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르브로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르브로말은 수면제로 사용되었던 유기 화합물이다. 다이에틸말론산에서 시작하여 여러 단계를 거쳐 합성되며, 바르비투르산계 약물보다 약한 수면 효과를 나타낸다. 생체 내에서 브로민화 이온을 생성하여 장기간 사용 시 생물 축적될 수 있으며, 카페인에 의해 수면 효과가 중화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부작용으로는 발진, 약물 의존, 브로민 중독 등이 보고되었으며, 소설 《날개》에 등장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미드 - 6,7-다이메틸-8-리비틸루마진
    6,7-다이메틸-8-리비틸루마진은 위키백과에 정보가 부족하여 내용 보강이 필요한 항목이다.
  • 이미드 - 다이하이드로티민
  • 브로모알케인 - 1-브로모도데케인
    1-브로모도데케인은 화학식 C₁₂H₂₅Br을 갖는 유기 브로민 화합물이며, 도데칸올을 브로민화 수소산과 황산 혼합물로 처리하거나 1-알켄에 브로민화 수소를 첨가하여 제조한다.
  • 브로모알케인 - 1-브로모헥세인
    1-브로모헥세인은 1-알켄에 브로민화 수소를 첨가하여 제조되며, 그리냐르 시약 형성, 플루오로카본 생성, 도데칸 합성 등에 사용된다.
  • 유기 브로민 화합물 - 브로민화 삼플루오린화 메테인
    브로민화 삼플루오린화 메테인(CF3Br)은 할론 1301로도 불리며, 과거 가스 소화기 재료로 널리 사용되었으나 오존층 파괴 물질로 밝혀져 현재 생산 및 수입이 규제되고 다양한 대체 물질이 개발되고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특정수질유해물질로 지정되어 관리된다.
  • 유기 브로민 화합물 - 티리언 퍼플
    티리언 퍼플은 뿔소라에서 추출한 생물 색소로, 고대부터 권력과 부의 상징으로 귀하게 여겨진 직물 염료이며 현재는 유기 전자 공학 분야에서도 연구되고 있다.
카르브로말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카브로말 골격식
카브로말 골격식
IUPAC 이름2-브로모-N-카바모일-2-에틸부탄아미드
식별자
CAS 등록번호77-65-6
PubChem6488
ChemSpider ID6243
UNII0Y299JY9V3
EINECS201-046-6
KEGGD02619
MeSH 이름카브로말
ChEMBL1697828
SMILESCCC(Br)(CC)C(=O)NC(N)=O
StdInChI1S/C7H13BrN2O2/c1-3-7(8,4-2)5(11)10-6(9)12/h3-4H2,1-2H3,(H3,9,10,11,12)
StdInChIKeyOPNPQXLQERQBBV-UHFFFAOYSA-N
속성
분자식C7H13BrN2O2
겉모습흰색 결정
냄새무취
밀도1.544 g/cm³
녹는점119 °C
용해도용해됨
다른 용해도클로로폼, 디에틸 에테르, 아세톤, 벤젠에 용해됨
LogP1.623
pKa10.69
pKb3.31
구조
결정 구조사방정계
약리학
ATC 코드N05CM04
관련 화합물
다른 기능우레아
다른 기능브로미소발
다른 화합물3-우레이도프로피온산
베타-우레이도아이소뷰티르산
N-카바모일-L-아스파르트산
N-아세틸아스파르트산
아세글루타미드
N-아세틸글루탐산
시트룰린
기타 정보
상품명아달린(Adalin)

2. 합성



다이에틸말론산은 탈카복실화 반응을 거쳐 2-에틸발레르산이 된다. 이후 헬-폴하르트-젤린스키 반응을 통해 α-브로모-α-에틸부티릴 브롬화물로 전환된다. 마지막으로 요소와 반응하여 카르브로말을 생성한다.

2. 1. 합성 과정

다이에틸말론산은 탈카복실화 반응을 거쳐 2-에틸발레르산이 된다. 이후 헬-폴하르트-젤린스키 반응을 통해 α-브로모-α-에틸부티릴 브롬화물로 전환된다. 마지막으로 요소와 반응하여 카르브로말(도표의 4번)을 생성한다.[9][11][12][13][14]

다이에틸말론산 [510-20-3] ('''1''')은 탈카복실화 반응을 거쳐 2-에틸발레르산 [20225-24-5] ('''2''')이 된다. 헬-볼하르트-젤린스키 반응을 통해 2-브로모-2-에틸부티릴 브로마이드 [26074-53-3] ('''3''')로 전환된다. 요소와의 반응을 통해 카르브로말 ('''4''')이 생성된다.

3. 효과

카르브로말은 바르비투르산계보다 약한 수면제 효과를 가진다.[15] 카페인 5mg/kg으로 카르브로말 300mg/kg의 수면제 효과가 중화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16]

3. 1. 연구 결과

카르브로말은 바르비투르산계보다 수면제 효과가 약하다. 유효성분의 생체변환(biotransformation) 동안 생물학적 반감기가 12일인 브로민화 이온이 방출된다. 장기간 사용하면 생물축적(bioaccumulation)된다.[15]

카페인 5mg/kg으로 카르브로말 300mg/kg의 수면제 효과가 중화된다는 연구가 있다.[16] 또 다른 연구는 카르브로말의 발암성을 조사했다. 투여된 카르브로말의 농도와 크롬친화세포종의 발병률은 카르브로말을 더 많이 투여한 실험군에서 상당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피셔의 정확검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17]

4. 부작용

부작용으로 발진이 나타날 수 있다. 유효성분으로 인한 피부 반응은 약물성 피부염이라고 한다.[18][19] 카르브로말 의존 사례도 논문에 보고되었다.[20]

과다 복용 시 브로민 중독의 전형적인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21]

5. 한국 사회와 문화

이상의 소설 날개에서 매춘부인 아내는 주인공에게 아스피린으로 속여 아달린을 먹이고 한 달 동안 잠재운다.[22]

참조

[1] 논문 A purpuric drug eruption caused by carbromal 1955-03
[2] 특허 Verfahren dur Darstellung von Bromodiäthylacetylharnstoff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bromodiethylacetylurea] 1910-09-17
[3] 서적 Physicians' Desk Reference. https://www.worldcat[...] Medical Economics Co 1979
[4] 문서 Frdl. 10, 1160
[5] 문서 Chem. Zentralbl. 1910, II, 1008.
[6] 서적 Grundriss der modernen Arzneistoff-Synthese Verlag Ferd. Enke 1931
[7] 문서 H. P. Kaufmann, Arzneimittel-Synthese (Berlin, 1953).
[8] 논문 A purpuric drug eruption caused by carbromal 1955-03
[9] 특허 Verfahren dur Darstellung von Bromodiäthylacetylharnstoff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bromodiethylacetylurea] 1910-09-17
[10] 서적 Physicians' Desk Reference. https://www.worldcat[...] Medical Economics Co 1979
[11] 문서 Frdl. 10, 1160
[12] 문서 Chem. Zentralbl. 1910, II, 1008.
[13] 서적 Grundriss der modernen Arzneistoff‐Synthese Verlag Ferd. Enke 1931
[14] 문서 H. P. Kaufmann, Arzneimittel-Synthese (Berlin, 1953).
[15] 문서 H. J. Roth, H. Fenner: Arzneistoffe. Thieme, Stuttgart u. New York, 1988. S. 272.
[16] 문서 Hermann Druckrey, Eva Müller, Margarete Stuhlmann: ''Die Beeinflussung der sedativen Wirkung durch Antipyretika und Coffein.'' In: ''Naunyn-Schmiedebergs Archiv für Experimentelle Pathologie und Pharmakologie.'' 185, 1937, S. 221, [[doi:10.1007/BF01925281]].
[17] 문서 ''Bioassay of carbromal for possible carcinogenicity.'' In: ''National Cancer Institute carcinogenesis technical report series.'' Band 173, 1979, S. 1–135, PMID 12799690.
[18] 문서 P. Borrie: ''A purpuric drug eruption caused by carbromal.'' In: ''British medical journal.'' Bd. 1, Nr. 4914, März 1955, S. 645–646, PMID 13230580, {{PMC|2061381}}.
[19] 문서 H. W. Buck, J. C. Mitchell: ''Dermatitis Medicamentosa Caused by Diethyl Bromacetyl Carbamide (Carbromal).'' In: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Bd. 89, Nr. 9, August 1963, S. 419, PMID 20327677, {{PMC|1921693}}.
[20] 문서 M. Steel, J. M. Johnstone: ''Addiction to carbromal.'' In: ''British medical journal.'' Band 2, Nummer 5143, August 1959, S. 118, PMID 13671224, {{PMC|1989911}}.
[21] 문서 D. Lugassy, L. Nelson: ''Case files of the medical toxicology fellowship at the New York City poison control: bromism: forgotten, but not gone.'' In: ''Journal of medical toxicology : official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Medical Toxicology.'' Band 5, Nummer 3, September 2009, S. 151–157, PMID 19655290, {{PMC|3550397}}.
[22] 서적 인류를 구한 12가지 약 이야기 반니 2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