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크롬친화세포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롬친화세포종은 부신 수질에서 발생하는 드문 종양으로, 과도한 카테콜아민 분비를 특징으로 한다. 1800년대에 처음 보고되었으며, 고혈압, 두통, 발한, 심계항진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 유전적 요인이 약 40%를 차지하며, MEN2, VHL, NF1 등의 유전자 변이와 관련이 있다. 진단은 혈액 및 소변 검사, 영상 검사를 통해 이루어지며, 수술적 절제가 주요 치료법이다.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며, 치료가 늦어질 경우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미디어에서도 이 질환이 다루어진 바 있으며, 희귀 질환 커뮤니티에서 "얼룩말"이라는 상징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신 질환 - 애디슨병
    애디슨병은 부신 기능 저하로 코르티솔이 부족하여 피로, 체중 감소, 저혈압, 피부색소침착 등의 증상을 보이며, 호르몬 대체 요법으로 평생 치료해야 하는 질환이다.
  • 부신 질환 - 고알도스테론증
    고알도스테론증은 혈액 내 알도스테론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상태로, 원발성 고알도스테론증은 부신 문제, 속발성 고알도스테론증은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계의 과활성화, 가성 고알도스테론증은 감초 섭취 등 다른 원인으로 발생하며, 고혈압, 저칼륨혈증, 근육 약화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내분비 신생물 - 갑상샘암
    갑상샘암은 갑상샘에 생기는 악성 종양으로, 방사선 노출, 호르몬, 가족력 등이 발병에 영향을 주며, 초기에는 증상이 없다가 진행되면 목에 혹이 만져지거나 통증, 쉰 목소리, 연하 곤란 등이 나타날 수 있고, 촉진, 초음파, 세포 검사 등으로 진단하여 수술, 방사성 요오드 치료, 호르몬 치료 등 다양한 방법으로 치료하며, 예후가 좋은 편이나 미분화암은 예후가 불량하고, 최근에는 조기 검진으로 발견율이 높아져 과잉 진단 논란이 있다.
  • 내분비 신생물 - 부신종양
    부신종양은 부신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종류의 종양을 통칭하며, 부신 피질과 수질에서 각각 다른 종류의 종양이 발생하고, 진단에는 영상 검사 및 호르몬 검사가 사용되며, 치료는 종양의 종류와 상태에 따라 수술, 약물 치료, 방사선 치료 등이 시행된다.
크롬친화세포종
질병 개요
이름갈색세포종, 부신 속질 종양, 크롬친화세포 종양, 부신경절종
영어Pheochromocytoma, Phaeochromocytoma, adrenal medullary tumor, Chromaffin Cell Tumors, Paraganglioma
분야내분비학, 종양학
발음(fee-oh-kroh-moh-sahy-toh-muh)
정상 잔존 부신 (왼쪽)과 부신 속질을 포함하는 갈색세포종 (오른쪽)
정상 잔존 부신 (왼쪽)과 부신 속질을 포함하는 갈색세포종 (오른쪽)
증상 및 합병증
증상고혈압, 빈맥, 발한, 두통, 창백
합병증고혈압 위기
원인 및 진단
원인유전적 요인 (80%)
진단혈장 유리 메타네프린 상승, 혈장 카테콜아민 상승, 소변 카테콜아민 상승, MRI, PET 스캔
예방 및 치료
예방해당 사항 없음 (제공된 정보에 없음)
치료수술, 화학 요법, 방사선 요법 및 약물 요법
약물알파 차단제 독사조신, 프라조신, 테라조신
기타 정보
발병 빈도100,000인년 당 0.8명
사망률해당 사항 없음 (제공된 정보에 없음)
OMIM171300
메들린플러스000340

2. 역사

1800년, 아일랜드 의사 찰스 서그루(Charles Sugrue)는 런던 의학 및 물리 저널에 복부 통증, 홍조, 발한 등의 증상을 보인 8세 남성 환자에 대한 특이한 사례를 보고했다.[178] 부검 결과 부신에서 6인치 길이의 황색 종양이 발견되었는데, 이것이 크롬친화세포종에 대한 최초의 임상적 설명으로 여겨진다.[178] 그러나 종양 자체의 특징은 설명되지 않아, 독일의 펠릭스 프랭켈(Felix Fränkel)이 1886년에 이 종양에 대한 임상적, 형태적 특징을 처음으로 기술하였다.[179][180]

262x262px


이후 여러 의사들이 관련 증상을 인지하고 환자를 치료하는 동안, 체코 생물학자 알프레드 콘은 부신경절 시스템을 발견하고 "크롬친화성 세포"라는 용어를 도입하여 병리학자들이 부신에서 발생한 종양을 인식하는 데 기여했다.[181] 1908년, 앙리 알레제와 펠릭스 페이론은 크롬염에 반응하는 부신 외 조직을 발견하고 "부신경절종"이라는 용어를 과학계에 소개했다.[182] 1912년, 독일 병리학자 루드비히 픽은 부신 수질과 관련된 종양에서 일관된 색상 변화를 관찰한 후 "크롬친화세포종"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였다.[183]

1926년, 메이요 클리닉의 창립자인 찰스 호레이스 메이요가 크롬친화세포종을 성공적으로 절제하는 수술에 최초로 성공하였다.[183] 1929년이 되어서야 크롬친화세포종이 수술 전에 인지되었다.[13] 20세기 초, 크롬친화세포종 수술의 사망률은 30~45%에 달했으나, 수술 전 알파 및 베타 아드레날린 수용체 길항제 차단과 현대적인 마취 방법 도입으로 사망률이 크게 감소하였다.[184]

3. 원인

크롬친화세포종의 약 40%는 유전적 요인과 관련이 있다.[42] 나머지 60% 중 30% 이상은 체세포 변이와 관련이 있다.[43] 미국 내분비학회는 크롬친화세포종으로 진단받은 모든 환자가 유전자 검사를 고려하도록 권장한다.[44]

크롬친화세포종과 관련된 주요 유전자는 다음과 같다:

고전적인 크롬친화세포종 종양 증후군
유전자유전 방식침투율전이 가능성1o 질병 특징
MEN2RET상염색체 우성40–50%<5%수질 갑상선 암종,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마르판 증후군 체형, 크롬친화세포종
VHLVHL10–30%5%신세포 암종, 췌장 NET, 망막 및 중추 신경계 혈관모세포종, 크롬친화세포종
NF1NF11–5%12%신경섬유종, 카페오레 반점, 리쉬 결절, 크롬친화세포종



유전성 부신경절 종양 증후군 (''SDHx'')
유전자유전 방식침투율전이 가능성1o 질병 특징
PGL1SDHD상염색체 우성90%<5%머리 및 목 부신경절 종양, 크롬친화세포종, 위장관 기질 종양
PGL2SDHAF2100%낮음머리 및 목 부신경절 종양
PGL3SDHC상염색체 우성일관적이지 않음일관적이지 않음크롬친화세포종, 머리 및 목 부신경절 종양, 위장관 기질 종양
PGL4SDHB30–50%30–70%머리 및 목 부신경절 종양, 크롬친화세포종, 위장관 기질 종양
PGL5SDHA10–15%낮음크롬친화세포종, 머리 및 목 부신경절 종양, 위장관 기질 종양



기타 크롬친화세포종 유전자 돌연변이
유전 방식침투율전이 가능성1o 질병 특징
MAX상염색체 우성일관적이지 않음<5%양측 크롬친화세포종
TMEM127일관적이지 않음낮음크롬친화세포종, 머리 및 목 부신경절 종양



특히 악성 크롬친화세포종에서는 ''SDHB'' 유전자 변이가 높은 비율로 발견된다. 산발성 크롬친화세포종에서도 ''RET'', ''VHL'', ''SDH'' 등의 유전자 이상이 보고되고 있다.

그 외에도 파착-주앙 증후군(Pacak–Zhuang Syndrome),[54][55][56][57][58] 크롬친화세포종 및 뼈의 거대 세포 종양,[59] 카니 증후군(Carney's triad),[60] 카니-스타라키스 증후군(Carney-Stratakis Syndrome)[61]과 관련된 유전자 변이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4. 역학

크롬친화세포종은 1년에 백만 명당 2~8명 정도 발생하며, 고혈압 환자의 약 0.1%를 차지한다.[170][175] 주로 40대에 호발하며, 여성이 남성보다 더 쉽게 발병한다.[170] 한국에서는 인구 10만 명당 2.13명의 유병률과 10만 인년당 0.18명의 발생률을 보인다.[172] 이는 1950년부터 1979년까지 미네소타주 로체스터에서 보고된 발생률(10만 인년당 0.8명)보다 낮다.[2] 네덜란드의 경우 2011년부터 2015년까지 10만 인년당 0.57명의 발생률을 보고했는데, 이는 1995년부터 1999년까지 보고된 10만 인년당 0.37명보다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이다.[173] 이러한 증가는 현대적인 영상 평가의 등장으로 진단율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추정된다.[174]

부신 결절이 확인되었을 때 진단 가능성; 크롬친화세포종은 오른쪽 상단 모서리의 노란색으로 표시됩니다.


과거에는 크롬친화세포종의 "10의 법칙"이 널리 사용되었으나,[177] 이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175] 실제로는 유전적 요인이 더 큰 비중을 차지하며, 가족성 발생은 약 25% 정도를 차지한다. 다른 이유로 영상을 촬영한 후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도 10~49%에 달한다.[175]

5. 증상

크롬친화세포종의 가장 특징적인 증상은 고혈압으로, 과도한 카테콜아민 분비에 의해 발생한다.[10] 60%는 지속적으로, 40%는 발작적으로 고혈압 증상을 나타낸다.[10] 고혈압 환자가 두통, 발한, 심계항진을 가지고 있으면 민감도 91%, 특이도 94%로 병을 진단내릴 수 있을 정도이다. 고전적인 3가지 증상으로는 두통(높은 혈압 또는 고혈압과 관련이 있음), 빈맥/심박수 증가, 발한(과도한 땀, 특히 밤에, 다한증이라고도 함)이 있다.[7]

부신; 부신 수질(중앙, 빨간색)은 갈색세포종의 기원이다.


각 신장 위에 노란색으로 강조 표시된 부신이 있다.


그 외에 기립성 저혈압, 체중감소, 식욕항진, 변비, 심혈관계 이상(부정맥, 협심증, 급성심근경색 등), 당내성, 고칼슘혈증 등의 증상이 있을 수 있다. 교감신경성 갈색세포종의 증상은 교감 신경계 과잉 활동과 관련이 있다.[10] 발작은 자발적으로 (경고 없이) 발생하거나 다양한 약제 (히스타민, 메토클로프라미드, 글루카곤 포함)[12] 및 부신피질자극 호르몬), 티라민이 함유된 식품 (치즈 및 와인), 수술 중 종양 조작, 기관 삽관, 또는 마취 유도 중에 발생할 수 있다.[13]

보고된 다른 임상 증상으로는 (특정 순서 없이) 다음이 있다:[6][13]

  • 창백
  • 열 불내성
  • 체중 감소
  • 흉부 및/또는 복부 불편함
  • 두근거림
  • 메스꺼움/구토
  • 변비
  • 기립성 저혈압 — 갑자기 자세를 바꾼 후 현기증이 나거나 어지러움
  • 정신과적 증상
  • * 불안, 공황 발작, 신경 과민, 떨림
  • 고혈당증 (높은 혈당)
  • 고혈압 위기: 갈색세포종 관련 고혈압 응급 상황은 가장 두려운 임상 증상 중 하나이다. 발작은 무작위로 발생하며, 유발 요인(위의 징후 및 증상 참조)에 의해 또는 카테콜아민 급증 후에 자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17] 주요 증상은 기존 치료 요법에 반응하지 않고 말단 기관 손상을 위협하는 수축기 혈압 상승(> 200 mmHg)이다.[16]
  • ''심근 경색:'' 심장 마비는 종종 관상 동맥 질환 혈관에 상당한 플라크(죽상 경화증)가 축적되어 발생한다. 갈색세포종 환자는 전반적인 플라크 축적이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심근 경색을 나타내며, 이는 심근 경색의 다른 기전을 나타낸다. 현재 연구는 종양이 다량의 카테콜아민을 분비하여 심근 조직과 직접 상호 작용하여 산소 결핍을 포함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심장 섬유증 및 세포 사멸을 가속화한다고 가설을 세우고 있다.[16]
  • ''독성 심근염:'' 심근 손상이 없는 환자에서도 과도한 카테콜아민은 심전도에서 비정상적인 ST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노르에피네프린(카테콜아민)은 관상 혈류를 억제하고 세포의 산소를 빼앗아 허혈 조직을 초래함으로써 손상된 심장 조직을 초래한다고 가설을 세우고 있다.[18]
  • ''심근병증:'' 갈색세포종은 (심근염, 위 참조), 확장성 심근병증 및 스트레스 유발 또는 다코츠보 심근병증을 포함한 다양한 유형의 심근병증과 관련이 있다.[23]
  • ''부정맥:'' 동성 빈맥은 갈색세포종과 관련된 가장 흔한 비정상적인 심장 리듬이며, 환자는 "심장 떨림" 또는 심계항진의 느낌을 경험한다.[16]
  • ''뇌졸중(뇌혈관 발작):'' 여러 보고서에서 크롬친화세포종 환자에게 일과성 허혈 발작 또는 뇌졸중이 발생했다고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25][26][27][28][29][30][31]
  • ''두통:'' 두통은 크롬친화세포종의 핵심 임상 증상 중 하나이며, 쇠약하게 만드는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7]
  • ''급성 신부전:'' 여러 보고에서 진단되지 않은 크롬친화세포종 환자의 주요 증상으로 횡문근융해증(빠른 골격근 붕괴)이 발생하여 급성 신부전이 발생하고 일시적인 신장 투석이 필요하다고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34][35][36][37] 신부전은 카테콜아민 유도 근육 손상으로 인해 발생한다. 노르에피네프린은 혈관을 좁혀 혈류를 제한하고 허혈을 유발한다.[34]
  • 다발성 장기 부전 증후군(MODS)[38]
  • : 상승된 염증 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는 다발성 장기 부전은 여러 시스템이 관련되어 사망률이 증가하는 심각하고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 상황이다.[39]


고혈압, 고혈당, 대사 항진의 3가지 증상을 '''Howard의 3징후'''라고도 한다. 절박한 죽음의 공포를 느껴 급격한 정신적 변조를 일으키는 등 정신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그 외에 돌발적인 심계항진과 구역질 등이 있다. 공황 장애와 유사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6. 진단

크롬친화세포종의 진단에는 혈액 및 소변 검사, 기능 검사, 영상 검사 등이 활용된다.

혈액 및 소변 검사에서는 카테콜아민 및 그 대사산물(메타네프린, 노르메타네프린, 바닐릴만델산)을 측정한다.[7] 크롬친화세포종에서는 이러한 물질들이 정상 한계치의 2~3배 정도 높은 농도를 보인다. 혈장 유리 메타네프린 수치 상승은 크롬친화세포종 진단의 골드 스탠다드로 간주되며, 높은 민감도특이도를 보인다.[63][6] 하지만, 위양성 결과를 방지하기 위해 채취 조건, 약물, 식단 등에 주의해야 한다.[64] 24시간 소변 메타네프린 검사는 혈장 검사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 가능하다.[70] 크로모그래닌 A는 신경내분비 종양에서 증가하는 비특이적 폴리펩타이드로, 크롬친화세포종 진단에 보조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71][72]

기능 검사 중 하나인 클로니딘 억제 검사는 본태성 고혈압과의 감별을 위해 사용된다.[7][73] 클로니딘은 α2 수용체 작용제로, 정상적인 경우 노르에피네프린 분비를 억제한다. 클로니딘 투여 후에도 혈장 메타네프린 수치가 계속 상승하면 크롬친화세포종을 시사한다.[64]

284x284px


FDG PET — 종양은 환자의 왼쪽 가슴의 어두운 구조로 나타납니다. 환자 머리의 어두워진 구조는 뇌이고, 복부 뒤쪽은 신장이며, 골반에는 방광이 있습니다. 이것들은 정상입니다.


영상 검사로는 CT, MRI, 131I-MIBG 신티그래피, PET 등이 있다.[82] CT와 MRI는 종양의 위치, 크기, 주변 구조와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82] 131I-MIBG 신티그래피는 부신 외 원발 병변이나 전이 병변의 위치를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88] MIBG는 노르에피네프린과 유사한 구조를 가져 종양 세포에 섭취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PET 검사는 MIBG 섭취가 없는 경우에도 양성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전이 병변 검색에 유용하다.[90] 특히, 68Ga-DOTA 유사체를 이용한 PET 검사는 소마토스타틴 수용체 영상 기법으로, 다른 기능적 영상 검사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94][95][97]

크롬친화세포종은 다양한 질환과 감별 진단이 필요하며, 내분비, 심혈관, 신경학적, 정신과적 질환 등이 포함된다.[2][4]

계통별 크롬친화세포종의 감별 진단[4]
내분비심혈관신경학적정신과적기타
갑상선 기능 항진증심부전편두통불안포르피린증
카르시노이드 증후군부정맥뇌졸중공황 장애약물 (모노아민 산화 효소 억제제, 클로니딘 금단)
저혈당증허혈성 심장 질환간질약물 남용 (코카인 사용 등)
폐경기 증후군반사 부전POTS가성 장애 (슈도에페드린 등 일반 의약품 오용)
수질 갑상선 암종수막종


7. 치료

크롬친화세포종의 치료 목표는 수술적 완전 절제이다. 그러나, 약간의 스트레스에도 카테콜아민의 대량 분비로 인한 발작이 있을 수 있으므로 수술 이전에는 약물을 이용한 전처치를 실시해야 한다.[100]

최소 수술 10~14일 전부터 적절한 수분과 염분을 공급하고, 페녹시벤자민 같은 알파 차단제를 투여하여 유효 순환 혈장량과 카테콜아민에 대한 생체 반응을 정상화한다. 수술 전 처치의 목표 혈압은 일반적으로 160/90mmHg으로 잡으며, 칼슘통로 차단제, 안지오텐신변환효소 억제제 등의 약물도 혈압 조절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부정맥이나 빈맥이 있는 경우 베타 차단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베타 차단제는 혈관 확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오히려 고혈압을 더 유발할 수 있으므로, 알파 차단제를 사용한 이후에만 베타 차단제를 사용할 수 있다.

수술 중 심각한 고혈압이 발생할 때에는 니카르디핀(nicardipine), 니트로프루사이드(nitroprusside) 등을 정맥 주사하고, 부정맥이나 빈맥이 있을 경우에는 주의하여 베타 차단제나 리도카인(lidocaine)을 사용한다. 쇼크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정맥으로 식염수를 투여하여 혈액량을 유지시킨다.

수술 절제술은 2019년 현재 크롬친화세포종에 대한 유일한 치료법이다.[100] 성공적인 절제술은 다학제간 협력이 필요한 과정으로, 내분비학 전문의와 환자가 수술 전 관리를 거치고 (아래에서 논의), 수술팀과 마취과 의사가 수술 중 협력해야 한다. 위에 언급된 모든 팀 간의 빈번하고 적절한 소통 없이는 긍정적인 결과를 얻기가 훨씬 더 어렵다.[100] 미국 내분비학회의 2014년 크롬친화세포종 임상 진료 지침에서는 침습적이거나 6.0cm보다 큰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부신 종양에 대해 복강경 부신 절제술 (최소 침습 기술)을 권장한다.[44]

절제된 종양의 조직병리학은 전형적인 특징으로 진단을 확인해준다.


|thumb|머리와 목 부위에 방사선 치료를 받는 환자. 노출을 원치 않는 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전체 안면 모형이 제자리에 있다.]]

'''위:''' 보라색 병변은 DOTATATE 영상을 통해 감지된 전이성 질환입니다. '''아래:''' 동일 환자. 보라색 병변은 FDG PET를 통해 감지된 전이성 질환입니다.


일반적으로 완전 또는 전체 부신 절제술을 수행하지만, 양쪽 부신을 모두 제거해야 하는 경우 평생 프레드니손과 같은 스테로이드 대체 요법을 피하기 위해 부신 잔여물(일부)을 남기는 "피질 보존"이라는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106]

과도한 카테콜아민은 총 혈액량을 감소시켜 수술 중 환자를 저혈압에 취약하게 만든다.[121] 따라서 수술 전 고나트륨 식이와 충분한 수분 섭취를 권장해야 한다.[122]

전이성 크롬친화세포종은 종양 세포(크롬 친화 조직)가 정상적으로 발견되지 않는 곳에 존재하는 것으로 정의된다.[133] 가장 흔한 부신 외 전이 부위는 림프절, 폐, , 그리고 이다.[135]

아래의 모든 잠재적 치료 옵션에도 불구하고, 최근 문헌에서는 (대부분의 환자에게) 전이성 크롬친화세포종이 천천히 진행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질병 부담이 최소인 환자의 경우, 질병 진행의 증거가 시각화될 때까지 치료를 보류하고, 질병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빈번한 영상 검사를 시행하는 "관찰 대기" 접근 방식이 선호된다.[138]

전이성 크롬친화세포종은 종양학(oncologists), 외과 의사, 방사선학(radiologists), 핵의학 의사, 내분비학(endocrinologists)으로 구성된 다학제 팀이 가장 효과적으로 관리한다.

  • '''수술''' — 일반적으로 수술의 목표는 완전한 세포 감소 수술이다.[137]
  • '''방사선 치료''' — 크롬친화세포종과 관련하여 방사선 기술은 주로 통증 조절, 특히 뼈 전이, 질병의 국소 제어 및 척수 압박 제한에 사용된다.[144]
  • '''화학 요법''' — 전이성 크롬친화세포종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화학 요법 요법은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빈크리스틴, 다카르바진을 병용한 CVD이다.[147][148]
  • '''방사성 핵종 치료'''
  • 요오드-131 메타-아이오도벤질구아니딘 (MIBG)
  • 펩타이드 수용체 방사성 핵종 치료 (PRRT)


수술 후 가장 흔한 합병증은 다음과 같다:[125][126]

  • '''순환계'''
  • '''고혈압:''' 수술 후 고혈압은 불완전한 종양 절제나 다른 종양의 존재를 나타낼 수 있다. 통증, 과다혈증, 본태성 고혈압 등도 원인이 될 수 있다. 수술 전후 고혈압 위기는 펜톨라민 정맥 주사로 치료한다.[127]
  • '''저혈압:''' 종양 제거 후 카테콜아민 과다 분비가 사라지고, 알파 차단제의 효과가 지속되어 발생할 수 있다. 1차 치료법은 적극적인 수액 보충이며, 혈압이 반응하지 않으면 혈압상승제가 필요할 수 있다.[125]
  • '''내분비계'''
  • '''고혈당증:''' 카테콜아민은 인슐린 분비를 막아 혈당을 높인다. 수술 전후 혈당 수치를 자주 확인하고, 필요시 인슐린을 투여한다.
  • '''저혈당증:''' 종양 제거 후 인슐린 억제가 사라져 혈당이 위험하게 낮아질 수 있다. 떨림, 불안, 두근거림, 발한, 의식 변화, 어지럼증, 흐린 시야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128]
  • '''부신 부전:''' 양측 부신 절제술 후에는 평생 스테로이드(히드로코르티손, 플루드로코르티손) 경구 보충이 필요할 수 있다.[130]

7. 1. 합병증

크롬친화세포종은 "위대한 모방자"라고 불릴 정도로 다양한 증상을 나타내며, 본태성 고혈압으로 오진되는 경우가 많다.[14][7] 관리되지 않은 크롬친화세포종은 뇌졸중, 심근경색, 심부전, 급성 신부전, 다발성 장기 부전 등 심각하고 치명적인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11][15] 특히 심혈관 계통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흔하다.[16][17][18]

임신 중 크롬친화세포종은 산모의 고혈압 위기와 태아의 자궁 내 성장 제한을 일으켜 모성 사망률 및 주산기 사망률을 높인다.[19][20]

크롬친화세포종의 오진은 치명적일 수 있는데, 고혈압 치료에 사용되는 베타 차단제가 크롬친화세포종 환자에게는 길항되지 않은 알파 수용체 활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21]

  • 고혈압 위기: 크롬친화세포종과 관련된 가장 위험한 임상 증상 중 하나로, 발작은 무작위로 발생하거나 카테콜아민 급증 후 자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17] 주요 증상은 기존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수축기 혈압 상승(> 200 mmHg)이며,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다.[16]
  • 심근 경색: 크롬친화세포종 환자는 죽상 경화증으로 인한 플라크 축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심근 경색이 나타날 수 있다. 이는 종양이 분비하는 다량의 카테콜아민이 심근 조직에 직접 작용하여 산소 결핍을 유발하고 심장 섬유증 및 세포 사멸을 가속화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16]
  • 독성 심근염: 과도한 카테콜아민은 심전도에서 비정상적인 ST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노르에피네프린은 관상 혈류를 억제하고 세포의 산소를 빼앗아 허혈 조직을 유발한다.[18] 종양 절제술 후 카테콜아민이 억제되면 손상은 가역적으로 회복될 수 있다.
  • 심근병증: 크롬친화세포종은 확장성 심근병증, 다코츠보 심근병증 등 다양한 유형의 심근병증과 관련이 있다.[23] 과도한 카테콜아민은 심근 부담을 증가시키고 생리적 스트레스를 유발한다.[24] 조기 진단을 통해 심장 재형성을 돕고 추가적인 손상을 막을 수 있다.[23][24]
  • 부정맥: 동성 빈맥은 크롬친화세포종과 관련된 가장 흔한 비정상적인 심장 리듬이며, 환자는 심계항진을 느낄 수 있다.[16]
  • 뇌졸중: 크롬친화세포종 환자에게 일과성 허혈 발작 또는 뇌졸중이 발생할 수 있다.[25][26][27][28][29][30][31]
  • 두통: 크롬친화세포종의 주요 증상 중 하나로, 쇠약하게 만드는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7]
  • 급성 신부전: 진단되지 않은 크롬친화세포종 환자에게 횡문근융해증이 발생하여 급성 신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일시적인 신장 투석이 필요할 수 있다.[34][35][36][37]
  • 다발성 장기 부전 증후군(MODS):[38] 상승된 염증 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는 다발성 장기 부전은 여러 시스템이 관련되어 사망률이 증가하는 심각하고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 상황이다.[39] 크롬친화세포종 관련 MODS는 다발성 장기 부전, 고체온증 (40°C 초과), 신경학적 증상, 심혈관 불안정성(저혈압 또는 고혈압)과 관련이 있다.[40]


수술 후 가장 흔한 합병증은 다음과 같다:[125][126]

  • 순환계
  • 고혈압: 수술 후 고혈압은 불완전한 종양 절제나 다른 종양의 존재를 나타낼 수 있다. 통증, 과다혈증, 본태성 고혈압 등도 원인이 될 수 있다. 수술 전후 고혈압 위기는 펜톨라민 정맥 주사로 치료한다.[127]
  • 저혈압: 종양 제거 후 카테콜아민 과다 분비가 사라지고, 알파 차단제의 효과가 지속되어 발생할 수 있다. 1차 치료법은 적극적인 수액 보충이며, 혈압이 반응하지 않으면 혈압상승제가 필요할 수 있다.[125]
  • 내분비계
  • 고혈당증: 카테콜아민은 인슐린 분비를 막아 혈당을 높인다. 수술 전후 혈당 수치를 자주 확인하고, 필요시 인슐린을 투여한다.
  • 저혈당증: 종양 제거 후 인슐린 억제가 사라져 혈당이 위험하게 낮아질 수 있다. 떨림, 불안, 두근거림, 발한, 의식 변화, 어지럼증, 흐린 시야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128]
  • 부신 부전: 양측 부신 절제술 후에는 평생 스테로이드(히드로코르티손, 플루드로코르티손) 경구 보충이 필요할 수 있다.[130]

8. 예후

국립 암 연구소(National Cancer Institute)에 따르면, 예후는 질병의 가능한 결과 또는 회복이나 재발의 가능성으로 정의된다.[164] 이는 크롬친화세포종과 관련하여 극도로 어려운 문제이며, 그 답은 환자의 유전자 상태, 전이성 질환의 존재 여부, 그리고 원발 종양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165] 2000년에 발표된 예후에 관한 한 논문은 환자 집단에서 91%의 5년 생존율을 보고했지만, 환자의 86% 이상이 흔히 낮은 악성 잠재력을 가진 의 산발적 종양 (알려진 유전자 돌연변이 없음)을 가지고 있었다.[166]

2019년, 거의 20개의 유럽 의료 센터 컨소시엄은 악성 크롬친화세포종의 예후를 연구했으며, 그 데이터는 산발적이고 단일 종양의 보고와 뚜렷하게 달랐으며, 생존율은 중앙값 6.7년이었다.[167] 전체 생존율은 (1) 복부에 비해 머리와 목의 질병을 가진 경우, (2) 40세 미만인 경우, (3) 생화학적 수치가 정상 상한치의 5배 미만인 경우 향상되었다.[167]

최근 문헌에서는 원발 종양의 외과적 절제를 포기하기로 선택한 환자, 초기 발표 시 더 큰 종양, 초기 진단 시 더 높은 연령, 그리고 원발 종양에서 전이 발생까지의 단축된 시간을 포함하여 질병의 가속화된 진행과 더 높은 사망률을 예측하는 여러 요소를 자세히 설명했다.[168] 전이의 실제 위치 또한 예후를 나타낼 수 있으며, 병변(골성)이 연조직(폐, )에 비해 더 나은 결과를 보였다.[169]

조기 진단과 조기 치료가 이루어지면 근치를 기대할 수 있다. 치료가 늦어지면 악성 고혈압을 나타내며, 각종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9. 사회와 문화

희귀 질환이지만, 크롬친화세포종은 대중문화와 미디어, 특히 의학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여러 번 언급되었다. 또한 희귀 질환 환자를 연결하고 유사한 진단 및 치료 전략을 경험하는 다른 사람들을 만날 수 있도록 돕는 강력한 온라인 환자 옹호 단체 커뮤니티가 있다.

=== 얼룩말 문화 ===

의료계에서는 학생들에게 "말발굽 소리를 들으면 얼룩말이 아닌 말을 생각하라"고 가르치는 경우가 많다.[185] 즉, 흔한 진단이 일반적이므로 의료 전문가는 정답일 가능성이 훨씬 낮은 희귀한 원인(얼룩말)을 탐구하기 전에 가장 예상되는 것(말)을 먼저 배제해야 한다. 그러나 얼룩말의 상징은 희귀 질환 커뮤니티에 점점 더 강력해졌고, 가장 덜 일반적인 옵션이 때때로 올바른 진단이라는 점에 주목하기 위해 여러 조직, 학회 및 특별 행사(희귀 질환의 날)가 생겨났다.[186]

얼룩말은 크롬친화세포종 옹호 커뮤니티에서 강력한 상징이 되었으며, 오진될 가능성이 더 높은 희귀한 의학 사례를 나타낸다.


미국 희귀 질환 기구(National Organization for Rare Disorders)는 희귀 질환 치료에 대한 인식과 연구 기회를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미국에 본부를 둔 옹호 단체이다.[187] 이와 같은 단체는 환자들이 스스로를 옹호하고 의료 의사 결정 과정의 변화 주체가 되도록 장려한다.

=== 미디어 ===

크롬친화세포종은 여러 의학 드라마에서 다뤄졌다.

2012년 7월, 실제 크롬친화세포종 환자이자 PheoPara Troopers의 전 부회장이었던 타니스 브라운은 Discovery Fit & Health 네트워크 프로그램인 ''Diagnosis: Dead or Alive''에 출연했다.[188] 이 프로그램은 많은 의사들이 그녀의 발작적인 두통과 고혈압을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여 질병을 오진했던 그녀의 개인적인 투쟁을 조명했다.[189]

''그레이 아나토미''의 시즌 7과 8에서, 시리즈의 레귤러 캐릭터인 헨리는 크롬친화세포종을 유발한 폰 히펠-린다우(VHL)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었다.[190] VHL 얼라이언스의 전무이사는 주류 미디어에서 VHL 환자를 묘사한 것에 대해 만족했지만, 그녀가 알고 있는 VHL 환자가 등장하는 네 개의 대본 중 세 개가 크롬친화세포종을 다루고 있는데, 이는 모든 VHL 환자의 5분의 1 미만에서 발생한다고 지적했다.[191][192]

크롬친화세포종의 사례는 ''하우스, M.D.'' 시즌 2의 첫 번째 에피소드에서 다루어졌다. 하우스 박사와 그의 팀은 사형수에 대한 진단과 치료를 담당했는데, 하우스 박사는 그의 발작적인 분노와 공격성이 아드레날린 분비 종양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고 의심하여 크롬친화세포종으로 진단한다.

9. 1. 얼룩말 문화

의료계에서는 학생들에게 "말발굽 소리를 들으면 얼룩말이 아닌 말을 생각하라"고 가르치는 경우가 많다.[185] 즉, 흔한 진단이 일반적이므로 의료 전문가는 정답일 가능성이 훨씬 낮은 희귀한 원인(얼룩말)을 탐구하기 전에 가장 예상되는 것(말)을 먼저 배제해야 한다. 그러나 얼룩말의 상징은 희귀 질환 커뮤니티에 점점 더 강력해졌고, 가장 덜 일반적인 옵션이 때때로 올바른 진단이라는 점에 주목하기 위해 여러 조직, 학회 및 특별 행사(희귀 질환의 날)가 생겨났다.[186]

미국 희귀 질환 기구(National Organization for Rare Disorders)는 희귀 질환 치료에 대한 인식과 연구 기회를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미국에 본부를 둔 옹호 단체이다.[187] 이와 같은 단체는 환자들이 스스로를 옹호하고 의료 의사 결정 과정의 변화 주체가 되도록 장려한다.

9. 2. 미디어

크롬친화세포종은 여러 의학 드라마에서 다뤄졌다.

2012년 7월, 실제 크롬친화세포종 환자이자 PheoPara Troopers의 전 부회장이었던 타니스 브라운은 Discovery Fit & Health 네트워크 프로그램인 ''Diagnosis: Dead or Alive''에 출연했다.[188] 이 프로그램은 많은 의사들이 그녀의 발작적인 두통과 고혈압을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여 질병을 오진했던 그녀의 개인적인 투쟁을 조명했다.[189]

''그레이 아나토미''의 시즌 7과 8에서, 시리즈의 레귤러 캐릭터인 헨리는 크롬친화세포종을 유발한 폰 히펠-린다우(VHL)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었다.[190] VHL 얼라이언스의 전무이사는 주류 미디어에서 VHL 환자를 묘사한 것에 대해 만족했지만, 그녀가 알고 있는 VHL 환자가 등장하는 네 개의 대본 중 세 개가 크롬친화세포종을 다루고 있는데, 이는 모든 VHL 환자의 5분의 1 미만에서 발생한다고 지적했다.[191][192]

크롬친화세포종의 사례는 ''하우스, M.D.'' 시즌 2의 첫 번째 에피소드에서 다루어졌다. 하우스 박사와 그의 팀은 사형수에 대한 진단과 치료를 담당했는데, 하우스 박사는 그의 발작적인 분노와 공격성이 아드레날린 분비 종양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고 의심하여 크롬친화세포종으로 진단한다.

참조

[1] 논문 Update on the genetics of paragangliomas 2023-04
[2] 논문 Occurrence of pheochromocytoma in Rochester, Minnesota, 1950 through 1979 1983-12
[3] 웹사이트 PHAEOCHROMOCYTOMA | Meaning & Definition for UK English https://www.lexico.c[...] Lexico.com null
[4] 논문 Phaeochromocytoma 2005-08-20
[5] 서적 Questions in Daily Urologic Practice: Updates for Urologists and Diagnostic Pathologists Springer Japan 2008
[6] 논문 Biochemical diagnosis of pheochromocytoma: which test is best? 2002-03
[7] 논문 Internal Medicine http://dx.doi.org/10[...] 2001-08-22
[8] 논문 Paragangliomas of the Head and Neck: An Overview from Diagnosis to Genetics 2017-09
[9] 서적 Conn's Current Therapy Elsevier–Health Science 2020
[10] 논문 Pheochromocytomas and Paragangliomas 2019-12
[11] 논문 Hypertension in pheochromocytoma: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2011-06
[12] 논문 Glucagon-induced pheochromocytoma crisis
[13] 논문 An overview of pheochromocytoma: history, current concepts, vagaries, and diagnostic challenges 2006-08
[14] 논문 Phaeochromocytoma--"the great mimic": an unusual presentation 2007-09
[15] 논문 Life-threatening events in patients with pheochromocytoma 2015-12
[16] 논문 Cardiovascular manifestations of phaeochromocytoma 2011-11
[17] 논문 Adrenal causes of hypertension: pheochromocytoma and primary aldosteronism 2007-12
[18] 논문 Cardiovascular manifestations of pheochromocytoma 2000-09
[19] 논문 Pheochromocytoma and pregnancy: a deceptive connection 2012-02
[20] 논문 The management of hypertension in pregnancy 2013-05
[21] 웹사이트 Pheochromocytoma Medication https://emedicine.me[...]
[22] 논문 Mortality associated with phaeochromocytoma 2013-02
[23] 논문 Pheochromocytoma as a reversible cause of cardiomyopathy: Analysi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2017-12
[24] 논문 Pheochromocytoma and stress cardiomyopathy: Insight into pathogenesis 2017-03
[25] 논문 Pheochromocytoma presenting as stroke in two Taiwanese children 2002-11
[26] 논문 Cerebral ischaemic stroke and bilateral pheochromocytoma 2010-05
[27] 논문 Cerebrovascular event, dilated cardiomyopathy, and pheochromocytoma 2002-02
[28] 논문 Pheochromocytoma crisis resulting in acute heart failure and cardioembolic stroke in a 37-year-old man 2014-04
[29] 논문 Pheochromocytoma Underlying Hypertension, Stroke, and Dilated Cardiomyopathy
[30] 논문 Left ventricular thrombus and embolic stroke caused by a functional paraganglioma 2009-12
[31] 논문 Malignant paraganglioma presenting with hemorrhagic stroke in a child 2013-12
[32] 논문 Pheochromocytoma and Stroke 2011-06
[33] 논문 Neurological manifestations of phaeochromocytomas and secretory paragangliomas: a reappraisal 2013-04
[34] 논문 Pheochromocytoma presenting as rhabdomyolysis and acute myoglobinuric renal failure 1990-11
[35] 논문 A case of pheochromocytoma complicated with acute renal failure and cardiomyopathy 1993-01
[36] 논문 Pheochromocytoma presenting with rhabdomyolysis and acute renal failure: a case report 2014-02
[37] 논문 Acute renal failure and transient, massive proteinuria in a case of pheochromocytoma 1985-07
[38] 논문 Multiple organ failure and coma as initial presentation of pheochromocytoma in a patient with multiple endocrine neoplasia (MEN) type II A 1993
[39] 서적 Surgical Treatment: Evidence-Based and Problem-Oriented Zuckschwerdt 2001
[40] 논문 Pheochromocytoma multisystem crisis. A surgical emergency 1988-08
[41] 논문 Phaeochromocytoma [corrected] crisis 2014-01
[42] 논문 Pheochromocytoma and Paraganglioma: Genetics, Diagnosis, and Treatment 2016-02
[43] 논문 Pheochromocytoma: A Genetic and Diagnostic Update https://hal.archives[...] 2018-01
[44] 논문 Pheochromocytoma and paraganglioma: an endocrine society clinical practice guideline 2014-06
[45] 웹사이트 National genomic test directory https://www.england.[...] NHS England 2018–2024
[46] 웹사이트 R223 Inherited phaeochromocytoma and paraganglioma excluding NF1 https://www.england.[...] NHS England 2024-07
[47] 논문 The clinical genetics of phaeochromocytoma and paraganglioma 2017-10
[48] 논문 SDHB-related pheochromocytoma and paraganglioma penetrance and genotype–phenotype correlations 2017-08
[49] 논문 Presymptomatic genetic testing in minors at risk of paraganglioma and pheochromocytoma: our experience of oncogenetic multidisciplinary consultation 2012-05
[50] 논문 65 YEARS OF THE DOUBLE HELIX: Genetics informs precision practice i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pheochromocytoma 2018-08
[51] 논문 Paraganglioma and phaeochromocytoma: from genetics to personalized medicine 2015-02
[52] 논문 Pheochromocytoma and paraganglioma pathogenesis: learning from genetic heterogeneity 2014-02
[53] 논문 Genomic Landscape of Pheochromocytoma and Paraganglioma 2018-01
[54] 논문 First report of bilateral pheochromocytoma in the clinical spectrum of HIF2A-related polycythemia-paraganglioma syndrome 2013-05
[55] 논문 Novel HIF2A mutations disrupt oxygen sensing, leading to polycythemia, paragangliomas, and somatostatinomas 2013-03
[56] 논문 New syndrome of paraganglioma and somatostatinoma associated with polycythemia 2013-05
[57] 논문 Somatic HIF2A gain-of-function mutations in paraganglioma with polycythemia 2012-09
[58] 논문 Vascular Changes in the Retina and Choroid of Patients With EPAS1 Gain-of-Function Mutation Syndrome 2019-12
[59] 논문 Recurrent Mutations of Chromatin-Remodeling Genes and Kinase Receptors in Pheochromocytomas and Paragangliomas 2016-05
[60] 논문 Carney triad 2013
[61] 논문 The triad of paragangliomas, gastric stromal tumours and pulmonary chondromas (Carney triad), and the dyad of paragangliomas and gastric stromal sarcomas (Carney-Stratakis syndrome): molecular genetics and clinical implications 2009-07
[62] 웹사이트 BlueBooksOnline https://tumourclassi[...]
[63] 논문 Pheochromocytoma and Paraganglioma 2019-08
[64] 논문 Biochemical diagnosis of pheochromocytoma: how to distinguish true- from false-positive test results 2003-06
[65] 논문 Evaluating the optimum rest period prior to blood collection for fractionated plasma free metanephrines analysis 2016-08
[66] 논문 Is supine rest necessary before blood sampling for plasma metanephrines? 2007-02
[67] 논문 Drugs and pheochromocytoma—don't be fooled by every elevated metanephrine 2011-06
[68] 논문 Elevated urinary free and deconjugated catecholamines after consumption of a catecholamine-rich diet 2010-06
[69] 논문 Dietary influences on plasma and urinary metanephrines: implications for diagnosis of catecholamine-producing tumors 2009-08
[70] 논문 Pheochromocytoma and paraganglioma: diagnosis, genetics, management, and treatment 2014-01
[71] 논문 Chromogranin A assay in clinical practice 2010-09
[72] 논문 The role of chromogranin A in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phaeochromocytoma 2006-09
[73] 논문 "[Diagnosis of pheochromocytoma and paraganglioma: the clonidine suppression test in patients with borderline elevations of plasma free normetanephrine]" 2013-01
[74] 논문 Evaluation of clonidine hydrochloride (Catapres). A new antihypertensive agent 1975-07
[75] 논문 Clonidine rebound hypertension 1977-05
[76] 논문 Clonidine withdrawal. Mechanism and frequency of rebound hypertension 1979-01
[77] 논문 Hypertensive urgency: an important aetiology of rebound hypertension 2014-10
[78] 논문 Plasma methoxytyramine: clinical utility with metanephrines for diagnosis of pheochromocytoma and paraganglioma 2017-08
[79] 논문 Precision Medicine: An Update on Genotype/Biochemical Phenotype Relationships in Pheochromocytoma/Paraganglioma Patients 2017-06
[80] 논문 Pheochromocytoma catecholamine phenotypes and prediction of tumor size and location by use of plasma free metanephrines 2005-04
[81] 논문 Update of Pheochromocytoma Syndromes: Genetics, Biochemical Evaluation, and Imaging 2018-11-27
[82] 논문 Review of functional/anatomical imaging in oncology 2012-04
[83] 논문 Contrast-Induced Acute Kidney Injury 2016-09
[84] 논문 Reasons for inadequate or incomplete imaging techniques 2018-12
[85] 논문 Pheochromocytoma: the range of appearances on ultrasound, CT, MRI, and functional imaging 2013-02
[86] 논문 Anatomical and functional imaging in endocrine hypertension 2012-09
[87] 논문 Current and future anatomical and functional imaging approaches to pheochromocytoma and paraganglioma 2012-05
[88] 논문 The evolution in the use of MIBG scintigraphy in pheochromocytomas and paragangliomas 2013-01
[89] 논문 "(131)I-MIBG therapy for malignant paraganglioma and phaeochromocytom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4-04
[90] 논문 Update on Modern Management of Pheochromocytoma and Paraganglioma 2017-06
[91] 논문 Role of (18) F-FDOPA PET/CT imaging in endocrinology 2014-12
[92] 논문 The role of 18F-FDOPA and 18F-FDG-PET in the management of malignant and multifocal phaeochromocytomas.
[93] 논문 European Association of Nuclear Medicine Practice Guideline/Society of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Procedure Standard 2019 for radionuclide imaging of phaeochromocytoma and paraganglioma 2019-09
[94] 논문 15 YEARS OF PARAGANGLIOMA: Imaging and imaging-based treatment of pheochromocytoma and paraganglioma 2015-08
[95] 논문 18F-FDG and anatomic imaging in the detection of succinate dehydrogenase mutation (SDHx)–related pheochromocytoma and paraganglioma in the pediatric population 2018-05
[96] 논문 PET/CT comparing (68)Ga-DOTATATE and other radiopharmaceuticals and in comparison with CT/MRI for the localization of sporadic metastatic pheochromocytoma and paraganglioma 2016-09
[97] 논문 18F-DOPA PET/CT 2019-03
[98] 논문 Peptide Receptor Radionuclide Therapy as a Novel Treatment for Metastatic and Invasive Phaeochromocytoma and Paraganglioma 2019
[99] 논문 "11C-hydroxy-ephedrine-PET/CT in the Diagnosis of Pheochromocytoma and Paraganglioma" 2019-06
[100] 논문 Precision Surgery for Pheochromocytomas and Paragangliomas 2019-07
[101] 논문 Transperitoneal versus retroperitoneal laparoscopic adrenalectomy for adrenal tumours in adults 2018-12
[102] 논문 Surgery for pheochromocytoma: A 20-year experience of a single institution 2017-10
[103] 논문 Surgical treatment of large pheochromocytoma (>6 cm): A 10-year single-center experience 2022-07
[104] 논문 Patterns of Use and Short-Term Outcomes of Minimally Invasive Surgery for Malignant Pheochromocytoma: A Population-Level Study 2015-08
[105] 논문 Robotic posterior retroperitoneal adrenalectomy: operative technique 2010-08
[106] 논문 Comparison of Pheochromocytoma-Specific Morbidity and Mortality Among Adults With Bilateral Pheochromocytomas Undergoing Total Adrenalectomy vs Cortical-Sparing Adrenalectomy 2019-08
[107] 논문 Cortical-sparing adrenalectomy for patients with bilateral pheochromocytoma https://www.surgjour[...] 1996-12
[108] 논문 Preoperative management of the pheochromocytoma patient 2007-11
[109] 논문 Why Take the Risk? We Only Live Once: The Dangers Associated with Neglecting a Pre-Operative Alpha Adrenoceptor Blockade in Pheochromocytoma Patients 2019-01
[110] 논문 Prazosin: the first-dose phenomenon 1976-11
[111] 논문 Phenoxybenzamine 1977-06
[112] 논문 Both preoperative alpha and calcium channel blockade impact intraoperative hemodynamic stability similarly in the management of pheochromocytoma 2014-12
[113] 논문 Beta-adrenergic blocking agents: their current status 1992-05
[114] 논문 Are patients with hormonally functional phaeochromocytoma and paraganglioma initially receiving a proper adrenoceptor blockade?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2016-07
[115] 논문 The dangers of unopposed beta-adrenergic blockade in phaeochromocytoma 1995-01
[116] 논문 Alpha-adrenergic receptors in human blood vessels 1986
[117] 논문 Differential distribution of beta-adrenergic receptor subtypes in blood vessels of knockout mice lacking beta(1)- or beta(2)-adrenergic receptors 2001-11
[118] 논문 Perioperative α-receptor blockade in phaeochromocytoma surgery: an observational case series 2017-02
[119] 논문 Dogma is Made to be Broken. Why Are We Postponing Curative Surgery to Administer Ineffective Alpha Adrenoreceptor Blockade in Most Patients Undergoing Pheochromocytoma Removal? 2019-02
[120] 논문 A Necessity, Not a Second Thought: Pre-Operative Alpha-Adrenoceptor Blockade in Pheochromocytoma Patients 2019-02
[121] 논문 Is there an optimal preoperative management strategy for phaeochromocytoma/paraganglioma? https://www.reposito[...] 2017-02
[122] 논문 Preoperative risk factors for haemodynamic instability during pheochromocytoma surgery in Chinese patients 2018-03
[123] 논문 Increased arterial pressure is not predictive of haemodynamic instability in patients undergoing adrenalectomy for phaeochromocytoma 2009-04
[124] 논문 Preoperative preparation for pheochromocytoma resection: physician survey and clinical practice 2010-07
[125] 논문 Postoperative Management in Patients with Pheochromocytoma and Paraganglioma 2019-07
[126] 논문 Perioperative Management of Pheochromocytoma 2017-08
[127] 논문 Treatment of hypertensive emergencies 2017-05
[128] 논문 Managing hypoglycaemia http://eprints.white[...] 2016-06
[129] 논문 Effect of beta blocker use and type on hypoglycemia risk among hospitalized insulin requiring patients 2019-11
[130] 논문 Selective use of steroid replacement after adrenalectomy: lessons from 331 consecutive cases 2006-08
[131] 논문 Stress Dose Steroids: Myths and Perioperative Medicine 2016-07
[132] 논문 Adrenal insufficiency — recognition and management 2017-06
[133] 논문 Metastatic pheochromocytoma: does the size and age matter? 2011-10
[134] 논문 Outcomes of patients with metastatic phaeochromocytoma and paragangliom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7-11
[135] 논문 Metastatic catecholamine-secreting paraganglioma (extra-adrenal pheochromocytoma) 1976-10
[136] 논문 Synchronous and metachronous liver metastases in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towards a clinically relevant definition 2019-12
[137] 논문 Cytoreductive surgery in functioning peritoneal pheochromocytomatosis 2021-01
[138] 논문 Malignant pheochromocytoma and paraganglioma: management options 2020-01
[139] 논문 Impact of Surgical Resection of the Primary Tumor on Overall Survival in Patients With Metastatic Pheochromocytoma or Sympathetic Paraganglioma 2018-07
[140] 논문 Response after surgical resection of metastatic pheochromocytoma and paraganglioma: can postoperative biochemical remission be predicted? 2013-09
[141] 논문 Current and future treatments for malignant pheochromocytoma and sympathetic paraganglioma 2013-08
[142] 논문 Diagnosis and management of pheochromocytoma: a practical guide to clinicians 2014-07
[143] 논문 I-123 MIBG imaging and intraoperative localization of metastatic pheochromocytoma: a case report 2002-03
[144] 논문 Management and outcome of metastatic pheochromocytomas/paragangliomas: an overview 2020-06
[145] 논문 External beam radiation therapy for advanced/unresectable malignant paraganglioma and pheochromocytoma 2017-11-22
[146] 논문 Efficacy and Safety of Ablative Therapy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Metastatic Pheochromocytoma and Paraganglioma 2019-02
[147] 논문 Chemotherapy with cyclophosphamide, vincristine and dacarbazine for malignant paraganglioma and pheochromocytom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4-11
[148] 논문 Malignant pheochromocytoma: effective treatment with a combination of cyclophosphamide, vincristine, and dacarbazine 1988-08
[149] 논문 Treatment of malignant pheochromocytoma/paraganglioma with cyclophosphamide, vincristine, and dacarbazine: recommendation from a 22-year follow-up of 18 patients 2008-10
[150] 논문 Survival of patients with metastatic malignant pheochromocytoma and efficacy of combined cyclophosphamide, vincristine, and dacarbazine chemotherapy 2009-08
[151] 논문 Continued Tumor Reduction of Metastatic Pheochromocytoma/Paraganglioma Harboring Succinate Dehydrogenase Subunit B Mutations with Cyclical Chemotherapy 2018-07
[152] 논문 Successful Second-Line Metronomic Temozolomide in Metastatic Paraganglioma: Case Report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2018
[153] 논문 Temozolomide Is a Potential Therapeutic Tool for Patients With Metastatic Pheochromocytoma/Paraganglioma-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2020
[154] 논문 SDHB mutations are associated with response to temozolomide in patients with metastatic pheochromocytoma or paraganglioma 2014-12
[155] 논문 131I-MIBG Therapy in Patients with Advanced Pheochromocytoma or Paraganglioma 2019-05
[156] 논문 MIBG (metaiodobenzylguanidine) theranostics in pediatric and adult malignancies 2018-11
[157] 논문 I-131 Metaiodobenzylguanidine Therapy of Pheochromocytoma and Paraganglioma 2016-05
[158] 논문 Efficacy of Peptide Receptor Radionuclide Therapy for Functional Metastatic Paraganglioma and Pheochromocytoma 2017-09
[159] 논문 177Lu-Dotatate in the Phase III NETTER-1 Trial 2018-09
[160] 논문 177Lu-Dotatate for Midgut Neuroendocrine Tumors 2017-01
[161] 논문 177Lu-DOTATATE 2019-06
[162] 논문 Peptide receptor radionuclide therapy in the management of advanced pheochromocytoma and paragangliom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9-12
[163] 논문 177Lu-DOTATATE 2019-06
[164] 웹사이트 NCI Dictionary of Cancer Terms — National Cancer Institute https://www.cancer.g[...] 2011-02-02
[165] 웹사이트 Pheochromocytoma — National Cancer Institute https://www.cancer.g[...] 2020-02-12
[166] 논문 Changes in clinical features and long-term prognosis in patients with pheochromocytoma 2000-01
[167] 논문 Prognosis of Malignant Pheochromocytoma and Paraganglioma (MAPP-Prono Study): A European Network for the Study of Adrenal Tumors Retrospective Study 2019-06
[168] 논문 Metastatic pheochromocytoma and paraganglioma: recent advances in prognosis and management 2019-06
[169] 논문 Pheochromocytoma: recommendations for clinical practice from the First International Symposium. October 2005 2007-02
[170] 논문 The North American Neuroendocrine Tumor Society consensus guideline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neuroendocrine tumors: pheochromocytoma, paraganglioma, and medullary thyroid cancer 2010-08
[171] 논문 Prevalence of clinically unsuspected pheochromocytoma. Review of a 50-year autopsy series 1981-06
[172] 논문 Epidemiology and Prognosis of Pheochromocytoma/Paraganglioma in Korea: A Nationwide Study Based o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20-03
[173] 논문 Incidence of pheochromocytoma and sympathetic paraganglioma in the Netherlands: A nationwide study and systematic review https://pure.rug.nl/[...] 2018-05
[174] 논문 The epidemiology of pheochromocytoma: increasing incidence and changing clinical presentation. A population-based retrospective study 1977–2015 2017-05-03
[175] 논문 Pheochromocytoma and Paraganglioma: From Epidemiology to Clinical Findings 2020-06-03
[176] 논문 Pheochromocytoma/paraganglioma: recent updates in genetics, biochemistry, immunohistochemistry, metabolomics, imaging and therapeutic options 2020-02
[177] 논문 Current concepts of pheochromocytoma 2014-05-01
[178] 논문 A Case of Gastrodynia 1800
[179] 논문 Max Schottelius: Pioneer in Pheochromocytoma 2017-07
[180] 논문 Ein Fall von doppelseitigem, völlig latent verlaufenen Nebennierentumor und gleichzeitiger Nephritis mit Veränderungen am Circulationsapparat und Retinitis https://zenodo.org/r[...] 1886-02
[181] 서적 Neuroendocrinology — Pathological Situations and Diseases Elsevier 2010
[182] 논문 Pheochromocytoma and Paraganglioma: Diagnosis, Genetics, and Treatment 2016-01
[183] 논문 Early surgical history of phaeochromocytoma 1987-07
[184] 논문 Anaesthetic management of a case of adrenal and extra-adrenal phaeochromocytoma for preoperative embolisation 2015-03
[185] 논문 "If You Hear Hoof Beats, Think Horses, Not Zebras" 2018-01
[186] 웹사이트 Rare Disease Day 2021 – 28 Feb https://www.raredise[...] 2020-08-26
[187] 웹사이트 Home https://rarediseases[...] 2020-08-26
[188] 뉴스 Why Did the Young Mother Have Searing Head Pain and a Racing Heart? https://www.nytimes.[...] 2020-08-26
[189] 웹사이트 Neuroendocrine Cancer Survivor Featured on Discovery Fit & Health TV Show https://www.carcinoi[...] 2020-08-26
[190] 간행물 VHL Family Alliance Applauds Grey's Anatomy for Featuring von Hippel-Lindau Disease https://www.prnewswi[...] 2020-08-26
[191] 웹사이트 Mischaracterizations by the popular media of medical conditions https://www.kevinmd.[...] 2020-08-26
[192] 웹사이트 'Grey's Anatomy' Features Rare Disease on Three-Episode Series https://abcnews.go.c[...] 2020-08-26
[193] 문서 内分泌疾患分野 褐色細胞腫(平成22年度) http://www.nanbyou.o[...]
[194] 문서 未承認薬・適応外薬の要望 https://www.mhlw.go.[...]
[195] 뉴스 小野 褐色細胞腫の症状軽減薬メチロシンを導入 国内開発へ https://www.mixonlin[...] ミクス online 2013-10-23
[196] 간행물 Valeant 社とのライセンス契約締結のお知らせ https://www.ono.co.j[...] 2013-10-22
[197] 뉴스 【新薬】メチロシン(デムサー)カテコールアミン分泌過剰を改善する初の褐色細胞腫治療薬 https://medical.nikk[...] 日経メディカル 2019-0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