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라비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라비너는 스프링으로 닫히는 경첩식 게이트를 가진 갈고리의 일종으로, 1505년경에 처음 묘사되었다. 기병의 카빈총이나 아르케부스를 고정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17세기에는 유럽 전역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19세기에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고, 1930년대 초부터 등반용으로 판매되기 시작했다. 카라비너는 형태, 잠금 방식, 그리고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유럽, 미국 등에서 안전 기준을 준수해야 한다. 등반, 추락 방지 시스템, 로프 구조 등 다양한 활동에 사용되며, 강철과 알루미늄으로 제작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등반 장비 - 밧줄
밧줄은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진 섬유 끈으로, 오래전부터 건설, 항해, 등반 등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었으며, 천연 섬유와 합성 섬유, 와이어 로프 등 다양한 재료와 구조로 제작되어 물체를 고정, 운반, 들어올리는 데 사용되고 현대에는 여러 분야와 문화적 의례에서도 활용된다. - 등반 장비 - 암벽화
암벽화는 등반 성능을 위해 디자인된 특수 신발로, 다양한 디자인과 종류가 있으며 발 건강 문제와 화학물질 흡입 위험이 있어 적절한 선택과 사용이 중요하다. - 등산 장비 - 밧줄
밧줄은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진 섬유 끈으로, 오래전부터 건설, 항해, 등반 등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었으며, 천연 섬유와 합성 섬유, 와이어 로프 등 다양한 재료와 구조로 제작되어 물체를 고정, 운반, 들어올리는 데 사용되고 현대에는 여러 분야와 문화적 의례에서도 활용된다. - 등산 장비 - 얼음 도끼
얼음 도끼는 등산 및 빙벽 등반에 사용되는 도구로, 헤드, 샤프트, 스파이크로 구성되며, 알펜슈토크에서 유래되어 등반 보조 및 자기 체포 수단으로 사용되며, 1978년 국제 산악 연맹 안전 표준 제정으로 현대적 형태가 정립되었다. - 잠금장치 - 고무줄
고무줄은 탄성이 있는 고무 재질의 띠로, 물건을 묶거나 고정하는 용도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천연 또는 합성 고무를 원료로 다양한 크기, 색상, 재질로 생산되는 일상적인 소모품이다. - 잠금장치 - 리벳
리벳은 기원전 고대 이집트에서 사용된 오래된 체결 방식 중 하나로,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항공기, 교량 등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었다.
카라비너 | |
---|---|
개요 | |
유형 | 걸쇠 |
재질 | 금속(주로 강철 또는 알루미늄) 플라스틱 |
구조 및 특징 | |
주요 특징 | 스프링으로 작동하는 게이트 안전을 위해 잠글 수 있는 메커니즘 (일부 모델) |
게이트 유형 | D자형 와이어 게이트 D자형 직선 게이트 타원형 직선 게이트 배 모양 자동 잠금 장치 D자형 스크류 잠금 장치 |
용도 | |
주요 용도 | 등반 로프 액세스 산업 작업 레크리에이션 활동 (예: 열쇠 고리) |
기타 용도 | 매듭 연결 장비 연결 하중 지지 안전 벨트 시스템 반려동물 목줄 연결 |
명칭 | |
어원 | 독일어 "Karabinerhaken"에서 유래 |
독일어 | Karabiner 또는 Karabinerhaken |
추가 정보 | |
안전 고려 사항 | 올바른 사용법 준수 및 정기적인 검사 필요 |
재질 및 강도 | 다양한 용도에 맞게 다양한 강도 등급 제공 |
관련 용어 | 카라비나 비너 |
기타 | |
주의 사항 | 스포츠용 카라비너를 산업 용도로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 카라비너의 안전 하중 한계를 넘지 않도록 주의 카라비너의 게이트가 제대로 잠겼는지 확인 |
2. 역사
카라비너의 기원은 16세기 초 독일에서 찾을 수 있으며, 초기에는 기병총을 고정하는 데 사용되었다.
19세기에는 여행용 가방 끈, 광산 및 로프 연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8] S자형 카라비너를 포함한 일부 일반적인 디자인이 그 당시 처음 등장했으며, 1485년에 등장했던 타원형 링크도 카라비너로 재등장했다. 나사식 게이트와 내부 스프링이 개발되었다. 프로이센 소방대는 1847년부터 사다리 연결에 카라비너를 사용하기 시작했고,[11][8] 1868년에는 현대적인 조롱박 모양 디자인이 되었다.[12]
독일 등반가 오토 "람보" 헤르초크(Otto "Rambo" Herzog)가 1910년대에 등산용 카라비너를 발명했다는 일반적인 속설은 사실과 근거가 없다. 그는 당시 산악 등반에서 "인공적인 도움"이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던 시기에 몇몇 어려운 등반과 새로운 기술에 카라비너를 사용했지만, 카라비너를 발명하거나 디자인을 개발한 것은 아니며, 다른 등반가들이 카라비너를 사용한 후에 태어났다.[15][14]
1920년대에는 조롱박 모양, 타원형 등 다양한 디자인이 산악 등반가들에 의해 사용되었으며, 대부분 일반 하드웨어로 판매되었다.[8][14] 1930년대 초에는 등반용 카라비너가 판매되기 시작했으며,[14] 타원형 디자인이 가장 인기가 있었다. 이 시기 경화된 강철 카라비너가 등장했고, 피에르 알랭(Pierre Allain)이 최초의 알루미늄 카라비너 시제품을 만들었지만 판매되지는 않았다.[16][8] 이것들은 등반용으로 특별히 설계된 최초의 카라비너이자 최초의 오프셋 D자형 카라비너였다. 1941년 군대에 최초로 판매된 알루미늄 카라비너는 등반용으로 특별히 설계된 최초의 상업용 카라비너였다.[17] 약간 오프셋된 D자형 카라비너는 1940년대 후반에 판매되었으며, 1950년대에 표준 오프셋 D자형(현재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 되었다.[8]
쇼이너드 장비(Chouinard Equipment)는 1968년에 22 kN 알루미늄 카라비너를 출시했지만, 이 강도는 이미 강철 카라비너에 의해 훨씬 뛰어넘었다.[8] 와이어게이트 카라비너는 1969년에 최초로 특허를 받았으며 해양 용도로 판매되었다.[8] 1996년에 최초로 등반용으로 판매되었으며, 걸림을 방지하는 인기 있는 키록(keylock)은 1984년에서 1987년 사이에 개발되었다.[8]
2. 1. 초기의 역사


스프링으로 닫히는 경첩식 게이트(카라비너의 특징)를 가진 최초의 알려진 갈고리는 신성 로마 제국에서 1505년경 뉘른베르크(Nuremberg) 귀족(Patrician) 마르틴 뢰펠홀츠 폰 콜베르크(Martin Löffelholz von Kolberg)가 코덱스 뢰펠홀츠(Codex Löffelholz)에 묘사했다.[8] 이 갈고리는 기병(cavalry) 카빈총(carbine)이나 아르케뷰스(arquebus)를 고정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이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1616년 신성 로마 제국 요한 야곱 폰 발하우젠(Johann Jacob von Wallhausen)의 저서에 나온다.[9] 이 갈고리는 17세기 동안 여러 유럽 국가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8] 일반적으로 현대의 여행용 가방(luggage) 끈(strap)이나 핸드백(handbag) 끈과 비슷한 벨트 부착물과 회전 관절을 가지고 있었다. 하중 지지 걸쇠(latch)는 1790년대에 영국 기병 디자인에 추가되었다.[8][10]
1616년의 『Kriegskunst zu Pferd』(직역: 기마전술)에는 카라비너와 같은 기구가 등장한다.[20] 하지만, 기구의 설명은 단편적이며, 자세한 내용은 불명확하다.
1785년의 『Oeconomischen Encyclopädie』(직역: 경제 백과사전)에는 Karabiner-Haken으로서 현재의 것과 기본적으로 같은 기구(단, 스프링은 링의 안쪽)가 설명되어 있다.[21]
2. 2. 등산에 도입
19세기 후반, 독일과 오스트리아 산악인들이 등산에 카라비너를 사용하기 시작했다.[13] 카라비너가 도입되기 전에는 피톤을 이용해 신체를 확보하기 위해 "몸에 묶은 로프를 일시적으로 풀어 피톤의 고리나 구멍에 통과시키는" 매우 번거롭고 위험한 방법을 사용했다.[19] 보조 로프로 만든 고리를 걸어 피톤과 로프를 연결하는 방법도 사용되었고, 이 고리를 크게 만들어 "고리 빠짐"이라고 하여 몸을 통과시키는, 지금 생각하면 어리석은 행위를 진지하게 한 사람도 있었다.[19]훈련 중인 소방대원이 배 모양의 고리를 허리띠에 장착하고 있는 것을 본 오토 헤르초크 (Otto Herzog)는 이것을 등산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생각해내어 실제 등반에 사용할 수 있도록 개량했다.[19] 한스 듈퍼(Hans Dülfer)도 1910년에 카라비너를 사용한 확보 방법을 고안해냈다.[19]
하지만 파울 프로이스(Paul Preuss)는 갑자기 닥칠 위험에 직면했을 때만 피톤이나 카라비너 사용이 정당화된다고 생각했지만 1913년 추락사했다.[19] 신념은 달랐지만 절친이었던 한스 듈퍼는 그의 무덤 앞에서 아이처럼 울었다고 한다.[19]
카라비너가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그 편리성과 안전성은 곧 인정받았고, 급속히 보급되어 암벽등반을 크게 발전시켰다.[19] 1913년 뮌헨에서 문을 연 스포츠 용품점 슈스터는 등산가들의 요구에 호의적으로 응하며 카라비너를 포함한 다양한 등산 장비를 제공했다.[19]
2. 3. 한국 도입
한국에서는 1923년에 등반 클럽의 유무라(湯村)라는 사람이 처음으로 카라비너 시제품을 만들었지만, 초기에는 매번 나사를 풀어야 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사용하기 불편했고, 나사를 떨어뜨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했다.[19]3. 종류
등산 및 구조용(듀랄루민제) 카라비너는 크게 O형(오벌형), 배형(가지형), D형으로 나뉜다.
- O형(오벌형): 좌우 대칭형으로 두꺼운 장비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 배형(가지형): 배 모양으로 개구부가 넓어 굵은 지지물이나 케이블 등에 직접 장착 가능하다.
- D형: 알루미늄 카라비너 중 가장 강도가 높으며, D링이라고도 불린다. 특수한 예로 비아페라타용 간이 오토록식 안전환을 가진 개구부가 넓은 카라비너도 있다.
3. 1. 형태
카라비너는 크게 네 가지 형태로 나뉜다.
특수한 예로 비아페라타용 간이 오토록식 안전환을 가진 개구부가 넓은 카라비너도 있다(예: 페츨사 카라비너(상품명: 버티고) · 강도=수직 25 kN, 횡 10 kN, 개방 8 kN).
3. 2. 잠금 방식
카라비너는 잠금 방식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된다.- 비잠금형
- 수동 잠금형
- 자동 잠금형
카라비너 개구부(게이트)의 안전장치(게이트가 저절로 열리지 않도록 잠그는 장치)는 기본적으로 세 가지 종류가 있다. 페츨(Petzl) 제품을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
- 스크류락(Screw Lock) - 나사식 안전장치. 몇 번 돌려서 개폐한다.
- 볼락(Ball Lock) - 오토록(Auto Lock)식 안전장치. 녹색 버튼을 눌러 반바퀴 돌리면 간단하게 열 수 있다. 손가락을 안전장치에서 떼면 저절로 닫힌다.
- 트라이액트락(Triact Lock) - 오토록(Auto Lock)식 안전장치. 안전장치를 한 번 위쪽으로 손가락으로 들어 올린 후 반바퀴 돌린다. 손가락을 안전장치에서 떼면 저절로 닫힌다.
키홀더용 등, 등산에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지 않은 내구성·강도가 약한 카라비너도 판매되고 있으므로, 구입 시에는 주의가 필요하다.[22]

4. 인증
유럽에서 등반용으로 판매되는 카라비너는 "등산 장비 – 커넥터 – 안전 요구 사항 및 시험 방법" 표준(EN 12275:1998)을 준수해야 한다.[7] 이 표준은 시험 절차, 정격 강도, 표시 방법을 규정한다. 게이트가 닫힌 상태에서 최소 20kN(2040kg), 게이트가 열린 상태에서 7kN의 파단 강도가 일반적인 등반에 필요한 표준이지만, 활동에 따라 요구 사항은 달라진다.[7] 카라비너에는 사용 목적 영역을 나타내는 K(비아 페라타), B(베이스), H(뮌터 히치를 사용한 벨레이용) 등의 문자가 측면에 표시된다.
유럽 내 상업 및 산업 환경에서 접근용으로 사용되는 카라비너는 "추락으로부터의 개인 보호 장비. 커넥터" 표준(EN 362:2004)을 준수해야 하며, 최소 게이트 닫힘 파단 강도는 약 20kN이다. EN 12275:1998과 EN 362:2004를 모두 준수하는 카라비너도 있다.
미국에서 등반 및 산악 등반용 카라비너는 ASTM F1774 표준에 따라 장축 방향 20kN, 단축 방향(횡하중) 7kN의 최소 파단 강도(MBS)를 요구한다.[1] 구조용 카라비너는 ASTM F1956 표준에 따라 경량형(장축 방향 27kN, 단축 방향 7kN)과 중장비형(장축 방향 40kN, 단축 방향 10.68kN)으로 나뉜다.[1]
미국화재보호협회(NFPA) 표준 1983-2012판은 소방 구조용 카라비너를 기술적 용도(게이트 잠금 시 27kN, 게이트 개방 시 7kN, 소축 7kN)와 일반 용도(게이트 잠금 시 40kN, 게이트 개방 시 11kN, 소축 11kN)로 구분한다.[1] 시험 절차는 ASTM International 표준 F 1956에 명시되어 있다.[1]
추락 방지용 카라비너는 미국 노동안전보건청(OSHA) 표준 1910.66 부록 C에 따라 5000lbf의 최소 파단 강도를, 미국표준협회(ANSI)/미국안전기술자협회(ASSE) 표준 ANSI Z359.1-2007은 5000lbf의 최소 파단 강도와 3600lbf를 지탱하는 자동 잠금 게이트 메커니즘을 요구한다.[1]
4. 1. 유럽
유럽에서 등반용으로 판매되는 카라비너는 표준 EN 12275:1998 "등산 장비 – 커넥터 – 안전 요구 사항 및 시험 방법"을 준수해야 한다.[7] 이 표준은 시험 프로토콜, 정격 강도 및 마킹을 규정한다. 게이트가 닫힌 상태에서 최소 20kN (2040kg의 힘, 소형 자동차의 무게보다 훨씬 큼)의 파단 강도와 게이트가 열린 상태에서 7kN의 파단 강도가 대부분의 등반 응용 분야의 표준이지만, 활동에 따라 요구 사항이 다르다.[7] 카라비너에는 사용 목적 영역을 나타내는 단일 문자가 측면에 표시되는데, 예를 들어 K(비아 페라타), B(베이스), H(이탈리아식 또는 뮌터 히치를 사용한 벨레이용) 등이 있다.유럽 내 상업 및 산업 환경에서 접근용으로 사용되는 카라비너는 EN 362:2004 "추락으로부터의 개인 보호 장비. 커넥터"를 준수해야 한다. EN 362:2004를 준수하는 카라비너의 최소 게이트 닫힘 파단 강도는 EN 12275:1998과 마찬가지로 약 20kN이다. EN 12275:1998과 EN 362:2004를 모두 준수하는 카라비너도 있다.
4. 2. 미국
미국에서 등반 및 산악 등반용 카라비너는 ASTM F1774 표준을 따르며, 장축 방향 20kN, 단축 방향(횡하중) 7kN의 최소 파단 강도(MBS)를 요구한다.[1] 구조용 카라비너는 ASTM F1956 표준에 따라 경량형과 중장비형으로 나뉜다.[1] 경량형은 장축 방향 27kN, 단축 방향 7kN, 중장비형은 장축 방향 40kN, 단축 방향 10.68kN의 MBS를 요구한다.[1]미국화재보호협회(NFPA) 표준 1983-2012판은 소방 구조용 카라비너를 기술적 용도와 일반 용도로 구분한다.[1] 기술적 용도는 게이트 잠금 시 27kN, 게이트 개방 시 7kN, 소축 7kN의 최소 파단 강도가 필요하다.[1] 일반 용도는 게이트 잠금 시 40kN, 게이트 개방 시 11kN, 소축 11kN이 필요하다.[1] 시험 절차는 ASTM International 표준 F 1956에 명시되어 있다.[1]
추락 방지용 카라비너는 미국 노동안전보건청(OSHA) 표준 1910.66 부록 C에 따라 5000lbf의 최소 파단 강도를 가져야 한다.[1] 미국표준협회(ANSI)/미국안전기술자협회(ASSE) 표준 ANSI Z359.1-2007은 5000lbf의 최소 파단 강도와 3600lbf를 지탱하는 자동 잠금 게이트 메커니즘을 요구한다.[1]
5. 강도
카라비너의 강도는 주로 카라비너 본체에 각인되어 있다. 단위는 kN(킬로뉴턴)으로 표시되며, 정하중을 가정한 값이므로 충격하중이 아님에 주의해야 한다. 또한, 각인된 강도는 파단강도이며, 그 값에서 파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1]
- 메이저 액시스(Major Axis): 일반적으로 수직 방향의 하중으로, 구조상 카라비너가 가장 강도를 발휘할 수 있는 방향으로 하중이 걸린 상태를 가리킨다.[1]
- 마이너 액시스(Minor Axis): 카라비너에 대해 수평 방향의 하중으로, 구조상 카라비너가 가장 강도가 낮은 방향으로 하중이 걸린 상태를 가리킨다.[1]
- 오픈 게이트(Open Gate): 게이트가 열린 상태로, 하중이 메이저 액시스 방향이라도 강도가 현저히 낮아진다. 또한, 추락 시 등의 충격으로 게이트가 일시적으로 열리는 위플래시 현상(Whiplash phenomenon)이 발생할 수 있다.[1]
- 3방향 이상의 하중: 카라비너에 여러 개의 로프나 슬링을 묶어 사용하고, 그것들이 일직선상이 아니라 두 직선 이상의 방향으로 하중이 분산될 때 카라비너의 강도가 낮아진다.[1]
6. 사용 예시
카라비너는 등반, 추락 방지 시스템, 수목 관리, 동굴 탐험, 항해, 열기구, 로프 구조, 건설, 산업용 로프 접근 작업, 창문 청소, 급류 구조, 곡예 등 로프를 많이 사용하는 다양한 활동에 널리 사용된다.[26][27]
열기구의 카라비너는 기구와 바구니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며 2.5, 3 또는 4톤으로 등급이 매겨진다.[4]
하중 지지 나사식 게이트 카라비너는 다이버의 탯줄을 수중 공급 다이버의 하네스에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5 kN 이상의 안전 작업 하중(약 500kg 이상의 무게에 해당)으로 등급이 매겨진다.[5]
등산용 외에도 카라비너 열쇠고리, 이어폰 케이스 등 일상생활에서도 활용된다. 하지만, 이러한 제품들은 대부분 제조 과정에서 하중 시험 및 안전 기준이 부족하기 때문에 "등반용이 아님" 또는 이와 유사한 경고가 표시되어 있다.
7. 갤러리
참조
[1]
LPD
[2]
웹사이트
Climbing Dictionary & Glossary
http://www.mountaind[...]
2006-12-05
[3]
Merriam-Webster
[4]
웹사이트
Cameron Balloons Maintenance Manual (refer to section 6.6.4)
http://cameronballoo[...]
2015-03-28
[5]
서적
Code Of Practice Inshore Diving
https://web.archive.[...]
The South African Department of Labour
2016-09-16
[6]
웹사이트
Climber's Club Journal
http://www.climbers-[...]
2005-04-24
[7]
웹사이트
EN12275 and UIAA-121 testing protocols
http://www.paci.com.[...]
Professional Association of Climbing Instructors
2017-12-05
[8]
웹사이트
Carabiner history
https://www.cavinguk[...]
2024-01-17
[9]
서적
Kriegskunst zu Pferdt
https://books.google[...]
de Bry
1616
[10]
서적
Soldiers' Accoutrements of the British Army 1750-1900
The Crowood Press
2006
[11]
서적
Notiz-Blatt des Architekten-Vereins zu Berlin
https://books.google[...]
Riegel
1847
[12]
서적
Das Feuerlöschwesen in allen seinen Theilen
https://books.google[...]
Selbst-Verlag des Verfassers
1877
[13]
서적
Mitteilungen des Deutschen und Österreichischen Alpenvereins Vol. 05 (1879)
http://www.literatur[...]
Deutschen und Österreichischen Alpenvereins
1879
[14]
웹사이트
First carabiners for climbing-summary
https://www.bigwallg[...]
2024-01-17
[15]
웹사이트
Carabiner history
https://www.cavinguk[...]
2024-01-17
[16]
웹사이트
Next for Volume 3 (aluminum carabiners, nylon ropes)
https://www.bigwallg[...]
2024-01-17
[17]
학술지
Desarrollo de un modelo de utilidad en descensores para deportes de montaña / Development of a utility model in descender for the mountain sports
http://cdeporte.redi[...]
2024-01-17
[18]
웹사이트
Carabiner | Definition of Carabiner at Dictionary.com
https://www.dictiona[...]
[19]
서적
山への挑戦
[20]
서적
Kriegskunst zu Pferd
1616
[21]
서적
Oeconomische Encyclopädie oder Allgemeines System der Land-, Haus- und Staats-Wirthschaft
https://books.google[...]
Joachim Pauli
1785
[22]
문서
Not for climbing
[23]
LPD
[24]
웹인용
Climbing Dictionary & Glossary
http://www.mountaind[...]
2006-12-05
[25]
OEtymD
[26]
웹인용
Cameron Balloons Maintenance Manual (refer to section 6.6.4)
http://cameronballoo[...]
2015-03-28
[27]
서적인용
Code Of Practice Inshore Diving
https://web.archive.[...]
The South African Department of Labour
2016-09-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