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프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프지는 사우디아라비아 동부 주에 위치한 도시로, 페르시아만 연안에 자리 잡고 있다. 1957년 일본계 아라비안 오일 컴퍼니가 사우디아라비아 및 쿠웨이트 정부와 중립 지역 해상 탄화수소 매장량 탐사 및 개발 계약을 체결하면서 개발이 시작되었다. 1960년 카프지 유전 발견 이후 석유 생산이 시작되었고, 걸프 전쟁 중 이라크군의 침공을 받기도 했다. 현재 카프지는 약 12만 명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으며, 아람코 걸프 운영 회사가 소유한 비행장이 있지만, 상업적으로는 개방되지 않았다.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카프지를 주요 도시로 개발하고 국제 관광지로 육성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부주 (사우디아라비아) - 룹알할리 사막
룹알할리 사막은 사우디아라비아, 예멘, 오만, 아랍에미리트에 걸쳐 있는 광대한 모래 사막으로, 붉은 주황색 모래 언덕과 소금 평원이 있으며, 초건조 기후 속에서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고 풍부한 석유 매장량을 자랑한다. - 동부주 (사우디아라비아) - 다란
다란은 사우디아라비아 동부 페르시아만 연안에 위치한 도시로, 사우디 아람코 본사가 있으며 석유 생산과 수출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 사우디아라비아의 도시 - 지다
사우디아라비아 홍해 연안에 위치한 제다는 2,5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메카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순례자들의 관문으로, 다양한 문화의 영향을 받아 현대에는 급격한 도시 확장과 대규모 개발이 진행 중이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알발라드와 현대적인 고층 건물이 공존하는 독특한 도시이다. - 사우디아라비아의 도시 - 다란
다란은 사우디아라비아 동부 페르시아만 연안에 위치한 도시로, 사우디 아람코 본사가 있으며 석유 생산과 수출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카프지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الخفجي |
로마자 표기 | Raʾs al-Ḫafğī |
다른 이름 | 알-카프지 |
유형 | 마을 |
국가 | 사우디아라비아 |
속한 지역 | 동부 주 |
우편 번호 | 39261 |
지역 번호 | +966 13 |
시간대 | AST |
UTC 오프셋 | +3 |
정부 | |
군주 겸 총리 | 살만 국왕 |
왕세자 겸 제1부총리 | 무함마드 왕자 |
면적 | |
총 면적 | 8,210km² |
인구 | |
2022년 인구 조사 | 78,691명 |
광역권 인구 | 84,316명 (카프지 주) |
웹사이트 | |
웹사이트 | 웹사이트 |
2. 역사
카프지의 역사는 1960년 카프지 유전 발견과 함께 시작되었다. 1953년 미국의 석유 회사가 와흐라 유전을 개발하고, 1959년 일본의 아라비아 오일이 카프지 유전을 개발하면서 이 지역은 크게 성장했다.
원래 카프지 지역은 쿠웨이트와 사우디아라비아 사이의 중립 지대였다. 이 중립 지대는 양국이 영토를 분할하지 않고, 양국 모두에게 동등한 권리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설정되었다. 군사 기지 설치는 금지되었고, 양국 유목민은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었다. 당시에는 석유가 발견되지 않아 정주민이 거의 없었지만, 석유 개발 이후 각국의 기술자와 외국인 노동자들이 유입되면서 인구가 약 2만 명까지 증가했다.
중립 지대에서 채굴된 석유 이익은 양국이 절반씩 나누었고, 법률도 양국의 법률이 모두 적용되었다. 예를 들어, 중립 지대에서 범죄를 저지른 경우, 쿠웨이트 경찰에 체포되면 쿠웨이트 법률로, 사우디아라비아 경찰에 체포되면 사우디아라비아 법률로 재판을 받았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여러 문제를 야기했고, 1965년 중립 지대를 남북으로 분할하여 양국에 합병하는 결정이 내려져 1970년부터 시행되었다. 석유 등 천연 자원의 이익은 이전처럼 양국이 동등하게 분할하고, 양국 국민은 이전 중립 지대 내를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도록 했다. 2000년에는 석유 등의 이익에 대해서도 양국 간 경계선을 설정하여 분할하기로 결정되었다.[8]
카프지의 초대 왕자는 사우디아라비아 건국자인 이븐 사우드 국왕의 손자이자 장손인 파이살 빈 투르키 1세 왕자였다.
1991년 걸프 전쟁 당시, 이라크군은 쿠웨이트 침공 및 점령 이후 카프지를 침공했다. 그러나 카프지 전투 이후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및 연합군은 1991년 1월 31일에 이 도시를 탈환했다. 1995년, 시 당국은 도시가 안전하고 지뢰가 없다고 선언했다.
2. 1. 카프지 유전 발견과 성장
일본계 아라비안 오일 컴퍼니 주식회사는 1957년 12월 사우디아라비아 정부와, 1958년 7월 쿠웨이트 정부와 중립지역 해상의 탄화수소 매장량 탐사 및 개발에 대한 양허 계약을 체결했다. 아라비안 오일 컴퍼니는 1960년에 카프지 유전을 발견했다.[2]알 카프지는 1960년 알 카프지 유전 발견 이후 대부분이 형성되었다. 상업적 원유 생산이 시작된 후, 아라비안 오일 컴퍼니는 총면적 약 278709.12m2 (278709m2)에 73개의 주택으로 구성된 주거 단지를 조성했으며, 배수 시설, 전기, 상수도, 전화 케이블 및 도로망을 갖추고 있었다. 지역 내 석유 탐사 및 시추 확장으로 인해 도시가 점차 확장되었다.
카프지 해상에서의 석유 매장량 발견 이후에야 쿠웨이트와 사우디아라비아 사이의 중립지역에 대한 영구적인 경계가 설정되었고, 카프지는 공식적으로 사우디아라비아에 위치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 합의는 두 국가가 지정된 중립지역 내 모든 천연자원에 대한 공동 권리를 유지한다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었다. 아라비안 오일 컴퍼니의 해당 지역 내 탐사 및 채굴 임대 계약이 종료됨에 따라, 카프지 유전 내 운영은 양국을 대표하는 주주 회사 간의 합작 투자로 환원되었으며, 생산량은 쿠웨이트와 사우디아라비아 간에 50:50으로 분할되었다.
2. 2. 사우디-쿠웨이트 중립 지대
일본계 아라비안 오일 컴퍼니 주식회사는 1957년 12월 사우디아라비아 정부와, 1958년 7월 쿠웨이트 정부와 중립지역 해상의 탄화수소 매장량 탐사 및 개발에 대한 양허 계약을 체결했다. 아라비안 오일 컴퍼니는 1960년에 카프지 유전을, 1963년에 후트 유전을 발견했다.[2]1960년 알 카프지 유전 발견 이후 상업적 원유 생산이 시작되자, 아라비안 오일 컴퍼니는 총면적 약 278709.12m2에 73개의 주택으로 구성된 주거 단지를 조성했으며, 배수 시설, 전기, 상수도, 전화 케이블 및 도로망을 갖추고 있었다.
쿠웨이트와 사우디아라비아는 카프지 해상에서의 석유 매장량 발견 이후 중립지역에 대한 영구적인 경계를 설정했고, 카프지는 공식적으로 사우디아라비아에 위치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 합의는 두 국가가 지정된 중립지역 내 모든 천연자원에 대한 공동 권리를 유지한다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었다. 아라비안 오일 컴퍼니의 해당 지역 내 탐사 및 채굴 임대 계약이 종료됨에 따라, 카프지 유전 내 운영은 양국을 대표하는 주주 회사 간의 합작 투자로 환원되었으며, 생산량은 쿠웨이트와 사우디아라비아 간에 50:50으로 분할되었다.
1953년에 미국의 석유 회사가 와흐라 유전을 개발하고, 1959년에는 일본의 석유 회사 아라비아 오일이 카프지 유전을 개발하자, 각국의 기술자와 외국인 노동자가 와서 무인 사막이었던 중립 지대의 인구는 약 2만 명에 달했다.
중립 지대에서 채굴된 석유의 이익은 양국에서 반반으로 분할되었다. 법률도 양국의 것이 적용되어, 중립 지대에서 범죄를 저질렀을 경우에는 쿠웨이트 경찰에 발견되면 쿠웨이트의 법률로 재판받고, 사우디아라비아 경찰에 발견되면 사우디아라비아의 법률로 재판받는다는 시스템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폐해가 컸기 때문에, 1965년에 중립 지대는 남북으로 분할되어 각각 양국에 합병되는 것이 결정되었고 1970년부터 실행에 옮겨졌다. 다만 석유 등 천연 자원의 이익은 종래대로 양국에서 평등하게 분할하고, 양국의 국민은 구 중립 지대 내에는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도록 했다. 그 후 2000년에는 석유 등의 이익에 대해서도 양국에서 경계선을 정하여 분할되는 것으로 되었다.[8]
2. 3. 걸프 전쟁
1990년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을 계기로 1991년에 발발한 걸프 전쟁에서 이라크군이 카프지에 침공하여 카프지 전투가 벌어졌다.[9] 당시 카프지에 있던 다국적군은 초기에는 패배하여 일시적으로 이라크에 점령되었으나, 이후 미국 해병대의 지원을 받은 사우디아라비아군과 카타르군의 전차 부대가 이라크군과 싸워 카프지를 탈환하였다.[9]3. 지리
카프지는 사우디아라비아 동부 주의 페르시아만 연안에 위치하며, 쾨펜 기후 구분 ''BWh''의 열대 사막 기후를 보인다.
3. 1. 위치
동부 주에 위치하며, 페르시아만 연안에 자리 잡고 있다. 북위 28°26′, 동경 48°30′에 위치하며, 사우디-쿠웨이트 국경에서 남쪽으로 10km, 쿠웨이트 시티에서 남쪽으로 130km, 담맘에서 북쪽으로 300km 떨어져 있다.[1]3. 2. 기후
카프지는 열대 사막 기후(쾨펜 기후 구분 ''BWh'')를 가지고 있다.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평균 최고 기온 (℃) | 17.8°C | 20°C | 23.9°C | 28.7°C | 34.8°C | 39.4°C | 40.8°C | 40.9°C | 37.9°C | 33.3°C | 25.8°C | 19.7°C |
평균 최저 기온 (℃) | 9.8°C | 8.7°C | 13.1°C | 17.5°C | 22.9°C | 27.2°C | 28.8°C | 28.3°C | 24.8°C | 20.7°C | 15.1°C | 9.8°C |
월 강수량 (mm) | 25mm | 15mm | 7mm | 9mm | 1mm | 0mm | 0mm | 0mm | 0mm | 1mm | 21mm | 8mm |
연간 강수량 (mm) | 87mm |
4. 인구
카프지의 인구는 2015년 기준으로 약 12만 명이다. 인구의 상당수는 석유 회사 직원과 그 가족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많은 주민들이 1960년 이후 사우디아라비아와 쿠웨이트의 여러 도시에서 카프지로 이주해왔다.
5. 교육
카프지에는 남성을 위한 대학교육 기관이 부족하다. 카프지에는 여성 전용 대학인 여자교육대학이 있다. 2009년 1월, 동부 지방 대학 담당 국장인 무하마드 알-우마이르는 여자교육대학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는데, 몇 주 동안 수거되지 않은 쓰레기 더미가 대학에 쌓여 있다는 보고에 따른 것이었다. 학생들은 학교 화장실을 사용할 수 없다고 진술했으며, 학교 환경은 학업에 해로운 수준으로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3][4] 여자교육대학은 셰브론으로부터 일부 자금을 지원받는다.[5]
6. 의료
1969년까지 카프지는 회사 병원 하나만으로 운영되었다. 1988년 카프지 국립 폴리클리닉이 설립되었고, 2004년 병원으로 전환되어 도시 최초의 민간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이 되었다. 1996년 알 카프지 합동 운영 병원(KJO 병원)이 개원하여 이후 확장되었다. KJO 병원은 연간 입원 환자 7,000명, 외래 환자 80,000명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했다.[6] 2005년 말 카프지 종합병원이 개원한 이후, 카프지 주에서 주요 의료 기관이 되었으며, 빠르게 확장되어 KJO 병원의 역할을 대체하고 있다. 카프지 종합병원은 모든 시민과 자격이 있는 거주자에게 모든 전문 분야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시민과 거주자, 그리고 쿠웨이트 인근 시민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카프지에는 킹덤 오브 메디슨, 알마나르 콤플렉스와 같은 여러 민간 병원과 민간 폴리클리닉이 설립되었으며, 2010년에는 알라흐마 의료 콤플렉스가 개원했다.[7]
7. 교통
카프지 시는 도로를 통해 쿠웨이트 및 사우디아라비아의 다른 도시와 연결된다.
7. 1. 공항
카프지 시에는 아람코 걸프 운영 회사(Aramco Gulf Operations Company) 소유의 소규모 비행장(카프지 공항(Khafji Airport))이 있지만, 일반인이나 상업용으로는 개방되어 있지 않다.지리적으로 가장 가까운 국내선 공항은 서쪽으로 230km 떨어진 알 카이수마/하프르 알 바틴 공항(알 카이수마/하프르 알 바틴 공항(Al Qaisumah/Hafr Al Batin Airport))이며, 국내선 운항이 제한적이다. 하지만 직접 도로가 없어 실제 운전 거리는 약 300km로 더 멀어지며, 더 이상 가장 가까운 공항이 아니다. 국제선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장 가까운 공항은 다맘에 있는 킹 파드 국제공항(킹 파드 국제공항(King Fahd International Airport))으로, 운전 거리는 270km이다. 쿠웨이트 국제공항(쿠웨이트 국제공항(Kuwait International Airport))이 카프지 시에 가장 가까운 상업 공항이지만, 전체적으로는 킹 파드 국제공항이 더 가깝다.
8. 문화 및 여가
많은 카프지 주민은 쇼핑을 위해 쿠웨이트나 담맘으로 간다. 두 곳 모두 카프지의 젊지만 성장하는 소매 시장과는 달리 더 다양한 제품과 크고 잘 자리 잡은 시장을 제공한다.
9. 미래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아람코 걸프 운영 회사(Aramco Gulf Operations Company)와 함께 카프지에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하여 사우디아라비아의 주요 도시 중 하나로 변모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 정부에 따르면, 카프지는 새로운 천연가스 회사의 본사가 될 예정이다. 카프지의 또 다른 정부 프로젝트는 이 도시를 국제 관광지로 육성하는 것이다. 이 프로젝트는 여름에는 아라비아만의 해변을, 겨울에는 온화한 날씨와 사막 캠핑을 홍보할 것이다.
참조
[1]
웹사이트
Khafji governorate
https://www.citypopu[...]
2024-02-03
[2]
웹사이트
Arabian Oil Company, Ltd
https://web.archive.[...]
2011-09-12
[3]
웹사이트
Saudi Gazette - Chaos in Khafji Girls' Education College
https://web.archive.[...]
2010-09-28
[4]
웹사이트
Chaos in Khafji Girls Education College | A1SaudiArabia.com
https://web.archive.[...]
2010-09-28
[5]
웹사이트
In the Community | Saudi Arabia | Chevron
https://web.archive.[...]
2010-09-28
[6]
웹사이트
G Gheewala
https://web.archive.[...]
2010-09-28
[7]
웹사이트
مجمع الرحمة الطبي
https://web.archive.[...]
2011-06-01
[8]
웹사이트
中立地帯
http://geo.d51498.co[...]
世界飛び地領土研究会
2013-07-20
[9]
웹사이트
第6章 アメリカ軍以外から見た湾岸戦争
https://www.nids.mod[...]
防衛研究所
2021-03-01 #날짜 형식에 맞춰 수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