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르테 뒤 시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르테 뒤 시엘은 19세기 말에 시작된 국제 천문 프로젝트로, 수백만 개의 별들의 위치를 목록화하고 지도를 제작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전 세계 20개의 천문대가 참여하여 22,000개 이상의 유리 사진판을 촬영하고 측정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였으나, 카르테 뒤 시엘 부분은 완성되지 못했고, 천체 목록 부분은 오랫동안 무시되었다. 1997년 히파르코스 목록의 등장은 이 자료의 활용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으며, 현대 천문학 연구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문학적 목록 - 워싱턴 이중성 카탈로그
    워싱턴 이중성 카탈로그는 미국 해군 천문대에 보관된 이중성 자료를 담은 카탈로그로, 위치, 크기, 고유 운동 등의 정보를 포함하며 14만 개 이상의 쌍성에 대한 항목을 수록한다.
  • 천문 측량 - 2MASS
    2MASS는 J, H, K 영역의 파장에서 전천 적외선 측광 관측을 수행하여 갈색 왜성 탐지, 은하 발견 등의 성과를 거두고 3억 개 이상의 점광원을 분류했으며, 관측 데이터와 이미지를 공개했다.
  • 천문 측량 - IRAS
    IRAS는 1983년에 발사되어 적외선 파장으로 하늘의 96%를 매핑하고 약 35만 개의 천체를 발견한 최초의 적외선 전천 탐사 관측소로, 헬륨 고갈로 10개월 만에 임무가 종료되었지만 소행성 3200 파에톤과 6개의 혜성을 발견하는 등 다양한 천체를 발견했으며 이후 WISE, NEOWISE 등의 후속 임무로 이어졌다.
  • 천체 목록 - 플램스티드 명명법
    플램스티드 명명법은 별자리의 라틴어 소유격과 별자리 내 적경 순서에 따른 숫자를 결합하여 항성을 명명하는 방식으로, 존 플램스티드의 『영국 천체 목록』에서 유래되었으며, 바이어 명명법이 없을 때 주로 사용된다.
  • 천체 목록 - 바이어 명명법
    바이어 명명법은 요한 바이어가 제시한 항성 명명법으로, 별자리 내 별의 밝기에 따라 그리스/라틴 문자를 부여하고 별자리 소유격 명칭과 결합하는 방식으로, 밝기 순서를 기준으로 하지만 다른 요소들도 고려되어 엄격한 규칙을 따르지는 않으며, 현대 천문학에서 널리 사용된다.
카르테 뒤 시엘
카르테 뒤 시엘
카르테 뒤 시엘 스크린샷
카르테 뒤 시엘 스크린샷
개발자패트릭 셰바렐
최초 릴리스1998년
최신 버전5.2 (2023년 12월 29일)
운영 체제리눅스
macOS
윈도우
플랫폼x86
사용 가능 언어다국어
종류천문학 소프트웨어
라이선스GNU GPL v3
웹사이트www.ap-i.net/skychart/en/

2. 역사적 배경

카르테 뒤 시엘(Carte du Ciel)은 '하늘의 지도'라는 뜻으로, 별자리를 자세히 기록한 자료이다. 19세기 말, 11~12등급 정도로 희미한 수백만 개 항성들의 위치를 목록화하고 지도를 만들기 위한 거대한 국제 천문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전 세계 20개 천문대가 참여하여 22,000개 이상의 유리 사진판을 노출하고 측정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였다.

이러한 방대한 규모에도 불구하고 프로젝트는 부분적인 성공에 그쳤다. 카르테 뒤 시엘은 완성되지 못했고, 천체 목록 부분은 거의 반세기 동안 대부분 무시되었다. 그러나 1997년 히파르코스 목록이 등장하면서 이 역사적인 사진판을 활용하는 데 중요한 발전이 이루어졌다.

2. 1. 프로젝트의 기원

아메데 무셰 파리 천문대 대장이 19세기 말 새로운 건판 사진술을 이용하여 별 지도를 제작하는 혁신적인 방법을 고안하면서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1887년 4월 파리에서 열린 천구도 회의에는 50명 이상의 천문학자들이 모였고, 전 세계 20개의 천문대가 참여하기로 합의하면서 두 가지 목표가 설정되었다.[1]

첫 번째 목표는 11등급까지의 별들을 사진으로 촬영하여, 기존 8등급까지의 별 위치 관측 자료를 보완하고, 더 어두운 별들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참조 목록인 천구도 목록을 만드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전 세계 천문대들이 특정 적위 구역을 담당하여 측량했다. (표 참조) 일반적으로 6분 노출의 천구도 목록 판을 촬영, 측정, 출판하여 약 11.5등급까지의 별 위치와 등급 목록을 생성했으며, 이 작업은 20세기 초에 대부분 완료되었다.

두 번째 목표는 더 긴 노출 시간을 사용하고 중복을 최소화하여 14등급까지의 모든 별을 사진으로 촬영하는 천구도를 제작하는 것이었다. 이 사진들은 천구도라는 차트 세트로 복제 및 배포될 예정이었는데, 이는 이전의 천구 좌표 기반 하늘 지도와는 대조적이었다. 천구도 판의 대부분은 20분 노출을 세 번 사용했으며, 정삼각형 형태로 배치하여 별과 판의 결함, 별과 소행성을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했다.

옥스퍼드 대학교의 사빌 천문학 교수였던 허버트 홀 터너는 1912년에 출판된 자료를 통해 이 방대한 국제 천문 협력에 대해 설명했다.[2] 1988년에 열린 국제천문연맹 심포지엄 133호에서는 이 프로젝트의 다양한 측면들이 논의되었다.[3]

2. 2. 목표 설정

19세기 말, 아메데 무셰 파리 천문대장은 건판 사진술을 이용하여 별 지도를 제작하는 혁신적인 방법을 고안했다. 1887년 4월 파리에서 열린 천구도 회의에서 전 세계 20개 이상의 천문대가 참여하는 국제적인 별 지도 제작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1]

이 프로젝트는 두 가지 목표를 설정했다.

첫 번째 목표는 천구도 목록을 작성하는 것이었다. 11등급까지의 별들을 사진으로 촬영하여, 8등급까지의 별 위치를 기록한 기존 관측 자료를 보완하고, 더 어두운 별들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기준점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전 세계 천문대들은 각자 맡은 적위 구역을 측량했다. 일반적으로 6분 노출의 천구도 목록 판을 촬영, 측정하여 출판했다. 이 목록에는 약 11.5등급까지의 별 위치와 등급이 기록되었으며, 20세기 초에 대부분 완료되었다.

두 번째 목표는 천구도를 제작하는 것이었다. 더 긴 노출 시간을 사용하고 중복을 최소화하여 14등급까지의 모든 별을 사진으로 촬영하는 것이었다. 이 사진들은 천구도라는 차트 세트로 복제되어 배포될 예정이었다. 천구도 판의 대부분은 20분 노출을 세 번 사용하여, 별과 판의 결함, 별과 소행성을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정삼각형 형태로 배치했다.

허버트 홀 터너 옥스퍼드 대학교 사빌 천문학 교수는 1912년에 출판된 자료에서 이 광범위한 국제 천문 협력에 대해 설명했다.[2] 1988년에 열린 국제천문연맹 심포지엄 133호에서는 이 프로젝트의 다양한 측면들이 논의되었다.[3]

3. 프로젝트 진행

카르테 뒤 시엘은 19세기 말에 시작된 국제 천문 프로젝트로, 11등급 또는 12등급 정도로 희미한 수백만 개의 항성들의 위치를 목록화하고 지도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 프로젝트는 '카르테 뒤 시엘'(하늘의 지도)과 별자리를 자세하게 수록하는 기록물이었다.

전 세계 20개의 천문대가 수십 년에 걸쳐 22,000개 이상의 유리 사진판을 노출하고 측정하는 데 참여했다.[1] 각 천문대는 특정 적위 구역을 촬영하도록 지정되었으며, 표준화된 망원경을 사용하여 사진판이 약 60 초/mm의 유사한 축척을 갖도록 하였다.

1887년 파리 천문대의 국장 아메데 무셰는 새로운 건판 사진술을 이용하여 별 지도 제작 과정을 혁신하고자 대규모 국제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같은 해 4월 파리에서 열린 천구도 회의에서 50명 이상의 천문학자들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기로 합의하고 두 가지 목표를 설정했다.

첫 번째 목표는 11등급까지의 전체 하늘을 사진으로 촬영하여 기존에 8등급까지 관측된 별들의 등급 간 간격을 메우는 참조 목록인 천구도 목록을 작성하는 것이었다. 이를 통해 더 어두운 측량 구성 요소에 대한 참조 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는 빽빽한 별 위치 네트워크를 제공했다.

두 번째 목표는 노출 시간은 더 길지만 중복은 최소화하여 14등급까지의 모든 별을 사진으로 촬영하는 것이었다. 이 사진들은 천구도라는 일련의 차트 세트로 복제 및 배포될 예정이었다. 천구도 판의 대부분은 20분 노출의 세 번의 노출을 사용했으며, 10각초의 변을 가진 정삼각형을 형성하도록 배치하여 별과 판의 결함, 그리고 별과 소행성을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했다.

이 프로젝트를 위해, 전 세계 20개의 천문대가 참여하여 22,000개 이상의 유리판을 노출하고 측정했다. 천문대의 약 절반은 프랑스의 앙리 형제(폴과 프로스페르)에게 망원경을 주문했으며, 나머지는 더블린의 하워드 그럽의 공장에서 제작되었다.[4] 이 망원경은 약 13인치(33cm)의 구경과 11피트(3.4m)의 초점 거리를 가진 '표준 아스트로그라프'로 불렸으며, 2° × 2° 시야를 커버하면서 사진판에 약 60 초/mm의 균일한 축척으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설계되었다.

3. 1. 참여 천문대

천구도 계획과 관련된 참여 관측소 및 측정된 별[1]
관측소적위에포크별의 수
(구역)시작종료
그리니치+90°+65°1892–1905179,000
바티칸+64°+55°1895–1922256,000
카타니아, 시칠리아+54°+47°1894–1932163,000
헬싱키+46°+40°1892–1910159,000
포츠담+39°+32°1893–1900108,000
하이데라바드 북부+39°+36°1928–1938149,000
위클, 벨기에+35°+34°1939–1950117,000
옥스퍼드 2+33°+32°1930–1936117,000
옥스퍼드 1+31°+25°1892–1910277,000
파리+24°+18°1891–1927253,000
보르도+17°+11°1893–1925224,000
툴루즈+10°+05°1893–1935270,000
알제+04°−02°1891–1911200,000
산 페르난도, 스페인−03°−09°1891–1917225,000
타쿠바야, 멕시코−10°−16°1900–1939312,000
하이데라바드 남부−17°−23°1914–1929293,000
코르도바, 아르헨티나−24°−31°1909–1914309,000
퍼스, 호주−32°−37°1902–1919229,000
퍼스/에든버러−38°−40°1903–1914139,000
케이프타운−41°−51°1897–1912540,000
시드니−52°−64°1892–1948430,000
멜버른−65°−90°1892–1940218,000



카르테 뒤 시엘 프로젝트에는 전 세계 20개의 천문대가 참여하여 22,000개 이상의 유리 사진판을 노출하고 측정하였다.[1] 각 천문대는 특정 적위 구역을 촬영하도록 지정되었으며, 이들은 표준화된 망원경을 사용하여 사진판이 약 60 초/mm의 유사한 축척을 갖도록 하였다.

3. 2. 관측 및 측정

19세기 말, 11등급 또는 12등급 정도로 희미한 수백만 개의 항성들의 위치를 목록화하고 지도를 만드는 거대한 국제 천문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카르테 뒤 시엘'(하늘의 지도)와 별자리를 자세하게 수록하는 기록물이었다. 전 세계 20개의 천문대가 참여하여 22,000개 이상의 유리 사진판을 노출하고 측정하는 데 수십 년이 걸렸다.[1]

카르테 뒤 시엘 계획에 참여한 관측소 및 측정된 별의 수[1]
관측소적위 구역에포크별의 수
(구역)시작종료
그리니치+90°+65°1892–1905179,000
바티칸+64°+55°1895–1922256,000
카타니아, 시칠리아+54°+47°1894–1932163,000
헬싱키+46°+40°1892–1910159,000
포츠담+39°+32°1893–1900108,000
하이데라바드 북부+39°+36°1928–1938149,000
위클, 벨기에+35°+34°1939–1950117,000
옥스퍼드 2+33°+32°1930–1936117,000
옥스퍼드 1+31°+25°1892–1910277,000
파리+24°+18°1891–1927253,000
보르도+17°+11°1893–1925224,000
툴루즈+10°+05°1893–1935270,000
알제+04°−02°1891–1911200,000
산 페르난도, 스페인−03°−09°1891–1917225,000
타쿠바야, 멕시코−10°−16°1900–1939312,000
하이데라바드 남부−17°−23°1914–1929293,000
코르도바, 아르헨티나−24°−31°1909–1914309,000
퍼스, 호주−32°−37°1902–1919229,000
퍼스/에든버러−38°−40°1903–1914139,000
케이프타운−41°−51°1897–1912540,000
시드니−52°−64°1892–1948430,000
멜버른−65°−90°1892–1940218,000



1887년 파리 천문대의 국장 아메데 무셰는 새로운 건판 사진술이 별 지도 제작 과정을 혁신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대규모 국제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같은 해 4월 파리에서 열린 천구도 회의에서 50명 이상의 천문학자들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기로 합의하고 두 가지 목표를 설정했다.

첫 번째 목표는 11등급까지의 전체 하늘을 사진으로 촬영하여 기존에 8등급까지 관측된 별들의 등급 간 간격을 메우는 참조 목록인 천구도 목록을 작성하는 것이었다. 이를 통해 더 어두운 측량 구성 요소에 대한 참조 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는 빽빽한 별 위치 네트워크를 제공했다. 전 세계의 천문대들은 특정 적위 구역을 측량하도록 배정되었다(표 참조). 일반적으로 6분 노출의 천구도 목록 판은 촬영, 측정 및 출판되었다. 이들은 약 11.5등급까지의 위치와 등급 목록을 생성했으며, 이 프로그램은 20세기 초에 대체로 완료되었다.

두 번째 목표는 노출 시간은 더 길지만 중복은 최소화하여 14등급까지의 모든 별을 사진으로 촬영하는 것이었다. 이 사진들은 천구도라는 일련의 차트 세트로 복제 및 배포될 예정이었다. 천구도 판의 대부분은 20분 노출의 세 번의 노출을 사용했으며, 10각초의 변을 가진 정삼각형을 형성하도록 배치하여 별과 판의 결함, 그리고 별과 소행성을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했다.

옥스퍼드 대학교의 사빌 천문학 교수였던 허버트 홀 터너는 1912년에 이 방대한 국제 천문 협력에 대한 설명을 제공했다.[2]

Astrographic Catalogue의 경우, 전 세계 20개의 천문대가 22,000개 이상의 유리판을 노출하고 측정했다(표 참조). 천문대의 약 절반은 프랑스의 앙리 형제(폴과 프로스페르)에게 망원경을 주문했으며, 나머지는 더블린의 하워드 그럽의 공장에서 제작되었다.[4] 이 망원경은 약 13인치(33cm)의 구경과 11피트(3.4m)의 초점 거리를 가진 '표준 아스트로그라프'로 불렸으며, 2° × 2° 시야를 커버하면서 사진판에 약 60 초/mm의 균일한 축척으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설계되었다. 각 천문대는 특정 적위대를 촬영하도록 지정되었다. 최초의 사진은 1891년 8월 바티칸 천문대에서 촬영되었고(노출 완료에 27년 이상 소요), 마지막 사진은 1950년 12월 벨기에 왕립 천문대(브뤼셀)에서 촬영되었으며, 대부분의 관측은 1895년과 1920년 사이에 이루어졌다. 판의 결함을 보완하기 위해, 하늘의 각 영역은 두 번 촬영되었으며, 이중, 모서리 대 중심 중첩 패턴을 사용하여 구역 경계에서 확장되어 각 천문대의 사진이 인접한 구역의 사진과 겹치도록 했다. 참여 천문대는 모든 판이 약 60초/mm의 유사한 축척을 갖도록 표준화된 망원경을 사용하기로 합의했다. 판의 측정 가능한 영역은 2.1°×2.1°(13cm×13cm)였으므로, 중첩 패턴은 적위의 모든 도 밴드를 중심으로 하고 적경에서 2도 오프셋된 판으로 구성되었다. 참조 카탈로그, 환원 기술 및 인쇄 형식과 같은 많은 요소는 개별 기관에 위임되었다. 위치 정확도 목표는 이미지당 0.5초였다.

판 측정은 육안으로 이루어졌으며 손으로 기록되었다. 판은 각 판의 별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많은 수의 컴퓨터로 일하는 사람들에게 넘겨졌다. (현대적 의미 이전에, "컴퓨터"라는 단어는 계산을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했다). 이 인간 컴퓨터는 각 별을 해당 판 내의 12개 정도의 기준 별과 관련하여 수동으로 측정하고, 계산을 수행하여 별의 적경적위를 결정했다. 제한 등급의 원래 목표는 11등급이었지만, 일부 천문대에서는 13등급의 별을 정기적으로 측정하여 일반적으로 초과했다. 총 460만 개의 별(860만 개의 이미지)이 관측되었다. 가장 밝은 별은 판에서 과다 노출되어 측정되지 않았으므로 결과 카탈로그에 누락되었다. 판 측정값과 이를 적도 좌표로 변환하는 공식은 Astrographic Catalogue의 원본 권에 게시되었지만, 함께 제공되는 적도 좌표는 현재 역사적 가치만 있다. 측정값의 출판은 1902년부터 1964년까지 진행되었으며, 254권의 원시 데이터가 인쇄되었다.

1937년 헬싱키 대학교 천문대에서 발행한 카르테 뒤 시엘 I–VIII.

4. 결과 및 한계

카르테 뒤 시엘은 19세기 말에 시작된 국제 천문 프로젝트로, 11등급 또는 12등급 정도로 희미한 수백만 개의 항성들의 위치를 목록화하고 지도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했다. 전 세계 20개의 천문대가 참여하여 22,000개 이상의 유리 사진판을 노출하고 측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 거대한 프로젝트는 부분적인 성공만을 거두었는데, 카르테 뒤 시엘 부분은 완성되지 못했고, 천체 목록 부분은 오랫동안 무시되었다.[4]

프로젝트에 사용된 망원경은 '표준 아스트로그라프'로 불렸으며, 약 13인치(33cm)의 구경과 11피트(3.4m)의 초점 거리를 가졌다. 이 망원경들은 2° × 2° 시야를 커버하며 사진판에 약 60 초/mm의 균일한 축척으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설계되었다. 각 천문대는 특정 적위대를 촬영하도록 지정되었다.[4]

1891년 바티칸 천문대에서 첫 사진 촬영이 시작되었고, 1950년 벨기에 왕립 천문대에서 마지막 사진이 촬영되었다. 대부분의 관측은 1895년과 1920년 사이에 이루어졌다. 판의 결함을 보완하기 위해 하늘의 각 영역은 두 번 촬영되었고, 각 천문대의 사진이 인접한 구역의 사진과 겹치도록 했다.

판 측정은 육안으로 이루어졌으며, 각 별의 위치는 수동으로 측정되었다. 이 데이터는 계산을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하는 컴퓨터에게 넘겨져 별의 적경적위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었다. 당초 11등급을 목표로 했으나, 일부 천문대에서는 13등급의 별까지 측정하여 이를 초과했다. 총 460만 개의 별(860만 개의 이미지)이 관측되었지만, 가장 밝은 별은 과다 노출되어 결과 카탈로그에서 누락되었다. 측정값은 1902년부터 1964년까지 254권의 원시 데이터로 출판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예상보다 훨씬 오랜 시간이 걸렸고, 특히 천체물리학이 발전하면서 천문측량학보다 중요해진 시기에 유럽 천문학자들의 노력을 소모시켰다. 그 결과, 프랑스 천문학은 수십 년 동안 뒤처지는 결과를 낳았다. 그러나 1997년 히파르코스 목록의 등장은 이 역사적인 판재의 사용에 있어서 중요한 발전을 가져왔다.[4]

4. 1. 천구도 목록

19세기 말에 시작된 카르테 뒤 시엘(Carte du Ciel) 프로젝트는 희미한 항성들의 위치를 기록하고 지도를 만들기 위한 국제 천문 프로젝트였다. 이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천구도 목록은 별자리를 자세하게 수록하고 있다. 그러나 이 프로젝트의 카르테 뒤 시엘 부분은 완전히 완료되지 못했고, 일부 천문대에서만 수행되었다.

이 천구도들은 사진 촬영과 복제(주로 조각된 구리판이나 포토그래비어)에 지나치게 많은 비용이 들어, 많은 구역이 완성되지 않거나 제대로 출판되지 않았다. 촬영된 사진판들은 현재 대부분 원래 관측소에 보관되어 있으며, 하늘의 절반 정도만 덮고 있다. 최근에는 히파르코스 목록 데이터를 이용하여 일부 사진판들이 재측정 및 재분석되기도 했다.[4]

4. 2. 천구도

19세기 말에 시작된 카르테 뒤 시엘은 수백만 개의 항성들의 위치를 목록화하고 지도를 만들기 위한 국제 천문 프로젝트였다. 이 프로젝트는 11등급 또는 12등급 정도로 희미한 별들을 별자리와 함께 자세하게 수록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4]

전 세계 20개의 천문대가 참여하여 22,000개 이상의 유리 사진판을 사용하여 관측을 진행했다. 사용된 망원경들은 프랑스의 앙리 형제나 더블린의 하워드 그럽이 제작했으며, 약 13인치(33cm) 구경과 11피트(3.4m) 초점 거리를 가진 '표준 아스트로그라프'였다. 이들은 2° × 2° 시야를 커버하며 사진판에 약 60 초/mm의 균일한 축척으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설계되었다. 각 천문대는 특정 적위대를 촬영하도록 지정되었다.[4]

1891년 8월 바티칸 천문대에서 첫 사진이 촬영되었고, 1950년 12월 벨기에 왕립 천문대에서 마지막 사진이 촬영되었다. 대부분의 관측은 1895년과 1920년 사이에 이루어졌다. 판의 결함을 보완하기 위해 하늘의 각 영역은 이중, 모서리 대 중심 중첩 패턴을 사용하여 두 번 촬영되었으며, 각 천문대의 사진이 인접한 구역의 사진과 겹치도록 했다.

프로젝트의 더 야심찬 부분이었던 "카르테 뒤 시엘"은 일부 관측소에서만 수행되었고, 다른 관측소에서는 완료되지 않거나 시작조차 되지 않았다. 이 차트들은 사진 촬영과 복제에 지나치게 많은 비용이 들었고, 많은 구역이 완료되지 않거나 제대로 출판되지 않았다. 촬영된 판들은 일반적으로 여전히 존재하지만 하늘의 절반만 덮고 있으며, 원래 관측소에 보관되어 있다.

5. 현대적 의의

카르테 뒤 시엘 프로젝트는 방대한 규모에도 불구하고 부분적인 성공만을 거두었고, 천체 목록 부분은 오랫동안 무시되었다. 그러나 1997년 히파르코스 목록이 등장하면서 이 프로젝트는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되었다.[4]

미국 해군 천문대의 션 어번은 1998년에 "천문 사진 목록 노력의 역사는 헌신적인 개인이 단일 목표를 위해 지루한 경력의 수십 년을 바치는 이야기"라며, "어떤 사람들은 또한 19세기의 최고의 유럽 천문대가 이 한 가지 사업에 너무 많은 자원을 쏟아부어 천문학 연구의 리더십을 잃게 된 이야기라고 믿는다"고 평가했다. 그는 또한 "오랫동안 과도한 야망의 교훈으로 묘사되었던 천문 사진 목록은 최근에 오래된 데이터가 새로운 용도를 찾는 방법에 대한 교훈으로 바뀌었다"고 덧붙였다.[5]

5. 1. 히파르코스 위성과의 결합

히파르코스 목록의 등장은 이 역사적인 판재의 사용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발전으로 이어졌다.[4]

천문 사진 목록에 투자된 엄청난 양의 작업은 오랫동안 부차적인 과학적 이익만을 가져다주는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오늘날 천문학자들은 수 세기 전에 만들어진 이 별들의 위치를 유럽 우주국(ESA)의 히파르코스 우주 천체 측정 위성의 결과와 결합하여 250만 개의 별에 대한 높은 정확도의 고유 운동을 도출할 수 있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천문 사진 목록의 위치는 1987년에서 1994년 사이에 수십 년 된 인쇄된 목록에서 기계 판독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었다(A. 쿠즈민의 지도하에 모스크바 슈테른베르크 천문 연구소에서 수행). 그 후 데이터는 히파르코스 천체 측정 위성으로 측정된 기준 별을 사용하여 미국 해군 천문대 (워싱턴의 션 어번의 지도하에)에서 다시 축소되었다.[5]

히파르코스 목록의 별은 천문 사진 목록 판의 다양한 시대에 정밀한 기준 틀을 설정하는 데 사용되었고, 티코-2 목록의 250만 개의 별은 판의 왜곡을 정확하게 보정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조밀한 기준 틀을 제공했다. 특히 천문 사진 목록 덕분에 모든 티코 목록 별의 고유 운동을 도출할 수 있었지만, 140개 이상의 다른 지상 기반 목록의 별 위치를 추가로 사용했다.

코펜하겐 대학교 천문대 (에릭 호그의 지도하에)에서 편집된 결과물인 티코-2 목록은 히파르코스 목록의 12만 개의 별 외에도, 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들의 가장 크고, 정확하며, 완전한 별 목록이 되었다. 이는 2017년에 가이아 2 목록이 나오기 전까지 하늘의 모든 더 희미한 별들의 위치를 도출하는 데 사용되었다.[6][7]

5. 2. 티코-2 목록

1997년 히파르코스 목록이 등장하면서 이 역사적인 판재의 사용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발전이 이루어졌다.[5]

코펜하겐 대학교 천문대 (에릭 호그 지도)에서 편집한 결과물인 티코-2 목록은 히파르코스 목록의 12만 개 별 외에도, 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들의 가장 크고 정확하며 완전한 별 목록이 되었다. 이는 2017년에 가이아 2 목록이 나오기 전까지 하늘의 모든 더 희미한 별들의 위치를 도출하는 데 사용되었다.[6][7]

구체적으로 천문 사진 목록의 위치는 1987년에서 1994년 사이에 수십 년 된 인쇄된 목록에서 기계 판독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었다(A. 쿠즈민의 지도하에 모스크바 슈테른베르크 천문 연구소에서 수행). 그 후 데이터는 히파르코스 천체 측정 위성으로 측정된 기준 별을 사용하여 미국 해군 천문대 (워싱턴의 션 어번 지도)에서 다시 축소되었다.[5]

히파르코스 목록의 별은 천문 사진 목록 판의 다양한 시대에 정밀한 기준 틀을 설정하는 데 사용되었고, 티코-2 목록의 250만 개의 별은 판의 왜곡을 정확하게 보정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조밀한 기준 틀을 제공했다. 특히 천문 사진 목록 덕분에 모든 티코 목록 별의 고유 운동을 도출할 수 있었지만, 140개 이상의 다른 지상 기반 목록의 별 위치를 추가로 사용했다.

참조

[1] 웹사이트 Source http://ad.usno.navy.[...] 2007-11-09
[2] 서적 The Great Star Map, Being a Brief General Account of the International Project Known as the Astrographic Chart John Murray 1912
[3] 간행물 Proceedings of IAU Symposium Number 133, Mapping the Sky 1988
[4] 논문 The scientific value of the Carte du Ciel 2000-10
[5] 간행물 The Astrographic Catalogue: A Century of Work Pays Off https://archive.org/[...] Sky Publishing Corporation 2016-09-12
[6] 웹사이트 How an enormous project attempted to map the sky without computers https://arstechnica.[...] 2022-09-13
[7] 논문 What Will Lead the Astrometry Data Accuracy Breakthrough in the Study of Star Clusters? https://www.elibrary[...] 2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