 치과 치료가 시작되었으며, 18세기 프랑스에서 현대 치의학의 기초가 다져졌다. 근대 치의학은 19세기 미국에서 발전하여 치과대학과 전문 학회가 설립되었고,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었다. 치과의사는 충치 치료, 교정, 보철, 치주 치료, 구강외과 등 다양한 치과 치료를 수행하며, 전문 분야로는 구강외과, 치주과, 교정과, 소아치과 등이 있다. 한국에서는 1874년 서양식 의료 제도가 도입된 이후 치과의사 제도가 시작되었으며, 2018년 일본치과전문의기구 설립으로 전문의 인정 시스템이 마련되었다. 미국은 치과 전문 분야를 ADA와 ABDS에서 인정하며, 치과 의료 보험 제도가 갖춰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치과의사 - 구르반굴리 베르디무하메도프
    구르반굴리 베르디무하메도프는 2007년부터 2022년까지 투르크메니스탄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재임 기간 동안 인권 탄압 등의 비판을 받았고, 퇴임 후 인민평의회 의장직을 수행했다.
  • 치과의사 - 세키구치 마사카즈
    세키구치 마사카즈는 자유민주당 소속의 5선 참의원 의원이자 제34대 참의원 의장으로, 사이타마현 의회 의원 출신으로 외무대신 정무관, 총무부대신 등을 역임했으며 헌법 개정 및 방위비 증액을 주장하는 보수 성향의 정치인이다.
  • 의료 관련 직업 - 응급구조사
    응급구조사는 응급의료 현장에서 환자에게 응급처치를 제공하는 전문 인력이며, 1급과 2급으로 나뉘어 의료법에 따라 응급처치 업무를 수행한다.
  • 의료 관련 직업 - 외과의
    외과의는 질병, 부상, 기형 치료를 위해 수술법을 사용하는 의사로,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전문 분야로 발전해 왔으며, 수술 외 비수술적 치료도 담당하며, 외과 의료 발전을 위한 여러 학회 및 단체의 지원을 받는다.
치과의사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치과의사 (앉아있는 사람)가 조수의 도움을 받아 환자를 치료하고 있다.
전문 분야생의학 지식
외과적 손재주
비판적 사고 능력
분석적 기술
전문성
경영 능력
의사소통
학위치의학 학사 (B.D.S)
치의학 박사 (D.M.D)
치과 외과 박사 (D.D.S)
의학 박사 (M.D.) (전문 프로그램)
관련 직업
관련 직업의사
설명
설명구강과 치아를 관리하는 의료 직업

2. 역사

초기 치과 치료는 중국과 프랑스에서 이발사에 의해 시행되었다. 이발사는 이발사 조합과 일반 이발사로 나뉘었는데, 전자는 복잡한 수술을, 후자는 발치 등 기본적인 위생 서비스를 담당했다. 1400년 프랑스에서는 일반 이발사의 수술을 금지하는 법령이 제정되었다.[1][2] 1530년부터 1575년 사이 독일과 프랑스에서는 치과 전문 서적이 출판되었다. 암브루아즈 파레(Ambroise Paré)는 치아 관리 및 치료에 관한 저서를 출판하고 프랑스 국왕들의 치과 치료를 담당하며 이발사 외과의사의 지위를 높였다.[1][2]

메이지 유신 이전 일본에는 구강, 인후, 치아 치료를 담당하는 의사가 있었고, 구강과 전문 의사도 존재했다. 세계적으로는 기원전 2500년경 것으로 추정되는 의치가 기자(ギーザ)에서 발굴되었다.

메이지 유신 이후, 1874년(메이지 7년) 의제(医制) 공포로 서양식 의료 제도가 정비되었다. 1875년(메이지 8년) 오바타 에이노스케(小幡英之助)가 "치과(歯科)" 전문으로 의술개업시험에 합격하여 일본 최초의 (근대) 치과의사로 여겨진다. 1883년(메이지 16년) 의사와 치과의사가 별개로 분리되었고, 1906년(메이지 39년) 치과의사법이 제정되었다. 1942년(쇼와 17년) 의사법과 합쳐져 국민의료법이 되었으나 치과의사 제도는 유지되었다. 전후 국민의료법은 의사법(医師法), 치과의사법(歯科医師法), 의료법(医療法)으로 나뉘었다.

피에르 포샤르는 18세기에 『Le Chirurgien Dentiste』(외과 치과의)를 집필하여 "현대 치의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기원전 27세기에 Hesy-Ra영어가 최초로 베르-이베센주(Wer-ibeḥsenjw, 최고위 치과의)에 임명되었다.

GReeeeN은 멤버 전원이 현직 치과의사인 음악 그룹으로, 의료 활동을 위해 얼굴을 비공개로 하고 있다.

2. 1. 고대 및 중세

중국과 프랑스에서는 이발사가 최초로 치과 치료를 시행했다. 이들은 이발사 조합과 일반 이발사, 두 그룹으로 나뉘었다. 이발사 조합은 숙련된 치과 외과 의사들로 구성되어 복잡한 수술을 담당했고, 일반 이발사는 면도, 발치 등 기본적인 위생 서비스를 제공했다. 그러나 1400년 프랑스에서는 일반 이발사의 수술을 금지하는 법령이 제정되었다.[1][2]

1530년부터 1575년까지 독일과 프랑스에서는 치과 관련 서적이 출판되었다. '외과의 아버지'로 불리는 암브루아즈 파레(Ambroise Paré)는 치아 관리 및 치료에 관한 저서를 출판했으며, 여러 프랑스 국왕의 치과 치료를 담당하며 이발사 외과의사의 지위를 높였다.[1][2]

2. 2. 근대 치의학의 발전

피에르 포샤르는 1728년 치과 기술과 실제에 관한 과학 교과서를 처음으로 출판했기 때문에 "현대 치의학의 아버지"로 불린다.[3] 시간이 지남에 따라 훈련받은 치과의사들이 유럽에서 아메리카로 이주하여 치과 진료를 시작했고, 1760년까지 미국에는 자국 출신의 치과의사들이 있었다. 당시 신문은 치과 서비스를 광고하고 홍보하는 데 사용되었다. 미국에서는 1768년부터 1770년까지 법의학 사건을 확인하기 위한 치과의 첫 번째 응용이 개척되었는데, 이것을 법치의학이라고 한다. 치과의사의 증가와 함께 치의학의 질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방법들도 등장했다. 이러한 새로운 방법에는 드릴을 회전시키는 방적기와 치과 환자를 위해 특별히 제작된 의자 등이 포함된다.[4]

1840년대에는 세계 최초의 치과대학과 전국 치과 협회가 설립되었다. 최초의 치과대학과 함께 치과 외과 의사 학위(DDS 학위)가 설립되었다. 새로운 치과의사와 치과 기술의 증가에 따라 치의학을 규제하기 위한 최초의 치과 진료법이 제정되었다. 미국에서는 최초의 치과 진료법에 따라 치과의사는 해당 주에서 치과 진료를 하기 위해 각 주의 특정 의료위원회 시험에 합격해야 했다. 그러나 치과법은 거의 시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일부 치과의사는 법을 따르지 않았다. 1846년부터 1855년까지 수술에 에스터 마취제를 사용하는 것과 충치에 금을 적용할 수 있게 하는 응집성 금박 방법과 같은 새로운 치과 기술이 발명되었다. 미국치과의사협회는 26명의 치과의사 회의 후 1859년에 설립되었다. 1867년경에는 하버드 치과대학과 같은 최초의 대학 부속 치과대학이 설립되었다. 루시 홉스 테일러는 치과 학위를 받은 최초의 여성이다.

1880년대에는 원래의 분말이나 액체 치약을 대체하는 튜브형 치약이 만들어졌다. 전국 치과 시험관리자 협회와 같은 새로운 치과 위원회가 설립되어 치과의사 간의 표준과 통일성을 확립했다.[4] 1887년에는 최초의 치과 실험실이 설립되었는데, 치과 실험실은 각 환자에게 맞는 틀니와 크라운을 제작하는 데 사용된다.[5] 1895년에는 독일 물리학자 빌헬름 뢴트겐이 치과용 X선을 발견했다.[6]

2. 3. 20세기 이후의 발전

치과 의료진에게 치료받는 남성


핀란드 라펜란타의 현대적인 치과 치료


20세기에는 다양한 치과 기술과 재료가 개발되면서 치과 치료의 질이 크게 향상되었다.[4][7]

개발 연도발명품
1903년포셀린 크라운[4]
1905년노보카인(국소 마취제)[4]
1907년정밀 주조 충전[4]
1938년나일론 칫솔[4]
1945년불소화수[4]
1950년불소 치약[4]
1957년공기 구동식 치과 기구[4]
1960년레이저, 전동 칫솔[4]
1989년가정용 치아 미백 키트[4]



공기 구동식 치과 기구와 같은 발명품은 새로운 고속 치과 진료를 이끌었다.[4] 현대 치의학은 예방, 진단, 치료를 포괄하는 종합적인 구강 건강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3. 치과의사의 역할과 책임

치과의사는 충치 치료(치과 수복물, 치관, 치교), 치열 교정(교정장치), 보철(틀니, 치관/치교), 근관 치료, 잇몸 치료 및 구강외과(발치)와 같은 대부분의 치과 치료를 수행하며, 검진, 방사선 사진(X선) 촬영 및 진단도 수행한다.[8][9] 치과 임플란트 식립과 같은 구강외과 수술도 추가로 시행할 수 있다. 또한 항생제, 불소, 진통제, 국소 마취제, 진정제/수면제 및 두경부 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기타 약물을 처방할 수 있다.

구강 내 상태가 좋지 않으면 전반적인 건강이 나빠지며,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특히, 치주 질환, 심혈관 질환 및 내분비 질환 간에는 상당한 연관성이 있다.[10] 구강 내 상태는 골다공증, 당뇨병, AIDS, 악성 종양, 림프종을 포함한 다양한 혈액 질환과 같은 다른 전신 질환을 나타낼 수도 있다.

몇몇 연구에 따르면, 치과의사와 치과대학생은 소진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진 시, 치과의사는 탈진을 경험하고, 업무에서 소외되며, 효율성이 떨어진다.[11][12] 체계적인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상태와 관련된 위험 요인으로는 의사의 젊은 나이, 성격 유형, 성별, 교육 수준, 높은 직무 스트레스, 근무 시간 및 임상 학위 요건의 부담 등이 있다. 이 연구의 저자들은 학부 과정 초기 단계에서 개입 프로그램을 통해 의사들이 이러한 상태를 준비하고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되는 좋은 전략을 제공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13]

4. 치과 전문 분야

현대 치의학은 여러 전문 분야로 나뉘어 있으며, 각 분야 전문의들은 해당 분야 질환에 대해 깊이 있는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있다. 많은 국가에서 치과 전문의는 대학원 수련 과정을 마치고 전문의 위원회나 명단에 등록해야 '전문의' 자격을 얻을 수 있다.[15]

미국에서는 미국치과의사협회(ADA)와 미국치과전문의위원회(ABDS)가 치과 전문 분야를 인정한다. ADA는 12개, ABDS는 4개의 치과 전문 분야 위원회를 인정한다.[16][17]

'''ADA 산하 치과 전문 분야'''[16]

분야설명
치과 마취과전신 마취, 진정, 국소 마취 및 첨단 통증 관리 방법 연구 및 시행 (ADA와 ABDS 모두 인정)
치과 공중 보건치과 역학 및 사회 보건 정책 연구
근관 치료과근관 치료치수 질환 연구
구강악안면 병리학구강 및 악안면 관련 질환 연구, 진단 및 치료
구강악안면 영상의학구강 및 악안면 질환 연구 및 방사선학적 해석
구강악안면외과발치, 임플란트, 선천적 안면 기형 교정 등 악안면 수술
구강외과구강 내 수술 전문 (유럽과 호주에서 인정)
구강내과의학적으로 복잡한 환자의 구강 건강 관리, 구강 및 악안면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 진단 및 관리 (ADA와 ABDS 모두 인정)
구강악안면 통증과턱, 입, 얼굴 및 관련 부위 통증 질환 진단, 관리 및 치료 (ADA와 ABDS 모두 인정)
교정치과치열교정 및 중안면, 하악 성장 수정
치주과잇몸 질환 연구 및 치료(비수술 및 수술), 치과 임플란트 배치 및 유지 관리
소아치과아동 치과 치료
보철과틀니, 브릿지, 치과 임플란트(복원/배치)



'''ABDS 산하 치과 전문 분야'''[17]

분야설명
구강 임플란트학/임플란트 치과치과 임플란트 식립 및 유지 관리
구강내과의학적으로 복잡한 환자의 구강 건강 관리, 구강 및 악안면 부위 질환 진단 및 비수술적 관리
구강악안면 통증과턱, 입, 얼굴 및 관련 부위 통증 질환 진단, 관리 및 치료
치과 마취과전신 마취, 진정, 국소 마취 및 첨단 통증 관리 방법 연구 및 시행



이 분야 전문의는 "등록 가능"(미국에서는 "보드 자격")으로 지정되며, 특정 지역 인증 요건(미국, "보드 인증")을 충족하면 독점적인 직함을 사용할 수 있다.

영국에서는 영국 치과의사 협회(General Dental Council, GDC)(GDC)가 13가지 치과 특수 분야를 인정한다.[19] 유럽 연합 법률은 구강악안면외과(치의학 및 의학 학위 필수)와 교정치과, 두 가지 치과 전문 분야를 인정한다.

한국에서는 대한교정치과학회 인정의, 대한치과마취학회 인정의 등 다양한 학회에서 인정하는 전문의 제도가 있다. 미국치과의사회는 9가지 전문의 자격을 설정하고 있으며,[29] 미국치과의사회 인증 전문의 외에도 준치과 전문의로 분류되는 특수 전문 프로그램 및 의사가 있다.[29]

4. 1. 일반적인 치과 전문 분야


  • 보존 치과학: 충치 치료 및 치아 수복을 전문으로 한다. 여기에는 충전, 치과 수복물, 치관, 치교 등이 포함된다.[16]
  • 구강악안면외과: 턱, 얼굴, 구강 부위의 외과적 수술을 담당한다. 여기에는 발치, 임플란트, 선천적 안면 기형 교정 등이 포함된다.[16]
  • 교정치과: 치아 배열과 턱 성장을 교정하여 심미성과 기능성을 개선한다.[16]
  • 치주과: 잇몸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며(비수술 및 수술), 치주 조직의 건강을 유지하는 데 주력한다. 치과 임플란트의 배치 및 유지 관리도 담당한다.[16]
  • 소아치과: 어린이와 청소년의 구강 건강을 전문적으로 관리한다. 아동의 치아, 뼈, 턱은 계속 성장하므로, 아동의 특정 치과 문제는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16]
  • 보철과: 틀니, 브릿지 및 치과 임플란트(복원/배치)와 같은 인공 치아 및 보철물을 제작하여 구강 기능을 회복시킨다. 일부 보철과 의사는 "구강악안면 보철과" 분야에서 더욱 전문적인 교육을 받는데, 이는 귀, 눈, 코 등과 같은 결손된 안면 구조물을 대체하는 분야이다.[16]
  • 구강내과: 의학적으로 복잡한 환자의 구강 건강 관리, 구강 및 악안면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의 진단 및 비수술적 관리를 포함한다.[16]
  • 구강악안면 통증과: 턱, 입, 얼굴 및 관련 부위의 통증 질환의 진단, 관리 및 치료를 포함한다.[16]
  • 근관 치료과: 근관 치료치수 질환을 연구한다.[16]
  • 구강악안면 병리학: 구강 및 악안면 관련 질환을 연구, 진단 및 치료한다.[16]
  • 구강악안면 영상의학: 구강 및 악안면 질환을 연구하고 방사선학적으로 해석한다.[16]
  • 치과 마취과: 전신 마취, 진정, 국소 마취 및 첨단 통증 관리 방법에 대한 연구 및 시행을 한다.[16]
  • 치과 공중 보건: 치과 역학 및 사회 보건 정책을 연구한다.[16]

4. 2. 기타 전문 분야 (국가별 상이)


  • 치과 마취과: 치과 치료 시 통증 및 불안을 관리하며, 전신 마취, 진정, 국소 마취 및 첨단 통증 관리 방법에 대해 연구하고 시행한다. 미국치과의사협회(ADA)와 미국치과전문의위원회(ABDS) 모두 인정한다.[18]
  • 치과 공중 보건: 치과 역학 및 사회 보건 정책을 연구한다. 지역 사회의 구강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수립 및 시행을 담당한다.
  • 구강악안면 영상의학: 구강 및 악안면 질환의 진단을 위한 영상 촬영 및 판독을 하며, 구강 및 악안면 질환의 연구 및 방사선학적 해석을 담당한다.
  • 구강악안면 병리학: 구강 및 악안면 관련 질환을 연구하고, 진단 및 치료한다. 구강 및 악안면 조직의 병리학적 변화를 연구하고 진단한다.

5. 한국의 치과의사

한국의 치과의사는 치과의사법에 의해 규정되며, 의사와는 별개의 국가 자격을 가진다. 치과의사가 되기 위해서는 치과대학을 졸업하고 치과의사 국가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일본의 경우 치과의사 국가시험에 합격해야 치과의사가 될 수 있으며, 치과대학 졸업 및 치학 학사 학위 취득만으로는 치과의사가 될 수 없다.[21][22]

치과의사 국가시험 응시 자격은 대학에서 치학 정규 과정을 이수하고 졸업(예정) (치학 학사)해야 주어진다. 시험 합격 후 치과의사 명부에 등록하면 후생노동대신에게서 치과의사 면허를 받고, 독립적으로 치과 의료 행위를 할 수 있다. 보통 의료보험 의사 등록을 하며, 치과 병원 개원 자격은 치과의사 면허 취득 후 1년 이상 임상 수련을 마쳐야 주어진다. 치과위생사에게 허용되는 일부 행위를 제외하고, 치과의사만이 타인 지시 없이 치과 의료 행위를 할 수 있으며, 치과 병원진료소 관리자도 치과의사가 맡는다. 치과의사 면허는 갱신 기한이 없으며, 의도심의회에서 치과 의료 행위 정지·면허 취소를 결정하지 않는 한 평생 유효하다.

치과의사 면허는 진료과별로 발급되지 않으므로, 각 진료 분야 학회가 학회 인정의 등의 인정을 한다. 이는 법적 구속력이 있는 자격이 아니며, 표방 과목명(현재 치과, 치과 구강외과, 교정치과, 소아치과의 4과)은 자유롭게 표방할 수 있다. 다만 전문의 자격은 각 학회의 전문의 자격이 있어야 광고할 수 있다.

2018년에는 전문의를 일괄적으로 인정하는 공적 기구로 일본치과전문의기구가 설립되었다.

5. 1. 치과의사 수와 과잉 문제

한국에서는 1960년대 초부터 일현일의대 구상과 맞물려 치과대학이 증설되면서 치과의사 수가 크게 증가했다. 인구 10만 명당 치과의사 50명을 목표로 하였으나, 10년도 지나지 않아 목표가 달성되었고, 이후에도 인구 대비 치과의사 수는 계속 증가하였다.[21][22]

"치과의사는 편의점보다 많다"는 주장은 편의점이 치과를 따라잡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실태를 정확하게 표현한다고 보기 어렵다는 지적이 있다.[23] 또한, 치과의사의 고령화, 수요 증가, 인구 대비 OECD 국가와 비교했을 때 중간 정도라는 점을 고려하면 치과의사 과잉이라고 단정하기 어렵다는 전문가의 견해도 있다.[24]

5. 2. 전문의 및 인정의 제도

많은 국가에서 대학원 수련을 만족스럽게 마친 후, 치과 전문의는 '전문의'라는 직함을 사용하기 위해 전문의 위원회 또는 명단에 가입해야 한다.[1]

6. 미국의 치과의사

미국에서 면허를 가진 치과의사는 일반적인 교육 과정을 거쳐 충치 치료, 치열교정, 보철, 근관 치료, 치주 치료, 구강외과(발치), 검진, 방사선 촬영 및 진단 등 대부분의 치과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8][9] 또한 치과 임플란트 식립과 같은 구강 외과 수술을 추가로 시행할 수 있으며, 항생제, 불소, 진통제, 국소 마취제, 진정제/수면제 등 두경부 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을 처방할 수 있다.[10]

모든 DDS 및 DMD 학위 소지자는 잇몸이식, 골이식, 상악동 거상술, 임플란트 등 복잡한 수술과 다양한 침습적 구강악안면외과 수술을 수행할 자격이 법적으로 부여된다. 그러나 많은 치과의사들이 전문성 향상을 위해 레지던트 과정이나 박사후 교육을 받는다. 미국에서는 전신 마취와 같은 특정 시술은 법적으로 박사후 교육을 받아야 한다.

구강 내 상태가 좋지 않으면 전반적인 건강이 나빠질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특히 치주 질환과 심혈관 질환, 내분비 질환 간에는 상당한 연관성이 있다. 구강 내 상태는 골다공증, 당뇨병, AIDS, 악성 종양, 림프종 등 다양한 전신 질환을 나타낼 수 있다.

몇몇 연구에 따르면, 치과의사와 치과대학생은 소진(번아웃)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진 시 치과의사는 탈진, 업무 소외, 효율성 저하를 경험한다.[11] [12] 체계적인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상태와 관련된 위험 요인으로는 의사의 젊은 나이, 성격 유형, 성별, 교육 수준, 높은 직무 스트레스, 근무 시간 및 임상 학위 요건의 부담 등이 있다. 학부 과정 초기 단계에서 개입 프로그램을 통해 의사들이 이러한 상태를 준비하고 대처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13]

6. 1. 미국의 치과의사 통계

2012년 미국에는 약 20만 명의 치과의사가 있었다.[29] 캘리포니아주에 약 3만 명이 있어 가장 많았고, 뉴욕주가 약 1만 5천 명으로 그 뒤를 이었으며, 이들 지역의 도시에서는 치과의사 과잉 문제가 지적되기도 한다.[29]

그러나 미국 전체적으로는 치과의사가 부족한 주가 대부분이며, 와이오밍주가 293명으로 가장 적었고, 버몬트주가 373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29]

6. 2. 미국의 치과 의료 보험 제도

미국은 국민건강보험 제도가 없어, 개인은 회사나 학교를 통해 민간 보험에 가입하는 경우가 많다.[29] 치과 의료 보험은 보험료가 비싸기 때문에 1억 3천만 명 이상의 미국 국민이 치과 의료 보험에 가입하지 않고 있다.[29]

저소득층 및 장애인을 위한 의료 보험으로 메디케이드(Medicaid)가 있으며, 의료비를 연방 정부와 주 정부가 절반씩 부담한다.[29] 그러나 예산 부족으로 인해 주 정부의 치료 보장 범위는 제한적이며, 대부분 응급 처치만 가능하다. 또한 메디케이드를 받는 시설이 적어 치료에 장기간이 소요된다.[29]

참조

[1] 웹사이트 Ambroise Pare https://web.archive.[...] 2015-05-05
[2] 웹사이트 History of Dentistry Timeline http://www.ada.org/e[...] 2015-05-05
[3] 논문 Pierre Fauchard: the 'Father of Modern Dentistry'
[4] 웹사이트 History of Dentistry Timeline http://www.ada.org/e[...]
[5] 웹사이트 Dental Laboratory Technology http://www.ada.org/e[...]
[6] 웹사이트 Wilhelm Conrad Röntgen – Biographical https://www.nobelpri[...]
[7] 웹사이트 Dental Technology Over 150 Years: Evolution and Revolution http://mydigimag.rrd[...]
[8] 웹사이트 Gum Disease and Other Diseases https://www.perio.or[...] American Academy of Periodontology 2022-03-15
[9] 웹사이트 Diabetes and Gum Disease ADA https://diabetes.org[...] 2024-06-22
[10] 논문 To prescribe or not to prescribe? A review of the Prescribing Competencies Framework for dentistry 2023-10-01
[11] 서적 Depression: What is burnout? https://www.ncbi.nlm[...] 2017-01-12
[12] 서적 What is enamel? https://www.drferrer[...] 2017-01-12
[13] 논문 Systematic review: Factors contributing to burnout in dentistry
[14] 웹사이트 Dental Board of Australia – About https://www.dentalbo[...] 2019-12-04
[15] 뉴스 Justia Law https://law.justia.c[...] 2017-06-19
[16] 웹사이트 Specialty Definitions https://web.archive.[...] 2020-01-13
[17] 웹사이트 Member Boards American Board of Dental Specialties https://dentalspecia[...] 2020-01-13
[18] 웹사이트 Anesthesiology recognized as a dental specialty https://web.archive.[...] 2019-03-13
[19] 웹사이트 Specialist lists https://www.gdc-uk.o[...] 2020-01-22
[20] 웹사이트 (Muster-)Weiterbildungsordnung 2003 https://www.bundesae[...] Bundesärztekammer 2015-10-23
[21] 웹사이트 歯科医師需給問題の経緯と今後への見解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23-08-04
[22] 웹사이트 歯科保健医療に関する最近の動向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23-08-04
[23] 웹사이트 歯科医師が急増した背景 需要過剰と将来について 歯科勤務医の求人なら歯科医院紹介サイト https://www.dental-c[...] 2023-08-04
[24] 웹사이트 歯科医師は「過剰」なのか ~超高齢社会で役割増す(日本私立歯科大学協会 櫻井孝常務理事)~ https://medical.jiji[...] 2023-08-04
[25] 법률
[26] 법률
[27] 법률
[28] 법률
[29] 웹사이트 アメリカ合衆国における歯科事情 鈴木 貴規 http://www.icd-japan[...] 国際歯科学士会日本部会 2018-06-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