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냐 국방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케냐 국방군은 케냐의 군대로, 케냐 육군, 케냐 해군, 케냐 공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영국 식민지 시대에 창설된 아프리카 왕립 소총대(KAR)의 역사를 계승하며, 1963년 케냐 독립과 함께 케냐 군사력(KMF)으로 창설되었다. 소말리아와의 시프타 전쟁, 유엔 평화 유지 작전에 참여했으며, 2011년에는 소말리아 내 알샤바브 반군을 공격하는 린더 은치 작전을 개시했다. 국방군은 대통령의 지휘를 받으며, 의회의 승인 없이는 국내 전투 작전에 투입될 수 없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케냐 국방군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스와힐리어) | Majeshi ya Ulinzi ya Kenya (마제시 야 울린지 야 케냐) |
![]() | |
웹사이트 | 케냐 국방부 웹사이트 |
지휘부 | |
최고 통수권자 | 윌리엄 루토 대통령 |
최고 통수권자 직함 | 최고 사령관 |
국방부 장관 | 소이판 투야 |
국방부 장관 직함 | 국방부 내각 비서관 |
총장 | 찰스 무리우 카하리리 대장 |
총장 직함 | 국방군 총장 |
차장 | 존 무가라바이 오멘다 중장 |
차장 직함 | 국방군 차장 |
병력 | |
징집 연령 | 15–49세 |
현역 | 50,000명 |
편성 | |
구성군 | [[파일:Flag of the Kenyan Army.svg|20px]] 육군 [[파일:Air Force Ensign of Kenya.svg|20px]] 공군 [[파일:Naval Ensign of Kenya.svg|20px]] 해군 |
예산 | |
예산 (2018/19 회계연도) | KSH 109,700,000,000 ($7,714,486,000.639 2023년 7월 27일 기준) |
GDP 대비 | 1.5% |
군수 산업 | |
국내 공급 | 케냐 조병창 공사 루이루 국립 보안 산업 |
해외 공급 | |
역사 | |
주요 참전 | 제2차 세계 대전 (킹스 아프리카 소총대 소속) (1939–45) 말레이 비상사태 (1948–60) 마우 마우 봉기 (1952–60) 독립 후 시프타 전쟁 (1963–67) 엘곤산 반란 (2005–08) 린다 은치 작전 (2011–12) 소말리아 전쟁 (2012–현재) 키부 분쟁 (2022–현재) |
계급 | |
계급 체계 | 케냐의 군사 계급 |
2. 역사
영국은 케냐 식민지 설립 후 군대를 육성하고 유지했으며, 이는 아프리카 왕립 소총대대(KAR)로 발전했다. KAR은 두 차례의 세계 대전과 마우 마우 봉기에서 활약했다.[39] 마우 마우 봉기의 반대편에는 아프리카인들이 직접 창설한 최초의 케냐군인 케냐 토지 및 자유군이 있었다.
하위 섹션에서 케냐타, 모이, 키바키 정부 시대의 역사를 상세히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간략하게 전체적인 역사의 흐름을 요약한다.
- 케냐 식민지 시대: 영국은 케냐 식민지를 설립하고 군대를 유지했다. 이 군대는 아프리카 왕립 소총대대(KAR)로 발전했으며, 두 차례의 세계 대전과 마우 마우 봉기에 참전했다.
- 독립 이후: 1963년 케냐 독립 이후, 케냐 군사력(KMF)이 창설되었고, KAR 부대들은 케냐 소총대로 재편되었다. 초기에는 영국 장교들이 군대를 관리하고 훈련시켰다.
- 1990년대 이후: 케냐군은 유엔 평화 유지 작전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 2011년: 린더 은치 작전을 통해 소말리아 남부의 알샤바브 반군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2. 1. 조모 케냐타 행정부 (1963년 ~ 1978년)
1963년 12월 12일 자정에 케냐가 독립하면서 케냐 의회는 1963년 KMF법(Kenya Military Forces Act 1963)을 통해 케냐 군사력(KMF)을 창설했다.[39] 이에 따라 기존의 3 KAR, 5 KAR, 11 KAR 부대는 각각 3 케냐 소총대, 5 케냐 소총대, 11 케냐 소총대로 재편되었다. 새 독립 정부는 영국 고위 군 장교들을 고문 및 훈련관으로 유임시켜 이전 KAR 부대를 관리하고 케냐 군대의 특성을 발전시켰다. 영국 정착민들로 구성되었던 케냐 연대는 해산되었다.1963년부터 1967년까지 케냐는 북동부 소말리아 주민들과의 시프타 전쟁을 치렀다.[39] 1963년 말, 5 케냐 라이플은 케냐 북동부 주로 파견되어 증가하는 시프타 매복에 대응했다. 추가 경찰과 일반 지원 부대도 파견되었다. 시프타는 가볍게 무장하고 이동성이 뛰어났으며 케냐-소말리아 현지 주민들로부터 상당한 지원을 받았다. 육군과 경찰은 주민들을 강제로 "새로운 마을"로 재정착시키고 시프타를 파괴하기 위한 소탕 작전을 벌였으며, 시프타의 위치로 추정되는 곳에 박격포 공격을 가하기도 했다.
1964년 1월 24일, 케냐군 제11소총대 하급 병사들이 임금 인상 발표를 기대하며 텔레비전 연설을 기다렸으나 케냐 총리가 나타나지 않자 반란을 일으켰다. 이 연설은 나쿠루 지역 라넷 막사에서만 라디오로 방송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케냐타 정부는 43명의 병사들을 대상으로 두 차례의 군법회의를 열었다. 반란 이후, 군사 재판을 거쳐 11 케냐 라이플은 해산되었고, 케냐 형사 수사부(CID)에 의해 반란 혐의에서 벗어난 340명의 라넷 병사들로 새로운 대대인 1 케냐 라이플이 창설되었다. 반란 이후 케냐타는 상황 개선, 군대 임금 인상 발표, 아프리카화 가속화, 정보 기관의 군대 감시 지시 등의 조치를 취했다.
1964년 3월, 케냐와 영국은 국방 협정을 체결했다. 1964년 6월 3일 체결된 공식 협정에 따라 모든 영국군은 1964년 12월 12일까지 철수하고, 영국은 케냐 군대를 지원하며 케냐 공군과 케냐 해군 창설을 지원했다. 또한 북동부 안보를 위해 RAF와 육군 부대를 제공하고, 상당한 군사 차관을 취소하며, 많은 군사 자산을 케냐 정부에 이관했다. 그 대가로 영국 항공기는 케냐를 통과하고, 극동 함대의 RN 함선과 기타 부대는 몸바사를 방문하며, 통신 시설은 1966년까지 사용될 수 있었고, 병력은 연 2회 케냐에서 훈련할 수 있었다. 육군 훈련 배치는 2015년까지 계속되었으며, 영국 육군 훈련 부대 케냐가 감독했다.
영국 고위 군사 고문들은 1960년대 내내 KAR 라인을 따라 군대를 운영했다. 아프리카 장교들이 모든 주요 부대의 작전 지휘를 맡았지만, 영국 훈련팀은 10년의 대부분 동안 케냐 육군을 감독했다. 영국과의 비공식적인 국방 협정은 케냐타에게 육군 반란이나 쿠데타 시도 시 직접적인 영국 군사 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확신을 주었다.
1966년 12월, 영국 준장 A.J. 하디가 케냐 육군 사령관 직을 떠나고 준장 조셉 은돌로에게 넘겨주었다. 몇 달 후, 영국은 버나드 펜폴드를 전 케냐 국방 참모 총장이자 전체 군대의 고위 장교인 새로운 직책에 임명했다. 은돌로는 1969년 펜폴드의 뒤를 이어 국방 참모 총장이 되었지만, 1971년 6월 24일 쿠데타 음모에 연루되어 퇴임했다. 그 후, 참모 총장들은 제임스 기추루 국방부 장관에게 직접 보고했다. 국방 참모 총장 직은 7년 후 다니엘 아랍 모이가 1978년 11월 중장 잭슨 물링게를 육군 사령관에서 CGS로 이동시키면서 다시 채워졌다.
1971년에는 여성 봉사단이 창설되어 여성이 처음으로 군대에 입대했다. 이 부대는 처음에 영국 여성 왕립 육군단의 메이저 패트리샤 이네슨 휘하의 150명의 여성으로 구성되었으며, 그 후 케냐 교도소 서비스 출신의 필리스 이쿠아로 교체되었다.[11][12] 파투마 아흐메드는 1983년에 WSC에 합류했다.[13]
2. 2. 다니엘 아랍 모이 행정부 (1978년 ~ 2002년)
남아프리카 안보 연구소는 모이가 집권했을 때 군 주요 직책 임명에서 부족 편애가 있었다고 기록했다. 군대(경찰 및 GSU 포함) 내에서 모이 대통령의 민족 집단인 칼렌진이 고위직을 사실상 독점했다. 18명의 군 장성 중 최소 3분의 1이, 20명의 준장 중 7명이 칼렌진족이었는데, 이는 케냐 인구의 10분의 1에 불과한 칼렌진족의 비율을 크게 웃도는 수치였다. 이는 특히 키쿠유와 루오에게 불리하게 작용했다.[14]1990년대부터 케냐 육군은 유엔 평화 유지 작전에 참여했다. 이는 '군대와 군인들에게 경험과 수입원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케냐의 첫 번째 평화 유지 파병은 휴전을 감시하기 위한 유엔 이란-이라크 군사 감시단이었고, 그 다음은 나미비아의 UNTAG였다. 1989년부터 2001년까지 케냐군은 UNTAG, UNOSOM, UNPROFOR, UNCRO(크로아티아), UNTAES, UNOMIL, 마케도니아의 UNPREDEP(1996–1999), 앙골라의 MONUA(1997–1999), 그리고 동티모르의 UNTAET(1999–2001)에 참여했다.[15] 1999–2000년에는 여성들이 군 정규 부대에 통합되었고, 여성 봉사단은 해산되었다.[13]
21세기 초, 국방부(Ministry of State for Defence)는 내무 안보 및 지방 행정부와 마찬가지로 대통령 기구의 일부가 되었다. 고위 군 장교를 제외한 모든 장교는 군의 인사 시스템에 의해 임명, 진급 및 필요한 경우 해임된다. 대통령은 고위 군 장교를 임명하고 퇴역시킨다. 국군 통수권자로서 대통령의 권한 하에 국방부 장관이 국가 국방 위원회를 주재한다. 참모총장은 군의 전술적, 작전적 및 행정적 책임자이다. 2010년 헌법에 따라 국방군은 의회의 승인 없이는 케냐 내에서 전투 작전에 더 이상 투입될 수 없다.
2. 3. 음와이 키바키 행정부 (2002년 ~ 2013년)
와키 위원회는 2007년 12월 국민 선거와 그 후 국가를 휩쓴 폭력 사태 이후, 케냐 국방군의 준비성을 칭찬하며 "그 임무를 잘 수행했다"고 평가했다.[16] 그럼에도 불구하고, 엘곤 산 지역에서의 대반란 작전 수행 중[17], 그리고 만데라 지역에서도 심각한 인권 침해 혐의가 제기되었다.[18]2011년 10월, 도블리에서 케냐와 소말리아 군 관계자 간의 주말 사전 회의 이후,[19] 케냐 육군 부대는 국경을 넘어 소말리아 남부의 알샤바브 반군을 공격하는 린더 은치 작전을 시작했다.[20] 케냐는 모가디슈의 과도 정부 및 국경 지역의 소말리아 민병대와 협력했지만, 키스마유 진격은 케냐 국방군이 주도했다. 2012년 6월 초, 케냐군은 공식적으로 AMISOM에 통합되었다.[21]
2012년 8월, 모리스 오유기 소장이 육군 부사령관을 맡고 있었다.[22]
3. 조직
케냐 국방군은 케냐 육군, 케냐 해군, 케냐 공군으로 구성되어 있다.[40] 1990년대부터 케냐 육군은 유엔 평화 유지 작전에 참여하여 군인들에게 경험과 수입원을 제공했다.[15] 케냐의 첫 평화 유지 파병은 유엔 이란-이라크 군사 감시단이었고, 이후 UNTAG, UNOSOM, UNPROFOR 등 다양한 임무에 참여했다.[15]
21세기 초, 국방부는 대통령 기구의 일부가 되었다. 대통령은 고위 군 장교를 임명하고 해임하며, 국군 통수권자로서 국방부 장관이 국가 국방 위원회를 주재한다. 참모총장은 군의 작전 및 행정을 책임진다. 2010년 헌법에 따라 국방군은 의회 승인 없이는 전투 작전에 투입될 수 없다.
2007년 12월 대선 이후 와키 위원회는 케냐 국방군의 준비태세를 칭찬했지만,[16] 엘곤 산과 만데라 지역에서의 대반란 작전 중 인권 침해 혐의가 제기되기도 했다.[17][18]
2011년 10월, 케냐 육군은 소말리아의 알샤바브 반군을 공격하는 린더 은치 작전을 시작했다.[20] 2012년 6월, 케냐군은 AMISOM에 공식 통합되었다.[21]
모이 대통령 집권 시기에는 군대 내에서 칼렌진족이 고위직을 독점했다는 비판이 있었다. 18명의 군 장성 중 최소 3분의 1이 칼렌진족이었으며, 20명의 준장 중 7명이 칼렌진족이었다. 이는 케냐 인구의 10분의 1에 불과한 칼렌진족에게 유리하고 키쿠유족과 루오족에게 불리하게 작용했다는 지적이다.[14]
3. 1. 케냐 육군
2006년 현재 케냐 육군에는 5개 여단이 편성되어 있었다. 보병 여단 2개는 각각 3개 대대와 2개 대대로 구성되었다. 기갑 여단은 3개 대대, 포병 여단은 2개 대대, 공병 여단은 2개 대대로 구성되었다. 또한, 육군에는 방공 포병 1개, 낙하산 20개 대대, 독립 보병 1개와 무장 헬리콥터 35대가 있는 독립 50기병대대가 엠바카시에 있었다.[41]1963년 12월 12일 케냐의 독립은 중요한 이정표였다. 독립과 함께 케냐 의회는 1963년 케냐 군대 법(KMF Act 1963)을 통해 케냐 군사력(KMF)을 창설했다.[10] 3 KAR, 5 KAR 및 11 KAR은 각각 3 케냐 라이플, 5 케냐 라이플 및 11 케냐 라이플이 되었다. 영국 정착민들로 구성된 케냐 연대는 해산되었다.
1963년부터 1967년까지 케냐는 북동부 소말리아 공화국과 통합을 추구한 소말리아 거주민들과 시프타 전쟁을 벌였다. 1963년 말, 5 케냐 라이플은 케냐 북동부 주로 보내져 시프타 매복에 대응했다. 추가 경찰과 일반 지원 부대도 파견되었다. 육군과 경찰은 주민들을 강제로 "새로운 마을"로 재정착시키고 시프타를 파괴하기 위한 소탕 작전을 벌였으며, 시프타의 위치로 추정되는 곳에 박격포 공격을 가하기도 했다.
1964년 1월 24일, 11 케냐 라이플의 하급 병사들이 임금 인상 발표를 기대하며 반란을 일으켰다. 케냐타 정부는 43명의 병사에 대해 두 차례의 별도 군사 재판을 열었다. 반란 이후, 11 케냐 라이플은 해산되었고, 새로운 대대인 1 케냐 라이플은 케냐 형사 수사부(CID)에 의해 반란 참여 혐의에서 벗어난 340명의 병사들로 구성되었다.
1964년 3월, 케냐와 영국은 국방 협정을 체결했다. 모든 영국군은 1964년 12월 12일까지 철수하고, 영국은 케냐 군대를 지원하고 훈련시켰다. 또한 케냐 공군과 케냐 해군을 창설했다. 영국 항공기는 케냐를 통과할 수 있었고, 극동 함대의 RN 함선은 몸바사를 방문할 수 있었으며, 병력은 연 2회 케냐에서 훈련할 수 있었다. 육군 훈련 배치는 2015년까지 계속되었으며, 영국 육군 훈련 부대 케냐가 감독했다.
1966년 12월 1일, 영국 준장 A.J. 하디가 케냐 육군 사령관 직을 준장 조셉 은돌로에게 넘겨주었다. 은돌로는 1969년 국방 참모 총장이 되었지만, 1971년 6월 24일 퇴임했다. 그 후, 참모 총장들은 제임스 기추루 국방부 장관에게 직접 보고했다. 국방 참모 총장 직은 7년 후 다니엘 아랍 모이가 1978년 11월 중장 잭슨 물링게를 육군 사령관에서 CGS로 이동시키면서 다시 채워졌다. 마하무드 모하메드는 1986년 물링게의 뒤를 이어 1996년까지 CGS를 역임했다.
1971년 여성 봉사단이 창설되면서 여성들이 처음으로 군대에 입대했다. 이 부대는 처음에 영국 여성 왕립 육군단의 메이저 패트리샤 이네슨 휘하의 150명의 여성으로 구성되었으며, 그 후 케냐 교도소 서비스 출신의 필리스 이쿠아로 교체되었다.[11][12] 파투마 아흐메드는 1983년에 WSC에 합류했다.[13]
모이 대통령 집권 시기, 군대 내에서 모이 대통령의 민족 집단인 칼렌진족이 고위직을 사실상 독점했다는 비판이 있었다.
1990년대부터 케냐 육군은 유엔 평화 유지 작전에 참여했다. 케냐의 첫 번째 평화 유지 파병은 유엔 이란-이라크 군사 감시단이었고, 그 다음은 나미비아의 UNTAG였다. 1989년부터 2001년까지 케냐군은 UNTAG, UNOSOM, UNPROFOR, UNCRO(크로아티아), UNTAES, UNOMIL, 마케도니아의 UNPREDEP(1996–1999), 앙골라의 MONUA(1997–1999), 그리고 동티모르의 UNTAET(1999–2001)에 참여했다.[15] 1999–2000년에 여성들이 군 정규 부대에 통합되었고, 여성 봉사단은 해산되었다.[13]
2011년 10월, 케냐 육군 부대는 국경을 넘어 소말리아 남부의 알샤바브 반군을 공격하는 린더 은치 작전을 시작했다. 케냐는 모가디슈의 과도 정부 및 국경 지역의 소말리아 민병대와 협력했지만, 키스마유 진격은 케냐 국방군이 주도했다. 2012년 6월 초, 케냐군은 공식적으로 AMISOM에 통합되었다.[21]
2012년 8월, 모리스 오유기 소장이 육군 부사령관을 맡고 있었다.[22]
2014년 2월, 국방부 공식 웹사이트에는 다음과 같은 육군 부대와 병과가 나열되어 있었다.
- 케냐 육군 보병
- 케냐 육군 공수부대 – 제20 공수 대대의 레인저 D 중대는 미국 합동 합동 작전 태스크 포스-아프리카의 뿔(CJTF-HOA) 및 그 전신을 통해 테러 활동에 대처하기 위해 훈련된 케냐 육군 유일의 특공대 부대이다.
- 케냐 육군 기갑 여단 (1개 기갑 정찰 대대 (제76), 제78 전차 대대, 이시올로 포함)
- 케냐 육군 포병 여단 (제77 포병 대대, 제88 포병 대대 포함. 제88 포병 대대는 2018년 4월 27일 이시올로 카운티 라리소로에 창설되었다.)
- 케냐 육군 공병 여단
- 제50 공기병 대대
- 케냐 육군 병기 병과
- 케냐 육군 수송 병과
- 케냐 육군 전기 및 기계 공병
- 케냐 육군 통신 병과
- 헌병 병과
- 케냐 육군 교육 병과
- 의무 대대
- 국방군 헌병대 (DFC)
케냐 레인저 타격 부대 계획은 2006년 시작되었으며, KRSF 창설은 2011~2016년 군사 협력에 관한 KMOD 백서에서 강조되었다. 케냐는 제20 공수 대대, 제30 특수 작전 대대, 제40 케냐 레인저 타격 부대 대대로 구성된 특수 작전 연대 (케냐)를 창설했다. 나이로비의 와이아키 길에서 벗어난 카베테 병영은 '특수' 부대가 주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19~2020년까지, 국제 전략 연구소는 육군의 부대가 1개의 기갑 여단(1개의 기갑 정찰 대대, 2개의 기갑 대대), 1개의 특수 작전 대대, 1개의 레인저 대대, 1개의 보병 여단(3개의 보병 대대), 다른 보병 여단(2개의 보병 대대), 1개의 독립 보병 대대, 1개의 공기병 대대[제50 공기병 대대], 1개의 공중 강습 대대, 1개의 포병 여단(2개의 포병 대대 및 박격포 중대), 1개의 방공 대대, 그리고 1개의 공병 여단(2개의 공병 대대)을 포함한다고 나열했다.
3. 2. 케냐 해군
케냐 해군은 케냐 국방군의 해군 부서이다. 케냐 해군은 케냐가 독립한 지 정확히 1년 후인 1964년 12월 12일에 창설되었다. 케냐 해군은 식민지 시대의 동아프리카 왕립 해군을 계승했다.[42]케냐 해군은 몸바사의 므통웨 기지, 시모니, 음삼베니, 말리디, 킬리피, 그리고 1995년부터[43] 만다섬(라무 군도)에 위치한 기지를 운영하고 있다.
3. 3. 케냐 공군
케냐 공군은 독립 직후인 1964년 6월 1일 영국의 지원을 받아 창설되었다.1982년 8월 1일, 공군 장교 그룹의 쿠데타 시도가 실패한 후, 공군은 해체되었다. 공군 활동은 재구성되어 제82 공군으로 군의 통제를 더 엄격하게 받게 되었다. 공군은 1994년에 독립적인 지위를 되찾았다.
주요 전투기 기지는 나뉴키의 라이키피아 공군 기지이며, 나이로비 이스트레이의 모이 공군 기지가 본부이다. 다른 기지로는 와지르 공군 기지, 몸바사 전진 작전 기지(FOB)(모이 국제공항), 만데라 FOB, 그리고 헬리콥터/소형 항공기가 주로 있는 니에리 FOB가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Murmurs in KDF after salaries deducted for hunger kitty
https://www.the-star[...]
2022-11-30
[2]
웹사이트
Kenya broke new record in defense spending
https://www.armyreco[...]
2019-05
[3]
웹사이트
Kenya opens rifle factory
https://www.janes.co[...]
[4]
웹사이트
Kenya Defence Forces Act – No. 25 of 2012
http://www.mod.go.ke[...]
National Council for Law Reporting
2014-05-06
[5]
웹사이트
Kenya Defence Forces Recruitment Dates 2020
https://kenyadmissio[...]
2018-10-01
[6]
웹사이트
Activists give military 5 days to re-admit recruit :: Kenya – The Standard
http://www.standardm[...]
2010-11-01
[7]
웹사이트
Sh1.6 billion tender scandal rocks DoD :: Kenya – The Standard
http://www.standardm[...]
2010-10-25
[8]
웹사이트
Kenya's 'new' fighter jets cannot take off: Kenya – The Standard
http://www.standardm[...]
2010-10-31
[9]
웹사이트
The Kenyan army is accused of running a sugar-smuggling racket with Somali terrorists
https://www.economis[...]
The Economist
2015-11-23
[10]
웹사이트
About Us
https://mod.go.ke/ab[...]
[11]
웹사이트
How women in military are closely watched to avoid 'sneaking around with men'
https://www.standard[...]
[12]
웹사이트
Lot 258: Interesting Scrap & Photographic Album Relating to Major P Ineson WRAC Commanding Officer of the Kenya Womens Service Corps (WSC)
https://www.invaluab[...]
2023-03-01
[13]
웹사이트
I joined military by accident: Brigadier
https://nation.afric[...]
2020-07-02
[14]
웹사이트
Kenya - Security Information
http://www.iss.co.za[...]
2008-09-30
[15]
웹사이트
PEACEKEEPING OPERATIONS: Kenya Mission to the United Nations in New York, USA
http://www.un.int/ke[...]
2017-07-10
[16]
웹사이트
Microsoft Word - ~8860467.doc
http://www.eastandar[...]
2017-07-10
[17]
웹사이트
MT. ELGON: POLICE ACTION IS AN AFFRONT TO THE, POWERS AND MANDATE OF KNCHR, A VIOLATION OF THE LAW AND AN ATTEMPT TO COVER UP THE TORTURE IN MT. ELGON
http://www.knchr.org[...]
2017-07-10
[18]
웹사이트
Security men accused of torture and rape – Daily Nation
http://www.nation.co[...]
2008-11-01
[19]
뉴스
Kenya launches offensive in Somalia
http://news.national[...]
2011-10-16
[20]
웹사이트
Joint Communique – Operation Linda Nchi
http://kenyahighcomt[...]
Kenya High Commission, Tanzania
2013-09-25
[21]
뉴스
Kenya: Defense Minister appointed as acting Internal Security Minister
http://www.garoweonl[...]
2012-06-19
[22]
웹사이트
Major General Maurice Otieno Oyugi & Colonel Hesbon Malwey…
https://www.flickr.c[...]
Flickr
2012-08-29
[23]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Kenya, 2010 – Ministry of Defence – Kenya
https://mod.go.ke/th[...]
[24]
간행물
Country Profile Kenya
https://www.refworld[...]
Federal Research Division, Library of Congress
2007-06
[25]
웹사이트
The Kenya Army Formations
http://www.mod.go.ke[...]
Kenya Government, Ministry of State for Defence
2021-01-10
[26]
웹사이트
Trained in terror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republished from The Guardian article of 30 July 2008)
2008-07-31
[27]
웹사이트
88 Artillery Battalion Flag Handover
http://ka.mod.go.ke/[...]
[28]
문서
https://www.conferen[...]
2011-07-08
[29]
문서
dipad_newsletter_2014
https://issuu.com/mi[...]
[30]
웹사이트
Kenya Navy: History
http://www.mod.go.ke[...]
[31]
웹사이트
Kenya Navy: Memorable events
http://www.mod.go.ke[...]
[32]
웹인용
Murmurs in KDF after salaries deducted for hunger kitty
https://www.the-star[...]
2022-11-30
[33]
웹인용
Kenya Defence Forces Act – No. 25 of 2012
http://www.mod.go.ke[...]
National Council for Law Reporting
2014-05-06
[34]
웹인용
Kenya Defence Forces Recruitment Dates 2020
https://kenyadmissio[...]
2021-01-22
[35]
웹인용
Activists give military 5 days to re-admit recruit :: Kenya – The Standard
http://www.standardm[...]
2017-07-10
[36]
웹인용
Sh1.6 billion tender scandal rocks DoD :: Kenya – The Standard
http://www.standardm[...]
2010-10-25
[37]
웹인용
Kenya's 'new' fighter jets cannot take off: Kenya – The Standard
http://www.standardm[...]
2010-10-31
[38]
웹인용
The Kenyan army is accused of running a sugar-smuggling racket with Somali terrorists
https://www.economis[...]
The Economist
2015-11-23
[39]
웹인용
About Us
https://mod.go.ke/ab[...]
[40]
웹인용
The Constitution of Kenya, 2010 – Ministry of Defence – Kenya
https://mod.go.ke/th[...]
[41]
간행물
Country Profile Kenya
https://www.refworld[...]
Federal Research Division
2007-06
[42]
웹인용
Kenya Navy: History
http://www.mod.go.ke[...]
[43]
웹인용
Kenya Navy: Memorable events
http://www.mod.go.k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