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티칸 천문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티칸 천문대는 기독교의 부활절 등 축일 결정에 필요한 역법의 천문학적 기초에 대한 관심으로 시작되어, 1891년 교황 레오 13세에 의해 재창설되었다. 로마, 카스텔 간돌포를 거쳐 광공해를 피해 현재는 미국 애리조나주에 위치한 바티칸 천문 관측 그룹(VORG)과 1.8미터 바티칸 첨단 기술 망원경(VATT)을 운영하며 천문학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행성 과학, 외계 행성, 항성 천문학, 은하, 우주론 등이며, 한국 천주교와도 협력하여 천문학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천문대 - VIRGO 간섭계
    VIRGO 간섭계는 프랑스와 이탈리아 연구기관이 공동 운영하며 유럽 중력 관측소에서 관리하고 전 세계 연구자 협력단이 연구, 분석하며 우주 천체 물리학적 파원에서 오는 중력파를 검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기독교와 과학 - 교황청 과학원
    교황청 과학원은 1603년 린체이 아카데미아에서 기원하여 교황 비오 9세와 비오 11세에 의해 재창설 및 재설립된 학술 기관으로, 수학, 물리학, 자연 과학 발전과 인식론적 문제 연구를 목표로 하며 노벨상 수상자들을 배출했고 바티칸 정원에 위치한다.
  • 기독교와 과학 - 인간론 (기독교)
    기독교 인간론은 성경과 신학적 전통을 바탕으로 인간의 본성, 기원, 죄, 구원, 종말을 탐구하며, 다양한 철학적, 신학적 관점과 아우구스티누스, 칼뱅, 루터 등의 사상을 통해 발전해 온 기독교 신학의 중요한 분야이다.
바티칸 천문대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카스텔간돌포에 있는 천체망원경
카스텔간돌포의 옥상에 있는 바티칸 천문대의 망원경 돔
이탈리아어 명칭Specola Vaticana
영어 명칭Vatican Observatory
로마자 표기Seupekolla Batikanena
위치이탈리아 라치오주 로마현 카스텔간돌포
카스텔간돌포
일반 정보
관리 기관교황청
천문대 코드036
고도430 m
설립1891년
웹사이트바티칸 천문대
망원경
망원경 1 이름바티칸 신기술 망원경
망원경 1 유형Alice P. Lennon 1.8 m 그레고리식 망원경

2. 역사

기독교부활절 등 각종 축일 결정에 필요한 역법의 천문학적 기초 때문에 오랫동안 천문학에 관심을 가져왔다. 1582년 교황 그레고리오 13세에 의해 선포된 그레고리력로마 대학교의 예수회 수학자인 크리스토퍼 클라비우스에 의해 발전된 천문학 지식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18세기에 교황들은 1774년 로마 대학교에 천문대를 설치하면서 천문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였다. 1787년-1789년 사이에는 바티칸 안에 있는 바람의 탑에 ‘바티칸 반사경(''Specula Vaticana'')’이 설치되었다. 그러나 필리포 루이지 질리가 선종하면서 반사경은 내려졌고, 성 베드로 대성전의 돔에서 경치를 바라보는 것을 방해받는다는 이유로 로마 학생들의 불편을 겪었다. 이후 기계들은 천문대학교로 양도되었다.

안젤로 세키 신부는 천문대학교의 기계들을 산티냐치오 디 로욜라 아 캄포 마르치오 성당으로 다시 이전하였다. 하지만, 1878년에 세키 신부가 선종하면서 성좌와 이탈리아 정부 사이에 긴장 관계가 형성되었고, 천문대는 ‘로마 대학 왕립 천문대(''Regio Osservatorio al Collegio Roman'')’로 개명되었다.

1891년 교황 레오 13세는 ''교황 칙서''를 통해 ''스페콜라 바티카나''(바티칸 천문대)를 재창설하고 바티칸 가장자리의 벽에 새로운 천문대를 건설했다.[3] 19세기 후반, 바티칸 천문대는 별의 위치를 정확히 찾아내는 사진 "천체 지도" ("Carte du Ciel")와 "천체 사진" 목록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 전 세계 최고 천문 기관 그룹의 일원이었다. 프란체스코 덴자 신부는 1894년 사망할 때까지 바티칸의 프로젝트 기여를 이끌었으며, 20세기 초, 요한 하겐 신부는 이 프로젝트를 맡아 성 마리아 성교회 수녀회에서 수녀들을 모집하여 기록과 계산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새로운 천문대의 1891년 교황 레오 13세 취임을 기념하는 은메달


1930년대에 들어서면서 도심지의 스모그와 광공해 때문에 로마에서 원활한 천체 관측이 불가능해지자, 교황 비오 11세는 천문대를 로마에서 남쪽으로 25km 떨어진 카스텔간돌포로 이전하였다. 1961년대에 들어서면서 카스텔간돌포에도 로마와 똑같은 문제가 발생하자, 바티칸 천문대는 애리조나주 투산에 있는 애리조나 대학교의 스튜어드 천문대에 사무소들을 마련하고 '''바티칸 천문 관측 그룹'''을 설립하였다.

1993년, 바티칸 천문 관측 그룹은 1.8m 크기의 바티칸 고급 기술 망원경을 완성하였으며, 이 망원경은 애리조나주 새포드 인근의 그레이엄 산에 자리 잡고 있다.

바티칸 천문대의 본부는 이탈리아의 카스텔간돌포에 그대로 남아있다. 2008년 초, 바티칸은 교황 거주지의 일상적인 재건축의 하나로 천문대를 성에서 약 1마일 정도 떨어진 옛 수도원 자리로 이전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2. 1. 초기 기독교와 천문학

기독교부활절과 같은 축일을 결정하기 위해 천문학적 지식이 필요했기 때문에 오랫동안 천문학에 관심을 가져왔다. 예를 들어, 1582년 교황 그레고리오 13세가 선포한 그레고리력은 알로이시우스 릴리우스가 개발하고, 크리스토프 클라비우스가 로마 대학교에서 천문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정하였다.

2. 2. 18세기 ~ 19세기: 교황청의 천문학 지원과 발전

18세기 교황들은 천문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여 1774년에 로마 대학교에 천문대를 설치했다.[3] 1787년부터 1789년까지는 바티칸 내 바람의 탑에 '바티칸 반사경(''Specula Vaticana'')'이 설치되었다.[3] 이 시설은 필리포 루이지 질리의 지휘 아래 운영되었으나, 질리가 사망하면서 폐쇄되었다.[3] 성 베드로 대성전의 돔이 시야를 가려 로마 학생들이 불편을 겪었기 때문이다.[3] 이후 천문 기구들은 대학교 천문대로 옮겨졌다.

19세기에는 안젤로 세키 신부가 산티냐치오 디 로욜라 아 캄포 마르치오 성당으로 천문대를 이전하여 연구를 주도했다. 세키 신부의 업적 덕분에 바티칸의 천문학은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그러나 1878년 세키 신부가 사망한 후, 천문대는 이탈리아 정부에 의해 국유화되어 '로마 대학 왕립 천문대'로 개명되면서 바티칸에서의 천문 연구는 종료되었다.[3]

2. 3. 이탈리아 통일과 바티칸 천문대의 변화

1870년 이탈리아 통일 운동으로 로마가 점령되면서, 캄포 마르지오의 산티냐치오 디 로욜라에 있던 안젤로 세키 신부의 천문대는 이탈리아 왕국에 통합되었다.[3] 세키 신부는 천문학적 공로를 인정받아 계속 천문대를 사용할 수 있었으나, 1878년 그가 사망한 후 천문대는 이탈리아 정부에 의해 국유화되어 "로마 대학교 왕립 천문대"로 개칭되었고, 바티칸에서의 천문 연구는 종료되었다.[3]

2. 4. 바티칸 천문대의 재건과 현대화

1891년 교황 레오 13세는 ''교황 칙서''를 통해 ''스페콜라 바티카나''(바티칸 천문대)를 재건하고 바티칸 가장자리의 벽에 새로운 천문대를 건설했다.[3]

19세기 후반, 바티칸 천문대는 국제적인 천문학 프로젝트인 "천체 지도"(Carte du Ciel프랑스어) 제작에 참여했다. 이 프로젝트에서 프란체스코 덴자 신부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1894년 그가 사망할 때까지 바티칸의 프로젝트 기여를 이끌었다. 20세기 초에는 요한 하겐 신부가 이 프로젝트를 맡았으며, 성 마리아 성교회 수녀들(에밀리아 폰조니, 레지나 콜롬보, 콘체타 피나르디, 루이기아 판체리)이 별의 위치를 기록하는 데 큰 공헌을 했다.[4][5]

2. 5. 카스텔 간돌포 이전과 새로운 관측 시설

1930년대까지 도시의 연기와 광공해 때문에 로마에서 유용한 관측을 하는 것이 불가능해졌다.[1] 교황 비오 11세는 천문대를 로마에서 남동쪽으로 25km 떨어진 카스텔간돌포로 이전했다. 1961년까지 빛 공해로 인해 카스텔간돌포에서의 관측이 어려워졌다.[1] 그 후 천문대는 애리조나 대학교의 스튜어드 천문대에 사무실을 두고 '''바티칸 천문대 연구 그룹(VORG)'''을 설립했다.[1]

2. 6. 현대 바티칸 천문대의 연구 활동

1930년대까지 도시의 연기와 빛 공해 때문에 로마에서 관측이 어려워졌다.[1] 교황 비오 11세는 천문대를 로마에서 남동쪽으로 25km 떨어진 카스텔 간돌포로 이전했다. 1961년, 빛 공해로 인해 카스텔 간돌포에서의 관측도 어려워지자, 천문대는 애리조나 대학교의 스튜어드 천문대에 사무실을 두고 '''바티칸 천문대 연구 그룹(VORG)'''을 설립하였다.[1]

1993년, VORG는 애리조나주 새포드 근처의 그레이엄 산에 1.8m 바티칸 고급 기술 망원경(VATT)을 건설했다.

바티칸 천문대의 본부는 이탈리아 카스텔 간돌포에 남아있다.

3. 연구 분야

바티칸 천문대는 다양한 천문학 분야를 연구한다. 카스텔 간돌포의 간돌포 성에 있는 바티칸 천문대 본부에는 현재 사용되지 않는 4개의 망원경이 남아있다. 하지만 운석 컬렉션의 밀도, 공극률, 대자율, 열용량, 전도율 등 물리적 특성 측정은 계속되고 있다. 1986년부터 2년마다 "바티칸 천문대 서머 스쿨"을 개최하여 전 세계 대학생과 대학원생이 참여하고 있으며, 정기적으로 학회를 개최하거나 일반인 대상 공개 아웃리치 이벤트를 개최한다.

간돌포 성에는 1935년에 설치된 구경 40cm의 차이스 굴절 망원경, 차이스 이중 천체 사진기가 있으며, 바르베리니 저택의 두 개의 돔에는 카르트 뒤 시엘 망원경과 슈미트 망원경이 설치되어 있다.

그레이엄 산 국제 천문대의 VATT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3. 1. 행성 과학

해왕성 바깥 천체 및 지구 근접 천체 탐사와 소행성대 천체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3. 2. 외계 행성 연구

그레이엄 산 국제 천문대의 VATT에서는 외계 행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케플러 계획으로 특정된 외계 행성의 분광 분석도 이루어진다.

3. 3. 항성 천문학

항성 측광 분류, 펄서 주기 측정, 케플러 계획으로 특정된 외계 행성 분광 분석을 연구한다.

3. 4. 은하 연구

타원 은하, 성단 내 별 형성, 표준 모형에서의 은하 형성에 대한 시뮬레이션 연구를 진행한다.

3. 5. 우주론

그레이엄 산 국제 천문대의 VATT에서는 우주 인플레이션, 다중 우주론, 중력 상호 작용의 대규모 영향, 양자 중력 이론, 양자 우주론 등을 연구한다.[8]

4. 한국 천주교와 천문학

제공된 원본 소스(`source`)가 비어있어 내용을 수정할 수 없습니다. 이전 답변과 동일하게, 바티칸 천문대와 관련된 내용은 아니지만 한국 천주교가 조선 시대부터 서양 천문학을 수용하고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는 내용은 작성 가능합니다. 그러나 원본 소스가 없으므로 내용을 채우거나 수정할 수 없습니다.

5. 역대 책임자

이름재임 기간
프란체스코 덴자1891년–1894년
주세페 라이스1894년–1906년
요한 게오르크 하겐1906년–1930년
요한 스타인1930년–1951년
다니엘 조셉 켈리 오코넬1952년–1971년
패트릭 트레너1971년–1978년
조지 코인1978년–2006년
호세 가브리엘 푸네스2006년 8월 19일 – 2015년 9월 18일
가이 콘솔마뇨2015년 9월 18일 – 현재


참조

[1] 뉴스 Vatican's Celestial Eye, Seeking Not Angels but Data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9-06-22
[2] 뉴스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honors former Vatican Observatory head http://www.catholicn[...] Catholic News Service 2010-01-04
[3] 웹사이트 History of the Vatican Observatory http://www.vaticanob[...] 2012-12-18
[4] 웹사이트 Mapping with the stars: Nuns instrumental in Vatican celestial survey https://www.catholic[...] 2019-12-26
[5] 웹사이트 These Little-Known Nuns Helped Map the Stars https://www.smithson[...] 2019-12-26
[6] 서적 Lights in the Sky: Identifying and Understanding Astronomical and Meteorological Phenomena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3-09-28
[7] 간행물 Rinunce e Nomine, 19.08.2006 https://press.vatica[...] Holy See Press Office 2006-08-19
[8] 간행물 Rinunce e Nomine, 18.09.2015 https://press.vatica[...] Holy See Press Office 2015-09-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