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상 (작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상은 일제강점기 한국의 대표적인 아방가르드 작가로, 소설가이자 시인이며, 본명은 김해경이다. 그는 기존 문학의 틀을 깨는 실험적인 작품들을 통해 한국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10년 서울에서 태어나 경성고등공업학교 건축과를 졸업하고, 조선총독부 건축 기수로 근무했다. 결핵으로 요양하며 기생 금홍과 교류하기도 했으며, 다방을 운영했으나 실패했다. 1930년대 초반부터 소설, 시, 수필 등 다양한 작품 활동을 펼쳤으며, 특히 시 《오감도》는 난해한 형식으로 논란을 일으켰다. 1936년 일본으로 건너가 불온사상 혐의로 체포되었으며, 1937년 2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작품들은 사후에 재조명되어 이상문학상 제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기념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성고등공업학교 동문 - 윤승선
    윤승선은 대한제국 관료 윤치오의 아들로, 경성고등공업학교를 졸업하고 일본군 관동군사령부 대위와 해군 소령을 거쳐 해병대 공병감 등을 지냈으며, 응용공업주식회사 부사장과 민주당 고문을 역임했다.
  • 이상 - 변동림
    변동림은 시인 이상과 결혼하고 화가 김환기와 재혼했으며, 김향안이라는 필명으로 수필가로 활동하다 서양화가로 등단하여 2004년 사망했다.
  • 이상 - 이상문학상
    이상문학상은 시인 이상의 문학적 업적을 기려 문학사상사에서 제정한 대한민국의 문학상으로, 매년 전년도 중단편 순수문학 작품을 대상으로 수상작을 선정하여 작품집으로 출간하며 한국 문학을 대표하는 권위 있는 상으로 자리매김했다.
  • 일제강점기의 삽화가 - 안석주
    안석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삽화가, 만화가, 영화감독, 작사가로, 미술, 영화, 문학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며 시사만화 연재와 영화감독으로 이름을 알렸으나, 친일 행적과 광복 후 우익 언론 활동, 〈우리의 소원〉 작사 등의 행적을 남겼다.
  • 일제강점기의 삽화가 - 현재덕
    현재덕은 아동문학가 현덕의 동생으로, 일제강점기부터 아동문학과 미술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소년조선일보 동화 연재를 이어받고 김유정 등과 교류했으나, 친일 행적으로 인해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포함되었다.
이상 (작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상
본명김해경
출생일1910년 9월 23일
출생지조선 경성부 서서 인달방 사직동계 사직동 (現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동)
사망일1937년 4월 17일
사망지일본 제국 도쿄시 도쿄제국대학 부속병원
직업시인
소설가
건축가
화가
삽화가
활동 기간1929년 ~ 1937년
언어한국어
양부김연필
생부김연창
생모박세창
배우자금홍
변동림
친척김옥희(누이동생)
김운경(남동생)
구본웅(처이질뻘)
로마자 표기I Sang
출생 로마자 표기Gim Haegyeong
작품 활동
주요 작품오감도
날개
문학 사조모더니즘
소속 단체구인회
필명
필명이상
비구
보산
하융

2. 생애

이상은 1910년 서울 종로구 사직동에서 태어나, 두 살 때부터 큰아버지 김연필에게 맡겨져 교육을 받았다. 일곱 살에 신명학교에 입학했고, 이후 동명학교(후에 보성고등보통학교와 합병), 경성고등공업학교로 진학했다. 보성고등보통학교 시절에는 화가를 꿈꾸기도 했으며, 학교에서 우등상을 받기도 했다.

1929년, 보성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조선총독부 관리였던 큰아버지의 도움으로 총독부 내무국 건축과 기술수로 취직했다. 11월에는 관방회계과 영선계로 전근했다. 이 무렵, 일본어 건축 회계 잡지 『조선과 건축』의 표지 그림 공모에 응모하여 1등과 3등에 입선했고, 이 잡지에 일본어로 몇 편의 시를 발표하기도 했다.

'이상'이라는 필명은 경성고등공업학교 졸업앨범에도 실려 있어, 건축기사로 근무하기 전부터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 필명은 절친한 화가 구본웅이 선물한, 자두(李)가 들어 있는 상자에 담긴 그림 물감에서 유래했다.

1933년, 객혈로 직장을 그만두고 황해도 백천온천에서 요양하며 기생 금홍을 만났다. 서울로 돌아와 종로 1가에 다방 "츠바메(つばめ)"를 개업하고 금홍을 불러들여 장사를 시켰으나, 경영은 잘 되지 않았다. 이후에도 여러 차례 다방 경영에 도전했지만 모두 실패했다.

1934년 조선중앙일보에 연재된 시 오감도(烏瞰圖)는 난해하다는 이유로 독자들의 항의를 받아 15회 만에 중단되었다.

1936년 여름, 이화여자전문학교 출신(중퇴)인 변동림과 결혼했지만, 생활은 파탄났고 몸은 극도로 쇠약해졌다. 같은 해 가을, 도쿄로 건너갔으나 거지처럼 방황하다 불온선인 혐의로 니시칸다경찰서에 구금되었다. 한 달 후 건강 악화로 석방되었지만, 삶의 의욕을 잃은 상태였다. 1937년 4월 17일 오전 4시, 도쿄제국대학 부속병원에서 2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사인은 폐결핵이었다.

2. 1. 어린 시절

이상(李箱)은 1910년 9월 23일(음력 8월 20일) 경성부 북부 순화방 반정동(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동)에서 아버지 김연창(金演昌)과 어머니 박세창(朴世昌) 사이의 2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4] 본명은 김해경(金海卿)이며, 본관은 강릉이다. 형제로는 누이동생 김옥희와 남동생 김윤경이 있었다.

아버지 김연창은 궁내부 활판소에서 일하다 손가락이 절단되는 사고를 당한 후 이발관을 개업하여 가계를 꾸렸다.[6] 1913년 이상은 백부 김연필의 양자로 입양되어 자랐다.[6] 백부는 본처 사이에 소생이 없었기에 이상을 친자식처럼 키우고 학업을 도왔다. 그러나 백부가 새로운 아내 김영숙을 데려오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김영숙은 김연필과 결혼하기 전 낳은 아들 문경이 있었고, 이상을 문경과 차별하며 홀대했다. 백부 또한 이러한 차별에 별다른 태도를 보이지 않았고, 오히려 어린 조카를 입양했음에도 아들이 아닌 가문을 일으킬 인재로만 생각하여 엄격하게 대했다.

1917년 여덟 살이 되던 해, 이상은 누상동의 신명학교에 입학했다.[43] 재학 중 화가 구본웅과 동기생이 되어 오랜 친구로 이어졌다. 1921년 신명학교를 졸업한 뒤 동광학교에 입학했다. 1922년 동광학교가 보통학교와 합병되자 보성고보에 편입했다. 보성고보 재학 중에는 미술에 관심을 가지고 화가를 지망했으며, 학업 성적도 상급 수준이었다.[43] 1925년 교내 미술전람회에서 유화 〈풍경〉이 입선하기도 했다.[44]

1926년 3월, 보성고보를 졸업한 이상은 같은 해 경성 동숭동의 관립 경성고등공업학교 건축부에 입학했다.[43] 1929년 경성고등공업학교 건축과를 수석으로 졸업했다. 졸업 기념 사진첩에 본명 대신 '이상(李箱)'이라는 별명을 썼는데,[43] 이는 구본웅에게 선물 받은 화구상자(畵具箱子)에서 연유했다는 증언이 있다.[45] 오얏나무(혹은 매화나무)로 만들어진 상자였기 때문에 '이상(李箱)'은 '오얏나무(혹은 매화나무) 상자'라는 뜻으로 풀이된다.[45][8]

2. 2. 조선총독부 기수 시절과 등단

1929년 경성고등공업학교 건축부를 수석으로 졸업하고 학교의 추천으로 조선총독부 내무국 건축과 기수로 발령받았다. 그해 11월 조선총독부 관방회계과 영선계로 자리를 옮겼다.[43] 조선건축회에 정회원으로 가입, 이 학회의 일본어 학회지 《조선과 건축》(朝鮮と建築)의 표지 도안 현상 모집에 1등과 3등으로 당선되었다.[43] 1930년 조선총독부가 일본의 식민지 정책을 일반에게 홍보하기 위해 펴내던 잡지 《조선》 국문판에 2월호부터 12월호까지 9회에 걸쳐 데뷔작이자 유일한 장편소설 《12월 12일》을 필명 이상(李箱) 아래 연재하였다.[43][6] 1931년 6월, 제10회 조선미술전람회에서 서양화 〈자상〉이 입선하였다.[43] 같은 해 《조선과 건축》에 일본어로 쓴 시 〈이상한가역반응〉 등 20여 편을 세 차례에 걸쳐 발표했다.[43]

1931년 7월, 《조선과 건축》에 발표한 일본어 시는 다음과 같다.[6]

  • 〈이상한 가역반응〉 (異常ナ可逆反應|이상한가역반응일본어)
  • 〈파편의 경치〉 (破片ノ景色|파편의경치일본어)
  • 〈▽의 유희〉 (▽ノ遊戯|▽의 유희일본어)
  • 〈수염〉 (ひげ|수염일본어)
  • 〈BOITEUX · BOITEUSE〉
  • 〈공복〉 (空腹|공복일본어)


1931년 8월, 《조선과 건축》에 〈조감도〉(鳥瞰圖)라는 제목으로 발표한 일본어 시는 다음과 같다.[6]

  • 〈이인····1····〉 (二人····1····|이인····1····일본어)
  • 〈이인····2····〉 (二人····2····|이인····2····일본어)
  • 〈신경질적으로 비만한 삼각형〉 (神経質に肥満した三角形|신경질적으로비만한삼각형일본어)
  • 〈LE URINE〉
  • 〈안〉 또는 〈얼굴〉 (顔|안일본어 또는 얼굴한국어)
  • 〈운동〉 (運動|운동일본어)
  • 〈광녀의 고백〉 (狂女の告白|광녀의고백일본어)
  • 〈흥행물천사〉 (興行物天使|흥행물천사일본어)


1931년 10월에는 "삼차각설계도"(三次角設計圖)라는 이름으로 일본어 시 일곱 편을 발표했는데, 각 시의 제목은 〈선에 관한 각서 1〉(線に関する覚書1|선에관한각서1일본어)부터 〈선에 관한 각서 7〉까지이다.[6]

1932년 《조선과 건축》에 〈건축무한육면각체〉 제하에 일본어 시 〈AU MAGASIN DE NOUVEAUTES〉, 〈출판법〉 등을 발표했다.[43] 같은 해 3월과 4월, 《조선》에 단편소설 〈지도의 암실〉을 비구(比久) 필명으로, 〈휴업과 사정〉을 보산(甫山) 필명으로 발표했다.[43][6] 같은 해 《조선과 건축》 표지 도안 현상 공모에서 가작 4석으로 입상했다.[43]

1932년 7월, "건축 무한육면각체"(建築無限六面角體)라는 이름으로 발표한 일본어 시는 다음과 같다.[6]

  • 〈AU MAGASIN DE NOUVEAUTES〉
  • 〈열하약도 No. 2〉 (熱下略圖 No.2|열하약도 No. 2일본어)
  • 〈진단 0:1〉 (診断 0:1|진단 0:1일본어)
  • 〈이십이년〉 (二十二年|이십이년일본어)
  • 〈출판법〉 (出版法|출판법일본어)
  • 〈차 8씨의 출발〉 (且8氏の出発|차8씨의출발일본어)
  • 〈대낮―어떤 ESQUISSE―〉 (真昼―或るESQUISSE―|대낮―어떤ESQUISSE―일본어)

2. 3. 병마와 방황

1931년 폐결핵 감염 진단을 받았고, 병세는 점차 악화되었다.[43] 1933년 새로 부임한 일본인 상사와의 마찰로 스트레스를 받아 각혈 증세까지 보이며 폐결핵이 악화되어 기수직에서 물러나 황해도 배천 온천에서 요양하였다.[43] 이곳에서 기생 금홍을 만나 서울로 데려와 종로 1가에 다방 '제비'(つばめ|쓰바메일본어)를 개업하고 동거하였다.[43] 이상은 머리카락과 수염을 덥수룩하게 기르는 등 방탕한 생활을 했다.

같은 해 문학단체 구인회의 핵심 동인인 이태준, 정지용, 김기림, 박태원 등과 교류하였고,[43] 정지용의 주선으로 잡지 《가톨릭청년》에 〈꽃나무〉, 〈이런 시〉 등을 국문으로 발표했다.[43] 1934년 이태준의 도움으로 시 〈오감도〉를 《조선중앙일보》에 연재했지만, 표현이 난해하다는 독자들의 항의와 비난에 시달려 15편을 끝으로 연재를 중단하였다.[43] 같은 해 동 잡지에서 연재된 박태원의 소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삽화를 그렸다.[43]

1935년 다방 '제비'를 경영난으로 폐업하고 금홍과 결별하였다.[43] 인사동의 카페 '쓰루'(鶴)와 다방 69를 개업 양도하고 명동에서 다방 '무기'(參)를 경영하다 문을 닫은 후 성천, 인천 등지를 떠돌아다녔다.[43]

2. 4. 여성 관계

이상|이상한국어1933년 폐결핵 치료를 위해 배천 온천에 들렀다가 기생 금홍(錦紅)을 처음 만났다.[47] 두 사람은 연인 관계로 발전했고, 이상은 종로1가에 제비다방을 열어 금홍을 마담 자리에 앉히고 동거를 시작했다.[47] 1935년까지 이어진 동거 생활 동안 이상은 순탄치 않은 생활을 했다.[47] 제비다방이 경영난에 빠지자 금홍은 외박을 자주 하게 되었다.[47] 1936년 발표된 이상의 소설 <날개>에는 무기력한 남편과 매춘을 하는 아내가 등장하는데, 극중 아내의 이름 '연심'은 금홍의 본명이다.[47] 금홍의 이러한 행동에 이상은 "예전 생활에 대한 향수"가 났냐며 그녀를 몰아세웠고, 이에 금홍은 가출을 하거나 이상을 심하게 때리기까지 하였다.[47] 1936년 12월 발표된 소설 <봉별기>에서 “하루 나는 제목 없이 금홍이에게 몹시 얻어맞았다. 나는 아파서 울고 나가서 사흘을 들어오지 못했다. 너무나도 금홍이가 무서웠다. 나흘 만에 와 보니까 금홍이는 때 묻은 버선을 윗목에다 벗어 놓고 나가 버린 뒤였다.” 라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47] 1935년 여름 금홍은 몇 번의 가출 끝에 결국 이상의 집을 완전히 나가버렸고, 그해 9월 제비다방은 문을 닫았다.[47]

제비다방이 경영난에 시달릴 무렵, 이상은 부모의 집을 저당 잡혀 인사동 카페 ‘쓰루’를 인수하고 카페 ‘엔젤’에서 근무하던 권순옥을 여급으로 데려왔다.[46] 이상이 권순옥과 처음 만난 것은 4년 전이다.[46] 권순옥은 금홍과는 다르게 고리키 전집을 전부 독파한 지적인 여성이었다.[46] 권순옥은 이상의 창백한 얼굴과 고수머리, 즉흥적이고 무계획한 생활 태도와 천재적인 작품 세계가 D.H.로렌스와 흡사하다고 보고 그에게 ‘D.H.로렌스의 모조품’이란 별명을 붙여주었다.[46] 이상은 이 별명을 몹시 마음에 들어 정인택을 비롯한 그의 친구들에게 자랑하곤 했다.[46] 이상은 권순옥에게 빠지게 되었지만 이어지지 못했는데, 그 이야기는 1936년 6월 발표된 소설 <환시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46] <환시기>에서 ‘나’는 이상 자신을, 순영은 권순옥, 송군은 소설가 정인택을 나타내고, 다음과 같은 구절을 확인할 수 있다.[46] “나와 순영이 송군 방 미닫이를 열었을 때 자살하고 싶은 송군의 고민은 사실화하여 우리들 눈앞에 놓여져 있었다. 아로날 서른여섯 개의 공동(空洞) 곁에 이상(李箱)의 주소와 순영의 주소가 적힌 종잇조각이 한 자루 칼보다도 더 냉담한 촉각을 내쏘면서 무엇을 재촉하는 듯이 놓여 있었다. (…) 나는 코고는 ‘사체’를 업어내려 자동차에 실었다. 그리고 단숨에 의전병원으로 달렸다.”[46] 이상은 권순옥을 사랑하였지만, 이상의 친구였던 정인택 또한 그녀를 짝사랑하면서 이들은 삼각관계에 빠지게 되었다.[46] 이에 권순옥의 마음을 얻고 싶었던 정인택은 앞의 책 내용처럼 자살 기도까지 하였다.[46] 이 사건을 계기로 권순옥과 정인택이 결혼에 이르게 되었으며, 이들의 결혼 사회를 이상이 보았다는 것도 당시 화제가 되었다.[46]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를 거쳐 이화여자전문학교 영문과를 졸업한 문학소녀였던 변동림은 화가 구본웅의 이모다.[47] 구본웅은 친모가 산후 후유증으로 세상을 떠난 후 계모 변동숙의 손에 자랐는데 변동숙은 구본웅을 지극정성으로 키웠다.[47] 그런데 변동숙의 아버지가 훗날 새장가를 들어 자신과 스물여섯 살이나 차이가 나는 이복여동생을 낳았는데, 그녀가 바로 변동림이다.[47] 변동림은 연상의 조카 구본웅의 친구 이상과 커피를 마시고 데이트를 하면서 문학을 논하다가 사랑에 빠졌고, 살날이 얼마 남지 않은 그와 결혼하겠다고 결심했다.[47] 이상이 폐병을 앓고 있음을 아는 변동숙은 이를 반대했지만, 변동림은 1936년 6월 이상과 결혼을 강행했다.[47] (그러나 두 사람은 혼인신고를 하지 않았고, 그래서 이상의 호적에는 변동림의 이름이 존재하지 않는다.)[47] 이제 막 결혼한 신혼부부였지만, 이상의 폐결핵은 점점 심해졌고 이에 구본웅은 천재이자 연하의 이모부인 그가 그렇게 허망하게 삶을 마감하도록 놔둘 수 없다며, 일본으로 가서 요양하라고 돈을 건넸다.[47] 하지만 두 사람이 함께 생활할 수 있는 액수는 아니었기에 결혼 4개월 만인 1936년 9월 이상은 혼자 일본으로 떠났다.[47] 1937년 2월 일본에서 요양하던 이상은 공원을 산책하다 불령선인이라는 죄목으로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다.[47] 이상은 니시칸다 경찰서에 34일간 구금되었는데, 이때 건강이 다시 돌이키기 힘들 정도로 악화되었다.[47] 얼마 후 변동림은 도쿄에 거주하는 이상의 친구에게 도쿄 제국대학 부속병원에 입원한 이상이 매우 위독하기에 빨리 일본으로 오라는 전보를 받았다.[47] 1937년 4월 17일 이상은 변동림이 병원에 도착하고 며칠 후 “멜론이 먹고 싶소”라는 말을 남기고 눈을 감았다.[47] 변동림은 수필 <월하의 마음>에서 이상의 마지막에 대해 다음과 같이 회상했다.[47] “나는 철없이 천필옥에 멜론을 사러 나갔다. 안 나갔으면 상은 몇 마디 더 낱말을 중얼거렸을지도 모르는데. 멜론을 들고 와 깎아서 대접했지만 상은 받아 넘기지 못했다. 향취가 좋다고 미소짓는 듯 표정이 한 번 더 움직였을 뿐 눈은 감겨진 채로. 나는 다시 손을 잡고 가끔 눈을 크게 뜨는 것을 지켜보고 오랫동안 앉아 있었다.”[47] 훗날 변동림은 이상의 죽음에 대해 “그는 가장 천재적인 황홀한 일생을 마쳤다. 그가 살다가는 27년은 천재가 완성되어 소멸되는 충분한 시간이다”라고 회상했다.[47]

2. 5. 일본으로의 도피와 죽음

1936년 변동림과 결혼했으나, 이상의 폐결핵이 심해져 구본웅의 권유와 지원으로 요양을 위해 일본으로 건너갔다.[47] 그러나 결혼 4개월 만인 1936년 9월, 이상은 혼자 일본으로 떠났다.[47]

1937년 2월, 일본에서 요양하던 중 공원을 산책하다 불령선인이라는 죄목으로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니시칸다 경찰서에 34일간 구금되었는데, 이때 건강이 급격히 악화되었다.[47] 얼마 후 변동림은 도쿄에 거주하는 이상의 친구에게서 도쿄 제국대학 부속병원에 입원한 이상이 매우 위독하다는 전보를 받았다.[47]

1937년 4월 17일, 이상은 변동림이 병원에 도착하고 며칠 후 “천필옥의 멜론이 먹고 싶소”라는 말을 남기고 눈을 감았다.[47] 변동림은 수필 〈월하의 마음〉에서 “나는 철없이 천필옥에 멜론을 사러 나갔다. 안 나갔으면 상은 몇 마디 더 낱말을 중얼거렸을지도 모르는데. 멜론을 들고 와 깎아서 대접했지만 상은 받아 넘기지 못했다.”라고 회상했다.[47] 훗날 변동림은 이상의 죽음에 대해 “그는 가장 천재적인 황홀한 일생을 마쳤다. 그가 살다가는 27년은 천재가 완성되어 소멸되는 충분한 시간이다”라고 회상했다.[47]

말년의 이상은 술과 여자를 즐겼다고 한다. 동료 문인이자 친구인 박태원은 이상에 대해서 "그는 그렇게 계집을 사랑하고 술을 사랑하고 벗을 사랑하고 또 문학을 사랑하였으면서도 그것의 절반도 제 몸을 사랑하지는 않았다."면서 "이상의 이번 죽음은 이름을 병사에 빌었을 뿐이지 그 본질에 있어서는 역시 일종의 자살이 아니었든가 - 그러한 의혹이 농후하여진다."고 했다.[48]

2. 6. 사후

이상문학상은 그를 기리기 위해 출판사 문학사상사에서 1977년 제정하여 매년 시상하고 있다. 2008년에는 현대불교신문사와 계간 ‘시와 세계’가 이상시문학상을 제정해[49] 역시 매년 수상자를 내고 있다. 2010년에는 이상 탄생 100주년을 맞아 생전에 발표한 작품과 사후 발굴된 작품을 포함해 그의 문학적 세계를 재발견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45]

3. 작품 세계와 특징

이상은 작품에서 문법을 무시하거나 수학 기호를 사용하는 등 기존 문학 체계를 벗어난 실험적인 시도를 했다. 이는 한국 문학에서 이전에 거의 시도되지 않았던 것으로, 그의 작품은 발표 직후부터 현대까지 문학계에 큰 충격을 주었다고 평가된다.[50]

그의 작품은 줄거리 전개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고, 소설은 극단적으로 주인공의 내면에만 집중하는 자폐적 특징을 보인다.[50] 주인공 역시 사회에서 소외되어 자신의 흥미나 형이상학적 의미에만 집착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작가 이상 자신에 대한 묘사라고도 분석된다.[50]

문법 파괴와 의식의 흐름 기법을 사용한 독특한 서술 방식은 주인공의 무의식적인 내면을 잘 드러내며,[50] 기존 문학에 대한 반감 또는 무시를 의미하는 동시에, 서술 대상을 없애고 언어 자체에만 비중을 둔다.

일부에서는 이상이 언어유희를 이용해 조선총독부에서 발간하는 월간지에 '12, 12'라는 제목의 소설을 연재하여 일제에 저항했다고 주장한다. 조선총독부 일본인 관리들이 '12, 12'를 숫자로만 이해하고 한글 발음으로 욕설이 된다는 점을 몰랐다는 점을 이용해 그들을 골탕 먹였다는 것이다.[51] 그러나 이는 이상이 일제에 대한 반감이나 독립운동에 대한 관심을 보인 적이 없다는 점에서 부정되기도 한다.

이상은 일제강점기 한국의 대표적인 아방가르드 작가로, 그의 작품은 언어, 내면성, 자아와 외부 세계의 분리에 대한 실험을 보여준다. 특히 그의 시는 다다이즘초현실주의 같은 서구 문학 개념의 영향을 받았다. 건축가 출신이었던 이상의 배경은 그의 작품에 영향을 미쳐, 선, 점, 숫자 체계, 방정식, 도표 등 수학과 건축의 언어를 종종 통합했다.[24]

그의 문학적 유산은 근대주의적 경향으로 특징지어진다. 그의 시는 현대인의 황량한 내면 풍경을 드러낸다. 예를 들어, "오감도 시제1호"는 반현실주의 기법을 사용하여 불안과 공포의 주제를 응축한다. 그의 소설은 전통적인 소설 형식을 해체하여 현대 생활의 조건을 묘사한다. 예를 들어, ''날개''는 의식의 흐름 기법을 사용하여 일상의 현실과 연결될 수 없는 단편적인 상품인 현대인의 소외를 표현한다.[10]

이상은 생전에 작품으로 많은 인정을 받지 못했지만, 1950년대부터 재인쇄되기 시작했다. 그의 명성은 1970년대에 급상승했고, 1977년에는 이상문학상이 제정되었다. 2007년에는 한국시인협회에서 한국 현대 시인 10인에 선정되었다.[25] 그의 가장 유명한 단편 소설은 "날개"(날개|한국어)이며, 시 "오감도" 또한 잘 알려져 있다.

이상의 작품은 복잡하고 모호한 표현을 사용하며, 때로는 관습적인 문법에 맞지 않는 단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의 초기 시 대부분(1932년까지 쓰여진 "조선과 건축"에 발표된 시 포함)과 유고 일부는 일본어로 쓰여졌다. 번역은 이상의 원작이 의도한 의미를 완전히 포착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그의 작품을 정확하게 분석하려면 번역본보다는 원문을 통해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작품을 해석할 때 양자역학을 고려할 가치가 있다는 주장도 있다.[26] 이상의 많은 작품에는 물리학 관련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에는 이상의 문학과 과학을 분석하는 강좌가 있으며, 이 강좌에서 이상에 관한 논문 네 편이 발표되었다.[28][29][30][31]

이상의 대표작들은 다음과 같다.

발표 연도작품 종류제목언어비고
1930년중편 소설십이월 십이일한국어
1931년 7월이상한 가역반응일본어
파편의 경치일본어
▽의 유희일본어
수염일본어
BOITEUX · BOITEUSE일본어
공복일본어
1931년 8월이인····1····일본어조감도
이인····2····일본어조감도
신경질적으로 비만한 삼각형일본어조감도
LE URINE일본어조감도
또는 얼굴일본어조감도
운동일본어조감도
광녀의 고백일본어조감도
흥행물천사일본어조감도
1931년 10월선에 관한 각서 1~선에 관한 각서 7일본어삼차각설계도
1932년 3-4월소설지도의 암실한국어비구라는 필명 사용
휴업과 사정한국어보산이라는 필명 사용
1932년 7월AU MAGASIN DE NOUVEAUTES일본어건축무한육면각체
열하약도 No. 2일본어건축무한육면각체
진단 0:1일본어건축무한육면각체
이십이년일본어건축무한육면각체
출판법일본어건축무한육면각체
차 8씨의 출발일본어건축무한육면각체
대낮―어떤 ESQUISSE―일본어건축무한육면각체
1933년꽃나무한국어
이런 시한국어
거울한국어
1934년보통기념한국어
혈서삼태한국어
오감도한국어
지팡이 역사한국어
소영위제한국어
산책가을한국어
1936년소설가외가전한국어
1936년소설종생기한국어
1936년수필권태한국어


4. 평가 및 영향

이상은 작품에서 문법을 무시하거나 수학 기호를 사용하는 등 기존 문학 체계를 벗어난 실험적인 시도를 했다. 이는 한국 문학에서 이전에 거의 시도되지 않았던 것으로, 그의 작품은 발표 직후부터 현대까지 문학계에 큰 충격을 주었다고 평가된다.[50] 그의 작품은 줄거리 전개가 명확하지 않고, 주인공의 내면에만 집중하는 자폐적 특징을 보인다.[50] 주인공 역시 사회에서 소외되어 자신의 흥미나 형이상학적 의미에만 집착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작가 이상 자신에 대한 묘사로도 분석된다.

문법 파괴와 의식의 흐름 기법을 사용한 독특한 서술 방식은 주인공의 무의식적인 내면을 잘 드러내며,[50] 기존 문학에 대한 반감 또는 무시를 의미하는 동시에, 서술 대상을 없애고 언어 자체에만 비중을 둔다.

일부에서는 이상이 언어유희를 통해 조선총독부에서 발간하는 월간지에 '12, 12'라는 제목의 소설을 연재하여 일제에 저항했다고 주장한다. 조선총독부 일본인 관리들이 '12, 12'를 숫자로만 이해하고 한글 발음으로 욕설이 된다는 점을 몰랐다는 점을 이용했다는 것이다.[51] 그러나 이상이 독립운동에 관심을 보인 적이 없다는 점에서 이러한 주장은 부정되기도 한다.

이상은 일제강점기 한국의 대표적인 아방가르드 작가로, 그의 작품은 언어, 내면성, 자아와 외부 세계의 분리에 대한 실험을 보여준다. 특히 그의 시는 다다이즘초현실주의 등 서구 문학의 영향을 받았다. 건축가 출신인 이상의 배경은 그의 작품에 영향을 주어, 수학과 건축의 언어를 종종 통합했다.[24]

그의 문학적 유산은 근대주의적 경향으로 특징지어진다. 그의 시는 현대인의 황량한 내면 풍경을 드러낸다. 예를 들어, "오감도 시제1호"는 반현실주의 기법을 사용하여 불안과 공포를 응축한다. 그의 소설은 전통적인 소설 형식을 해체하여 현대 생활을 묘사한다. ''날개''는 의식의 흐름 기법을 사용하여 현실과 연결될 수 없는 단편적인 상품인 현대인의 소외를 표현한다.[10]

이상은 생전에 작품으로 큰 인정을 받지 못했지만, 1950년대부터 재인쇄되기 시작했다. 그의 명성은 1970년대에 급상승했고, 1977년에는 이상문학상이 제정되었다. 2007년에는 한국시인협회에서 선정한 한국 현대 시인 10인에 포함되었다.[25] 그의 대표작으로는 단편 소설 "날개"와 시 "오감도"가 있다.

이상의 작품은 복잡하고 모호한 표현을 사용하며, 관습적인 문법에 맞지 않는 단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초기 시 대부분과 유고 일부는 일본어로 쓰였다. 번역은 원작의 의미를 완전히 포착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그의 작품을 정확하게 분석하려면 원문을 통해 이해하는 것이 좋다.

일부에서는 이상의 작품을 해석할 때 양자역학을 고려할 가치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상의 많은 작품에는 물리학 관련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양자역학은 1936년 도상록이 월간지 "조광"에 발표한 논문을 통해 조선에 처음 소개되었다.[26] 이상의 일본어 능력을 고려할 때 일본어 자료를 통해 양자역학을 알게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에는 이상의 문학 작품을 과학과 다양한 언어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이상의 문학과 과학' 강좌가 있다.[27]

5. 작품 목록

이상은 1930년대 한국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중 한 명으로, 시, 소설, 수필 등 다양한 장르에서 작품을 남겼다. 그의 작품은 난해하고 실험적인 특징으로 인해 발표 당시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지만, 한국 문학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

장편 소설
년도제목번역 제목년도출판사
1930십이월 십이일십이월 십이일 (December 12)1930조선



중편 소설
년도제목 (영어 제목)번역 제목출판사비고
1932지도의 암실지도의 암실 (Darkroom of a Map)조선 3월호필명 비구[33]
1932휴업과 사정휴업과 사정 (Shutdown & Reasons)조선 4월호
1934지팽이 력사월간 매신 3월호
1936지주회시지주회시 (Ji-Ju-Whoe-Shi)중앙 6월호제목은 "두 마리 거미가 돼지를 만났다"는 뜻[34]
1936날개날개 (The Wings)조광 9월호
1936봉별기봉별기 (Bongbyeolgi)여성 12월호제목은 "만남과 이별의 기록"이라는 뜻
1937동해동해 (Child's Remains)조광 2월호
1937황소와 도깨비황소와 도깨비 (The Bull and the Goblin)매일신보 3월 5일~9일우화/동화
1937종생기조광 5월호
1938환시기환시기 (Record of Illusions)청색지 6월호
1939실화실화 (Flower Loss)문장 3월호
1939단발단발 (Hair Cut)조선 4월호
1939김유정김유정 (Kim Yu Jeong)청색지 5월호



편지, 잡지 등
년도제목번역 제목출판사비고
1936동생 옥희 보아라동생 옥희 보아라 (Read this letter sister Ohk-he)중앙 9월호여동생 김옥희(金玉姬)에게 보낸 편지
1936김기림에게 2김기림에게 2 (To Kim Ki-rim (2))김기림에게 보낸 편지
김기림에게 3김기림에게 3 (To Kim Ki-rim (3))
김기림에게 4김기림에게 4 (To Kim Ki-rim (4))
김기림에게 5김기림에게 5 (To Kim Ki-rim (5))
김기림에게 6김기림에게 6 (To Kim Ki-rim (6))
김기림에게 7김기림에게 7 (To Kim Ki-rim (7))
김기림에게 8김기림에게 8 (To Kim Ki-rim (8))
1936안필승(안회남)에게안회남(安懷南)에게 보낸 편지
1936남동생 김운경에게남동생 김운경에게 (To my brother Kim Un-Gyeong)남동생 김운경(金雲卿)에게 보낸 편지
1936아포리즘아포리즘 (Aphorism)시와 소설(Poetry and Novel) 3월호
1939문장 7월호
-경성고등공업전문학교 사진첩



일본어 수필
년도제목 (원어)제목 (번역)출판사
1935船の歴史배의 역사신아동 10월호
1960얼마 안되는 변해현대문학 11월호
(無題)(무제)
(無題)
이 아해들에게 장난감을 주라현대문학 12월호
모색
(無題)
1961습작 쇼오윈도우 수점현대문학 2월호
1976첫번째 방랑문학사상 7월호
불행한 계승
객혈의 아침
황의 기(작품 제2번)
작품 제3번작품 제3번
1986공포의 기록(서장)문학사상 10월호
공포의 성채
야색
단상
2000낙랑 파라의 새로움낙랑 파라의 새로움한국문학연구



일본어 서간, 잡지 등
년도제목 (원어)제목 (번역)출판사비고
1932巻頭言1조선과 건축 6월호잡지 편집에 참여하면서 이상의 작품으로 추정됨
巻頭言2조선과 건축 7월호
巻頭言3조선과 건축 8월호
巻頭言4조선과 건축 9월호
巻頭言5조선과 건축 10월호
巻頭言6조선과 건축 11월호
巻頭言7조선과 건축 12월호
1933巻頭言8조선과 건축 5월호
巻頭言9조선과 건축 6월호
巻頭言10조선과 건축 7월호
巻頭言11조선과 건축 8월호
巻頭言12조선과 건축 10월호
巻頭言13조선과 건축 11월호
巻頭言14조선과 건축 12월호
1978낙서낙서이상 시전작집 아트북전집(2)의 화보에 수록. "낙랑 벽에 이상의 낙서. 여기서 술을 마시며 분을 삭였다."라고 적혀있음. 낙랑낙랑 파라라는 카페를 의미하며, 수필 「낙랑 파라의 새로움」에도 등장.
1976낙서낙서독서생활 11월호쥘 르나르의 「힘의 수첩」내지에 이상의 자화상과 함께 실림. 임종국이 소개.



1960년 이후 총 26편의 이상의 작품이 발견되었다. 이 중 25편은 비평가 조연현이 입수한 이상의 유고 원고에서 출판된 것이다. 발견 과정에 대해 조연현은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얼마 전 한양대학교 야간부 학생 이연복이라는 학생이 낡은 수첩을 가지고 왔습니다. 처음 만나는 학생이었지만 문학에 조예가 깊고 특히 이상을 좋아하는 학생이라는 것을 금방 알 수 있었습니다. 그가 가져온 수첩은 이상의 일본어 시 원고였습니다. 이연복은 가구점을 하는 친구 김종선의 집에 놀러갔다가 그 수첩을 발견했습니다. 김종선의 형이 골동품 서점을 하는 지인으로부터 폐지로 쓰이던 이 수첩을 얻었다는 것입니다. 약 100페이지 분량의 수첩은 약 90%가 손상되어 10% 정도만 온전했습니다. 이연복은 일본어를 잘하지 못했지만 수첩에 적힌 글씨에 흥미를 느껴 수첩을 얻어 李箱全集 등을 비교하며 이상의 미발표 원고로 추정하고 저에게 가져왔습니다."[6]

5. 1. 소설


  • 날개
  • 종생기
  • 《단발(斷髮)》
  • 실화(失花)
  • 《환시기(幻視記)》
  • 《동해(童骸)》
  • 《봉별기(逢別記)》
  • 《지주회시(蜘蛛會豖)》
  • 《지도의 암실》
  • 《황소와 도깨비》
  • 《지팽이 역사》
  • 《사신1-9》
  • 《12월 12일》

5. 2. 시

이상은 난해한 시로 유명하며, 초기에는 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아 실험적인 작품들을 많이 발표했다. 대표작으로는 오감도, 건축무한육면각체, 삼차각설계도 등이 있다.

《조선과 건축》 1931년 7월호에 〈이상한 가역반응〉, 〈파편의 경치〉, 〈▽의 유희〉, 〈수염〉, 〈BOITEUX·BOITEUSE〉, 〈공복〉 등의 시를 발표했다.[32] 1933년에는 《가톨릭 청년》에 〈꽃나무〉, 〈이런 詩〉, 〈1933, 6, 1〉 등을 발표했고, 같은 해 10월에는 〈거울〉을 발표했다. 1934년 7월에는 《월간매신》에 〈보통기념〉을 발표했다.[32]

1934년 《조선중앙일보》에 연작시 오감도를 발표했으나, 난해하다는 독자들의 항의로 연재가 중단되었다.[32] 이상의 사후, 1937년부터 1939년까지 시, 수필, 소설 등 그의 유고 16편이 발표되었다. 1956년에는 일본어 시 9편이 추가로 발견되어 한국어로 번역 출판되었다.[32] 이후 1960년부터 1976년까지는 여러 가지 이유로 이상의 것으로 거의 확실시되는 일본어 원고가 추가로 발견되어 한국어로 번역, 소개되었다.[6]

다음은 연도별 이상 시의 목록이다.

한국어 시
연도시리즈제목번역 제목출판사
1933-꽃나무꽃나무 (A Flower Tree)가톨릭청년
이런 시이런 시 (This Kind of Poem)
1933, 6, 1
거울거울 (Mirror)
보통 기념월간 매신
1934오감도 (烏瞰圖)시제1호시제1호 (Poem No.1)조선중앙일보
시제2호시제2호 (Poem No.2)
시제3호시제3호 (Poem No.3)
시제4호시제4호 (Poem No.4)
시제5호시제5호 (Poem No.5)
시제6호시제6호 (Poem No.6)
시제7호시제7호 (Poem No.7)
시제8호 해부시제8호 해부 (Poem No.8 Dissection)
시제9호 총구시제9호 총구 (Poem No.9 Muzzle)
시제10호 나비시제10호 나비 (Poem No.10 Butterfly)
시제11호시제11호 (Poem No.11)
시제12호시제12호 (Poem No.12)
시제13호시제13호 (Poem No.13)
시제14호시제14호 (Poem No.14)
시제15호시제15호 (Poem No.15)
-소영위제중앙
1935-정식가톨릭청년
지비조선중앙일보
1936-지비-어디 갔는지 모르는 안해중앙
역단화로가톨릭청년
아츰
가정
역단
행로
-가외가전시와 소설
명경여성
위독금제조선일보
추구
침몰
절벽
백주
문벌
위치
매춘
생애
내부
육친
자상
-I WED A TOY BRIDE삼사문학
1937-파첩찢어진 수첩 (Torn Notebook)자오선 10월호
1938-(무제)(무제) (Untitled)맥(제3호) 10월호
(무제) (기이)(무제) (Untitled)맥(제4호) 10월호



일본어 시
연도시리즈제목 (원어)제목 (번역)출판사
1931-異常ナ可逆反應이상한 가역반응조선과 건축 7월호
破片ノ景色파편의 경치
▽ノ遊戯▽의 유희
ひげ (李箱)수염 (이상)
BOITEUX·BOITEUSE
空腹공복
鳥瞰圖二人····1····두 사람 ····1····조선과 건축 8월호
二人····2····두 사람 ····2····
神経質に肥満した三角形신경질적으로 비만한 삼각형
LE URINE
얼굴
運動운동
狂女の告白광녀의 고백
興行物天使
三次角設計図線に関する覚書1선에 관한 각서 1조선과 건축 10월호
線に関する覚書2선에 관한 각서 2
線に関する覚書3선에 관한 각서 3
線に関する覚書4선에 관한 각서 4
線に関する覚書5선에 관한 각서 5
線に関する覚書6선에 관한 각서 6
線に関する覚書7선에 관한 각서 7
1932건축 무한육면체AU MAGASIN DE NOUVEAUTES백화점에서조선과 건축 7월호
熱河略図 No.2열하약도 No.2
診断 0:1진단 0:1
二十二年22년
出版法출판법
且8氏の出発차8씨의 출발
真昼――或るESQUISSE――한낮――어떤 ESQUISSE――
1940-蜻蛉잠자리유백색의 구름
一つの夜어느 밤
1956隻脚외다리이상 전집
距離(女去りし場合)거리(여자가 떠난 경우)
囚人の作った箱庭죄수가 만든 정원
肉親の章육친의 장
内科내과
骨片ニ関スル無題뼈 조각에 관한 무제
街衢ノ寒サ거리의 추위
아침
最後마지막
1960(無題)(무제)현대문학 11월호
1931年(작품 제1번)1931년(작품 제1번)
1961구두구두신동아 1월호
어리석은 석반현대문학 1월호
1966(無題)(무제)현대문학 7월호
애야
1976회한의 장문학사상 6월호
단장문학사상 7월호
요다 준이치(與田準一)요다 준이치(與田準一)
츠키하라 토오이치로(月原橙一郞)


5. 3. 수필

이상 수필 목록
년도제목번역 제목출판사비고
1934혈서삼태신여성 6월호
산책의 가을산책의 가을 (The autumn of a walk)신동아 10월호
1935현대미술의 요람현대미술의 요람 (The cradle of modern art)매일신보 3월 14일~3월 23일
산촌여정매일신보 9월 27일~10월 11일
1936문학을 버리고 문화를 상상할 수 없다문학을 버리고 문화를 상상할 수 없다 (I can't imagine culture without literature)조선중앙일보 1월 6일
나의 애송시나의 애송시 (My favorite poem)중앙 1월호
논단시감조선일보 1월 24일~1월 28일
서망률도조광 3월호
조춘점묘매일신보 3월 3일~3월 26일
편집후기시와 소설 3월호
여상사제여성 4월호
내가 좋아하는 화초와 내 집의 화초조광 5월호
약수중앙 7월호
EPIGRAM여성 8월호
아름다운 조선말아름다운 조선말 (The Beautiful Korean Language)중앙 9월호
행복행복 (Happiness)여성 10월호
가을의 탐승처조광 10월호
추정잡필매일신보 10월 14일~10월 28일
1937십구세기식삼사문학 4월호
공포의 기록공포의 기록 (Records of Horror)매일신보 4월 25일~5월 15일
권태조선일보 5월 4일~5월 11일
슬픈 이야기슬픈 이야기 (A Sad Story)문장 6월호
오감도 작자의 말오감도 작자의 말 (Remarks from the author of "Crow's Eye View")문장 6월호박태원의 추도사 「이상의 편모」에 따르면, "오감도 30편이 15편으로 단축되면서 쓰여졌다. 당시에는 발표되지 않았다."
1938문학과 정치문학과 정치 (Literature and Politics)사해공론 7월호
1939실락원실락원 (Paradise Lost)조광 2월호
병상 이후청색지 5월호
동경문장 5월호
최저낙원조선문학 5월호


6. 이상을 다룬 작품


  • 금홍아 금홍아한국어 (1995년) - 배우: 김갑수[39]
  • 이상의 날개한국어 (1968년) - 배우: 신성일[38]
  • 이상 그 이상한국어 (MBC, 2013년) - 배우: 조승우[40]
  • 58년 개띠 총각 감독한국어 (2014년) - 배우: 조찬형
  • 《스모크》(Smoke영어, 2017년) - 이상의 "오감도"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되었다. 이상의 여러 측면을 대변하는 세 인물의 삶을 다루며, 뮤지컬의 서사와 가사에는 이상의 문학 작품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 포함되어 있다.[40]
  • 《팬레터》 (2016년) - 1930년대를 배경으로 이상, 김유정, 구인회의 일화를 바탕으로 한다.
  • 《라흐헤스트》(L'art reste프랑스어, 2022년) - "예술은 남는다"라는 뜻으로, 서양 화가 김향안(변동림), 그의 첫 남편 이상, 그리고 두 번째 남편 김환기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다.
  • 《꾿빠이, 이상》(Kkood bye, Yi Sang한국어, 2017년) - 서울예술의전당 주최. 2016년 동명의 원작 소설[41]을 바탕으로 한다.
  • 림버스 컴퍼니 - 롤플레잉 게임 림버스 컴퍼니에는 이상이라는 이름의 등장인물이 등장한다. 이 인물은 실제 시인 이상에게서 영감을 받았으며, 이상의 아방가르드 정신을 구현하고 있다. 게임에서 이상은 재능 있는 과학자로 묘사되는데, 이는 식민지 시대 건축 기술자였던 실제 작가의 경력을 반영한다. 등장인물의 대사는 종종 이상의 시, 예를 들어 "날개"와 "거울"을 언급하며 그의 작품에서 발견되는 시간과 존재에 대한 심오한 주제를 반영한다. 게임에는 "구인회"에서 영감을 받은 "구인회 9인의 문학가 연맹"이라는 이름의 집단도 등장한다. 게임의 일부 적대자들은 유치진과 박태원과 같이 친일 활동에 가담했던 구인회의 역사적 인물들을 모델로 했다.
  • 신해경(Shin Haegyeong영어) - 자신의 음악에서 이상의 문학적 주제를 자주 활용한다. 그의 예명과 여러 앨범 제목은 이상의 작품을 직접적으로 참조한다. 예를 들어, 그의 이름은 이상의 본명인 김해경에서 따왔다. 그의 앨범 "My Reversible Reaction영어"은 이상의 시 "이상한 가역반응한국어"에서 영감을 받았다. "And then영어" 뮤직비디오의 끝에는 이상의 소설 《봉별기》의 구절인 "속아도 꿈결, 속여도 꿈결한국어"이 직접적으로 나타난다.[42]

참조

[1] 웹사이트 이상(李箱) https://encykorea.ak[...] 1996
[2] 웹사이트 [한국 현대시 10대 시인] <1> 김소월 https://www.hankooki[...] 2007-10-15
[3] 웹사이트 online http://klti.or.kr/ke[...] 2013-09-03
[4] 웹사이트 이상 연보 http://yisang.or.kr/[...] 이상문학회 2019-03-28
[5] 서적 이상 평전 암호적 예술의 숲을 찾아서 전북대학교출판문화원
[6] 서적 이상 전집 1 태학사
[7] 서적 이상 전집 4 : 수필 태학사 2013
[8] 웹사이트 천재 '이상'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 https://weekly.donga[...] 2010-04-27
[9] 서적 Wings (날개) 朝光 1936-09
[10] 웹사이트 online http://klti.or.kr/ke[...] 2013-09-03
[11] 웹사이트 이상(李箱) https://encykorea.ak[...] 2023-06-04
[12] 논문 The Writing Community of Guinhoe: Time of the Eternal Recurrence https://www.kci.go.k[...] 2019
[13] 논문 Guinhoi and KAPF (1) - Review of Previous Research 2009
[14] 서적 Who's Who in Korean Literature Hollym
[15] 서적 이상 전집 4 : 수필 태학사
[16] 서적 오감도·권태 : 이상 시·산문전집 애플북스, 비전비엔피
[17] 서적 구보가 아즉 박태원일 때 깊은샘
[18] 논문 A study of the Literary Relationship between Yi Sang and Park Tae-won https://www.kci.go.k[...] 2021-09-30
[19] 논문 Contemporary artistry and Aesthetical political nature of Guinhoe's modernism: Concentraiting on Shiwa Soseol(Poetry and Novel) https://doi.org/10.3[...] 2017
[20] 논문 1930년대 모더니즘 텍스트의 알레고리적 양상 연구(1)– 이상과 박태원의 예술가적 자의식과 사소설적 연애담에 대한 일고찰 https://doi.org/10.2[...] 2020
[21] 논문 Narrative Aspects and its Meaning on the Condolences notes about the Deceased Writers of the late 1930s - Centering on the Condolences Notes submitted to Death of Kim Yoo-jung and Lee Sang - http://www.dbpia.co.[...] 2018-09-30
[22] 논문 Lee Sang and Guinhoe(The Circle of Nine) http://www.riss.kr/l[...]
[23] 논문 구본웅(具本雄)과 이상(李箱), 그리고 '목이 긴 여인초상' http://www.riss.kr/l[...]
[24] 서적 Twentieth-Century Korean Literature EastBridge Signature Books Series
[25] 뉴스 Top Ten Korean Modern Poets Selected https://www.koreatim[...] 2007-10-15
[26] 뉴스 100년 전 조선은 왜 아인슈타인에 열광했을까? https://www.busan.co[...] 2023-08-10
[27] 뉴스 <이상문학과 과학>을 강의하는 기초교육학부 이수정 교수 https://webzine.gist[...] 2021-12-14
[28] 논문 근대 사회와 그 속의 자신을 진단하는 지식인-「AU MAGASIN DE NOUVEAUTES」를 중심으로 https://www.kci.go.k[...] 2019
[29] 논문 Design and Construction in Four-Dimensional Space-Time in Yi-Sang's Poems :The Connection Between 「Three-Dimensional Angle Blueprint」 and 「Building Infinite-Hexahedral-Angle Bodies」, and Dimension Expansion https://www.kci.go.k[...] 2021
[30] 논문 Periodic Boundary Condition of Yi-Sang's Poems 1 –「Building Infinite-Hexahedral-Angle Bodies - Diagnosis 0:1」 Decryption https://www.kci.go.k[...] 2022
[31] 논문 Electromagnetic Principle of Internal Diagnosis Implemented in "Crow's Eye View(Ogamdo) Poem No. 4" https://www.kci.go.k[...] 2024
[32] 서적 이상 전집 제2권 시집 복각판 스타북스
[33] 논문 A Study on Yi-Sang's novel "The dark room of the map" https://doi.org/10.2[...] 2019-03
[34] 논문 A Study on the Ji-Ju-Whoe-Shi (鼅鼄會豕) Written by Lee Sang (李箱) http://www.kci.go.kr[...] 2011-06
[35] 웹사이트 Author Database: Yi Sang - LTI Korea http://eng.klti.or.k[...]
[36] 서적 The Wings https://books.google[...] I-AHN CREATIVE 2015
[37] Youtube 건축무한육면각체의비밀 예고편
[38] 영화 이상의 날개 The Wings of Lee Sang ( Lee Sang-ui Nalgae ) https://www.kmdb.or.[...] KMDb
[39] 영화 금홍아 금홍아 https://www.kmdb.or.[...] KMDb 1995-04-22
[40] Youtube [4K] 210212 뮤지컬 스모크 스페셜 커튼콜 - 날개(임병근, 강찬, 이정화)
[41] 서적 꾿빠이, 이상(개정판)
[42] Youtube Shin Hae Gyeong
[43] 서적 이상 전집 4 : 수필 태학사 2013
[44] 서적 오감도·권태 : 이상 시·산문전집 애플북스, 비전비엔피 2014
[45] 뉴스 천재 ‘이상’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 http://weekly.donga.[...] 주간동아 2010-04-27
[46] 서적 이상 평전 암호적 예술의 숲을 찾아서 전북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47] 서적 이상 평전 암호적 예술의 숲을 찾아서 전북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48] 뉴스 박태원 수필집 '구보가 아즉 박태원일 때'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05-01-03
[49] 뉴스 제1회 이상 시문학상에 이승훈(춘천) 시인 http://www.kwnews.co[...] 강원일보 2010-08-28
[50] 서적 이상 소설 전집 https://books.google[...]
[51] 뉴스 구본웅 이상 나혜석의 우정과 예술 http://shindonga.don[...] 신동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