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르도바주 (아르헨티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르도바주는 아르헨티나의 주로, 아르헨티나에서 두 번째로 큰 경제 규모를 가지고 있다.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시작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1573년 코르도바 시가 건설되었다. 1613년에는 아르헨티나 최초의 대학교인 코르도바 국립 대학교가 설립되었다. 코르도바는 1918년 대학교 개혁 운동의 발상지이며, 1969년에는 노동자와 학생들의 대규모 반란인 코르도바소가 발생했다.
스페인 정복 이전, 현재 코르도바 주 지역에는 코메칭고네스, 사나비로네스 등의 원주민 집단이 거주했다. 스페인인들은 페루에서 금과 은을 유럽으로 운송하기 위해 라플라타 강 항구를 통한 대서양 항로를 개척하고자 했다.
코르도바주는 아르헨티나의 지리적 중심부 바로 북쪽에 위치하며, 아르헨티나에서 5번째로 큰 주이다. 이 주의 주요 특징은 크게 동부의 광대한 평원과 서부의 시에라스 데 코르도바 산맥으로 나눌 수 있다. 남동부에는 수많은 연못, 호수 및 습지가 있으며, 북동쪽 모퉁이에는 라구나 마르 치키타라는 광대한 염호(鹽湖)가 있다.
코르도바주는 광대한 평원, 산맥, 호수, 습지 등 다양한 지형을 가지고 있으며, 온대 기후를 보인다. 경제는 서비스업, 산업, 농업, 축산업, 광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진다. 주요 산업으로는 자동차, 농업 기계, 식품 가공 등이 있으며, 농업은 대두, 밀, 옥수수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202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코르도바 주의 인구는 약 400만 명이며, 주도는 코르도바이다. 코르도바는 26개의 데파르타멘토(행정 구역)로 나뉘어 있으며, 단원제 입법부와 주지사가 행정을 담당한다. 인접한 주는 산티아고델에스테로, 산타페, 부에노스아이레스, 라팜파, 산루이스, 라리오하, 카타마르카이다.
2. 역사
1573년 7월 6일, 헤로니모 루이스 데 카브레라가 이 경로의 중간 지점에 '코르도바 데 라 누에바 안달루시아'(현재의 코르도바 시)를 건설했다. 1599년 예수회가 콜레히오 콘빅토리오 데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몬세라트를 설립했고, 1613년에는 아르헨티나 최초의 대학교인 코르도바 국립 대학교가 설립되었다. 코르도바는 페루에서 오는 귀금속 무역으로 인해 중요한 문화 중심지로 성장했으며, 1761년에는 대학교에 인쇄기가 설치되었다.
1783년, 라플라타 부왕령 설치 7년 후, 코르도바 관구는 현재의 라리오하, 멘도사, 산후안, 산루이스 주를 포함하는 지역의 수도가 되었고, 이전의 투쿠만 관구는 둘로 나뉘었다. 라파엘 데 소브레몬테는 당시 코르도바 시 인구가 38,800명일 때 초대 주지사가 되었다.
1810년 5월 혁명 이후, 주지사 후안 안토니오 구티에레스 데 라 콘차는 부에노스아이레스 훈타의 권위를 거부하는 회의에 참석했다.[4] 이에 프란시스코 오르티스 데 오캄포는 도시를 공격하여 영국 라플라타 침공 당시 저항 지도자였던 산티아고 데 리니에르스를 포함한 반대파 지도자들을 처형했다.[4]
1820년 이후, 후안 바우티스타 부스토스가 이끄는 코르도바는 부에노스아이레스와 국가 통제권을 두고 경쟁했다.[4] 당시 남아메리카 연합주에는 입법부나 행정부가 없었다.[4] 코르도바는 아르헨티나 주의 연방 조직을 지향했지만, 베르나르디노 리바다비아는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중앙 집권 정부를 수립하려 했다.[4] 15년간 내분 상태였던 코르도바 주는 1868년 펠릭스 데 라 페냐의 임시 정부 하에서 안정을 찾기 시작했다.[4]
도밍고 파우스티노 사르미엔토 대통령 재임 중 1871년 천문대가, 1873년에는 물리학 및 수학부 학부가 개원했다. 철도 건설과 이민은 코르도바에 두 번째 인구 증가를 가져왔다. 1887년부터 여러 농업 식민지(산프란시스코, 마르코스 후아레스 등)가 생겨났고, 부에노스아이레스로 가는 길목에 있던 이전 휴게소들인 프라이레 무에르토(벨 빌레), 페레이라(비야 마리아), 로스 루세로스(리오 세군도)는 각각 농업, 상업, 산업 중심지로 발전했다.
1918년 코르도바에서 시작된 아르헨티나 대학교 개혁 운동은 아르헨티나뿐만 아니라 남아메리카 전체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교육 과정 현대화와 학생 권리 개선에 기여했다. 아마데오 사바티니 주지사는 이 개혁을 주도하여 국가 표준이 될 시민 및 토지 개혁을 시행했다.[10]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자동차 산업 확장에 따라 많은 외국인 노동자와 아르헨티나 다른 주 출신 노동자들이 코르도바의 산업 발전에 참여했다. 아르투로 프론디지 대통령(1958–1962) 재임 기간 동안 대부분의 새로운 자동차 산업이 코르도바 시와 그 주변에 정착했다.[11]
1955년 후안 페론 축출 이후, 코르도바에서도 페론주의 그룹이 등장하여 사회주의, 아나키스트 그룹과 함께 1966년 시작된 세 번째 군사 독재에 맞서 싸웠다. 1969년 5월, 임명된 주지사의 강경 정책에 대한 불만으로 코르도바소라 불리는 폭력적인 대중 반란이 일어났다. 로사리오소 등 다른 지역에서도 발생한 이 반란은 후안 카를로스 오냐니아의 권력을 약화시켰다.[13]
코르도바는 1973년 좌익 폭력, 1974년 우익의 정치적 간섭, 1976–77년 정부의 만행, 1978–81년 자유 무역 정책으로 인해 산업 부문에 큰 타격을 입었으나, 1980년대 부채 위기와 1998년부터 2002년까지 이어진 급성 금융 위기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번창했다.[14]
2. 1. 스페인 식민지 시대
스페인 정복 이전 코르도바 주 지역에는 코메칭고네스, 사나비로네스 등의 원주민 집단이 거주했다.
스페인인들은 페루에 정착한 후, 페루의 금과 은을 유럽으로 운송하기 위해 대서양의 라플라타 강 항구로 가는 길을 찾았다.
1573년 7월 6일, 헤로니모 루이스 데 카브레라는 그 길의 중간 지점으로 '코르도바 데 라 누에바 안달루시아'(현재 코르도바 시)를 세웠다. 1599년 예수회는 '콜레히오 콘빅토리오 데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몬세라트'를 설립했고, 1613년에는 아르헨티나 최초의 대학교인 코르도바 국립 대학교가 설립되었다. 이 도시는 페루에서 온 귀금속 무역에 힘입어 중요한 문화 중심지로 성장했다. 1761년에는 대학교에 인쇄기가 설치되었다.
1783년, 라플라타 부왕령이 통합된 지 7년 후, 코르도바 관구는 현재 라리오하, 멘도사, 산후안, 산루이스 주를 포함하는 지역의 수도가 되어 이전 투쿠만 관구를 둘로 나누었다. 라파엘 데 소브레몬테는 코르도바 시에 38,800명의 주민이 살고 있을 때 초대 주지사가 되었다.
2. 2. 독립과 연방주의 시대
1810년 5월 혁명 이후, 주지사 후안 구티에레스 데 라 콘차는 부에노스아이레스 훈타의 권위를 무시하기로 결정한 회의에 참석했다.[4] 프란시스코 오르티스 데 오캄포는 이 도시를 공격하여 반대파 지도자들을 처형했는데, 그중에는 영국 라플라타 침공 당시 저항의 지도자였던 산티아고 데 리니에르스도 포함되었다.[4]
1820년 이후 후안 바우티스타 부스토스가 이끈 코르도바는 부에노스아이레스와 국가 통제권을 놓고 다투었다.[4] 당시 남아메리카 연합주는 입법부나 행정부가 없었다.[4] 코르도바는 아르헨티나 주의 연방 조직을 원했지만 베르나르디노 리바다비아는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중앙 집권 정부를 추진했다.[4] 15년 동안 이 주는 내분으로 잠겼지만 1868년 펠릭스 데 라 페냐의 임시 정부 하에서 안정되기 시작했다.[4]
2. 3. 대학교 개혁과 산업 발전
1918년 코르도바에서 시작된 대학교 개혁 운동은 아르헨티나뿐만 아니라 남아메리카 전체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운동의 주요 성과는 교육 과정 내용의 현대화와 학생들의 권리 개선이었다. 코르도바에서는 당시 아르헨티나에서 가장 진보적인 주지사였던 아마데오 사바티니 주지사가 이를 주로 시행했으며, 이후 국가 표준을 설정할 시민 및 토지 개혁을 시행했다.[10]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많은 외국인 노동자와 아르헨티나의 다른 주 출신 노동자들이 자동차 산업 확장에 힘입어 코르도바의 산업 발전에 매료되었다. 아르투로 프론디지 대통령(1958–1962) 재임 기간 동안 대부분의 새로운 자동차 산업이 코르도바시와 그 주변에 정착했다.[11]
2. 4. 현대의 코르도바
대학교 개혁 운동은 1918년 코르도바에서 시작되어 아르헨티나뿐만 아니라 남아메리카 전체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운동으로 교육 과정 내용의 현대화와 학생들의 권리 개선이라는 주요 성과를 이루어냈다. 코르도바에서는 당시 아르헨티나에서 가장 진보적인 주지사였던 아마데오 사바티니 주지사가 이 개혁을 주도적으로 시행했으며, 이후 국가 표준이 될 시민 및 토지 개혁을 시행했다.[1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자동차 산업이 확장되면서 많은 외국인 노동자와 아르헨티나 다른 주 출신 노동자들이 코르도바의 산업 발전에 이끌렸다. 아르투로 프론디지 대통령(1958–1962) 재임 기간 동안 대부분의 새로운 자동차 산업이 코르도바시와 그 주변에 자리를 잡았다.[12]
후안 페론을 축출한 쿠데타 이후 1955년, 다른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코르도바에서도 페론주의 그룹이 등장했다. 이들은 사회주의 및 아나키스트 그룹과 함께 1966년에 시작된 아르헨티나의 세 번째 군사 독재에 맞서 싸우기 시작했다. 임명된 주지사의 강경한 정책에 대한 불만이 커지면서 노동자와 학생들의 정치 참여가 활발해졌고, 이는 1969년 5월 ''코르도바소''라고 불리는 폭력적인 대중 반란으로 이어졌다. ''로사리오소''를 비롯한 다른 지역에서도 발생한 이 반란은 독재자 후안 카를로스 오냐니아의 권력을 약화시켰고, 결국 보다 온건한 군사 세력에 의해 축출되는 결과를 가져왔다.[13]
코르도바는 1973년 좌익 폭력, 1974년 우익의 정치적 간섭, 1976–77년 정부의 만행, 1978–81년 자유 무역 정책으로 인해 산업 부문에 큰 타격을 입었다. 그러나 1980년대 부채 위기와 1998년부터 2002년까지 이어진 급성 금융 위기에도 불구하고 코르도바는 계속해서 번창했다.[14]
3. 지리
이 주의 동부 지역은 콩, 땅콩의 주요 생산지이며 옥수수와 유제품도 대규모로 생산된다. 반면, 극북 및 북서부 지역은 온대 팜파와 아열대 그란 차코의 경계에 위치하여 가뭄에 취약하다.
3. 1. 시에라스 데 코르도바 산맥
코르도바주의 주요 특징은 동부 2/3를 덮고 있는 광대한 평원과 3개의 주요 산맥인데, 이 산맥들을 통틀어 시에라스 데 코르도바라고 부른다. 가장 동쪽에 있는 산맥은 코르도바 시의 바로 서쪽에서 시작하여 남쪽에서는 대부분 1000m 정도의 고도에 이르며 북쪽으로 더 가면 1500m 이상에 달하며, 세로 우리토르코에서는 최대 1950m의 고도를 보인다. 이 산맥의 서쪽에는 두 개의 계곡이 있는데, 이곳에 이 주의 대부분의 관광 명소가 위치해 있다. 남쪽의 칼라무치타 계곡과 북쪽의 푸니야 계곡에는 빌라 카를로스 파스, 코스킨, 라 쿰브레, 라 팔다와 같은 경치 좋은 마을들이 있다.
퀘브라다 델 콘도리토 국립공원의 서쪽에는 시에라스 그란데스가 이 주의 가장 높은 산맥을 형성하고 있다. 이 산맥의 고도는 점차 증가하여 팜파 데 아찰라라고 불리는 2000m에서 2300m의 고원 지대를 형성하며, 서쪽의 세로 참파키에서 2790m로 절정에 달한다. 이 산맥의 서쪽에는 발레 데 트라스라시에라라고 알려진 계곡으로 향하는 인상적인 경사가 있으며, 계곡을 가로질러 시에라스 오리엔탈레스는 세로 예르바 부에나에서 1650m의 고도에 도달한다.
팜파 데 아찰라의 날씨는 높은 고도로 인해 매우 변동이 심하다. 일반적으로 강한 방사선으로 인해 여름 오후에는 쾌적하지만, 밤에는 기온이 매우 낮을 수 있다. 일년 내내 서리가 내릴 수 있으며, 겨울은 극도로 건조하고 밤 기온은 0°C 이하로 내려간다. -15°C 이하의 기온이 기록되었으며, 겨울철에는 강수량이 부족하여 적은 양의 눈이 매우 흔하게 내린다. 여름 뇌우는 매우 격렬할 수 있으며, 큰 우박, 잦은 번개 및 강풍을 동반한다.
트라스라시에라 지역은 눈에 띄게 더 따뜻한 기후로 유명하다. 여름 기온은 종종 35°C를 훨씬 넘고 밤에도 매우 덥다. 가을은 다른 지역보다 늦게 찾아오고, 봄 또한 일찍 찾아온다. 겨울은 쾌적하며, 가벼운 서리가 내린 후 약 19°C까지 올라가는 매우 쾌적한 오후가 이어
3. 2. 마르 치키타 호수
이 주의 북동쪽 모퉁이에는 라구나 마르 치키타라는 광대한 염호(鹽湖)가 있다. 호수의 실제 면적은 6000km2이지만, 1980년대와 같은 장기간의 건조기에는 그 면적이 1/3로 줄어들 수 있으며 염분 농도는 훨씬 높아진다.
3. 3. 기후
코르도바 주의 기후는 주로 온대 기후이며, 지역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여름은 덥고 습하며, 가을은 쾌적하고, 겨울은 매우 건조하며 온도가 극단적으로 낮다. 봄은 바람이 많이 불고 변덕스럽다.
주의 동부 지역은 여름철 평균 최고 기온이 30°C에서 32°C이고 최저 기온은 16°C에서 18°C이다. 잦은 뇌우와 38°C 이상의 폭염이 발생하며, 한랭 전선이 지나면 건조하고 쾌적한 날씨가 이어진다. 여름철 월 강수량은 90mm에서 120mm이다. 3월은 밤에 눈에 띄게 서늘하고 강수량이 가장 많으며, 4월은 최고 기온 23°C, 최저 기온 11°C로 쾌적하다. 5월부터 강수량이 줄어 겨울철에는 월 25mm 미만이다.
겨울철 평균 기온은 최고 15°C에서 18°C, 최저 2°C에서 4°C이지만, 북풍이 불면 30°C까지 오르기도 하고, 남풍이 불면 오후 기온이 6°C, 밤 기온이 -5°C까지 내려가기도 한다. 겨울에는 짙은 안개가 자주 끼고, 눈은 드물지만 2007년에는 10cm에서 20cm의 눈이 내리고 기온이 -9°C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봄에는 강한 폭염, 뇌우, 우박, 강풍 등 날씨 변화가 심하다. 총 강수량은 산타페와의 경계 지역에서 850mm 이상, 서쪽에서는 700mm 정도, 최남단에서는 600mm 정도이다.
시에라 산기슭은 쾌적한 날씨로 유명하다. 여름에는 시원하고 강수량이 많지만 습도가 낮고, 겨울에는 안개와 바람이 적고 햇살이 좋다. 시에라 동쪽 경사면은 강수량이 가장 많아 연간 900mm에서 최대 1200mm까지 기록되며, 주로 여름철 뇌우 형태로 내린다. 시에라에서는 눈이 더 자주 내리지만, 공기가 건조하여 양은 적다.
팜파 데 아찰라는 높은 고도로 인해 날씨 변화가 심하다. 여름에는 쾌적하지만 밤에는 기온이 매우 낮고, 일 년 내내 서리가 내릴 수 있다. 겨울은 매우 건조하고 밤 기온은 0°C 이하로 내려가며, -15°C 이하가 기록되기도 했다. 겨울철 강수량이 부족하여 눈이 자주 내린다. 여름 뇌우는 우박, 번개, 강풍을 동반하여 매우 격렬하다.
트라스라시에라 지역은 따뜻한 기후로, 여름 기온은 35°C를 넘고 밤에도 덥다. 가을은 늦게, 봄은 일찍 온다. 겨울은 쾌적하며, 가벼운 서리 후 19°C까지 오른다. 강수량은 여름에만 500mm에서 700mm 정도 내린다. 따뜻한 기후는 무화과, 올리브, 포도 등 지중해 농산물 생산에 적합하다.
주의 극북 및 북서부 지역은 온대 팜파와 아열대 그란 차코 경계에 위치한다. 여름은 길고 더 더우며, 40°C의 기온이 자주 나타난다. 겨울은 짧고 밤 기온은 남쪽과 비슷하지만 낮은 더 따뜻하다. 이 지역은 가뭄에 취약하며 연간 강수량은 400mm에 불과하다.
4. 인구
2022년 아르헨티나 전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코르도바 주의 인구는 3,978,984명이다.[5] 2022년 인구 조사에서 나타난 코르도바 주의 민족 구성은 미신고 97.7%, 원주민 1.8%, 흑인 0.5%이다.[4]
4. 1. 인구 변화
2022년 아르헨티나 전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코르도바 주의 인구는 3,978,984명이다.[5]
4. 2. 주요 도시 (2010년 인구 기준)
순위 | 도시 | 인구 (2010년) |
---|---|---|
1 | 코르도바 | 1,417,298 |
2 | 리오 콰르토 | 160,010 |
3 | 빌라 마리아 | 89,000 |
4 | 빌라 카를로스 파스 | 62,423 |
5 | 산프란시스코 | 61,750 |
6 | 알타 그라시아 | 48,140 |
7 | 리오 테르세로 | 46,421 |
8 | 벨 빌 | 40,835 |
9 | 라 칼레라 | 32,227 |
10 | 빌라 돌로레스 | 31,850 |
5. 경제
코르도바는 부에노스아이레스주 다음으로 아르헨티나에서 두 번째로 큰 주 경제를 가지고 있으며, 서비스, 자동차, 식품 가공, 농업, 광업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해 있다.
과거에는 콜센터가 번성했지만, 대부분 저임금 지역으로 이전되었다. 현재는 기술 기업들의 서비스 센터와 소프트웨어 개발 센터가 성장하고 있다.
1927년 파브리카 밀리타르 데 아비오네스 설립과 이후 국영 산업 (기관차 및 기차 제조 등)으로 인해 코르도바는 아르헨티나에서 가장 중요한 산업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다. 1955년경부터 코르도바의 자동차, 농업 기계 및 식품 가공 산업에 대한 외국인 투자가 증가하면서 산업적 프로필이 더욱 높아졌다.
5. 1. 주요 산업
코르도바는 부에노스아이레스주 다음으로 아르헨티나에서 두 번째로 큰 경제 규모를 가진 주입니다. 2013년 GDP는 1916.12억아르헨티나 페소 (약 350.934억달러)로 추산되었으며, 1인당 55075ARS (약 10087USD)에 해당합니다.[14][15]주요 산업은 서비스, 자동차, 식품 가공, 농업, 광업 등이 있습니다.
산업 분야 | 상세 내용 |
---|---|
서비스 산업 | GDP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금융, 교육, 의료, 전문 서비스 등이 포함됩니다. 주요 기업으로는 딜로이트, 타르헤타 나랑하, 방코르 등이 있습니다. |
관광 산업 | 언덕이 많은 풍경, 쾌적한 날씨, 문화적 제안으로 인해 아르헨티나에서 가장 많은 방문객이 찾는 곳 중 하나입니다. 비야 카를로스 파스, 비야 헤네랄 벨그라노 등이 주요 관광지이며, 호텔, 레스토랑, 바 및 리조트가 발달해 있습니다. |
기술 산업 | 모토로라를 시작으로 여러 기술 회사의 서비스 센터가 설립되었으며, 소프트웨어 및 기술 개발 센터로 발전했습니다. 인텔, 메르카도 리브레, 산텍스, 글로반트 등이 대표적인 기업입니다. |
자동차 산업 | 1927년 파브리카 밀리타르 데 아비오네스 설립 이후, 코르도바는 아르헨티나의 중요한 산업 중심지가 되었습니다. 현재 르노, 피아트, 닛산, 메르세데스-벤츠, 폭스바겐 등이 자동차 및 부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
식품 가공 산업 | Grupo Arcor, AGD 등 주요 식품 가공 업체가 위치하고 있습니다. 비야 마리아와 산프란시스코는 치즈 생산 중심지이며, 온카티보와 콜로니아 카로야는 소시지, 비야 헤네랄 벨그라노는 맥주로 유명합니다. |
에너지 산업 | 15개의 수력 발전 댐과 엠발세 원자력 발전소를 통해 에너지를 생산합니다. |
농업 및 축산업 | 대두, 밀, 옥수수 등 곡물 생산과 소, 양 사육이 이루어집니다. 전국 소고기 생산량의 15%와 유제품 생산량의 28%를 제공합니다.[17] |
광업 | 다양한 광물과 대리석, 석회와 같은 건설 자재가 채굴되며, 우라늄도 추출됩니다. |
코르도바는 철도, 항공 교통을 통해 다른 지역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잉헤니에로 아에로나우티코 암브로시오 L.V. 타라벨라 국제 공항은 국제 및 국내 항공 교통을 처리합니다.
6. 교통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함께 이전 출력을 제공해주시면 수정 작업을 진행하겠습니다.)
7. 행정 구역
코르도바주는 26개의 지역, 즉 데파르타멘토(departamentoses)로 나뉘며, 각 지역의 주도는 다음과 같다.
데파르타멘토 | 주도 |
---|---|
칼라무치타 | 산 아구스틴 |
수도 | 코르도바 |
콜론 | 헤수스 마리아 |
크루스 델 에헤 | 크루스 델 에헤 |
헤네랄 로카 | 비야 우이도브로 |
헤네랄 산 마르틴 | 빌라 마리아 |
이스킬린 | 데안 푸네스 |
후아레스 셀만 | 라 카를로타 |
마르코스 후아레스 | 마르코스 후아레스 |
미나스 | 산 카를로스 미나스 |
포초 | 살사카테 |
프레시덴테 로케 사엔스 페냐 | 라부라예 |
푸니야 | 코스킨 |
리오 쿠아르토 | 리오 쿠아르토 |
리오 프리메로 | 산타 로사 데 리오 프리메로 |
리오 세코 | 비야 데 마리아 델 리오 세코 |
리오 세군도 | 비야 델 로사리오 |
산 알베르토 | 비야 쿠라 브로체로 |
산 하비에르 | 비야 돌로레스 |
산 후스토 | 산 프란시스코 |
산타 마리아 | 알타 그라시아 |
소브레몬테 | 산 프란시스코 델 차냐르 |
테르세로 아리바 | 올리바 |
토토랄 | 비야 델 토토랄 |
툴룸바 | 비야 툴룸바 |
우니온 | 벨 빌레 |
8. 정치
코르도바는 보통 선거로 선출되는 단원제 입법부를 가지고 있다. 2001년 12월까지 입법부는 양원제(하원과 상원)였지만, 2001년 헌법 개정 이후 이 분할은 폐지되었다. 통합된 입법부는 70명의 의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6명은 각 주 부서를 대표하여 선출되고 44명은 주 전체의 국민에 의해 선출되어 비례 대표제로 할당된다.[18] 코르도바 헌법은 주의 공식적인 법을 형성한다.
정부 수반은 주지사이며, 입법부를 주재하고 특정 경우에 주지사의 자리를 채울 수 있는 부지사가 동반한다. 입법자들과 마찬가지로, 주지사와 부지사는 4년 임기로 선출되며, 한 번 연임할 수 있다.
코르도바는 오랫동안 중도파 급진 시민 연합의 근거지였지만, 1999년 정의당 호세 마누엘 데 라 소타가 주지사로 선출되었고, 2007년에는 같은 페론주의자인 후안 시아레티가 뒤를 이었다.
아르헨티나에서 가장 중요한 법 집행 기관은 아르헨티나 연방 경찰이지만 추가적인 업무는 코르도바 주 경찰에서 수행한다.
9. 인접 주
Provincia de Córdobaes는 북쪽으로 카타마르카주, 산티아고델에스테로주, 동쪽으로는 산타페주, 부에노스아이레스주, 남쪽으로는 라팜파주, 산루이스주, 서쪽으로는 라리오하주와 접한다.
참조
[1]
웹사이트
Nuevos datos provisorios del Censo 2022: Argentina tiene 46.044.703 habitantes
https://www.infobae.[...]
Infobae
2023-01-31
[2]
웹사이트
PBG Córdoba
https://datosestadis[...]
[3]
웹사이트
El mapa del desarrollo humano en Argentina
https://www.undp.org[...]
2023-06-25
[4]
뉴스
Censo 2022
https://www.indec.go[...]
[5]
웹사이트
Nuevos datos provisorios del Censo 2022: Argentina tiene 46.044.703 habitantes
https://www.infobae.[...]
Infobae
2023-01-31
[6]
서적
Córdoba rural, una sociedad campesina (1750-1850)
Prometeo Libros Editorial
2008
[7]
서적
Buenos Aires y las provincias del Rio de la Plata: desde su descubrimiento y conquista por los Españoles
Imprenta de Mayo
1853
[8]
문서
1853
[9]
서적
Las Efemérides En El Aula
Noveduc Libros
2007
[10]
서적
Historia Social Argentina En Documentos
Editorial Biblos
2000
[11]
간행물
Argentina: población total por regiones y provincias. Censos Nacionales de 1914, 1947, 1960, 1970, 1980,1991 y 2001
http://www.mininteri[...]
[12]
문서
censo nacional 2010
[13]
웹사이트
Copia archivada
http://www.unvm.edu.[...]
2019-11-15
[14]
웹사이트
Producto Bruto Geográfico de Provincia de Córdoba–Años 1993–2013
http://estadistica.c[...]
Dirección General de Estadísticas de la Provincia de Córdoba
2015-07-11
[15]
기타
The average exchange for 1 US dollar was 5.46 Argentine pesos in 2013 according to the World Bank
http://data.worldban[...]
[16]
기타
Córdoba Province Official Hotel List
http://hotelesdecord[...]
[17]
기타
Prospecting Argentina
http://www.imagenfac[...]
[18]
기타
Constitution of the Province of Córdoba
http://cervantesvirt[...]
2001-09-14
[19]
웹사이트
Distribución de la población por jurisdicción. Total del país. Año 2022
https://www.censo.go[...]
2023-0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