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라친쭤이 몽골족 자치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라친쭤이 몽골족 자치현은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 랴오닝성에 위치한 몽골족 자치현이다. 1635년 후금에 의해 카라친 좌익기가 설치된 이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1958년 4월 1일 현재의 자치현으로 개편되었다. 온대 대륙성 기후를 보이며, 2개의 가도, 14개의 진, 5개의 향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차오양시의 행정 구역 - 차오양현
    차오양 현은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 차오양시에 위치하며, 1741년 설치된 탑자구청을 전신으로 하여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 8개의 진, 15개의 향, 2개의 민족향을 관할한다.
  • 차오양시의 행정 구역 - 링위안시
    링위안 시는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 랴오닝성에 위치하며, 다링허 수원지와 우허량 유적이 있고, 전국 시대부터 명, 청나라를 거쳐 현급시로 승격되었으며, 온대 대륙성 기후를 보인다.
  • 랴오닝성의 자치현 - 콴뎬 만족 자치현
    콴뎬 만족 자치현은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 단둥 시의 동쪽 절반을 차지하는 자치현으로, 장백산맥에 위치하며 압록강을 경계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접경하고, 만주족을 비롯한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며 풍부한 광물 자원과 농축산업, 호산장성, 일보과 등의 관광 명소가 있다.
  • 랴오닝성의 자치현 - 칭위안 만족 자치현
    칭위안 만족 자치현은 랴오닝성 푸순 시 북쪽에 위치한 자치현으로, 1925년에 여러 현의 일부를 통합하여 설치되었고 1990년에 현재의 명칭으로 개칭되었으며, 습윤 대륙성 기후를 띠고 9개의 진과 5개의 향을 관할하며 다양한 민족이 거주한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몽골족 자치지방 - 첸궈얼뤄쓰 몽골족 자치현
    첸궈얼뤄쓰 몽골족 자치현은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 쑹위안 시에 위치하며 1956년에 설치되었고, 차간호가 있으며 쾨펜의 습윤 대륙성 기후를 나타낸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몽골족 자치지방 - 하이시 몽골족 티베트족 자치주
    하이시 몽골족 티베트족 자치주는 칭하이성 서부에 위치하며 티베트고원 북부의 차이다무 분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민족(한족, 티베트족, 몽골족, 후이족 등)이 거주하는 자치주로, 3개의 현급시, 3개의 현, 1개의 행정위원회를 관할하며 차카 염호와 칭하이-티베트 철도가 있다.
카라친쭤이 몽골족 자치현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공식 명칭Harqin Left Wing Mongolian Autonomous County (하라친 좌익 몽골족 자치현)
몽골어 공식 명칭ᠬᠠᠷᠠᠴᠢᠨ ᠵᠡᠭᠦᠨ ᠭᠠᠷᠤᠨ ᠮᠣᠩᠭᠣᠯ ᠦᠨᠳᠦᠰᠦᠲᠡᠨ ᠦ ᠥᠪᠡᠷᠲᠡᠭᠡᠨ ᠵᠠᠰᠠᠬᠤ ᠰᠢᠶᠠᠨ (하라친 좌익 가룬 몽골 үндүсүтэн-ü öвэр테겐 자사후 시얀)
중국어 간체喀喇沁左翼蒙古族自治县 (카라친쭤이 멍구주 쯔즈셴)
별칭Harqin (하라친)
Kazuo (카줘)
몽골어 현 명칭ᠬᠠᠷᠠᠴᠢᠨ ᠰᠢᠶᠠᠨ (하라친 시얀)
중국어 현 명칭喀喇沁县 (카라친 셴)
위치차오양 시 내 위치
중국 내 위치랴오닝 성
행정 구역
종류자치현
국가중국
랴오닝 성
지급시차오양 시
현 소재지다청쯔 가도
지리
면적2240 km²
해발 고도327 m
인구 통계
총 인구346133 명 (2020년)
인구 밀도자동 계산
시간대
시간대중국 표준시
UTC 오프셋+8
기타 정보
우편 번호122300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중국어 간체喀喇沁左翼蒙古族自治县 (카라친쭤이 멍구주 쯔즈셴)
몽골어ᠬᠠᠷᠠᠴᠢᠨ ᠵᠡᠭᠦᠨ ᠮᠣᠩᠭᠣᠯ ᠥᠪᠡᠷᠲᠡᠭᠡᠨ ᠵᠠᠰᠠᠬᠤ ᠰᠢᠶᠠᠨ (하라친 좡 몽골 외베르테겐 자사후 시얀)
한국어객라심좌익몽고족자치현
몽골어Харчин Зүүн Монгол өөртөө засах шянь (Harqin Zuun Mongol öörtöö zasah shyan')

2. 역사

1635년 후금이 카라친 좌익기를 설치하면서 카라친쭤이 몽골족 자치현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이후 1738년 탑자구청 설치, 1778년 건창현 개칭을 거쳐 몽골족과 한족을 분리 통치하는 몽한 분치가 시작되었다. 1914년 중화민국에 의해 건창현이 능원현으로 개칭되었고, 1931년 능남현이 신규 설치되었다. 1937년 만주국은 능원현과 능남현을 합병해 건창현을 설치했고, 1940년 현제가 폐지되면서 카라친 좌기로 개칭되었다. 1946년 중국 공산당에 의해 카라친 좌기 인민정부가 성립되면서 몽한 분치 정책은 종료되었고, 1958년 카라친 좌익 몽골족 자치현으로 개편되었다.

2. 1. 청나라 시기

1635년(천총 9년), 후금에 의해 카라친 좌익기가 설치되었다. 1738년(건륭 3년), 기 내에 탑자구청이 설치되었고, 1778년(건륭 43년)에는 탑자구청이 건창현으로 개칭되어, 동일 지역 내에 기와 현이 병존하는 몽한 분치가 시작되었다.

2. 2. 중화민국 시기

1914년(민국 3년), 중화민국에 의해 건창현은 능원현으로 개칭되었고, 1931년(민국 20년)에는 능남현이 신규로 설치되었다. 1937년(강덕 4년), 만주국은 능원현과 능남현을 합병하여 건창현을 설치했고, 1940년(강덕 7년)에는 현제가 폐지되고 카라친 좌기로 개칭되어 카라친 좌기의 관할이 되었다.

2. 3. 중화인민공화국 시기

1946년 중국 공산당에 의해 카라친 좌기 인민정부가 성립되었고, 이로써 몽골족과 한족을 분리해서 통치하던 몽한 분치 정책이 종료되었다.[1] 1958년 4월 1일, 카라친 좌익 몽골족 자치현으로 개편되었다.[1]

3. 기후

카라친쭤이 몽골족 자치현은 온대 대륙성 기후에 속한다. 1981년부터 2010년까지와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평균 기온, 강수량, 습도, 일조 시간 등의 기후 데이터는 거의 동일하다.[6] [4][5]

자세한 기온 정보는 기온 문단, 강수량 정보는 강수량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3. 1. 기온

카라친쭤이 몽골족 자치현의 기온은 다음과 같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평균
평균 최고 기온 (°C)-1.5°C2.8°C9.6°C18.7°C24.9°C28.6°C30°C29.1°C25°C17.7°C7.7°C0.7°C-
평균 기온 (°C)-9.4°C-4.9°C2.5°C11.9°C18.4°C22.5°C24.6°C23.3°C17.8°C10.1°C0.5°C-6.6°C-
평균 최저 기온 (°C)-15.4°C-11.2°C-3.8°C5.1°C11.7°C16.6°C19.9°C18.2°C11.4°C3.6°C-5.2°C-12.2°C-
역대 최고 기온 (°C)12.7°C20.3°C28.5°C32.6°C39.2°C38.5°C42°C39.3°C35.6°C31°C21.7°C18.6°C-
역대 최저 기온 (°C)-29.6°C-25.6°C-20.1°C-8°C1.3°C6.9°C12°C8.5°C-0.5°C-8.4°C-21.4°C-25.8°C-

[6]

3. 2. 강수량

카라친쭤이 몽골족 자치현의 연간 강수량과 강수 일수는 다음과 같다.

1981~2010년 평균 강수량(mm)1991~2020년 평균 강수량(mm)1991~2020년 평균 강수 일수(≥ 0.1 mm)
1월1.71.51.5
2월2.02.41.2
3월7.76.72.5
4월24.823.94.8
5월43.146.37.1
6월83.991.211.6
7월127.313911.7
8월102.5104.99.0
9월46.243.16.7
10월23.824.74.8
11월6.910.12.6
12월2.01.61.5

[6] [4][5]

3. 3. 기타

카라친쭤이 몽골족 자치현의 기후 관련 정보는 다음과 같다.

1981년부터 2010년까지의 자료에 따르면 연평균 습도는 40%에서 74% 사이이며, 7월과 8월에 가장 높다. 월별 일조 시간은 1월 200.5시간, 2월 202.7시간, 3월 242.3시간, 4월 248.4시간, 5월 268.2시간, 6월 232.9시간, 7월 223.0시간, 8월 234.8시간, 9월 237.7시간, 10월 226.8시간, 11월 190.3시간, 12월 187.2시간이다. 월별 일조율은 49%에서 67% 사이이다.[6]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자료는 위와 거의 동일하며, 연평균 습도는 37%에서 74% 사이로 7월과 8월에 가장 높다. 월별 일조 시간과 일조율도 1981년~2010년 자료와 같다.[4][5]

4. 행정 구역

하르친 좌익 몽골족 자치현(카라친쭤이 몽골족 자치현)은 2개의 가도, 14개의 진, 5개의 향으로 구성된다.[3]

하위 행정 구역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유형이름중국어(간체)한어 병음몽골어 (후둠 문자)몽골어 (키릴 문자)행정 구역 코드
가도다청쯔 가도(Ih Hot)Dàchéngzǐ JiēdàoИх хот зээл гудамж211324001
가도리저우 가도Lìzhōu JiēdàoЛи жүү зээл гудамж211324002
난궁잉쯔 진(Omon Gungiin Horoo)Nángōngyíngzǐ ZhènӨмнө хүнгийн хороо хот211324101
산쭈이쯔 진(Har Huxuu)Shānzuǐzǐ ZhènХар хошуу хот211324102
궁잉쯔 진(Gungiin Horoogin)Gōngyíngzǐ ZhènХүнгийн хороогийн хот211324104
바이타쯔 진(Subragiin Ail)Báitǎzi ZhènСуваргын айл хот211324105
중산자 진Zhōngsānjiā ZhènЖүн сан жье хот211324106
라오예먀오 진Lǎoyémiào ZhènЛуу е мяо хот211324107
류관잉쯔 진(Mailstai Horoo)Liùguānyíngzǐ ZhènМайлстэй хороо хот211324108
핑팡쯔 진Píngfángzǐ ZhènПин фанз хот211324109
스얼더바오 진(Xar Debee)Shí'èrdébǎo ZhènШар дэвээ хот211324110
양자오거우 진Yángjiǎogōu ZhènЯн жяо гүү хот211324111
싱롱좡 진Xīnglóngzhuāng ZhènШин лүн зуван хот211324112
간자오 진, 랴오닝성(Ganjuur)Gānzhāo ZhènГанжуур хот211324113
둥사오 진, 랴오닝성(Deer Onggod)Dōngshào ZhènДээр онгод сум211324114
수이췐 진, 랴오닝성(Terguun Bulag)Shuǐquán ZhènТэргүүн булаг хот211324115
유장쯔 향(Albaqin Gol)Yóuzhàngzǐ XiāngАлбачин гол сум211324204
차오창 향(Belqeer)Cǎochǎng XiāngБилчээр сум211324207
쿤두잉쯔 향(Hontoiin Ail)Kūndūyíngzǐ XiāngХөндийн айл сум211324210
다잉쯔 향(Ih Ail)Dàyíngzǐ XiāngИх айл сум211324211
워후거우 향Wòhǔgōu XiāngВе ху гүү сум211324214


4. 1. 가도(街道)

다청쯔 가도(Ih Hot)는 하르친 좌익 몽골족 자치현의 중심 가도 중 하나이다.[3]

이름중국어(간체)한어 병음몽골어(후둠 문자)몽골어(키릴 문자)행정 구역 코드
다청쯔 가도(Ih Hot)Их хот зээл гудамж211324001
리저우 가도Ли жүү зээл гудамж211324002


4. 2. 진(镇)

카라친쭤이 몽골족 자치현의 진 목록
이름중국어(간체)한어 병음몽골어(후둠 문자)몽골어(키릴 문자)행정 구역 코드
난궁잉쯔 진Nángōngyíngzǐ ZhènӨмнө хүнгийн хороо хот211324101
산쭈이쯔 진Shānzuǐzǐ ZhènХар хошуу хот211324102
궁잉쯔 진Gōngyíngzǐ ZhènХүнгийн хороогийн хот211324104
바이타쯔 진Báitǎzi ZhènСуваргын айл хот211324105
중산자 진Zhōngsānjiā ZhènЖүн сан жье хот211324106
라오예먀오 진Lǎoyémiào ZhènЛуу е мяо хот211324107
류관잉쯔 진Liùguānyíngzǐ ZhènМайлстэй хороо хот211324108
핑팡쯔 진Píngfángzǐ ZhènПин фанз хот211324109
스얼더바오 진Shí'èrdébǎo ZhènШар дэвээ хот211324110
양자오거우 진Yángjiǎogōu ZhènЯн жяо гүү хот211324111
싱롱좡 진Xīnglóngzhuāng ZhènШин лүн зуван хот211324112
간자오 진, 랴오닝성Gānzhāo ZhènГанжуур хот211324113
둥사오 진, 랴오닝성Dōngshào ZhènДээр онгод сум211324114
수이췐 진, 랴오닝성Shuǐquán ZhènТэргүүн булаг хот211324115


4. 3. 향(乡)

유장쯔 향(Albaqin Gol, 尤杖子乡|여우장쯔 향중국어)[3], 차오창 향(Belqeer, 草场乡|차오창 향중국어)[3], 쿤두잉쯔 향(Hontoiin Ail, 坤都营子乡|쿤두잉쯔 향중국어)[3], 다잉쯔 향(Ih Ail, 大营子乡|다잉쯔 향중국어)[3], 워후거우 향(卧虎沟乡|워후거우 향중국어)[3]

참조

[1] 웹사이트 朝阳市第七次全国人口普查公报 http://www.chaoyang.[...] Government of Chaoyang 2021-06-16
[2] 뉴스 Harqin Left Wing Mongolian folklore http://www.chinadail[...] China Daily 2006-11-21
[3] 웹사이트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4] 웹사이트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7-29
[5] 웹사이트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7-29
[6] 웹인용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Data Service Center 2022-09-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